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의 역량모델링에 근거한 학부 교과과정 발전 방향 모색

        원영희,안정선,배진형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ecessary competencies for social workers' performance, and to explore undergraduate social welfare program's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competency modeling. As the methodology, after a panel research with 13 senior social workers and a survey with 218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the data were analyzed and organized as knowledge, skills and value/attitude areas for the final outcome, the core competencies. As the result, first, in the knowledge area, understanding about human/environment, policies/laws about social welfare, social work practice theory, and social work administration were found. Second, the skills' area included individual and group work, relationship/cooperation, community organization, case management, program development/evaluation, survey/research, and administration/management. Lastly, value/attitude area was composed of professional property, self-management as an expert, organization/task centered mind, ethics/client oriented attitude, and basic common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strengthening the curriculum and teaching contents for the undergraduate social welfare program were suggested as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사회복지사의 역량모델링에 근거하여 학부 사회복지 교과과정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에 있다. 지역사회전문가 의견조사(13명) 및 사회복지사 설문조사(218명)를 실시하였는데, 최종 추출된 핵심 역량들을 지식, 기술, 가치 및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역량은 인간과 환경, 관련 정책과 법, 실천이론, 사회복지행정 등의 이해가 제시되었다. 둘째로, 기술역량으로 개별․집단실천, 관계 및 협력, 지역사회실천, 사례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조사 및 연구, 행정 및 관리 등의 기술이 제시되었다. 셋째, 가치 및 태도 역량으로 전문가적 속성, 자기관리능력, 조직 및 업무중심, 윤리 및 고객중심, 기초공통능력 등이 제시되었다. 이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부의 사회복지 교과과정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원영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5 사회복지정책 Vol.21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 노인들이 경험하는 노인차별 피해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323명의 노인으로, 종속변인으로 우울감을, 독립변인으로 노인차별 피해경험(무시, 기피, 소외 영역)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건강상태, 경제상황, 종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차별의 피해경험에 대한 점수는 2.08에서 3.05의 범위로, 영역별 점수는 무시 측면 2.36(sd=.50), 기피 측면 2.27(sd=.47), 소외 측면 2.77(sd=.42)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 우울감 정도의 차이를 일원분산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결혼상태(F=.987, p<.05), 교육정도(F=6.784, p<.01), 건강상태(F=10.621, p<.001), 경제상황(F=i 1.003, p<.001)이 우울감의 차이를 가져오는 유의미안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차별 피해경험 및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간 상관관계 분석을 안 결과 노인차별 피해경험의 각 문항 및 하위영역이 모두 우울감에 유의미한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이의 결과 교육정도(Beta=-.136), 건강상태(Beta=-.239), 노인차별 피해경험의 하위 영역인 무시(Beta= 181), 기피(Beta=.190), 소외(Beta=.138) 모두가 노인의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이 밝혀졌으며 우리 사회 노인차별 피해경험을 완화 내지 해소하기 위안 사회복지 정책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s that influe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eld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328 Koreans residing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 dependent variable is depression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composed of three dimensions(disregard, evasion, and alienation) and socio-demographic factors(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health status, economic situation, and relig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ean scores of elderly discriminations are from 2.08 to 3.05 and those of three dimensions of elderly discrimination are disregard 2.36(sd=.50), evasion 2.27(sd=.47) and alienation 2.77 (sd=.42) out of possible range from 1 to 4. Secondly, One-way analysis variance test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It shows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are marital status(F=.987, p<.05), educational level(F=6.784, p<.01), health status(F=10.621, p< .001), and economic situation(F=11.003, p< .001). Thirdly, correlational analysis shows that every items and three dimensions of elderly discrimination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Finally,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Korean elders are identified as educational level(Beta=-.136), health status(Beta=-.239),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s such as disregard(Beta=.181), evasion(Beta=.190) and alienation(Beta=.138).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related to specific measures for alleviating elderly discriminations and enha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elders a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원영희,김욱 한국노인복지학회 2008 노인복지연구 Vol.0 No.42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examin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workers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for them.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the impacts of individual․job related characteristics and program satisfaction ․program operation related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278 workers nationwide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6.0 for Window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workers was a little above the averag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were employer agency(local governments), satisfaction of agency or client perceived by workers, and community network. Other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include type of employer agency(Korean Association of Elderly People), percent of focusing o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This paper suggest further research to fully understand job satisfaction and to respond appropriate step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enior employment program.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의 직무만족 수준과 개인 및 직업특성, 사업만족, 사업운영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의 직무관련 현황을 이해하고 직무환경 개선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노인일자리사업 담당기관인 지방자치단체, 대한노인회, 시니어클럽, 노인복지관 및 종합사회복지관의 실무자 278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6.0 Win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만족은 보통을 약간 넘는 수준으로 높지 않았고, 소속기관(지방자치단체), 참여노인의 서비스를 받는 기관이나 수혜자의 서비스 만족 정도, 기관의 지역연계 정도가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기타 소속기관(대한노인회), 노인일자리사업 전담비율, 노인소득의 창출과 생계지원 기여인식, 노인복지 기여인식이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변인들이었다.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을 정착․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실무자의 직무관련 현황을 잘 이해하고 직무환경 개선시 노인일자리사업 실천현장별 특성의 반영, 지역사회 연계의 강화, 서비스를 받는 기관이나 수혜자 만족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재미교포 노인의 문화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원영희 한국성서대학교출판부 2005 一粒論叢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acculturation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American eld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34 Korean immigrant elders residing in Los Angeles, California. In this study, correlational analysis shows that depression is significantly related to acculturative stress(r=.405, p<.001), health status(r=-.302, p<.001), economic situation(r=-.198, p<.01), adaptation to American life styles(r=-.128, p<.10), age(r=.127, p<.10), and ethnic identity(r=-.109 p<.10). And self-esteem showed correlation with acculturative stress(r= -.366, p<.001), health status(r=.218, p<.01), ethnic identity(r=.179, p<.01), and economic situation(r=.153, p<.01).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Korean-American elders are identified as acculturative stress(beta=.413, p<.001), educational level(beta=-.209, p<.01), health status(Beta=-.209, p<.01), and income(beta=-.148, p<.10), while the predictors of self-esteem among them are identified as acculturative stress(beta-.429, p<.001), marital status(beta=.237, p<.01), income(beta=.223, p<.01), economic situation(beta=.134, p<.10), and ethnic identity(beta=.118, p<.10).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related to specific measures for alleviating acculturative stress of elders and enha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American elders are discussed.

      • 줄어드는 결혼, 늘어나는 이혼

        원영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보건복지포럼 Vol.115 No.-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적령”에 해당되는 시기에 결혼하는 것은 그 의미가 점차 퇴색되어가고 있고 만혼과 더불어 동거가족, 사실혼상태의 가족유형이 점차 많아지는“결혼지연”의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한편, 최근 이혼율 저하 경향을 보이긴 하지만 지속적 이혼율 증가추세는 우리 사회 이혼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 표출과 더불어 다른 한편 가족내 갈등 및 위기해소 결과로서 우리 사회 가족 다양성의 표상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우리 사회 결혼율 및 이혼율 변화추이, 결혼감소 및 이혼증가의 원인과 이의 개인적, 사회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통해 결혼감소 및 이혼증가에 대한 사회적 대처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