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이주 초기 한인 중학생들이 인식한 한국의 학교생활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 : 학교사회복지 개입적 관점에서

        배진형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1

        Despite of increasing immigrant students to the U.S., there were little concern and limited studies on differences in their American school experiences as base-line research.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what were real & specific differences in American school experience, that newly arrived Korean junior high students recognized. To achieve this purpose, 10 newly arrived Korean junior high students, who had been less than 2 years and living near Chicago area, were interviewe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ison and categorization using the qualitative method. Results were organized as 7 different sub categories as follows; 1) Unfamiliar and unexpected environment and school life, 2) Rules based on safety first and no exception, 3) Class and study that needed much activeness based on diversity, 4) Relationship with teachers who were accessible and understanding through communication, 5) Peer relationship that could change, depending on situations but still had boundaries, 6) Lunch time with free food items/seat choice but no free time under supervision. and 7) School bus use that entailed tight rule following and mutual manners. And the main category was facing various differences without knowing the background or contexts of differences due to temporary shortage and gap. Based on above results, description of connected results with existing studies, new findings, discussion, considering positive points to apply, and practical intervention phases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s for new comers, supporting for these students' better adjustment, were suggested. 과도한 교육열과 국제화에 대한 기대를 이유로 미국 등 선진국으로의 이주 학생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미국 학교 적응에 있어 한국 학교와의 차이점을 먼저 살피고 간극을 채워 가는 것을 기반으로 바람직한 적응을 돕는 측면을 고려한 학교사회복지적 관심은 미비하다. 본 연구는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 중학생들이 이주 초기 그들이 인지한 미국 학교생활 내에서 한국 학교와 어떠한 차이점들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이를 통하여 이들의 바람직한 학교 적응을 돕는 전문분야인 학교사회복지 개입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주 초기 미국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인지한 한국학교와의 차이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시카고 인근 교외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초기 6개월 미국 중학교 적응과정에서의 한국 학교와의 차이점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녹취한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해 개념들을 추출하고 이를 범주화하는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차이점들은 학교생활의 각 체계별로 범주화되었다. 결과적으로, 학교생활의 맥락파악이 없이 맞닥뜨리게 되는 다름과 일시적 부족에서 오는 다양한 차이점이라는 범주 하, 7가지 하위 범주 즉 생소하며 예상치 못한 환경과 일상, 사소한 것도 무시되지 않는 안전제일주의 규칙, 다양성의 기반위에 일상에서의 적극성이 요구되는 학습, 소통이 부담스럽지 않은 수용적 교사관계, 상황에 따라 변화되는 경계선 있는 교우관계, 음식과 자리선택의 자유에 반해 철저한 지도감독하의 점심시간, 그리고 안전기반과 상호존중예절을 지키는 버스이용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주 초기 학교생활에서의 이주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원 문화에서의 학교생활과 현재 학교생활에서의 차이점들을 우선적으로 점검하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그러한 차이점이 어떠한 맥락과 이유에서 기인하는 것인지에 대한 문화적 이해를 돕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사의 관심과 전문적 개입에 대한 단계적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미국으로 이주하는 잠재적 한인 중학생들의 예방적 차원의 적응 준비, 또한 한국에 온 다문화 중도 입국 청소년들이 경험하게 되는 한국학교와 본국 학교와의 차이 인식을 통한 바람직한 적응 개입 프로그램에 간접적 기초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 참여적 평가로서의 학생 모니터링을 활용한 수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학개론을 중심으로

        배진형 韓國聖書大學校 2012 一粒論叢 Vol.17 No.-

        This study purposed to search social welfare introduction course development from the participatory evaluation perspective, and then to contribute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 course. This study's objects were 117 students who were taking introduction of social welfare clas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tory monitoring, individual objective evaluatio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open questioned survey, and self-monitoring method through the evaluation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results, the gains from the course are motivation for the selection social welfare as their majors/knowing future career areas, understanding various social work fields, and increasing themselves. In shorts, students were benefitted in the points of developing social welfare related knowledge, improving motivation, and increasing teamwork, collaboration and inter-relationships. It turned out that in the individual course objective evaluation, the most frequent outcomes were understanding about social welfare, realizing various fields and figuring out their aptitude in social welfare major, as 3.85 in total 5 point. Effective teaching methods were use of video, lectures by field workers, participatory discussion, video-making team project, professors' feedback, activ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immediate compensation and student participation for course evaluat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extbook materials were little low though that of professors' course administration/attitude and the quality of the course were high. It is revealed that group projects were collaborative abd active but lower in the degree of individual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comparing to other areas. And it means that more effective strategy for motivating self-managed study.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s suggested the course development devices in the areas of course outcome that is student oriented, course structure/methods, tasks/evaluation, attitude/interaction and text material/ references.

      • KCI등재

        장애아동 재활치료사들의 ‘돌봄’의 의미 -설화 <아기장수> ‘다시쓰기’를 중심으로-

        배진형,조은상 겨레어문학회 2019 겨레어문학 Vol.62 No.-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common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the story of Agijansu 'Rewriting' by rehabilitation therapis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looked at what the "caring" they revealed in the search for epic characteristics meant. The selection of the story wa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participants read and respond to the story of mother's long-term care and care for the baby bo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ther," which does not appear in the proposed text, is featured in writings "rewritten" by most therapists, and the role of parents is highlighted through parts where their mothers or parents go through hardships to protect their ‘Agijangsu'. Emphasizing the role of parents taking care of "baby" is the result of sublimating their desire to "take care of" others in their lives. Second, the epic character shows that the process of punishing a baby killer is described in various ways in common. However, in the epic search process, participants appear to acknowledge and accept the role of baby killer. This can be seen as their attitude of life, which reacts proactively to the frustration of caring but accepts that the situation could happen. Third, at the end of the rewriting period, the ’Agijangsu' becomes king or heavenly master, and after becoming a heavenly master, it ends up with paying back one's parents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epic. This shows that the caregiver's acknowledgement of the caregiver's hard work, coupled with the growth of the caregiver brought about by the act of providing "caring," carries the meaning of compensating therapists for their sublimated care need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sample from qualitative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relevanc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o those in the same occupational group of disabled children's rehabilitation treatment. 이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재활치료사들의 설화 <아기장수> ‘다시쓰기’에 나타난 공통된 서사적 특성을 찾아보고 서사적 특성의 탐색 과정에서 그들이 드러내는 ‘돌봄’이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화 선정은 참여자들이 <아기장수>에 대해 어머니의 아기장수에 대한 양육과 돌봄의 이야기로 읽고 반응한다는 기존 연구를 근거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시한 원문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아버지’가 대부분의 치료사들이 ‘다시쓰기’한 글에서는 역할을 부여받아 등장하고 있으며, 어머니 또는 부모가 아기장수를 지키기 위해 시련을 겪는 부분을 통해 부모의 역할이 강조되는 특성을 보인다. ‘아기’를 돌보는 부모의 역할을 강조한 것은 그들의 삶 안에서 ‘돌봄’받고자 했던 욕구를 타인을 돌보는 것으로 승화시킨 결과이다. 둘째, 아기장수를 죽인 장수를 다양한 방법으로 응징하는 과정이 공통적 기술된다는 서사적 특성을 보인다. 그렇지만, 서사적 탐색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그 장수의 역할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돌봄의 좌절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지만 그 상황이 일어날 수 있음을 수용하는 그들의 삶의 태도로 볼 수 있다. 셋째, 다시쓰기의 마지막에 아기장수가 왕 또는 천하장사가 되며, 천하장사가 된 후에는 부모에 대해 은혜를 갚는 것으로 결말을 맺는 서사적 특성을 보인다. 이는 ‘돌봄’을 제공하는 행위가 가지고 오는 돌봄 받는 이의 성장과 함께, 돌보는 이의 노고에 대한 인정이 치료사들에게 승화된 돌봄 욕구에 대한 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질적연구가 갖는 표본의 제한으로 일반화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장애아동재활치료라는 같은 직업군에 있는 이들의 공통서사와 심리적 특성의 관련성을 살펴 볼 수 있었다는 점을 이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 KCI등재

        미취업 청년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배진형,김송미,유석,조은상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2

        이 연구는 미취업 청년들의 회복탄력성 증진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다. 이 연구에서는 미취업 청년들의 공통된 서사를 통해 그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 청년들의 삶이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기술된 세 편의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메타분석하여 미취업 청년들의 공통서사를 추출하였다. 또한, 사회적응과 성취를 위해 필요한 이야기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청년들의 서사와 연결짓는 과정을 통해 이야기의 효용을 드러내는 연구를 함께 진행하였다. 미취업 청년들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야기로는 설화 〈새끼 서 발〉을 선정하였고, 이 설화가 청년들에게 필요한 높은 회복탄력성의 요소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이야기를 다음과 같은 세 장면, 첫째, 새끼 서 발을 들고 세상 밖으로 나가는 장면, 둘째, 새끼 서 발을 가지고 세상에 나가서, 물물교환을 통해 더 큰 것들을 얻어내는 장면, 셋째, 수수께끼 내기에서 이기고 어른이 되는 장면으로 나누고, 각각의 장면에서는 주인공의 회복탄력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를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새끼 서 발〉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어지는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여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멘토링 활동 참여 경험에서의 멘토의 성장과 도전 : H대학교 멘토링 프로그램의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배진형,안정선,방진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2013년도 실시 된 보건복지부 휴먼네트워크 사업의 일환인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H대학교 대학생 멘토들을 대상으로 양적, 질적 방법을 통해 프로그램 경험에 있어서의 성장과 도전에 대해 평가하고, 이를 지역 내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생 멘토링 활동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먼저 양적 평가는 20명의 멘토링 참여자 전원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평가 설문을 통하여 실시되었고, 질적 평가는 6명의 멘토링 참여자를 대상으로 포커스집단 인터뷰를 통해 진행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양적 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SPSS Ver. 20.0 패키지를 활용하였고, 포커스집단 인터뷰를 통한 질적 자료는 근거이론의 초기단계인 개방 코딩을 통한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범주화 하였다. 양적 평가 결과, 먼저, 멘토의 성장과 관련하여, 개별목표성취도가 5점 만점에 평균 4.26으로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평가 설문 결과, 멘토 전체 집단목표성취도에 있어서 5점 만점에 평균 4.27로 높게 나타났고, 특별히 팀워크 능력향상, 멘티에 대한 이해도 향상, 인간관계 능력향상 및 성취감과 성공을 느끼는 기회가 됨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멘토링 활동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45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멘토 본인의 참여도는 5점 만점에 4.38로 비교적 높았고, 구체적으로 조별활동 보다는 개별멘토링 활동의 참여도가 높았다. 세부활동 만족도에 있어서는 중간평가회가 4.63으로 가장 높았고, 운영 만족도에 있어서는 활동을 위한 교육과 슈퍼비전의 만족도가 4.3점으로 가장 높았다. 멘토의 도전과 관련하여서는 활동 장소 만족도가 3.1로 가장 낮아 환경요인과 연결성이 있었다. 질적 평가 인터뷰 자료 분석결과, 먼저 멘토링 경험에서의 성장영역은 동기부여된 시작 자체에서 오는 성장, 또 다른 나 자신과의 만남과 전문적 역량의 증진, 팀활동과 멘티를 통한 역량 강화, 자신의 현재와 미래 삶의 의미를 발견함이라는 5가지 범주로 분석되었다. 또한 멘토링 경험에서의 도전영역은 지지적이지 않았던 환경요인들, 부족한 개인적 역량에 대한 부담, 시기적절한 행정적 지원의 불충분이라는 3가지 범주로 분석되었다. 차후 멘토링 프로그램 발전을 위해 멘토 및 멘티 주도형 활동 기획 강화, 멘토링 활동을 통한 소속감과 팀웍 증진 지원, 전공 연계의 실천적 적용과 관련된 슈퍼비전 체계 강화, 다양한 환경적 요인 및 행정적 지원의 체계화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mentoring program experience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d to be the base study for developing more qualified mentoring program by college student mentors. To achieve this purpose, quantitativ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survey that examines program evaluation with 20 mentors, and qualitative study was taken as focus group interview with 6 mentors.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C+ package, and the interview data was categorized by constant comparison in open coding of grounded theory. A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 relating to mentor's growth, the individual goal achievement level showed pretty high as 4.26 in 5 as full score. Program evaluation area showed that 4.27 point was for group goal achievement level, comparatively higher in the areas of understanding/practical skill development, human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feeling achievement/success. Results showed 4.5 in general satisfaction of the program, 4.38 in individual participation (highest in individual mentoring participation). Specific activity satisfaction was 4.63 for mid-term evaluation conference, and 4.3 for administration evaluation in education/supervision. Relating to challenges, location factor involving long distance factor was the lowest as 3.1. As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growth part was categorized with 5 different areas; growth from the motivated starting, finding unrecognized sides in themselves, professional capacities developed, strengthened abilities through team activities and their mentees, and finding the meaning in their own life both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the area of challenges, not supportive factors in the environment, feeling of burden from insufficient capacities, need for timely support from the administrative agenc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trengthening the mentor-mentee self-led activity/planning, development of belonging/teamwork, improving supervision system for connecting social work major, and environmental/administrative support were suggested.

      • KCI등재

        시카고 지역 한인 사회복지사들의 자아 인식과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배진형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3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9 No.1

        Social workers are always busy causing to complex and multiple clients’needs. But it is necessary that social workers reflect their self and use of self as the methods of service provision. This study examines Korean social workers’self and use of self, among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Chicago Area, to explore basic data for the necessity of self reflection. First, literature review about use of self was studied.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8 different Korean immigrant social workers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wit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more than 2 hours for each. Data were analyzed by subject analysis with coding and finding concepts,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Whole subject was introduced in the end of the result. As the result, 57 concepts, 17 sub-categories, and 6 category turned out as the Korean social workers’use of self. First category was “in born characters led and kept them as social worker”. Second category was “connecting real experience continuously with recognitions”. Third category was “productive utilization with resource and skills”. Fourth category was “keeping on concerns for growth of themselves and the agency they work for”. Fifth category was “using the means that can encourage and recharge”. Last category was “preparation for present self connecting to the future self”. Based on the result, necessity of reflecting in born and experimental effect, religion/multiple relations, neighboring resources, cultural competences based practice, systematization for reflecting themselves and sharing individual and agency concerns, recognizing and fulfillment of self-care methods were suggested. 부산한 일상을 잠시 멈추고 모든 서비스 전달의 도구로서 활용되는 사회복지사의 자아인식과 활용에 대하여 성찰해 봄은 소진과 스트레스를 예방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사회복지사 자기 성찰의필요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 탐색을 위해 미국 시카고 인근에서 일해 온 한인사회복지사들의 자기 인식과 활용이 어떠하였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하여 자기활용 및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였고, 이후 8명의 10년 이상 일 해 온 시카고 지역 한인사회복지사를 의도적 표본추출법을통하여 모집하였다. 개별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는 주제분석방법을 통하여 코딩되어 개념, 하위범주, 범주로 분석되고,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한인사회복지사의 자아 인식과활용은 57개의 개념, 17개의 하위범주 및 6개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먼저, “타고난 성격이 사회복지사로 이끌고 유지함” 범주, “실제로 겪으며 터득한 것을 발전적으로 연결함” 범주, “보유한 자원과 기술을 생산적으로 활용함” 범주, “나와조직의 성장을 위한 고민을 지속해 감” 범주, “자아를 격려하고 재충전하는방법을 활용함” 범주, 마지막으로 “현재와 연결된 미래의 자아를 준비해 감” 범주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타고나고 경험해 온 다양한 자아의 성향에 대한 탐색 필요성, 신앙, 다양한 관계 역량, 다양한 자원, 전문적인 문화역량을 발휘함, 자신이 가진 다양한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함, 자신의 고민과 조직의 발전을 위한 고려들을 정기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세팅 마련, 사회복지사 자신이 스스로를 위로하고 충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분명히 구분해 알고, 지속 실천하기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멘토링 활동 과정에서대학생 멘토가 경험한 성장

        배진형,안정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40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ntors’ positive growth experience during the mentoring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low income families. For this purpose,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6 mentors was held in order to get data.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through constant comparison method. As the result, 35 concepts, 11 sub-categories, 3 categories were found. First category was ‘budding the co-creation between the mentors’ existent capacities and systematic program’ including ‘experiencing challenging motivation’, ‘finding out individual strengths’, ‘getting to implement mentors’ positive talents’, and ‘utilizing the prior education’ as sub-categories. Second category was ‘strengthening competences from the interactions among various systems’ which was composed of ‘mentees who were changed based on mentors’ patience and consistent trials’, ‘self-reflection and efforts for improvement’, ‘realizing the meaning of mutual growth’, ‘positive changes through variety of support’, and ‘enhancing job competences’ as sub-categories. Last category was ‘feel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resulting from both sides’ growth’ including sub-categories as ‘getting to know the depth of mentee’s growth’ and ‘rewarding from faithful endeavor’. Suggestions include more systematic preparation for promoting/recruitment, structured/independent communication among mentors, increasing opportunities of matching mentors’ original strengths for program application. 본 연구는 대학생 멘토들이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과정 전반을 통해 어떠한 성장을 경험하였는지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멘토들이 참여한 멘토링은 대학 교수진과 대학 산학협력단, 지역사회복지관이 4년 간 매년 새로운 멘토와 멘티의 매칭으로 구성되어 실행되어 온 산학연계사업이었고,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멘토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구성과 체계에 대해 먼저 소개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지역사회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대상 멘토링에 참여한 6명의 멘토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집단인터뷰로 진행되었다. 포커스집단인터뷰 자료는 녹취를 거쳐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통해 개방코딩으로 분석되었다. 포커스집단인터뷰 분석 결과 35개의 범주, 11개의 하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상위범주는 전체 멘토링 프로그램의 초기, 중기, 종결기의 과정이 반영된 순서로 기술되었다. 첫 번째는 ‘기존 역량과 시스템이 만나 조화를 싹 틔운 초기’ 범주 하에 ‘도전적 동기부여를 경험함’, ‘차별화된 나만의 강점을 발견함’, ‘자신의 긍정적 자질과 연결함’ 그리고 ‘교육내용을 적절히 활용함’이었다. 두 번째는, ‘역동적인 체계 간 상호작용을 통해 역량을 강화해 가는 중기’ 범주 하에 ‘시도와 인내로 멘티의 변화를 이끌어 냄’, ‘자신에 대한 성찰과 개선을 위해 노력해 감’, ‘상호성장의 의미를 인식함’, ‘다양한 지원을 통한 성장을 인지함’ 그리고 ‘실무 관련 역량이 증진됨을 확인함’이었다. 마지막 범주는 ‘멘토/멘티 동반 성장을 통한 성취감을 확인하는 종결기’ 범주 하에 ‘멘티의 성숙함이 깊어짐을 알게 됨’ 그리고 ‘성실한 노력을 통한 종결의 보람을 경험함’ 이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보다 체계화된 홍보와 모집과정 준비, 주체적인 동료 멘토 간 소통의 구조화, 멘토의 기존 강점과 활동 연결성 증진 기회 확대, 사전교육 시스템의 강화, 슈퍼비전과 슈퍼-멘토링의 활성화 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