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남성우울척도(Korean Masculine Depression Scale) 타당화 연구

        우성범,양은주 한국인간발달학회 2014 人間發達硏究 Vol.21 No.2

        This study sought to validate the Masculine Depression Scale (MDS) with Korean men, examining its applicability in assessing male depression in South Korea. The MDS is a self-report measure used to assess the behaviors related to masculine depression. Two bilinguals who were fluent in English and Korean translated the questions of the MDS into Korean and then another two bilinguals confirmed the consistency of meaning by translating them again into English. A total of 342 Korean men participated in the initial data collection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Factor analyses yielded a three-factor solution: ‘internalizing’, ‘externalizing’, and ‘repression of expression’ accounting for 46.3% of the variance.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data from another sample with 160 mal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Korean-translated MD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Korea Sex Role Inventory (KSRI). Masculinity predicted the differences between BDI and externalizing symptoms and between BDI and suppression of symptoms, but did not predict the difference between BDI and internalizing symptom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xpression of depression may be related to gender role identity,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ale de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screening procedures and treatment programs.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애, 책임귀인이 연애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분석

        우성범,정미나,성낙윤,강총명,양은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shame, narcissistic trait, and responsibility attribution in predicting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Based on the previous findings, we proposed a path model in which responsibility attribu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me-based narcissistic trai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138 young adults who were engaging in a romantic relationship or had experience of the past romantic relationships. They completed a survey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shame, narcissistic trait,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supported the proposed path model, suggesting that shame-based narcissistic trait may have indirect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ch is mediated by a cognitive mechanism such as responsibility attribu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연애관계 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서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애, 그리고 책임귀인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대의 대학생으로, 과거 혹은 현재의 연애경험이 있는 138명의 자료만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애성 척도, 책임귀인 척도, 연애관계 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AMOS 16.0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주분석에 앞서 연구변인들에 대한 성차가 존재하는지를 변량분석으로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유의미한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애에, 자기애가 책임귀인에, 그리고 책임귀인이 연애관계 만족도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에 기초한 자기애는 연애관계 만족도를 예측하는 성격적 요인이며, 특히 수치심에 기초한 자기애 성향의 영향은 책임귀인이라는 인지적 기체를 통해 매개되는 간접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상담과정에 가지는 함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이차원적 자기애적 성향과 연애관계 양상의 관계: 투자모델을 중심으로

        우성범,남숙경,이승민,양은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narcissism on a romantic relationship using the investment model. The previous study considered narcissism as one dimensional construct. This study elaborated the previous findings by specifying the influence of distinctive dimensions of narcissism. A total of 240 college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measuring narcissism and the variables of the investment model.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two dimensions of narcissism, Grandiosity-Exhibitionism and Sensitivity-Vulnerability.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wo paths from narcissism to commitment. First, Sensitivity-Vulnerability predicted commitment via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Grandiosity-Exhibitionism predicted commitment via two mediators, which were the quality of alternative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influences via these two paths counteracted each other, and consequently nullified the influence of Grandiosity-Exhibitionism on commitment. These findings imply the multifaceted roles of narcissism on a romantic relationship. 본 연구는 자기애적 성향이 연애관계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투자모델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자기애적 성향과 연애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자기애적 성향을 단일차원으로 간주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적 성향의 다차원성을 고려하여 각 차원의 효과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240명의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자기애적 성향과 투자모델의 요인들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기애적 성향 측정도구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웅대성-과시성 차원과 과민성-취약성 차원의 두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차원의 자기애 성향이 투자정도, 대안적 관계의 질, 관계만족을 매개로 하여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투자모델을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한 결과,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대안적 관계의 질을 매개로 하는 경로 이외에 관계만족을 매개로 하는 경로 역시 확인되었다. 과민성-취약성 차원은 관계만족만을 매개로 하여 헌신에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만족을 저하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헌신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웅대성-과시성 차원은 대안적 관계와 관계만족 각각을 매개로 하는 두가지 경로를 통해 헌신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 두 경로는 서로 상반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애적 성향이 연애관계 양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면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 남성의 남자다움은 무엇인가?: 남성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우성범,Woo Sungbum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stitute masculine norms of masculine in Korean society. The definition of masculinity was to conform to the male-dominated standard formed socially and culturally.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20 male participants were used for a concept mapping analysis to explore the configural representations of Korean masculine norms. After extracting the key sentences related to masculine norms, the participants sorted the 55 key sentences based on similarities and assessed the importance, which was then analyzed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 showed two dimensions, one representing social-personal domain and the other implying dominance-support domain as well as six clusters of caregiver, leadership, emotion suppression, job ability and organizational social adaptation, Expects the masculine abilities, power and control.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남성의 남자다움은 무엇인가?: 남성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우성범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남성들의 남성규범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그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남성성 개념의 이론적 근거에 따라 사회문화적으로 형성된 남성성역할 기준에 순응하고자 하는 정도를 남성성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20명의 남성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에서 남자답다는 것은 무엇인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후 남성규범과 관련한 핵심문장을 추출한 후 참가자에게 추출된 55개의 핵심문장에 대해 분류하고 그 중요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참가자들이 분류한 문항에 대해서는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남성규범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나타난 이차원의 축을 한국사회 문화에 대한 이론과 내용을 바탕으로 각각 집단관계 영역 대 개인내적 영역, 사회적영역과 위계성 추구 대 온정적 관계 추구로 명명하였다. 또한 하위 군집으로는 부양자, 리더쉽, 정서억제, 직무능력과 조직사회적응, 기대외는 남성적 능력, 힘과 통제의 6가지 군집이 나타났다. 각 군집의 특징과 의미를 한국사회문화 맥락에 따라 해석하고 연구의 의의, 제안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stitute masculine norms of masculine in Korean society. The definition of masculinity was to conform to the male-dominated standard formed socially and culturally.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20 male participants were used for a concept mapping analysis to explore the configural representations of Korean masculine norms. After extracting the key sentences related to masculine norms, the participants sorted the 55 key sentences based on similarities and assessed the importance, which was then analyzed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 showed two dimensions, one representing social-personal domain and the other implying dominance-support domain as well as six clusters of caregiver, leadership, emotion suppression, job ability and organizational social adaptation, Expects the masculine abilities, power and control.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온라인, 오프라인 공간의 친밀감 형성: 자기개방과 반응성 친밀감을 중심으로

        우성범,권정혜,양은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8 No.3

        최근의 인터넷과 SNS와 같은 온라인 공간의 발전으로 인해 청소년들은 많은 시간을 온라인 공간에서 보내고 있으며, 온라인 대인관계의 영역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대인관계의 친밀감의 형성을 오프라인과 비교하여 파악하기 위해 Reis와 Shaver의 친밀감의 대인관계모형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청소년 6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에는 SNS 이용빈도, 온, 오프라인 자기개방, 반응성, 친밀감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포함하였다. 온라인공간과 오프라인 공간에 대해서 각각 자기개방과 반응성, 친밀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공간에서는 자기개방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응성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프라인에서는 자기개방이 반응성을 매개로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온라인 공간에서는 오프라인과 다르게 자기개방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밝혀내어, 온라인 관계에 대한 상반된 두 가지 가설인 감소가설과 촉진가설의 통합적 이해에 기여하였고, 온라인 공간에서의 소통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Many new and important developmental issues are encountered during adolescence, which is also a time when Internet use becomes increasingly popular. Studies have shown that adolescents are using these online spaces to address developmental issues, especially needs for intimacy and connection to others. Reis and P. Shaver's (1988) interpersonal process model of intimacy suggested both online and offline spaces. Six hundred and fifty-six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n questionnaire about the activities on social networking sites, online/offline self disclosure, responsiveness and intimac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sclosure and intimacy was moderated by responsiveness in online space. On the other hand, respon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 disclosure and intimacy on offline spac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 처리의 인지 평가모델을 기반으로 한정서 억제의 차원성과 심리 사회적 적응

        우성범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structs of emotion suppression and help understanding on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emotion suppression by classifying constructs for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KMW model.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s of emotion suppression. For this purpose, 657 adult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evaluated for attitude toward emotions, and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as well as depression, state anger and daily stress scale.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scales related to the emotion suppression factors, the emotion suppression factors corresponding to each stage of the KMW model were found to be ‘distraction against emotional information,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emotions’, ‘emotion control beliefs’, ‘vulnerability on emotional expression beliefs’. Nex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performing a cluster analysis based on each emotion suppression factor. As a result, four clusters were extracted and named ‘emotional control belief cluster’, ‘emotional expression cluster’, ‘emotional attention failure cluster’, and ‘general emotional suppression clust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male depression, depression, state anger, and daily stress for each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suppression clusters according to gender, the frequency of emotional suppression clusters was high in men, and the ratio of emotional expression clusters was high in women. Finally,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emotional suppression cluster on psychosocial adaptation,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정서 표현의 억제 구인을 Kennedy-Moore & Watson의 정서 처리의 인지 평가모델에 따라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정서 억제의 구성개념을 명료화하고 정서 억제의 다차원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정서 억제와 관련한 구성개념과 성차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의 이슈들을 종합하여 정서 억제를 성별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인 남녀 657명을 대상으로 정서에 대한 태도, 감정표현 불능증, 정서 조절 곤란 척도와 우울, 분노,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였다. 정서 억제 요인과 관련한 척도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KMW모델의 각 단계에 해당하는 정서 억제 요인들이 나타나 ‘정서적 정보에 대한 주의 어려움’, ‘정서의 이해와 해석 어려움’, ‘정서 통제 신념’, ‘정서 표현 취약성 신념’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각 정서 억제 요인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연구참가자들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4가지 군집이 추출되어 ‘정서 통제 신념 군집’, ‘정서 표현 군집’, ‘정서주의 실패 군집’, ‘전반적 억제 군집’으로 명명하였다. 각 군집을 대상으로 우울, 분노, 일상적 스트레스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든 종속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정서억제 군집들의 빈도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남성에서는 전반적 억제 군집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에서는 정서표현 군집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 억제에 대한 네가지 군집이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성차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인 남성의 문제성 음란물 사용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영향 성적대상화 가해와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우성범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6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음란물 사용이 증가하고 이러한 음란물의 지나친 사용으로 인해 개인이 통제력을 잃는 경우는 대인관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문제성 음란물 사용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성적 대상화와 성차별주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성적 대상화 가해의 매개 효과 양가적 성차별주의 조절 효과를 가정하여 조절된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남성 540명을 대상으로 문제성 음란물 사용척도, 대인관계원형 검사, 성적 대상화 가해 척도,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Process Macro 14번을 통해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적 대상화의 매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성적 대상화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조절 효과가나타났다. 조절효과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성차별주의가 높은 개인은 성적 대상화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의함의,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problematic pornography use oninterpersonal issues and the mediating role of sexual objectifica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effects of sexism. To do so, a total of 540 adult males completed measures of problematicpornography us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s, sexual objectification perpetration, andsexism.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amoderating effect of sex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interpersonalissues. This confirm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benevolentsexism on the impact of problematic pornography use on interpersonal issues. Finally,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남녀청소년의 자존감, 친구애착, 비행 간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우성범,김성연,임승우,백인규,남덕현,양은주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4

        The current study utilized latent growth model to examine how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and juvenile delinquency changed over time, and how these changes were related across time. Whil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elf-enhancement theory of juvenile delinquency main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uvenile delinquency,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their relationship, and examined the change on each variables across time. The data was gathered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nd 5-year data of 3449 adolescents from the 2nd year in middle school to the 3rd year in high school was examined. The results confirmed the translinear model of self-efficacy and peer attachment, while the same model for juvenile delinquency was not supported. Multi-group analysis of the linear model in self-efficacy and peer attachment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initial value of self efficacy and peer attachment, as well as the rate of change for peer attachment. The test of the self-enhancement model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self-efficacy was enhanced by juvenile delinquency and peer attachment. Finally, multi group analysis of the self-enhancement model showed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in the model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존감, 친구애착, 비행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 그 초기치와 변화율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잠재 성장모형을 검증하였다. 청소년 비행에 대한 자기강화이론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자존감과 비행의 관계만을 확인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자존감과 비행의 관계에서 친구애착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각 변수의 변화양상을 알아보았다. 한국청소년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 3449명의 자료를 1개년부터 5개년까지 분석하여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대상자의 자존감, 친구애착, 비행의 변화모형을 추정 결과, 자존감과 친구애착은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선형변화모형이 지지되었으나 비행은 선형변화모형이 지지되지 않아 시간적 흐름과 변화양상이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과 친구애착의 변화모형에 대해 성별간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존감의 초기치, 친구애착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대한 성별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변인들의 추정된 변화모형을 종합하여 다변량 잠재 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자기강화이론모형을 검증하여 청소년의 자존감이 비행과 친구애착을 통해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강화이론모형의 성별간 다집단분석을 통해 남학생과 여학생에 따른 연구모형의 경로가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온라인 관계유지행동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오프라인 관계유지행동의 조절효과

        우성범,양은주,권정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1

        Many new and important developmental issues are encountered during adolescence, which is also a time when SNS(social network service) becomes increasingly popular. The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 of online relational maintenance, offline relational maintenance and their interaction effect on adolescents’ well-being. Six hundred and fifty-six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n questionnaire about the activities on social networking sites, online/offline relational maintenance strategies and their well-being. Results reveal that adolescents’offline relational maintena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ell-being. The offline relational maintenanc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online relational maintenance and adolescents’ well-being. These findings imply the offline relationship is fundamental facto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online relationship on well-being.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사회네트워크서비스(SNS)의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청소년들의 삶 에서 온라인 대인관계의 영역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관계유지 행동이 청소년의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오프라인 관계유지행동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청소년 6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 문조사에는 온라인 관계유지행동, 오프라인 관계유지행동 및 정신적 웰빙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포함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청소년들의 관계유지행동은 온라 인 공간에서 보다 오프라인 공간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프라인 관계유 지행동은 청소년의 정신적 웰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관계유지 행동이 정서적,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오프라인 관계유지행동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온라인 관계유지행동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이 오프라인 관계유 지행동 또한 높은 경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반면 오프라인 관계유지행동이 낮은 경우에는 오히려 청소년의 정신적 웰빙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 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