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가여성장애인의 모성관련 실태 및 출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혜경(Oh Hea-Kyung),백은령(Palk Eun-Ryo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3 비판사회정책 Vol.- No.16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차별의 양태는 삶 전반에 걸쳐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여성 고유의 권리라 할 수 있는 임신ㆍ출산 등 모성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여성장애인들의 모성관련 실태와 모성보호를 위한 전국적인 규모의 연구가 실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장애인의 임신ㆍ출산 등 모성관련 실태분석과 함께 장애, 여성, 빈곤이라는 두 세 가지 이상의 차별구조 속에서도 여성장애인들이 임신과 출산과정을 통해 자녀수(출산력)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여성장애인들이 결혼생활과 동시에 자녀를 갖기를 희망했으며, 여성장애인의 임신율과 출산율이 비장애여성의 그것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사회적 지원이 있다면 출산과 자녀양육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며 당연한 권리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신ㆍ출산과 산후조리과정에서 느끼는 문제들 가운데 경제상태와 건강상태로 인한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지적되었으며, 출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도 소득수준과 장애정도가 중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모성보호를 위한 정책과제 및 실천적 대안 그리고 이를 위해 정부, 지자체, 민간단체, 여성장애인 단체 등 관련기관 들이 담당해야 할 역할분담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Women with disabilities not only experience discrimination due to their feminity, but are also the victim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ir disabilities. As a result, disabled women find themselves having to deal with double discriminations, which have put an extreme limit on their opportunities in marriage, delivery and child care. However, until now there were few interests and few studies about these problems. In order to recommend adequat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t is firstly necessary to examine them. This study has two purposes. The one is to investigate the maternal related problems of the women disabled. The other is to find out affecting factors related to fertilit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women disabled wanted marriage life with child. And childbirth rate did not have a particular difference from that of woman undisabled. If social support was provided, delivery and child care would be possible and replied. that it was natural rights. It was found that they consistently have problems on economic trouble and health in childbirth and children bringing-up process. The income level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were factors to have an influence on fertility. Finaly policies and clinical alternatives were proposed to solve these problems.

      • KCI등재후보
      • 인권과 장애인복지실천

        오혜경 ( Hea Kyung Oh )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사회복지리뷰 Vol.13 No.-

        장애인은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부가적 욕구가 있음에도 이에 대한 충족은커녕 차별과 억압 그리고 인권침해의 경험을 하였다. 이런 가운데, 국제연합에서는 세계 인권선언(1948), 국제인권규약(1976), 아동의 권리선언(1959), 정신박약인의 권리선언(1971)이 채택되었고, 2006년 12월 13일에는 유엔 장애인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이 채택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의 인권의식이 고조되어 재활개념의 보호적, 치료적 원조에서 생활모델이 주체가 되는 자립생활로 탈피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장애인복지실천을 수행함에 있어, 첫째로 장애인의 권리와 복지, 재활을 확보하고, 둘째로 장애의 악화를 예방하고, 셋째, 장애인 원조에 경제적, 기술적인 한계가 있는 것도 인식하고, 권리확보를 위한 공통의 기반을 구축하고 이를 위한 실천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Korean disabled person experience double and multiple discriminations on various aspects of living condition throughout their life history. This paper attempt to shed the light of human on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identity emerging issues and meanings of convention on the rights of disability. This paper also examines a secondary data to explore and to figure out the human rights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To do 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the situations of person with disabilities. Finally, that this paper argues that these convention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disability issues form rights based perspectives and the secure the enhancement of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representing and evolution from welfare to rights.

      •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업의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오혜경 ( Oh Hea-kyung ),임혜영 ( Jung Han-na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장애인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활동보조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직업의식과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활동보조인들의 직업의식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경기도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복지관, 장애인단체, 지역자활센터에서 근무하는 총 145명의 활동보조인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활동보조인들의 직업의식과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한 결과 하위 요인 중에서는 인지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동기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활동보조인의 직업의식에 하위요인은 직무헌신, 소속감·사명감, 근속의지, 근무자세의 하위 요인 중 에서는 소속감·사명감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근무자세는 직업의식에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성별, 연령, 활동경력, 활동시간은 활동보조인의 자기효능감의 영향과는 유의미 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직업의식의 하위요인 직무헌신, 소속감·사명감, 근속의지, 근무자세 중에서 직무헌신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나왔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understand the level of work ethics and self-efficacy of which personal assistants of the disabled are aware, but also to figure out whether personal assistants’ work ethics impact on self-efficacy. The following research subjects are establishe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assistants, which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coming up with grounds of social welfare promotion to improve quality of life. After was represented a parent population of personal assistants, who worked at the disabled self-support centers,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disabled communities, and local self-sup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otal 145 personal assistan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drawn as follows.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level of work ethics and self-efficacy, cognitive factors are represented with relatively high frequency, while motivational factors are with relatively low frequency. Sense of belong and sense of duty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work ethics, attitudes do a relatively low impact on the ethics: factors of work ethics include commitments, sense of belong, sense of duty, continuous service will, and attitudes. If correlation with independent variables were 0.9 or more, multicollinearity would be doubted, and a pure causal relationship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would be hard to validate despite meaningful regression model. However, this study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0.9 or m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sex, age, career, working hours, and work ethics on self-efficacy, it is not only found that sex, age, career, and working hours are non-significant, but also found that commitments are significant, among factors of work ethics - commitments, sense of belonging, sense of duty, continuous service will, and attitudes. From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and empirical implications were elicited as follows First, [policy implication] public service organization will have to mainly deal with career sustainability issues such as wage, benefit package, education, expertise recognition, communication, and so on. Second, [empirical implication] efforts to foster self-efficacy program, business, and education will be required to induce and manage work ethics of personal assistants with positive attitudes.

      • 중용의 역동적 중(中)의 추구와 사회복지실천 -다차원성, 다양성, 역동성 중심으로-

        오혜경 ( Hea Kyung Oh )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사회복지리뷰 Vol.16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한편으로 치우침이 없는 균형을 유지하는 사회복지실천에 관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역동적 중(中)을 추구하며, 다양성을 존중하고, 균형과 조화를 중시하는 중용의 핵심 가치에 해당되는 양가성, 다차원성 역동성 등의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applicability of Golden Mean to social work practice. In the field of social work practices, the meaning of the harmony and integration of humanity would be concerned by social workers. Also social work practice focused on respect of multiculuralism, diversity and dynamics. Simultaneously, this study were presented to explain the ethical issues of the social work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Golden Mean.

      •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서울지역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오혜경(Oh Hea-kyung),백은령(Paik Eun-ryou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체장애인의 개인요인, 환경요인, 사회통합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나이, 가족수입, 자신의 장애에 대한 인식, 사회적지지, 이동 및 접근환경이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모색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The method of this study adopted was the multiple regression. The dependent variable wer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ere person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integration 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age, family income,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severity, social support, physical environment(accessibility and mobility)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t also suggests that there are more possibilities to attain the improvement of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ith the improvement of intervention and policy.

      • 인터넷 의존 인간관계와 청소년 범죄에 관한 고찰

        오혜경(Hea Kyung Oh),오봉욱(Bong Yook Oh) 한국교정사회복지학회 2012 교정사회복지연구 Vol.4 No.-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통로로 인터넷에만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상이 청소년 개인의 사회성, 관계맺기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현상이 청소년 범죄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문헌검토 결과, 청소년들은 가장 중요한 발달과제인 정체성, 사회성 확보를 위한 인간관계의 수단으로 사이버 공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스마트폰 보급의 대중화와 청소년들의 성향이 맞물리면서 확산되는 분위기이다. 문제는 청소년들이 인터넷 중독의 단계로 이르러 인터넷에만 의존한 인간관계를 지속할 경우 실제 현실에서 이뤄지는 대인관계에 소극적이게 되고 사회적 활동의 제한으로 외로움과 고립감을 느끼게 되는데 있다. 반대로 청소년들이 현실세계에 잘 적응하지 못할 경우에도 인터넷을 통한 소통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관계 패턴은 최근 사이버 공간에서 이뤄지는 청소년 범죄의 증가현상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청소년 범죄의 여러 유형 중 심각한 것으로 여겨지는 음란 채팅, 성매매, 자살 등 반사회적 사이트 가입 등과 청소년의 인터넷 의존 인간관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통한 과잉 커뮤니케이션에 빠지지 않으려면 가정, 학교, 사회가 제도적으로 철저히 예방할 수 있는 규제 방안을 마련하여 감시, 감독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청소년 시기는 아직 주체적으로 위험한 환경을 피할 수 있을 만큼 성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인터넷 유해 환경으로부터 아이들을 떨어트려야 한다. 인터넷에 의존한 인간관계가 일탈과 범죄로 얽히지 않도록 가치관 교육과 자기조절능력도 배양시켜 줘야 한다. This study performs that a excessively dependable phenomenon on Internet which is a channel created to juveniles for relationship has affected personal relationships on juveniles and relationship skills, and literature research was taken to recognize how this situation is connected to juvenile delinquency. On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eir relationship method that is based on securing identity and sociality in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 task of them, the cyberspace is aggressively used by them, and this tendency is spreading in accordance with the interconnection between popularizing smartphone and their propensities. The problem is that the youth reaching internet addiction become passive in reality and feeling loneliness, isolation of activities limitation only if they continue their personal relationship centered on internet. On the other hand, the youth have a deep obsession about communications on internet when they didn't adjust in their realities. This pattern of personal relationship is related to the growth of juvenile delinquency in recent cyberspace. Among many cases of juvenile delinquencies, it seems that Internet dependency on relationship is concerned with obscene chats, prostitution, suicide, and joining antisocial sites which are recognized as serious problems. It is important to preparing thoroughly preventive regulation plans, observation and control performing so that the youth may not be addicted in excessive communication on internet. Our society should segregate the adolescent from bad conditions on internet, since they are still immature as much as they initiatively escape dangerous surroundings on that. For preventing the internet dependency on relationship from involving deviation and crime, it is necessary for them to learn value education and self-control ability.

      • 성인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에 따른 삶의 질

        오혜경 ( Oh Hea-kyung ),정한나 ( Jung Han-na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장애인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성인지적장애인의 일반사항, 성인지적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조사와 함께 성인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의 삶의 질 그리고 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의 삶의 질의 차이는 모두 p<.1 수준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삶의 질과의 차이는 그룹홈, 원가정, 생활시설의 순이었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성인 지적장애인의 현재 주거형태는 원가정이 55.8%로 가장 많았으며, 미래 원하는 주거형태는 그룹홈이 52.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현재 원가정에 거주하는 경우 약 60%가 미래에 주거서비스를 이용하기를 원했으며, 주거서비스를 이용 중인 그룹홈 집단과 생활시설 집단에서는 두 집단 모두 90% 이상이 미래에도 주거서비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였다. 둘째, 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의 삶의 질의 차이는 모두 p<.1 수준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족의 삶의 질과의 차이에서는 그룹홈 평균이 3.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원가정, 생활시설의 순이었다. 그리고 성인지적장애인의 주거형태는 가족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적장애인이 원가정에서 생활하든, 그룹홈이나 생활시설에서 생활하든 가족의 삶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의 삶의 질의 차이에서는 p<.1 수준에서 그룹홈, 원가정, 생활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즉, 그룹홈에서 가족의 삶의 질은 가장 높았으며, 생활시설에서 삶의 질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itiated by finding out what influence the residential type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has on the relation of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amilies of adults intelligent disabled We were able to collect data from 375 people from 92 facilities and utilized 321 copies of the survey results in my analysis. Methods of analysis utilized a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 based on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ies was 3.39 points,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In the sub-factors, nurturing activiti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mily interaction, disability-related support, physic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Currently, the majority of the intellectual disabled adults are living with their original families at 55.8%. The residential type that the majority wishes to live in the future is group homes at 52.6%.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imed at finding out the control effect of residential types of intellectual disabled adults their quality of life, while residential types of the intellectual disabled adults had no effect. Furthermore, the interaction of residential type showed no significance, meaning the residential type of intellectual disabled adults had no control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영유아기 장애아동에 대한 조기개입에 있어 가족중심적 지원에 관한 고찰

        오혜경 ( Hea Kyung Oh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02 한국가족복지학 Vol.7 No.1

        This study emerges out of a work about human service programs in parents`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ajor support for family centered approach is derived from acceptance of the concept that the handicapping conditions is as much a part of the child as the child is a part of the family and the family a part of a larger community; that is habilitating the handicapping condition alone is viewed as inadequate. Complete habilitation, directed toward improving the handicapped child`s level of functioning in general, is considered possible only when the child as an individual is fully supported. This support is possible only when family members are assisted in developing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child. Further, supporters of a family-centered approach recognize the tremendous impact that the child`s emotional state has on his or her total development. Therefore, work with the family is seen as mandatory if full development of the disabled child is to be facilitated.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이중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오혜경(Oh Hea ky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4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이중관계란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개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한 가지 이상의 역할에 관여하여 전문적인 관계를 손상시킬 때 발생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경험한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와의 이중관계의 경험, 이를 피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의 이중관계에 관한 경계의 활용, 이중관계 관리 방안 등에 관한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복잡한 세계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In General terms, a dual relationship refers to engaging in more than one role with another individual. Dual relationships can be described as either complimentary or conflicting. A complimentary relationships refers to one in which the client benefits as a result of being involved in both relationships. Complimentary relationships involve boundary crossings, while conflicting dual relationships involve boundary violations. In this paper it espouse the position that dual relationships are potentially either ethical or unethical depending upon whether harm, exploitation, or abuse of power is present in the du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