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니발 그로테스크 미학과 이애림 감독의 애니메이션

        오진희(Oh, Jin-h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7

        애니메이션은 허구의 매체이지만 또한 사회적 산물이기 때문에 사회, 문화, 역사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인간의 본능적 욕구와 사회와의 관계, 문화 전반과 예술매체와의 관계에 있어서 해석되어야 할 중요한 텍스트이다. 한국 사회는 식민과 분단이라는 특수한 역사를 갖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의 고속 성장기를 거친 사회라는 독특한 상황을 안고 있다. 그로 인해 한국 사회는 일상적 긴장과 경직, 타자에 대한 경계심과 극단의 경쟁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폐쇄적이면서도 격동적인 특이성을 보인다. 그로테스크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일컫는 용어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기존 사회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비주류의 감성으로 독특하게 표현하여 혼란된 사회에서 다수 발견되는 미학적 개념이기도 하다. 그로테스크에 대한 미학적 논의는 메리 루소의 언캐니 그로테스크와 미하일 바흐찐의 카니발 그로테스크로 나뉘며 기존 질서와 관습, 그리고 주류 사회의 권위를 부정하며 해학과 풍자를 통해 변화와 해체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 그런데 한국 사회가 지닌 특이성에도 애니메이션에서 그로테스크 표현을 발견하기 어려운 것은 그 자체가 민감한 문제를 관습적 차원에서 교묘하게 은폐하고 있다는 반증일 수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 이번 논의에서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이애림 감독의 애니메이션 작품 <연분>과 <육다골대녀>는 한국에서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유형의 기괴한 이미지와 비선형적 서사, 강렬한 표현을 주요 특성으로 하고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 두 작품은 특히 카니발 그로테스크 미학의 예술적 결과물일 뿐만 아니라 경직된 사회를 거부하며 새로운 세계를 지향하는 전복적 구조를 비선형적 서사로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특한 표현으로 카니발 그로테스크 미학을 표현하고 있는 이애림 감독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중심으로 그로테크스 미학의 예술적 발현과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film director Lee Ae-rim animation works depict the world of the grotesque and not only are important sociocultural phenomena but also hold the significance of humor and subversion. The grotesque exhibits the intriguing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a perspective critical of the existing society through the sensibilities of minorities and is used broadly as a term not only in the aesthetic sense but also designating sociocultural phenomena. Although discussed separately in terms of Mikhail Bakhtin’s carnival grotesque and Mary Russo’s uncanny grotesque, the grotesque fundamentally rejects existing order and conventions and is externalized through unique expressions, thus opening up a rich possibility for rejection, humor, satire, transformation, and deconstruction of and regarding the authority of the mainstream. Although they constitute a fictional medium, animation films are social products as well so that they are affected by society, culture, and history and stand as important texts that must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instinctive desires and society and between the overall culture and artistic media. However, the rarity of grotesque portrayals in South Korean animation films also proves that it is a society where even problems that are in themselves sensitive must be manifested ingeniously on a conventional level. South Korean society has a unique history of colonialism and national division and is simultaneously in the unique situation of a society that has undergone growth at a nearly unprecedented rate. Consequently, the society exhibits closed yet dynamic particularity where everyday tension and rigidity, wariness of others and extreme competition are intertwined in a complex manner. Intensively analyzed in the present discussions, director Lee’s animation films <A Preordained Tie> and <The Flesh and Bone> are characterized mainly by grotesque images, nonlinear narratives, and vivid depictions. In such a context, these works not only are artistic products of South Korean society but also rejections of a rigid society and share the significance of the aesthetics of the carnival grotesque, which consists of subversive expressions directed at a new world.

      • KCI등재

        한국 단편애니메이션의 현실공간과 이종 캐릭터의 결합에 의한 판타지 연구

        오진희 ( Jin Hee O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시각예술에서 판타지 세계는 직접적인 스펙터클 이미지로 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영상매체의 제작과 디스플레이 구현방식을 질적으로 변화시켰고 상상세계의 이미지 구현을 실재에 근접시키고 있다. 상상세계는 실재의 재현이 아니면서도 실감나는 구현을 위해 그 세계 안에서의 사실성에 의해 정교하게 묘사된다. 다른 맥락에서 문학과 같은 텍스트 중심의 매체에서도 상상세계는 현실세계와 다르게 묘사된다. 그런데 일부 한국 단편애니메이션의 상상세계는 특별한 공간을 경유하지 않고 현실세계의 외형 그대로 제시된다. 그리고 현실공간과 동물, 식물, 사물 등의 이종 캐릭터를 독특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판타지 세계를 구현한다. 재현적으로 묘사된 현실공간에 위치하는 이종 캐릭터는 상상과 현실의 세계를 동시에 표현한다. 이처럼 의도적으로 스펙터클 이미지를 외면하는 것은 시각적 직접성보다 서사에 기대어 주제를 부각하는 결과를 낳는다. 판타지 세계에 현실의 이미지 층위를 남기는 것은 그 세계를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게 하며, 역으로 현실의 이면을 드러내는 판타지 본래의 역할에 충실하게 한다. 이 연구에서는 상상공간에 의존하지 않고 판타지세계를 창조하는 한국 단편애니메이션 작품을 통해 현실의 이면과 본질을 표현하는 판타지 미학과 그것을 구현하는 특별한 방법론의 의미에 대해 강조하였다. Generally, the world of fantasy is directly presented through spectacular images in the visual arts including cinema and animation. The imaginary world is expressed through clearly discernible external differences from the real world and universally makes use of connecting structures through channels, which are dramatic turning devices. Even in text-centered media such as literature, the imaginary world is described visually, with an emphasis on its differences from the real world. The dramatic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qualitatively changed ways of manufacturing and implementing the display of audiovisual media and makes possible the nearly perfect realization of images of the imaginary world. However, the imaginary world in certain Korean short animation films is presented without passing through special spaces, with its appearance in the real world intact, and is characterized by its realization of the world of fantasy through unique narratives where real spaces and disparate characters are combined. By being situated in representationally described real spaces, disparate characters, which can be animals, plants, or objects, at once express the worlds of imagination and reality. Thus purposely disregarding spectacular images and representing real spaces leads to the highlighting of the themes while relying more on narratives than on visual directness. Leaving behind imagistic levels of the real world directly informs viewers that world is not removed from reality and even more faithfully reveals the dark side of reality, which is one of the originally roles of fantasies. Consequently, works in Korean short animation films that create the world of fantasy without relying on images of imaginary spaces must be taken note of as alternative examples that express the dark side and essence of reality in special ways.

      • KCI등재
      • KCI등재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반 가구구조시장 감응형 주택수요-공급 분석모델 개발

        오진희(Oh, Jin-Hee),이준성(Yi, June-Seong),신승우(Shin, Seung-Woo),손정욱(Son, Jeong-Wook) 대한건축학회 201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9 No.10

        The current changes in household structure affec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style of households. Especially the change of requirements to spec of housing has been considered to provide housing to meet the demands. As an important factor of national economy, the housing market needs to respond elastically to the change of demand caused by the new trend of household structure. However, owing to the complexity of housing market, the event-oriented approach methodologies have several difficulties and shortage to forecast housing market. Herein, System Dynamics(SD)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to provide understandable reasons in detail on how the housing market responses to the change in the household structure. Based on the casual loop diagram of housing market, the simulatio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Vensim DSS 6.0.1, and the case of single-person household in Gwangjin-Gu, Seoul was sim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the demand-supply model as foundation of an analysis and forecast the housing market according to the change in household structure. Due to the lead time of housing supply, however,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had caused an insecure housing market to be solved by government and stakeholders of market. The suggested model is expected to support decision making on the housing policy and business.

      • KCI등재

        조각승(彫刻僧) 하천(夏天)의 불상조각(佛像彫刻) 연구(硏究)

        오진희 ( Jin Hee Oh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0 강좌미술사 Vol.34 No.-

        하천은 18세기 전반에 활약한 조각승으로 현재까지 발견된 예로는 1703년 색난의 보조화승으로 불상조성활동을 시작하여 1726년 고흥 금탑사 북대암(현 서울 지장암 대웅전 관음보살상)과 문수암 관음보살상(현 송광암 극락전 좌 보살좌상), 1727년 대구 동화사 대웅전 삼세불좌상, 1730년 창녕 관룡사 삼존불좌상(현 창녕 포교원 석가불좌상)을 수화승으로 조성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전라도에서 활동하면서 경상도 지역까지 활동 영역을 넓혀 조상활동을 활발히 하였다고 생각된다. 또한 그는 현재까지 밝혀진 문헌기록으로는 화엄사 각황전 칠존불상(1703년), 하동 쌍계사 보현동자상(1705년), 능가사 대웅전 석가불좌상(1707년), 고흥 금탑사 대세지 보살좌상(1709년)을 색난의 보조화승으로 제작하였다. 색난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17세기 후반-18세기 초 가장 많은 기년명 불상을 남기고 있으며 색난 일파는 전라도를 중심으로 경상도 지역까지 화단을 형성하고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조각승으로 추정된다. 불상 양식에서도 건장하고 당당하게 보이는 신체뿐만 아니라 착의법, 옷주름 등에서 색난작 1693년 구례 천은사 응진전 석가불좌상, 1694년 화순 쌍봉사 석가불좌상, 1701년 해남 대흥사 응진전 석가불좌상과 거의 유사하게 표현되어 색난 불상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색난파 조각승들 중 색난의 불상 양식을 가장 잘 따르고 있어 색난 유파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하천이 조성한 불상은 두부를 크게 조성하여 장대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어깨도 넓고 건장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색난의 작품과 유사하지만 하천이 두부를 더 크게 조성하였으며, 도식화된 주름선과 밋밋한 단판 연화형 승각기 상단 주름 등 세부 표현에서 색난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하천과 함께 불상 조성활동을 한 화승들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하천과 함께 두 작품 이상 불상 조성 활동을 한 종혜와 득열을 제외하고는 한 두 작품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어서 사자상승하는 도제식의 조각승 집단이지만 불사가 있을 때마다 몇 촌간의 가까운 유파의 보조각승을 모아 작업을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천과 함께 1730년 금탑사 극락보전 아미타삼존을 개금 하였던 덕희와 1727년 대구 동화사 삼세불상을 조성한 석준은 색난파 조각승으로 하천과는 선배 또는 동료로 추정되는데 이들은 보조 조각승이라기 보다는 불상 제작을 함께 주도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Hacheon is a monk sculptor who worked in the early 18th century. According to findings so far, he starred his career of Buddhist statue creation as an assistant of Saeknan in 1703, and participated as the leading sculptor in the erection of Bukdae-am at the Geumtap-sa Temple in Goheung (the current Avalokitesvara Buddhist Statue in Daewoongjeon at Jijang-am in Seoul), the Avalokitesvara Buddhist Statue at Munsu-am (the current Seated Bodhisattva Statue on the left side in Geukrakjeon at Songgwang-am) in 1726, the Seated Three World Buddhas Statue in Daewoongjeon at the Donghwa-sa Temple in Daegu in 1727, and the Seated Trikaya Statue at the Gwanryong-sa Temple in Changnyeong (the current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e at Pogyowon in Changnyeong) in 1730. Therefore, he is believed to have worked mainly in Jollanam-do but expanded his activities to the Gyeongsang-do region. According to records available today, moreover, he worked as an assistant of Saeknan in creating the Seven Saints Statue in Gakhwangjeon at the Hwaeom-sa Temple (1703), the Bohyeon Dongja Statue at the Ssanggye-sa Temple in Hadong (1705), the Seated Shakyamuni Buddha Statue in Daewoongjeon at the Neungga-sa Temple in Goheung (1707), and the Seated Mahasthamaprapta Statue at the Geumtap-sa Temple in Goheung (1709). As known widely, Saeknan left the largest number of date-inscribed Buddhist statues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and is believed to have led the most influential group of monk sculptors that extended its influence from Jolla-do to the Gyeongsang-do region. The style of Hacheon`s Buddhist statues is also quite similar to that of Saeknan`s works in terms of sturdy and majestic physique, dress, fold, etc., and this shows that he inherited the style of Saeknan`s Buddhist statues. Furthermore, among the monk sculptors of Saeknan`s group, Hacheon followed Saeknan`s style most closely and represented the group`s style clearly. However, Buddhist statues created by Hacheon look majestic as they have a large head and their shoulders are expressed to be broad and sturdy. These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in Saeknan`s works as well, but Hacheon made the head larger and his works are slightly different from Saeknan`s in detailed expressions such as schematic fold lines, and smooth wrinkles on the upper side of single-plate lotus-type Samkaksika. Moreover, when we examined his relations with other monk sculptors with whom he worked together for creating Buddhist statues, only Jonghye and Deukyeol created more than two statues together with Hacheon, and other sculptors made only one or two with him. This suggests that although the monk sculptor group adopted the apprentice system that transmitted techniques through teacher-disciple relationship they might have formed a team of assistant monk sculptors from close schools whenever there was a Buddhist project. In addition, among monk sculptors working together with Hacheon, Deokhee who did gold mending for the Amitabha Triad Statue in Geukrakbojeon at the Geumtap-sa Temple in 1730, and Seokjoon who created the Three World Buddhas Statue at the Donghwa-sa Temple in Daegu in 1727 are believed to be Hacheon`s superior or colleague. They might have worked not as assistant sculptors but as co-workers who led the projects together.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실사영화와 3D애니메이션의 핍진성 연구

        오진희 ( Jin Hee O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변형과 합성은 디지털 기술에 기반 한 실사영화와 3D애니메이션 제작의 필수 요소이다. 디지털 영상의 대부분은 변형과 합성을 통해 사실적 외형으로 시뮬레이션 되곤 한다. 그러한 극사실적 정밀함은 현실세계의 재현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디지털 영상은 원본 없는 이미지로서 지각적 리얼리티의 차원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스타일의 3D애니메이션에서도 외형적 닮음은 찾아지는데 이때의 사실성은 사진적인 것이 아니라 관객의 시각 경험에 기반 한 핍진성을 (Verisimilitude) 추구한다. 반면 디지털 실사영화와 3D애니메이션에 사용되는 움직임 중 모션캡처 방식은 실제 인간배우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실재로부터 직접적인 지시대상을 갖는 모션캡처는 재현적 성격을 띰으로써 두 매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이처럼 원본 없는 디지털 영상의 사실적 이미지와 재현적 움직임은 실재와 이미지, 원본과 가상의 경계를 흩트리며 매체의 근본적인 특성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실사영화와 일반적인 스타일의 3D애니메이션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매체의 특성 변화와 통합적 방식으로 재위치 되어짐을 고찰하였다. Modification and composition are now two inevitable factors on real picture films that use digital cinematography and 3D animations. Many digital pictures are made for real objects through modification and composition. Due to the highly realistic precision, those images are often mistaken as real pictures. However, digital pictures need to be seen based on cognitive reality that has no source image. General 3D animations also taps on physical similarity, but it is not for photography, but for verisimilitude to visually please spectators. However, the motion capture technique, which is widely used for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films, blurs their boundary with its reproductive nature. In other words, realistic digital images that have no source and reproductive motions have made it difficult to tell if an image is actual or digital, or if it is original or virtual, bringing fundamental changes to the media. In this study, how these media have changed and repositioned as an integrated one by analyzing digital cinematographic live action film and general 3D anim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조각승 법종(法宗) 불상의 연구

        오진희 ( Jin Hee Oh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강좌미술사 Vol.39 No.-

        이 논문은 최근에 새롭게 발굴된 자료와 기존 연구를 통해 법종작 불상의 성립과 법종 작품에 대한 특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법종은 17 세기 후반부터 18 세기 초반까지 활동한 화사임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발원문에 의하면 1681년 창원 성주사 지장전 지장보살상 제작 때 승호의 문하에 들어가면서 본격적으로 불상 조성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1708 년에 처음으로 수화사가 되어 금산사 하서전 아미타불좌상과 천은사 수도암 관음보살좌상을 조성하였다. 법종의 스승으로 생각되는 승호는 17 세기 후반 경상도 지역의 저명한 석 조각승이었으며, 법종과 함께 1695년 전남 장흥 보림사 고법당 삼존불상을 개금하고, 1708년 금산사에서 불상 조성과 중수를 함께한 수일은 법종의 선배로 생각되는데 수일 역시 경상도와 전라도에서 활발히 활동한 석 조각승이었다. 그러므로 법종 또한 석 불상을 조성하는 화사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며 앞으로 더 많은 불상의 복장 발원문이 발굴 된다면 밝혀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둘째 법종이 조성한 1708년 금산사 하서전 아미타불좌상 발원문에서는 하서전이라는 전각명만 기록되어 있고 어느 절에 봉안되어 있었는지 알 수 없었지만 천은사 수도암 관음보살상(1708년) 발원문이 공개되면서 조성연대는 물론 여기에 등장하는 증명, 주지 등이 같아 이 불상이 전라 북도 김제 금산사의 하서전에 봉안되었던 사실과 발원문에 등장한 승려들이 금산사 승려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711년 신흥사 불상 조성 발원문에서는 100명이 넘는 시주자들이 동참한 큰 불사였으므로 삼존불로 조성하였을 가능성이 많으며, 복장 시주에 수화사인 법종이 수명장수를 발원하고, 보조 화사인 계민이 법종의 사형이라고 여겨지는 수일 영가가 극락왕생하기를 발원하면서 불사에 동참하고 있어 주목된다. 셋째 법종작 불상의 특징은 상체가 길며 하체가 넓고 높아 안정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얼굴 형태와 이목구비에서는 상 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착의법과 옷주름에서 법종 불상의 특징을 알 수 있었는데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자락이 짧게 늘어지고 가장 안쪽 한 자락의 끝을 뽀족하게 하여 흘러내리도록 한 점과, 안에 입고 있는 군의를 묶고 도식적인 3 개의 앙련형 주름으로 표현한 점, 오른쪽 발목에서 흘러내린 넓은 부채꼴 모양의 주름 등을 특징적으로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Examining Beopjong`s sculptures and sects with data investigated so far, and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Buddha Figures by Beopjong, this paper has at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e can tell that Beopjong was an artist who was actively engaged in his work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century. The postscripts explicated so far tell us that he began his creation of Buddha figures inearnest as he worked under Seungho in 1681, when Seungho produced the statue of Bodhisattva Ksitigarbha in Jijanjeon at Seongju Temple located in Changwon. Later, in 1708, he became a head artist for the first time to create the seated statue of Amitabha in Haseojeon at Geumsan Temple, and the seated statue of Avalokitesvara in Sudoam at Cheoneun Temple. Seungho, believed to be teacher of Beopjong, was a renowned monk sculptor in the region of Gyeongsang-do in the late 17th century, who, with Beopjong, repaired the statues of Triple Buddhas in Gobeopdang at Borimsa, Jangheung, Jeonnam in 1695, and Suil, believed to be Beopjong`s senior working with him in the creation and rebuilding of Buddhist figures at Geumsan Temple in 1708, was also a monk sculptor actively engaged in his work in the regions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Therefore, Beopjong was also very likely to be a monk artist creating stone sculptures of Buddha, and his worth is expected to be clarified if more hidden postscripts to Buddhist figures are discovered in future. Second, though the postscript to the seated statue of Amitabha in Haseojeon at Geumsan Templebuilt in 1708 told us just the name of the building, Haseojeon but not where the building belonged, the postscript to the seated statue of Avalokitesvara in Sudoam at Cheoneun Temple (1708) revealed, in addition to the year of construction, that this sculpture was seated in Haseojeon at Geumsan Temple, Gimje, Jeollabuk-do as the proof and the name of head monk were the same, and that the monks involved were from Geumsan Temple. Also the postscript to the creation of the Buddhist figures at Sinheung Temple in 1711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because according to it, more than 100 contributors participated in it,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figures were created as Triple Buddhas, Beopjong, the head artist, prayed for long life to Bokjang Siju, and Gyemin, an assistant artist, also joined this event praying for peaceful death of Suil Yeongga, who is believed to be Beopjong`s senior. Third, we can tell that the characteristic of Beopjong`s Buddhist sculptures include long upper body and wide lower body, which give a stable form to the entire figure. It is also shown that the mode of costume wearing and creases hint at the properties of Beopjong`s Buddhist figures though they have different facial forms and looks, which include short hanging of Dae-eui on the right shoulder with the innermost end of it pointed, 3 schematic Angryeong shaped creases expressed on the inner tied Guneui, wide pan-shaped creases flowing on the right ankle.

      • KCI등재

        한국 애니메이션의 재개발 공간에 나타난 장소상실과 자기소외

        오진희(Oh, Jin-H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0

        이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한국 애니메이션에 제시된 재개발 공간을 통해 장소상실과 소외의 문제를 규명하였다. 한국사회의 현실공간은 쉼 없이 파괴되고 변화되어 왔으며, 인간은 그 위에서 실존적 갈등을 겪는다.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물리적 제한을 넘어 하나의 거대한 망을 이루지만 인간은 여전히 물질에 기반 한 존재로서 한계를 갖는다. 한국 애니메이션의 최근 행보가 주목 받아야 하는 이유는 1990년대 이후 사회 문화적 변화, 그리고 개인과 시스템의 관계를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분석하고 있는 <도시에서 그녀가 피할 수 없는 것들>과 <소중한 날의 꿈>은 공간의 파괴적 재편성이 삶의 불안정으로 이어지는 한국 사회의 특수한 장소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재현적 이미지가 부여 받는 자동적 권위를 의도적으로 비껴감으로써 실재와 이미지의 관계를 돌아보게 한다. 두 작품의 공간은 재현적으로 제시되지만 곧이어 파괴되며 인간, 또는 등장 캐릭터는 이를 무감각하게 받아들인다. 거대한 시스템에 의해 벌어지는 장소상실과 이에 대응하는 무기력한 인간의 나약함과 소외는 사회문화적 징후이다. 폭력적인 장소상실의 상황과 이에 자기마비 (Self-Anesthesia), 자기소원 (Self-Estrangement)으로 반응하는 개인을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소외뿐만 아니라 자기소외 (Self-Alienation)가 일어나고 있는 한국사회를 알게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애니메이션을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인식하고 장소상실과 자기소외의 개념으로 분석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의 논의를 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problem of the placelessness and alienation through spaces of redevelopment in South Korean animation film since the 2000’s. Actual space in South Korean society has been destroyed and changed unceasingly, and, in that space, humans have experienced existential conflict. While the swif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transcended physical restrictions to form one great network, humans are still limited as materially based beings. The recent steps in South Korean animation film are noteworthy because sociocultural changes since the 1990’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ystem are perceived in way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The Things She Can’t Avoid in the City> and <Green Days>, the work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reveal the special sense of place in South Korean society, where the destructive reorganization of space leads to the instability of life. By intentionally bypassing a sense of place and the authority automatically bestowed on representational images, these works prompt the viewer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images. Space in these two works are presented representationally but immediately destroyed, and humans or the characters in the works accept this unfeelingly. The loss of place, which is committed by the massive system, and listless humans’ weakness and alienation in response are depicted as signs of sociocultural abnormality. By showing the destructive loss of place and individuals who respond with self-anesthesia and self-estrangement, these works open viewers’ eyes to South Korean society, where not only social alienation but also self-alienation is occurring. By perceiving South Korean animation film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analyzing it through the concepts of the placelessness and alienation, the present study seeks to expand further discussions on animation 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