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에 있어 민속의 재현 문제

        염원희(Youm, Won Hee) 실천민속학회 2012 실천민속학연구 Vol.20 No.-

        민속은 예전부터 사람들에게 회자되고 유행했던 생활 습관이고, 드라마는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민속이 현재성을 획득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 가장 대중적인 매체인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해 민속의 재현에 대해 고민하였다. 텔레비전을 통해 재현되고 향유되는 민속은 우리시대 또 다른 형태의 민속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극히 대중적인 매체인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민속이 어떻게 재현되었는지 그 양상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중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은 현시대에 있어 민속의 의미와 가치를 고민할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다. 본고에서는 비교적 최근 방영된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 <성균관 스캔들>, <신기생뎐>, <해를 품은 달>을 대상으로 민속이 재현된 양상을 살펴보고, 재현된 민속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을 각 드라마의 시청자 게시판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 반응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간성’과 ‘효과성’을 기준으로 드라마에 있어 민속콘텐츠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민속이 드라마에서 재현되는 데 있어 바람직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중매체에서 민속의 재현은 ‘현대인의 생활에서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실용적인 목표를 가져야 한다. 그 이유는 민속이 ‘구체적인 삶을 다루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과거를 되새기기 위해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분리되어 그 나름으로 생명력을 얻기 위해서는 현대인의 삶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해 보아야 한다. 민속은 ‘현재성’을 바탕으로 ‘생명력’을 획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생명력’의 획득에 텔레비전 드라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Folklore is a set of daily practices which has been shared by people since old times and a drama, on the other hand, is a story based on daily lives of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present. This study shows a deep consideration on the reproduction of folklore by using television drama, which is the most popular media to the public, as a way of acquiring the contemporaneity. The folklore revived and shared through television could be another form of folklore of the current time. Hence, taking a look at how folklore is reproduced in television dramas and how the public reacts is very important and that allows us to think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folklore in the current time. This study examined four recently broadcasted dramas, <Life Is Beautiful>(2010), <Sungkyunkwan Scandal>(2010), <New Tales of Gisaeng> (2011),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2012), to identify how these four dramas reproduce folklore. And the study also surveyed how the viewers react to folklore in the dramas by analyzing viewers’ comments. Based on the examination, the study looked into the role of folklore contents in dramas, considering ‘temporality’ and ‘effectiveness’. At last, the study recommended some adequate ways of the reproduction of folklore in drama. The reproduction of folklore in mass media should have the practical goal that folklore sh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people living today. It is because folklore is a study dealing with people’s daily lives. The reproduction of folklore is not just to show us what happened in the past, but play a certain role, separate from the past, to contribute to lives of people in the present. Folklore should acquire the vitality based on contemporaneity. And television dramas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folklore to obtain the vitality.

      • KCI등재

        논문 : 무가를 통해 본 서울굿 노들제 연구

        염원희 ( Won Hee Youm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19

        서울굿은 궁중문화와 도시문화를 배경으로 다양한 양태를 지녀왔으며, 이를 각각 서울굿의 유파라 할 수 있다. 서울굿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울굿의 각 유파에 주목해야 한다. 그 중 하나가 ``노들제``로, 한강 서쪽과 김포, 시흥, 파주,문산, 인천의 내륙에서 행하던 굿을 말한다. 노들제는 지역적으로 서울과 경기도의 경계면에 있고, 한강의 물길을 통해 서해안과 연결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굿문화가 복합되어 있는 유파이다. 본고에서는 노들제가 가진 특성을 파악하고, 서울굿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마마거리>와 <안당제석거리>의 굿거리 구성과 무가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노들제 천신굿의 굿거리 구성은 서울굿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마마거리>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손님노정기가 구송된다는 점에서 경기도와 유사하다. 하지만 노들제에서 마마가 등장하는 손님노정기가 불리는 모습은 과거 서울굿에서 호구노정기가 불렸던 것과도 공통적이다. 게다가 경기도굿의 천연두신이 별상인 것과는 달리, 노들제에서는 천연두신은 마마 또는 손님신으로 부른다. 노들제의 별상은 서울굿과 마찬가지로 장군신, 사신(使臣), 사도세자와 관련되어 나타난다는 데서 서울굿과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노들제에서는 <안당제석거리>에서서울굿과 동일하게 제석본풀이를 구송하지 않지만, 대신 술타령이라는 긴 무가를 구송한다. 이는 과거 서울 지역에서 술타령이 불렸던 것과 일치한다. 지리적, 문화적배경을 바탕으로 다양성을 지닌 것이 서울굿이라면, 앞으로도 서울굿에 대한 올바른이해를 위해 각 유파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계속되길 희망한다. Seoul-gut (shamanist ritual performed in Seoul region) has main- tained a variety of styles with court and urban cultural settings, and this can be said as the school of Seoul-gut. To understand Seoul-gut clearly, it is required to examine each style of Seoul-gut. One of them is ``Nodeulje`` the ``Gut`` performed in the western region of Han River, Gimpo, Siheung, Paju, Munsan, and Incheon`s interior. Since the festi- val has been performed across the border between Seoul and Gyeon- ggi Province, and the area is connected to the west coast through the water route of Han River, it is a Korean shamanic style where diffe- rent cultures of Gut have been mix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Nodeulje and Seoul-gut, having grasped its characteristics. To do this,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s of Gutgeori (ritual cycle) and Muga (shaman song) used in <Mamageori> and <Andang Jeseokgeori>. Although the composition of such Gutgeori as ``Cheon- singut`` (shamanic ritual for the heavenly gods) of Nodeulje doesn`t show great difference from that of Seoul-gut, however, the two are quite similar each other from the viewpoints that <Mamageo- ri> isperformed independently, also Sonnim Nojeonggi, which denotes literally ``record of the guest spirit`s journey`` is being recited. However, the performance style of Sonnim Nojeonggi during Nodeul- je where ``Mama`` is appeared is common to the Seoul-gut where ``Hogu Nojeonggi,`` which denotes ``records of the goddess of small- pox`s journey. Besides,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the goddess of smallpox is called "Byeolsang" (a different name of the goddess of smallpox called in the shamanistic folklore) in Gyeonggi-do gut, the goddess of smallpox in Nodeulje is being called "Mama," or "Sonnim -sin or Guest Spirit." "Byeolsang" in Nodeulje, as it is in Seoul-gut, is appeared as by ``God of Army and Soldier Protector,`` ``Envoy,`` and ``Crown Prince Sado.`` From this point, the sameness between Nodeulje and Seoul-gut can be confirmed. Moreover, in Nodeulje, ``Jeseok Bonpuri``-rite to Korea`s supreme heaven-god; Jeseok, is not performed same as in <Andang Jeseokgeori> of Seoul-gut, instead, a long shaman song, called Sul Taryeong - general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n the theme of alcoholic drink - is recited. This corresponds to the fact in the past that Sul Taryeong was sung in Seoul region. If it is true that Seoul-gut reveals diversity of gut-culture on the ground of geographic and cultural background, more in-depth discussion about each style or school of Seoul-gu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it further.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 인물들의 갈등과 화병(火病), 치유의 문제

        염원희(Youm, Won-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6 No.-

        본고는 국문장편소설에 등장하는 두 인물의 갈등과 질병을 통해 한국의 ‘문화 연계 증후군’인 화병을 이해하고, 그 치유의 문제를 조선시대 의학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화병은 한국인의 독특한 문화적 환경에서 배태된 정신적 질병인데 신체적인 고통을 호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문장편소설의 인물들은 다양한 질병 증상을 호소하는데, 대개 가부장제 하의 갈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갈등은 다양한 감정을 양산하는데, 특히 억울함과 분노의 감정이 인물의 내면에 쌓이게 되면 화(火)를 유발한다. 이를 밖으로 표출하지 못하고 참게 되면 신체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때로는 폭력이나 폭언과 같은 갑작스러운 감정의 분출로 이어진다. 『완월회맹연』의 소교완은 가부장제 윤리에 위배되는 인물로 배척당하지만, 작품후반부에 개과천선하면서 표면적으로는 화병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에 비해『유효공선행록』의 유연은 아버지, 동생과 갈등하면서도 효우한 인물로 칭송받았으나, 화를 분출하지 못하고 심병을 앓게 된다. 후반부에는 아들에게 화를 분출하고, 아내와 갈등하였으며 이후 급작스러운 죽음을 맞는다. 이는 조선시대 의학론의 관점에서 보면 소교완은 도덕적 인간으로 변화하면서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여 치유에 이른 것이며, 유연은 유교적 인간을 지향하였으나 제대로 된 감정의 해소나 타인과의 관계 회복에 이르지 못하여 화병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Hwa-byung(mental or emotional disorder as a result of repressed anger or stress), a Korean ‘culture bound syndrome’, through the conflicts and diseases of two characters in Korean novels, and examining its healing in relation to the medical theory of Joseon. Hwa-byung is a mental illness that has originated from a unique Korean cultural background, and features the complaints of physical pain. The characters in the Korean novels complain about diverse symptoms, which are mostly due to the conflicts in the patriarchal system. The discord creates different emotions, and especially when the emotions of unfairness and anger are built up in the characters, anger(火) brings about Hwa-byung. When anger is not expressed outside but just endured, physical problems can appear, and sometimes it can lead to the sudden release of emotions, such as violent behaviors or words. So Gyo-wan in “Wanweolhoemaengyeon” is rejected as a person violating the patriarchal ethics, but in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he is depicted as reformed, breaking free from Hwabyeong and reborn as a new person ostensibly. On the other hand, Yu Yeon in “Yohyoseonhangrok” is praised as a devoted son even in the conflicts with his father and younger sibling, but gets stricken with Sim-byung(a mental illness) because he hasn"t been able to release his anger. In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he vents his anger to his son, comes into conflict with his wife, and later dies a sudden death. From the viewpoint of the medical theory of Joseon, So Gyo-wan turns into a moral person, recovers his relationship with his family, and reaches healing, while Yu Yeon seeks to be a Confucian man but fails to relieve emotions properly and to recover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refore seems to fail to break away from his Simbyung.

      • KCI등재

        서울굿 〈호구거리〉의 성격 변화

        염원희(Youm Won-Hee)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1

        ‘호구’는 천연두신의 서울굿에서 통용되는 명칭이다. 호구를 모시는 〈호구거리〉는 초기의 무속 자료에서는 독립적인 굿거리로 채록되어 있지만, 현재 서울굿에서는 독립적으로 연행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호구거리〉가 독립거리에서 부속거리화하는 과정을 통해 서울굿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한다. 독립거리로서의 〈호구거리〉는 지금과 같이 정형화된 짧은 공수만을 구송하는 것이 아니라, 공수와 함께 ‘호구노정기’를 구송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호구노정기’를 통해 호구신을 굿판에 불러 모시고, 굿판에 온 신에게 공수를 듣는 과정으로 연행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호구거리〉의 변화 과정에서 길게 구송되던 노정기는 퇴화되고, 직접적으로 소망을 기원하는 내용만 남게 되었다. 이렇게 호구거리가 부속거리화한 이유는 이틀에 걸쳐 연행되었던 천궁맞이, 안당맞이, 산바라기의 과정이 축소되면서 〈불가거리〉와 〈산거리〉가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굿에서만 〈호구거리〉의 축소가 나타나는 이유는 별상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서울굿에서 별상을 천연두신이라고 생각하는 오해가 생겨났고, 호구는 사회적 존재가치를 잃음과 동시에 무속 내부적 환경 변화로 인해 그 의미가 다른 신격으로 전이되면서 본래의 존재의의를 더욱 잃게 되었다. 서울굿은 현재도 활발히 연행되고 있다.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면서 어떤 부분은 축소되기도 하고 또 어떤 부분은 아예 생략되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다양한 종류와 양상 안에서 절대 변하지 않는 체계를 간직하고 있다. 이를 〈호구거리〉의 변화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호구는 부속거리화 되었음은 물론, 이미 〈불사거리〉나 〈산거리〉내에서도 축소되고 있다. 호구는 언젠가 서울굿에서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호구는 역사적인 변천과정을 지님으로써 서울굿의 변모를 확인하게 해준 데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Hogu is a specific name being used in Seoul-gut to invoke the goddess of smallpox Hogugeoriin which Hogu is enchanted was recorded in the book of early shamanistic folklore as an independent Gutgeori(ritual cycle), in the meantime, however, this is not performed independently in Seoul-gut.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Seoul-gut through the process where Hogugeori is being changed into Busokgeori(ancillary ritual sequence) from Dongnipgeori(independent ritual sequence). It is thought that during the performance of Hogugeori as an independent ritual sequence, the shaman had not only recited a short Gongsu(the messages from the dead being expressed through shaman's possessed speech)" whith was stereotyped but also Hogunojeonggi along with Gongsu. This ritual had probably been performed as by the process to listen to Gongsu revived by the goddess of small pox that invited, then descended upon the ritual site through the ritual recitation of Hogunojeonggi. Meanwhile, Nojeonggi(record of journey of goddess) which was recited at length in the process of change in Hogugeori has become obsolete, leaving only the contents of verbal charm with which people invoked help directly. The reason why Hogugeori was degraded to a subsidiary ritual sequence; Busokgeori is that the ritual processes such as Cheongungmaji, Andangmaji and Sanbaragi have been reduced, and that this sea ion has shrunken to an ancillary ritual sequence. Particularly, the reason why the reduction of Hogugeori has appeared only in Seoul-gut is that it is something to do with Byeolsang which is another divinity. It is noticeable that, in Seoul-gut, people misinterpreted Byeolsang as the goddess of smallpox, so then Hogu lost its social value of existence. At the same time, owing to internal environment of shamanism, the meaning thereof was transformed into another divinity. Thus, its original significance of existence was greatly diminished. Even today, Seoul-gut is performed actively. Along with the changes of time, some ritual sequence of Seoul-gut has been reduced, and some cycle has been skipped completely. Nevertheless Seoul-gut keeps a system that will never be changed featuring varied kinds and patterns for performance. Such fac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s in Hogugeori. Presently Hogu has not only become an ancillary ritual sequence, but also this ritual section is being reduced even in such performances as Bulsageori and Sangeori. Someday Hogu would be disappeared in Seoul-gut. However, Hogu is significantly meaningful, for it has enabled us to confirm the different aspect of Seoul-gut while keeping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 KCI등재

        무속신화의 여신 수난과 신 직능의 상관성 연구

        염원희(Youm Wonhee)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0

        무속신화는 제의에서 구술되는 신의 좌정담이므로,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은 신으로서의 직능을 가진다. 이러한 신의 직능은 무속신화의 서시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속신화는 문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주인공의 희생을 요구하기 때문에 서사는 주인공의 수난과 그 극복과정이 중심적으로 다루어진다. 또한 무속의 특성상 무속과 여성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무속신화에는 주로 여신이 수난이 많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무속신화 중에서도 여신의 신화를 중심으로 수난과 이의 극복과정을 살펴보았다. 자청비는 여성적인 능력을 이용하여 수난을 적극적으로 극복하며 자청비의 이러한 모습은 농경신이라는 그녀의 직능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바리공주는 다른 여신에 비해 조력자의 도움을 받는 면이 두드러지면서 인간의 저승 가는 길을 돕는 신으로 좌정한다. 당금애기와 원강암이는 출산과 양육의 수난을 통해 자식을 위해 인내하는 모습이 부각되면서 신의 직능에 있어서도 산모의 출산을 돕고, 아이를 양육하는 여신으로 좌정한다. 황우양씨 부인은 남편의 내조자로서는 여신적 능력을 발휘하지만, 자신의 수난 극복에서는 어떠한 힘도 발휘하지 못한다. 이것은 성주신을 보조하는 지신의 신격을 반영한 서사라 하겠다. 이렇게 무속신화의 여신 서사는 그 신이 가진 직능과의 상관성을 통해 다시 한번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여신이 갖는 직능은 신회에 개입하여 서사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 이것이 여신 서사의 핵심 내용인 수난과 이의 극복과정이라는 맥락에 반영되어 있다. Since a Shaman Myth is a story of God's position which is orally dictated in the shamanic ceremony, the deities that appeared in the myth have the power as a God. It is thought that the power of God as such had much affected the shaman songs or extended narrations of a Shaman Myth. The narrations are composed of the events centering on the suffering of the protagonist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crisis, because a Shaman Myth demands sacrifice of the protagonist when a problematic situation has occurred. Also,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ism, there ar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shamanic stories and women, so that in Shaman Myth Goddess is mostly faced with ordeals.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suffering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such pain or misery with a focus on the myth of Goddess in particular among Korean Shaman Myths. Jacheongbi gets rid of suffering in an aggressive manner, making best use of her femininity, and it can be said that Jacheongbi's feature as such is closely connected to her power as the Agricultural God. Princess Bari is distinguished with the respect of being assisted by her supporters comparing to other Goddesses, meanwhile, however, she takes a seat as a Goddess who helps humans to make a journey to the next world. Danggeumaeggi and Wongangami are highlighted with their enduring appearances concerning about their siblings through exhibition of their pains of giving birth and difficulties of rearing children. In the meantime, they take seat as a Goddess who helps mothers in labor, and also who raises children. In case of the wife of Hwangwuyangssi, she exhibits her ability of goddess as a helpmate to her husband, but she is unable to display her power when she has to get rid of her own difficult situations. This can be considered a dramatic and extended narration that reflects her own character as of God who assists Seongjusin - the house deity dwelling in the main beam supporting the roof. As such, the power held by Goddess effects the extended narration being highlighted in the myth. In a sense the Power of God has got to be reflected in the Shaman Myth, then such a shaman song only will be able to approach the audience in a more persuasive fashion, when it is recited in the shamanic ceremony.

      • KCI등재

        사회적 참사 소재 도시전설의 유형과 의미

        염원희(Youm, Won-hee)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3 No.-

        <삼풍백화점 괴담>은 사회적 참사(慘事)를 소재로 하는 도시전설 중 하나이다. 삼풍백화점 참사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기억하고 있는 일종의 집단기억이며, 이를 바탕으로 하는 도시전설은 ‘집단기억의 형상화로서의 이야기’라 할 수 있다. 도시전설은 허구의 이야기로서 참사와는 별개로 존재하지만, 당시의 참사가 이야기를 통해 회자됨으로써 사람들에게 사건의 참혹함을 지속적으로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건에 대한 대중의 감정이 드러나는 창구 역할을 하여 전승자가 감정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기존에 연구된 도시전설은 일본과의 영향관계가 부각되었으나 본고에서 다루는 <삼풍백화점 괴담>의 경우, 일본의 영향을 받은 면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공포의 대상, 정서와 서사구조, 죽음관 등에서 전통적 맥락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한국적 도시전설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e of the urban legends based on a social event is the one originating from the tragedy of the collapse of Sampung Department Store. The disaster is a kind of collective memory that many Koreans remember, and the urban legend based on it can be regarded as “a story that is the embodiment of collective memory.” An urban legend based on a social event exists separately from the incident; yet as the accident becomes the talk of the town through stories, it continuously reminds people of the cruelty of the incident. In addition, it acts as a window to reveal the public"s emotions about the event, and it has an emotional cathartic effect. While earlier researches on urban legends have focused on their relation to Japan, in the case of the urban legend based on the Sampung Department Store tragedy, which is the focus of this paper, it was difficult to find any aspects influenced by Japan. Some aspects of the Korean style of urban legends were investigated. For instance, it was found that the appearance of traditional figures, such as ancestor gods or the angel of death, is based on the ideas of folk religion. Also, traditional context was exposed in its narrative structure and its view of death.

      • KCI등재

        일제강점기 괴담의 특징과 현대 도시전설의 형성에 관한 시고

        염원희(Youm, Won-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9 No.-

        현대 도시전설의 형성과정을 논의하기 위한 시론으로 일제강점기 괴담을 대상으로 이야기의 전통적인 맥락과 새로운 이야기로서의 면모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1927년, 1930년, 1936년 『매일신보』에 연재된 괴담을 대상으로 하였다. 1930년대 전후의 괴담은 과거로부터 당시까지 전승되고 있었던 비현실적인 존재나 비일상적인 공간을 소재로 하면서 범죄, 오해, 가십 등으로 영역이 확장되었다. 또한 ‘누구에게 들었다’와 ‘내가 체험했다’를 강조하며 괴담이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새로운 이야기로 등장하였다. 그 중 도깨비와 흉가는 전통적인 이야기에서의 모습을 고수하면서도 불안한 시대상을 내포한 소재로 신문기사와 괴담의 단골 소재가 되었다. 서술방식의 변화, 사실적 경험담 등의 특징은 당대 대중문화의 형성과 개인과 경험에 대한 관심이라는 시대적 변화가 반영된 결과이다. 또한 이와 같은 괴담의 특징은 현대 도시전설에서도 다양하게 확인되는 바,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As a comment to discuss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urban legend, the traditional context and aspects as new stories of the myth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examin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myths published in a series in 〈Maeil Sinbo〉 in 1927, 1930 and 1936. The materials of the myths around 1930s were unrealistic beings or nondaily space that had been transmitted from the past to those days, and then were expanded to crimes, misunderstandings, gossips and so on. In addition, stories with emphasis on ‘I’ve heard it from someone’ and ‘I’ve experienced it’ under the title of a myth appeared as new stories. Among them, goblins and haunted houses were the materials that kept to their figures in traditional stories, yet involved uneasiness of those times, and became frequent subjects of newspaper articles and myths. The changes in their descrip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listic stories of personal experiences were the results that the changes of the times, such as the formation of pop culture of those days and the interest in individuals and experiences, had been reflected. Moreover,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yths are found in the modern urban legend in various ways, continuous study on them need to be conducted.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에 형상화된 출산의 의료와 문화: SBS <산부인과>와 tvN <산후조리원>을 중심으로

        염원희(Youm Wo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본고는 텔레비전 드라마 두 편을 대상으로 출산의 의료와 문화가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살펴보았다. <산부인과>는 출산과 부인과 질병 등 산부인과의 의료 영역을 폭넓게 다뤄 인식 확장을 도모하고 사회적 역할을 부각하였다. 산모와 아이의 생명 중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 의료인, 태아 기형으로 불가피한 낙태를 받아들여야 하는 산모의 모습을 통해 임신과 출산의 어려움이극적으로 드러난다. 또한 의료인을 산부인과적 문제 상황에 놓이게 함으로써 ‘의료인-환자’로서의 정체성을 갖도록 하였다. <산후조리원>은 병원 출산의 문제를 산모의 입장에서 재구성함으로써 의료인 중심으로 묘사되던 한계를 극복하고, 육아 초기에 산모가 여성과 모성의 딜레마로 고민하는 모습을 통해 모성은 본능이 아닌 노력임을 역설하였다. 현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출산문화를논의하면서 특히 남편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두 작품은 대중이 ‘출산’의영역을 환기하고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주었다. 특히 출산 과정에서 산모의 고통을 이해하고 산모가 출산의 주체가 되기를 희망하였기에, 출산을 실제로 경험하였던 여성들에게는 공감과 위로를 건네고 사회적으로는 출산 문화의 변화를 촉구하는 서사라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medical care and culture of childbirth are embodied in two TV dramas. “Obstetrics and Gynecology” promoted awareness expansion by introducing childbirth as well as gynecological diseases and highlighted the social role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 portrayal of a mother who must choose between her own life or that of her child or accept an inevitable abortion due to a fetal malformation has shown that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by no means easy. Additionally, by depicting medical personnel in the patients’ position in medical dramas, they gained an identity as a “medical person-patient,” emphasizing the appearance of being reborn as a true therapist. “Postpartum Care Center” reconstructs the issue of childbirth in hospitals from the mother s standpoint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described by medical professionals. Finally, it strives for motherhood through the appearance of mothers suffering from the dilemma between womanhood and motherhood in the early days of childcare and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llaborative parenting within couples. The two dramas attempted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discover the realm of “birth” and transform their perceptions. Specifically, it was thought to be a narrative that conveys sympathy and comfort to women who have experienced childbirth because they understood the pain of the mother in this process and hoped that she would become the subject of childbirth.

      • KCI등재

        한국 도시전설의 세계 광포형 연구에 관한 시고

        염원희(Youm, Won He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2 No.-

        한국의 고전적인 도시전설인 〈귀신을 태운 택시〉는 늦은 밤 한적한 도로를 배경으로 승객과 택시기사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공포담이다. 2000년대 중반에는 〈자유로 귀신〉으로 변형되어 널리 회자되기도 하였다. 미국의 〈The Vanishing Hitchhiker〉와 일본의 〈タクシーにる〉과 동일한 유형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이동수단을 달리하여 오랫동안 전승된 이야기가 한국으로 건너와 정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이야기의 승객은 단순한 귀신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다른 나라와의 비교를 통해 예언자나 범죄의 피해자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범죄와의 연관성은 한국의 〈자유로 귀신〉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특징으로 이로 인해 허구의 이야기를 실재 사건으로 오인하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이것은 도시전설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도시전설 연구를 통해 현대 이야기 문화의 실체와 오해, 그 의미를 짚어낼 수 있으며, 동시에 한국 이야기 문화의 세계적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새로운 도시전설의 발굴과 비교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그 시론에 해당한다. 〈A taxi carrying a ghost〉, a classic Korean urban legend, is a horror story that is developed a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engers and taxi drivers in the background of a quiet road late at night. It was transformed into 〈ghosts in Zayuro〉 in the mid-2000s and widely publicized. It is the same type as the American 〈The Vanishing Hitchhiker〉 and Japan"s 〈タクシーに乗る幽靈〉. In other countries, stori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for a long time by different means of transportation have crossed into Korea and settled. The passenger of this story has been thought of as a simple ghost. In other countries, passengers are religious prophets or victims of crime. Especially, the relation with crim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confirmed in Korea "s 〈ghosts in Zayuro〉. So, the phenomenon that misinterprets the story as a real event has happened. This is an important feature of urban legends. Through the study of urban legends, the reality and mis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story culture can be understood properly. At the same time, the opportunity to identify the global position of Korean story culture can be created. In the future, new urban legends must be excavated and comparative studies are needed. This study is its first attempt.

      • KCI등재

        설화의 재매개 양상과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 - 웹툰 〈계룡선녀전〉을 중심으로

        염원희(Youm, Won-Hee)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31 No.-

        본고는 설화 〈선녀와 나무꾼〉을 재매개한 웹툰과 드라마 〈계룡선녀전〉을 통해 설화의 문화콘텐츠화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웹툰 〈계룡선녀전〉은 설화의 세계관을 확장하고, 조력자에 불과했던 사슴을 주인공과 갈등하고 교감하는 존재로 설정하였다. 무엇보다 신과 인간의 공존과 세계와 개인의 화해라는 주제의식의 확장을 통해 매력적인 서사를 완성하였다. 하지만 드라마 〈계룡선녀전〉은 웹툰의 장면 전개 방식과 특징을 답습하였고, 코미디와 로맨스의 강화로 극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들어 설화와 웹툰에서 구현된 감동을 되살리지 못했다. 특히 주제의식의 부재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설화적 상상력은 문화콘텐츠 창출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설화는 원형성을 통해 보편적인 감동을 주는 서사로, 다층적인 세계관을 구성하는 서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그 자체가 환상성의 보고이면서 비현실적 사고를 지속하는 힘이 되어 왔기에, 문화콘텐츠 창조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ossibility of making folklore content through webtoons and dramas that have been rediscovered as narratives 〈fairy and woodcutter〉. Webtoons 〈Gyeryong Sunyeojeon〉 have expanded the world view of a lesser known story. This have completed a charming narrative through an expansion on the subject of the coexistence of God and man and a reconciliation of the world and individuals. However, a drama which followed the scenes and features of the webtoon was expressive. Moreover, by strengthening aspects such as comedy and romance, it lost the essence of the original of folktale and Webtoon. There was no concern about the subject of the work. Folktale is a form of narrative that gives us a universal impression through the use of circle formation. It can be used as a narrative that constitutes a multi - layered world view. It is also a report of fantasy itself. It has been a force to sustain unrealistic thinking. We expect it to be actively used in the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