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명일엽 가공산물의 대사 에너지 함량 평가

        김은미(Kim Eunmi),최진호(Choi Jinho),최금부(Choi Kumboo),여익현(Yeo Ikhyun) 韓國營養學會 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3 No.1

        본 연구는 명일엽과 그 가공산물의 대사에너지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명일엽 전초, 명일엽 녹즙, 녹즙박, 발효녹즙 및 녹즙 + 녹즙박 5가지 식품을 기초식이에 30%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다. 기초식이는 AIN93M을 사용하였다. 실험용 쥐는 실험군당 6마리를 사용하였고, 3일간 실험식이에 적응시킨후 4일간 식이섭취량을 측정하고 분과 뇨를 모두 수거하였다. 수거한 분과 뇨는 bomb calorimeter로 gross energy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명일엽 가공산물의 대사에너지 함량은 명일엽 1,286.8 ㎉/㎏, 명일엽 녹즙 1,642.6 ㎉/㎏, 발효녹즙 2,044.8 ㎉/㎏, 녹즙박 1,687.5 ㎉/㎏, 명일엽 녹즙 + 녹즙박 1,763.0 ㎉/㎏이었다. 수분을 함유한 원물은 각각 193, 82, 102, 270 및 216 kcal/kg이었다. 이를 여러 에너지환산계수를 이용한 에너지가와 비교한 결과 20~60%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원물에서 명일엽은 식품성분표에서는 340 ㎉/㎏의 열량가를 갖는 것으로 발표되었지만, 동물을 이용한 대사에너지 측정치는 193 ㎉/㎏으로 76%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섬유소 함량이 높은 명일엽과 가공 산물들은 실험동물을 이용한 방법이 energy conversion factor로 계산한 수치보다 정확한 대사에너지 함량을 구하기에 더 적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We conducted comparative study on metabolizable energy content of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and its byproduct. Total six different groups consisting of five test groups treated with angelica keiskei and on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Each of the five test groups were given 30% of one of whole plant, extracts, fermented of extracts, byproduct and extracts plus byproduct, respectively, mixed with AIN93M. After 3 days of adjustment period, all groups were subjected to 4 days of test period during which the amounts of feed intake and excretion were measured everyday. All feces were treated for the prevention of decomposition and changes before its energy content were measured using a bomb calorimeter. The amount of excretion was 4.8 ± 0.3 g/rat/3 days in control group and 9.9-15.0 g/rat/3 days in the groups were added with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indicating that the angelica keiskei-treated groups produce 2-3 times more excretion. Metabolic energy of control diet was 4,133.3 kcal. This was found to be 15 to 20% higher compared with the metabolic energy content ranging from 3,117.0 ㎉/㎏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to 3,259.8 ㎉/㎏ (extracts plus byproducts) angelica keiskei-treated groups. This is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decreased metabolic energy in the test diets were substituted with 30% of ngelica keiskei-treated ingredient which has low metabolic content itself. One notable finding is that the metabolic content of the group mixed with byproducts and extracts (1,763.0 ㎉/㎏) is 27% higher than that of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1,286.8 ㎉/㎏) indicating that mechanical grinding increases the rate of digestion and absorption increasing, in turn, the energy content used in the body. The results of analysis of overall caloric absorption showed absorption rate in order of Whole plant < extracts < byproduct < extract plus byproduct < fermented of extra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대상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 비교

        안윤(Ahn, Yun),김경원(Kim, Kyung Won),김경민(Kim, Kyungmin),변진원(Pyun, Jinwon),여익현(Yeo, Ikhyun),남기선(Nam, Kisun)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5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333명에게 나트륨관련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 등에 대해 설문조사하고, ‘나트륨 섭취줄이기’ 행동변화단계에 따라 ‘행동전단계 (고려전/고려/준비)’, ‘행동단계 (행동/유지)’ 두 군으로 분류하여 변수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5세이며 대상자의 68.4%는 중년에 해당되었다. 나트륨관련해서 식사관리에 관한 관심도는 대상자의 54.8%가 ‘매우 관심 있다’고 답하였고, 나트륨관련 식생활정보는 주로 TV/라디오 (56.6%)를 통해서 얻고 있었다. 나트륨관련 영양교육을 1회 경험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고 (49.7%), 영양교육의 내용으로는 ‘나트륨을 줄이는 조리 방법’, ‘나트륨과 혈압의 관계’, ‘나트륨과 질환의 관계’ 순이었다. 2) 나트륨관련 영양 지식 총점은 평균 9.3점으로 행동단계군 (9.4점)은 행동전단계군 (9.2점)보다 점수가 조금 높았고 두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문항별로 ‘영유아기의 나트륨 섭취의 중요성’, ‘가공식품과 자연식품의 나트륨 함량 비교’에서 대상자들은 매우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성인의 1일 나트륨 목표섭취량’ (27.0%), ‘영양성분표의 나트륨 함량 산출’ (30.3%)에서 정답률이 상당히 저조하였다. 3) 나트륨 저감화에 관한 식태도 총점은 39.6점으로 행동단계군 (40.3점)은 행동전단계군 (36.6점)보다 식태도가 긍정적이었다 (p < 0.001). 행동단계군은 식태도 항목 ‘음식은 싱겁게 먹어야 함’, ‘짭짤한 맛이 좋음’, ‘식사 시 국이나 찌개를 먹는 것을 좋아함’, ‘식사 시 김치나 장아찌를 먹는 것을 좋아함’, ‘국수, 라면 등 국물류를 좋아함’에서 행동전단계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p < 0.001), 행동전단계군보다 바람직한 식태도에는 더 동의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식태도에는 덜 동의하였다. 4) 대상자의 식행동 총점은 49.6점으로 행동단계군(49.9점)은 행동전단계군 (48.5점)보다 식행동이 양호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부분의 식행동 항목에서 행동단계군은 행동전단계군보다 양호하였는데, 일반 식행동 중 ‘잡곡밥 먹기’, ‘기름진 음식 먹기’ (p < 0.05), 나트륨관련 식행동 중 ‘간장 등 양념장을 찍어먹는 음식 먹기’, ‘짠 스낵 먹기’, ‘가공식품류 먹기’, ‘외식, 배달음식 먹기’ (p< 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5) 나트륨 저감화 방법에 관한 자아효능감 총점은 평균 57.1점으로 행동단계군 (58.2점)은 행동전단계군 (52.5점)보다 자아효능감이 높았다 (p < 0.001). 행동단계군은 대부분의 방법에서 행동전단계군보다 자아효능감이 높았는데, 특히 ‘가공식품 피하기’, ‘소금, MSG 대신 천연조미료 사용하기’, ‘음식의 간은 조리를 마친 후 하기’, ‘국그릇 크기 줄이기’, ‘저염 양념장 만들어 사용하기’ 방법에서는 두군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p < 0.001). 6) 식태도는 식행동,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 (p <0.001)를 식행동은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 (p <0.001)를 나타내었고, 영양 지식은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7) 연구 결과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대상의 나트륨 저감화 영양사업의 확대가 요구되며 영양교육 등 영양사업 시행 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별로 대상자를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행동전단계 대상자에게는 나트륨 저감화 실천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태도 변화를 위해 동기 부여 요소를 활용하며 행동단계 대상자에게는 실천이 지속되도록 자기조절 방법, 실천 방법 등을 활용하면 좀 더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가공식품 산업계에서는 나트륨 저감화 제품 개발이 더욱 활성화됨으로써 급식에 적용 가능한 나트륨 저감화 제품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s, ea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by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reducing sodium intake among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Methods: Subjects (n = 333)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wo groups based on the stages of change; Pre-action stage (PA group: precontemplation/contemplation/preparation stage), Action stage (A group: action/maintenance stage). Results: A major source of sodium-related nutrition information was TV/radio (56.6%) and only 166 people (49.8%) have experienced nutrition education specific to sodium. Although the A group showed slightly higher scores for nutrition knowledge than the PA group,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for ‘daily goal of sodium intake for adults (27.0%)’, ‘calculation of sodium content in nutrition labeling (30.3%)’ were low for both groups. The A group (total score: 40.3) had more desirable eating attitudes regarding reducing sodium intake than the PA group (36.6, p < 0.001). The total score for eating behaviors was slightly higher in the A group (49.6) than in the PA group (48.5),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 group (total score: 58.2) also received higher scores for self-efficacy regarding reducing sodium intake than the PA group (52.5, p < 0.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should be expanded and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tages in reducing sodium intake. It is also suggested that food companies make efforts to develop low-sodium products.

      • KCI등재

        배추에 살포된 몇 가지 농약제제에 따른 성분의 휘산과 비산

        이서래,이장영,한일근,이상윤,여익현 한국환경농학회 199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6 No.4

        배추 재배시 살포된 농약의 비산 휘산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기인계인 chlorpyrifos, EPN, pirimiphos-methyl, phenthoate, 유기염소계인 tetradifon, dicofol, 피레스로이드계인 bifenthrin 농약을 이용하여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들의 잔류량 분석은 다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였는데 농약성분에 따라 다르나 회수율은 78∼92%로 우수하였으며 표준편차도 ±0.68∼3.52%로서 재현성이 있었다. 농약의 살포량은 농약사용지침서에서 권하는 량으로 하였으며, 1차실험시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첫 구간에 농약을 살포하였고, 2차 실험시에는 풍향에 관계없이 정중앙에 살포하고 방사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실험결가 살포농약 대부분이 비산이나 휘산으로 인해 인접 작물에 전이 잔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살포 중 비산되는 양은 농약성분과 풍향, 거리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살포구간의 농작물 중 농약잔류량에 비하여 비살포구에서의 농작물 중 농약잔류량 비율은 3m거리에서 평균 0.66%, 6m 거리에서 0.10%, 9m 거리에서 0.05%이었고 근접지역에서는 최고 1.83%에 이르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rift of pesticides sprayed on Chinese cabbage, 7 pesticides chlorpyrifos, EPN, pirimiphos-methyl, phenthoate, tetradifon, dicofol and bifenthrin were applied in two sets of field tests. The pesticide residues were quantified bar multiple-residue analysis, in which the recovery rate was 78-92% and standard deviation was ±0.68-3.52%.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tested pesticides were spread by drift to neighbouring area and brought about the contamination of the unsprayed crops. The extent of drift varied depending upon the pesticide, distance and wind direction. The mean residue levels on unsprayed crops were 0.66% at 3 meter distance, 0.10% at 6 m distance and 0.05% at 9 m distance from the applied area and the maximum level was 1.83% of the residue on sprayed cr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