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랑 성문준 시학의 형성배경과 형상화 양상 연구

        양훈식(Yang, Hoon-shi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6 No.-

        이 논문은 『파산세고(坡山世稿)』에 나타난 조선중기 창랑(滄浪) 성문준(成文濬, 1559~1626)의 시문을 고찰하여 그의 시학의 형성배경과시의 형상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성문준 시학의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효제충신의 성문가학과 은거지향, 그리고 당음(唐音)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은거지향과 효제충신은 성문에서 성수침-성혼-성문준으로 이어지는 성문준 시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 그의 시작품은 『고문진보』와 『당음』을 통해 익힌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리학적 사유가 그의 시 속에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구양수(歐陽脩)의 독서법을 실천하는 독서인의 삶과 『논어』에서 체득한 공부가 바로 그 학문의 바탕이었다. 성문준 시의 형상화 양상은 역사적, 지역적, 자연물의 완상(玩賞)과 지향인물이 반영된 것과 격물치지의 구현으로서 자주(自註)를 시화적 기능이 제시된 것으로 구별되어 나타났다. 첫째, 역사유적과 지역의 자연물의 완상과 지향인물의 흥취가 반영되어 나타났다. 자연물은 주로 유적지와 파산지역을 배경으로 한 시가 주를 이루었다. 인물 지향은 도연명(陶淵明)과 방덕공(龐德公)이 시 속에 배치되어 드러났다. 이것은 인물들의 은거지향과 가학의 영향에 따라 안심입명(安心立命)이 반영된 결과였다. 둘째, 시화의 기능과 격물치지의 구현으로서의 자주를 시에 사용하였다. 이는 그의 사물인식이 자주를 통해 시대적 배경과 공간적 배경에 반영된 것이었다. 이상에서 성문준의 시학은 가학을 토대로 『고문진보』 와 『당음』의 영향을 받았고 여기에 구양수의 독서법과『논어』에서 체득한 공부가 그 바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시의 형상화 양상은 역사유적과 자연물의 완상과 자주를 통해 시화적 기능이 드러났고 격물치지의 사물인식을 시에 형상화하여 도연명과 방덕공을 지향인물로 제시한 점이 밝혀졌다. 이로써 소론계 시맥의 단초를 제공한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background of the Shihak(poetry) formation of Changrang Seong Mun-jun(1559~1626) and its embodiment by investigating “Pasansego,” one of his Shi(poems). Seong Mun-jun`s Shihak has two formational backgrounds; Firstly, the retirement-orientedness and Seongmun Gahak(succeeding to his ancestor’s studies) with filial piety and fraternal love in loyalty, and the influence of Dangeum(the traditional musical scale of Tang Dynasty). The retirement-orientedness, and filial piety and fraternal love in loyalty stem from Seong Su-chim to Seong Hon to Seong Mun-jun. It also turned out that Seong Mun-jun’s Shi was completed by the poems from Gomunjinbo(ancient China’s taxonomic anthology of poems and writings)and Dangeum. And Secondly, the thought of Seongrihak(or Neo-Confucian Criticism) is also reflected in his Shihak. His poetry, especially, is based on the practical life of his learning from Gu yang-su’s Dokseobeob(his method of reading) and the learning by experience from Noneo(The Analects). The formational patterns in Seong Mun-jun’s Shihak reveal the pleasant appreciation of historical and regional objects in nature and his own poetic role-model figures, and also attempt to embody the prologue imbued in his own explanation as an anecdotal and critical function for the poets and their works in an effort to embody Zhu Xi’s theory of Gyeongmulchiji(or Ge-Zu Zhi-Zhi;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 One of his poetical patterns unveils his pleasant appreciation of historical relics including natural objects in nature, and his own pleasure and taste on his poetic role-model figures. His poems on natural objects mainly deal with the relics and surroundings of Pasan district. He also tried to arrange two Chinese poets, Tao Yuanming and Bang Deok-gong in his poems as his poetic role-model figures. This means that his poetical patterns result from An-shim-ip-myeong(reaching to the perfect state of spiritual peace and enlightenment to fate) in accordance with retirement-orientedness and Gahak’s influence. The second pattern of his poems shows that he tried to use the prologue imbued in his own explanation not only as the anecdotal and critical function for poets and their poems but also as the embodiment of Gyeongmulchiji. These patterns expose that his recognition of things is totally reflected in the historical and spatial backgrounds through the prologue. This study concludes that Seong Mun-jun’s poetry was influenced by the poems in Gomunjinbo and Dangeum, and based on Gu yang-su’s Dokseobeob and the learning by experience from Noneo. Furthermore, the anecdotal and critical function through the pleasant appreciation for historical relics and things in nature, and his own explanatory prologue are surely inherent in the formational patterns of his poetry. Finally, it turned out that Seong Mun-jun presents Tao Yuanming and Bang Deok-gong as his poetic role-model figures by embodying in his poetical works the recognition of things based on Gyeongmulchiji. This study has a definite significance in terms of providing the beginning of the poetical heritage to Soron, one of the factional political parties during Joseon Dynasty.

      • KCI등재

        『시경』 시에 나타난 민중의식의 본질

        양훈식(YANG, Hoon-shi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20 No.-

        이 논문은『시경』『국풍』의 풍자시에 나타난 민중의식의 본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풍자시는 이상과 현실사이의 거리를 구체화시켰다. 풍자시를 통해 정치가 개혁이 되려면 군주의 음행과 배덕, 무능을 제거해야 하고, 가렴주구와 부조리한 사회를 척결해야 가능하다는 민중의식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국풍』풍자시가 ‘지배층에 대한 비꼬기와 들추고 찌르기’의 外延이고, 국가부양의 책임의식과 憂國憂民의 憂患意識을 그 內包로 배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배층의 음행과 배덕, 무능 비꼬기에서는 국가부양의 책임의식을 보여주었다. 이는 민중의 책임의식이며 부패하고 무능한 군주에 대해 더 나은 국가로의 지향을 갈망한 것이다. 이것은 기존 질서의 해체보다 체제유지의 책임의식을 가지라는 민중의 항거이자 자아각성이었다. 가렴주구와 부조리한 사회 들추고 찌르기에서는 민중은 부조리한 사회 때문에 亡國에 이르게 된 책임을 지배층에게 묻고 우국우민에 대한 우환의식을 반영하였다. 시경 『국풍』의 풍자시는 공시적 의미와 역할, 통시적 가치와 중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이는 공시적으로는 풍자 욕망을 드러낸 것이고, 통시적으로는 민중의 저항 의지의 표출이라는 점이다. 민중은 당시 시대의 仁의 보편성을 지녔고 국가부양의 책임의식과 우국우민의 우환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보편적 세계를 추구하고자 자각한 존재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지배층의 음행과 배덕, 무능 및 가렴주구와 부조리한 사회에 대해 저항의지를 핍진하게 반영하였으며,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극복하고자 풍자 욕망을 시의 노랫말에 드러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ssence of people"s consciousness of satire poem of "Shijing" and "Guofeng". The satire poem made distance between ideal and reality concrete. People"s consciousness should get rid of monarch"s obscene act, immorality and incompetence and to destroy deprival of people"s property by severe tax, and unreasonable social systems to innovate the politics by satire poem. Satire poem of Guofeng pasquinade governing class at appearance and had responsibility of support of the country, patriotism and worrying. Governing class" obscene act, incompetence and satire showed the government"s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that was people"s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to look for better country and to overcome incompetent monarch. Such a fact meant people"s resistance and self-awakening to keep system and to be responsible rather than destruction of existing order. People who disclosed and criticized people"s poverty by severe tax to criticize absurd society blamed governing class to reflect patriotism and worrying. The satire poem of Shijing "Guofeng" implicated value and role of syncronic to describe desire of satire, and to do will of resistance value and importance of diacronic. The people had universality of "in" at that time to be responsible for support of the nation and to have patriotism and worrying and to look for universal world and cognize it. The people resisted governing class" obscene act, immorality, incompetence, poverty by severe tax and unreasonable society, and made poem of satire desire to overcome social absurdity and contraction.

      • 한시에 나타난 적빈(赤貧) 양상

        양훈식(Hoon-shik Yang) 한국교방문화학회 2021 교방문화연구 Vol.1 No.2

        이 논문은 한시에 등장한 적빈(赤貧) 양상을 고찰하여 당대의 식문화와 핍진한 삶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예식(禮食)과 식관(食觀)의 배경을 고찰한 결과 밥을 먹는 일은 예(禮)를 바탕으로 한 정신적 가치의 추구이자 정서를 공유하는 것이며 타인을 배려하는 예식이 강조되어 나타난 것이었다. 이는 의로움과 정신적인 가치에 주안점을 두고 절약하는 삶의 유학적 식관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적빈의 형상화 양상은 자탄과 술회의 감성의 표출로 드러났고 보은과 지향하는 인물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자탄과 술회의 감성 표출에서는 탁물우의(託物寓意) 기법과 가난한 삶을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정서를 반영한 것, 궁핍한 삶을 촉각과 청각의 복합감각으로 제시하여 고단한 정서를 핍진하게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은과 지향하는 인물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 먼저, 보은하는 인물로 한신(韓信)이라는 특정 인물을 용사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지향하는 인물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 자신이 동경하는 인물들이 거론되었다. 이들은 중국의 인물로 자문(子文), 백거이(白居易), 왕교(王喬), 범염(范冉), 맹상(孟嘗), 유고지(庾杲之), 왕유(王維) 등이었다. 이들을 용사하여 적빈한 삶을 극복하고자 하는 인식을 드러낸 것을 알 수 있다. 밥을 먹는 일은 예를 통해 대동(大同)의 세계를 열어가고자 하는 ‘함께 하기’의 일환이며 정신적 가치의 추구뿐만 아니라 자신이 지향하고자 인물과 같아지기를 희망하는 인식의 반영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시 속에 나타난 적빈의 양상을 살펴본 시론적 성격의 논문이라는 점과 한시 연구의 영역을 새롭게 확장한 성과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extending the awareness of the contemporary dietary culture and verisimilar life by contemplating how Chinese poetry bears extreme poverty in it. First of all, traditional dining manner and its standpoint on dining have them that just eating boiled rice is not only pursuing some psychological values and sharing emotions based on traditional courtesy(禮), but also a way of highlighting the dining manner that requires to consider ‘other’ thoughtfully. Furthermore, the embodiment of boiled rice and extreme poverty has the expression of complaining to themselves and relating their thoughts, and the reflection on returning favors and being aware of revered figures. Firstly, those poems, in terms of complaining to oneself and revealing oneself, surely exhibit Tak-mul-u-eui(託物寓意) and attribute their poverty to themselves, and verisimilarly express their own worn-out emotion by presenting their extreme poverty in tactile sensations and auditory sensations combined. Secondly, the poems show they’d cite Hanshin’s poetry, as one of the revered figures, due to returning favor and being aware of the revered. And, those poems also deal with those figures respected by contemporaries based on the reflected recognition for the established. Among their names are a variety of ones, such as Jamun(子文), Baekgeo-i(白居易), Wang-kyo(王喬), Beomyem(范冉), Mang-sang(孟嘗), Yugoji((庾杲之), Wang-yu(王維), and they also exhibit their recognition for surmounting their poverty through those names. Eating boiled rice is considered as an effort of ‘being together’ to start to open ‘Daedong World’ through traditional courtesy and ,therefore, it means not only pursuing psychological values, but also reflecting their own awareness of the hope of resembling the figures that they respected. This study has a surely significant meaning in regard to the poetical orientation dealing with the boiled rice and the aspects extreme poverty, and pursuing to extend the original area of Chinese poetry.

      • KCI등재후보
      • 주자의 인식론 연구

        양훈식(Yang, Hoon Shik)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2 교양논총 Vol.- No.6

        유학자들이 학문하는 목적은 인간의 만사와 만물의 사리에 관한 궁리를 통해 밝혀진 認識을 행동으로 나타나게 하여 성현이 되는 데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朱子(1130-1200)의 인식론의 핵심적인 내용인 격물치지론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주자는 『대학』의 格物致知 보망장을 수정 보완하여 수신·제가·치국·평천하하는 초석으로 격물치지를 제시하였다. 격물치지의 주체와 대상, 방법을 규명하는 일과 격물치지를 통해서 실현하려고 하는 居敬窮理의 실천을 알아보는 것은 인식론을 올바로 파악하는 길이 될 것이다. 주자는 마음을 외부 사물에 대해 인식하고 반응하는 주체로 본다. 인식대상의 물과 리를 구분하였다. 또한 사물 지리를 궁구하여 경험지를 쌓아 나가면서 항상 소당연지칙을 따라 그 소이연지고를 추구하는 노력을 하다 보면 뭇 사물의 이치가 귀일되는 근원처를 알게 된다고 하였다. 격물치지의 공부를 통하여 도달하려는 궁극적 경지를 ‘豁然貫通’이라고 표현한다. 물을 통하여 치지한다는 것은 리를 자각하여 그것을 자기화함으로써, 스스로를 속이는 일이 없게 되고 행함 역시 진실하게 하려는 것이다. 우리는 주자의 인식론을 통해서 현대의 지식위주의 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일상 속에 흐르는 理의 실체를 체인함으로써 본연의 성을 회복할 수 있다. 격물치지는 학문적 결실을 토대로 확립된 居敬窮理의 體認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Confucians" engaging in studies is to be a sage by making cognition revealed through the all things of a man and reason of all things show itself in action. Thus this study focused on considering the core content of Chu Hsi(1130-1200)"s epistemology, Gyeokmoolchiji(格物致知). Chu Hsi modified and complemented Gyeokmoolchiji Bomang Chapter (格物致知 補亡章) in Daehak 『大學』, suggesting Gyeokmoolchiji as cornerstone of moral training(修身)·home control(齊家)·country governing(治國)·world stabalizing (平天下). Exploring the subject, object and method of Gyeokmoolchiji, and the practice of Geogyeonggoongri(居敬窮理) through Gyeokmoolchiji will be a way to rightly understand epistemology. Chu Hsi sees mind as a subject to recognize and respond to external object. He categorized the material and principle of a cognitive object. Also he maintained that if we deeply study on the knowledge and reason of an object, buil up experienced knowledge, and follow the natural principle(所當然之則), and pursue the reason for that (所以然之故), then we can come to know the source the principle of all things are reduced to. The ultimate position to reach through the study of Gyeokmoolchiji is expressed as "Hwalyeongwantong(豁然貫通)’. That we reach knowledge through an object is to realize principle, make it absorbed to oneself, not to deceive oneself and become honest at all times. We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knowledge oriented education in modern times through Chu Hsi"s epistemology, recognize the substance of the principle in operative in daily life, and recover our natural nature. Gyeokmoolchiji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recognition of Geogyeonggoongri (居敬窮理) established based on scholastic fruits.

      • KCI등재

        坡州三賢의 片紙에 나타난 道學談論

        梁勳植(Yang, Hoon-shik)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이 논문은 『삼현수간』에 나타난 파주삼현의 도학적 사유체계와 일상생활에서 도학자의 면모를 고찰한 것이다. 파주삼현은 조선 전기에 파주에서 도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삼현수간』에 전하는 편지글을 통해 도학 담론을 펼친 구봉 송익필, 우계 성혼, 율곡 이이를 말한다. 파주삼현은 가학의 영향을 받아 선한 덕성을 보전하였고 이기논변과 예학질 정의 과정을 통해 학문의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이들은 폭넓고 치밀한 독서를 하는 독서인으로서의 생활과 자신의 건강 및 벗의 병까지 살필 줄 아는 儒醫로서의 삶을 통해 진덕수업의 지평을 넓히고 채워나갔다. 이러한 교유는 학적, 인적 교유가 시작되고 나서 죽을 때까지 계속되는 도학자의 삶이다. 따라서 그들이 남겨 놓은 시문과 편지글을 통해 그들의 일면을 들여다보는 일은 과거 지식인들의 도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학문적 성취와 유의로서의 함양체찰 과정의 도학담론을 조감하는 작업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aoist thinking of Pajusamhyeon as well as the Taoist outlook on everyday life advocated by the “Samhyeonsugan.” Pajusamhyeon refers to the three scholars, Gubong Song Ik-pil, Ugye Seong Hon, and Yulgok I I, who lived in accordance with Taoist principles in Paju during the former half of the Chosun Dynasty in order to engage in literary discourse by exploring the letter writings of “Samhyeonsugan” based on philosophical thought. Influenced by hereditary learning, Pajusamhyeon believed in virtues and attempted to not only make Iginonbyeon but also Yehakjiljeong engage in good-natured science. Pajusamhyeon were avid readers who sought wisdom from these books to cope with everyday life, their own and others’ health as Yueui, and to expand the scope of Jindeosueob. This discussion brought a Taoist understanding of the cycle of life to scientific and human engagement in other spheres. An investigation of the writings and letters of the Pajusamhyeon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 Dohak discourse of scientific accomplishment and the intellectual workings of the Yueui.

      • KCI등재

        기후변화가 지구에게 보내는 경고의 메시지 - 타일러 라쉬(2022), 『두 번째 지구는 없다』를 읽고

        양훈식(Hoon-shik Yang)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5

        The review looked at a warning message to Earth from the climate, which Tyler Lash used FSC-certified paper to address and address climate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There is no Second Earth. Based on the background of living in Vermont, where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unfolded, the author showed his future of climate change and his sense of discomfort about the environment. It is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what environmental activist Michael Selenberger emphasized in The Illusion That It Is for the Earth, but this book was nevertheless a timely work. This is because it is self-evident that when climate problems unfold in the space of the Earth, it naturally results in and affects life and humans living on the Earth. The author expressed his opinions throughout the book on why nature should be preserved rather than damaged nature, and how we should try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damaged earth on mankind. The message repeatedly conveyed in this book was that we should all recognize that it is difficult for humans to coexist in an environment that is not. Therefore, the ultimate meaning of this book is that if climate and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in the large box of the earth where humans exist, we must think about and solve the relationship that will inevitably affect the humanity in it.

      • KCI등재후보

        휴암 백인걸의 근학의 자세와 염절의 정신

        양훈식(Hoon-shik Yang)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2 인간과자연 Vol.3 No.1

        이 논문은 휴암(休庵) 백인걸(白仁傑, 1497~1579)이 도학과 절의정신의 바탕이 어디에서 근원하는지를 규명하고자 박문약례의 근학의 자세, 청렴절개의 염절의 정신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는 정암 조광조(趙光祖)-휴암 백인걸(白仁傑)-묵암 성혼(成渾)으로 이어지는 도학의 정맥으로 사(士)로서 독서인과 대부(大夫)로서 치인의 자세가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었다. 백인걸은 근학(勤學)과 염절(廉節)을 바탕으로 직도(直道) 정신을 표출시킨 도학자이다. 직도는 ‘올곧은 도’를 말하는데 이는 만절불변(萬折不變)의 자세다. 이것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내적으로는 청렴한 삶과 강직한 절개가 바탕이 되고, 외적으로는 직도의 자세로 표출될 수 있었다. 이는 인(仁)이 충의로 드러나고 이를 통해 조화를 추구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도학과 절의정신은 조광조의 도학을 체득하여 박문약례(博文約禮)를 통해 근학을 이루었고 청렴절개의 염절이 융화되어 시문에 형상화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백인걸의 도학과 절의정신을 시와 문장에서 고찰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의 시작(詩作) 편수가 작아서 전모를 살펴보는데 부족한 점이 있어서다. 하지만 이 논문은 백인걸이 스승에게서 계승한 도학과 절의 정신 그리고 자신의 직도정신을 묵암 성혼으로 전하는 도학정맥의 가교 역할과 도학적인 시풍을 진작시킨 인물이라는 점을 밝힌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This paper was divided into the attitude of Park Mun-yak-rye’s Geunhak, Jik-do, and practice of integrity incision to find out where Hyuam Baek In-geol (1497-1579) originated from the spirit of Dohak and Jeoleui. This was a vein of Dohak leading to Jeongam Jo Gwang-jo, Hyuam Baek In-geol, and Mukam Seong-hon, reflecting the attitude of as a Sa and a Daebu. Baek In-geol was a Dohakja who expressed the spirit of Jikdo based on his Geunhak and Yeomjeol. Jikdo refers to “straight do,” which is an unchanging posture. In order to practice this, it was based on an internally clean life and upright incision and could be expressed externally in a direct attitude. This was the pursuit of harmony through which In turned out to be loya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is Dohak and the spirit of Jeoleui were embodied in poetry by learning the Dohak of Jo Gwang-jo and studying through Park Mun Yak-rye, and the Yemjeol of integrity incision was harmonized. It was not easy to examine Baek In-geol's spirit of Dohak and Jeoleui in poetry and sentence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his poems is small, so it is insufficient to examine the whole story. However,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Baek In-geol was a person who promoted the bridge role and Dohak poetry of the Dohakja vein that conveys the spirit of Dohak and Jeoleui inherited from his teacher Jeongam Jo Gwang-jo, and his Jikdo spirit as Mukam Seong-hon.

      • KCI등재

        송파 이희풍의 시학 배경과 형상화 양상

        양훈식(Yang, Hoon-shi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7 No.-

        이 논문은 조선 말기 호남의 선비인 송파(松坡) 이희풍(李喜豊, 1813∼1886)의 『송파유고(松坡遺稿)』에 나타난 한시를 토대로 그의 생애를 조망하고 시학의 배경 및 시문의 형상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송파유고』는 이희풍의 아들 이근석이 부친 사후 22년이 지나 향촌지사들의 자금 지원과 이희풍의 제자 강지흠의 공으로 해남의 두륜산 심적암(深寂庵)에서 발행하였다. 2장의 생애와 시학의 배경에서는 독효(篤孝)의 실천과 통찰의 조감(藻鑑), 성정(性正)의인식과 시학의 배경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먼저 독효(篤孝)의 실천과 통찰의 조감(藻鑑)에서는 그가 효행과 학행이 뛰어난 선비였으며 유불선을 막론하고 폭넓은 교유를 하였고, 기미를 보고사람과 사물을 예단하는 조감능력이 뛰어났지만 당대 사회의 한계를 인식하고 출사하지 않은 해남의 은일지사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성정(性正)의 인식과 시학의 배경에서는 이를 이근석의 발문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희풍은 성정이 바른 데에 있어야 시문을 이룰 수 있음을 강조하였고 이를 시학의 정신으로 삼았다. 그의 시학에 대한 관점의 정립과 시문 교육 방법에 대한 체계는 한중 시대별 한시의 장단점에 대한 이해와 내용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시학에서 강조한 품격은 평담(平淡)이며 여기에 농려, 신운, 고회, 웅혼 등을 담아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당시(唐詩)의 근체시를 기본으로 한 뒤에 한위(漢魏)의 고체시를 익히고, 시인으로는 도연명과 두보의 시를 읽도록 한 점을 알 수 있었다. 3장의 시문의 형상화 양상은 첫째, 사물의 정밀한 관찰과 경물의 형상화, 둘째, 감성의 묘파(描破)와 상시(傷時)의 형상화, 셋째, 영사(詠史)의 공간과 충의(忠義)의 인물 형상화로 나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희풍의 한시에는 영물묘사와 영사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가을을 상찬한 노래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연안이씨 가문에서 내려오는 ‘청’의 풍격이 반영된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의 시문에서 유불선을 막론한 인물들과 폭넓은 교유를 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불가의 인물로는 해남의 대흥사, 강진의 만덕사, 백련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초의선사 의순, 만휴상인, 화월상인 등이 있다. 다음으로 역사 인물은 고금도에서 이충무공, 지리산에서 최고운, 임실에서 김건재, 장수에서의 기, 그리고 어재연 장군 등에 대해 영사한 시문이 있다. 이들은 최고운을 제외하곤 나라가 위태로울 때 한목숨 기꺼이 바친 충의의 인물들로서 그가 지향하는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지인들 중에 가장 두드러진 인물은 백파(白坡) 신헌구(申獻求)였고 그 밖에 금양 윤종민, 공삼 안영모, 좌명 손전, 소치 허련, 해사 김숙 등이었다. 행장에서 언급된 조선 말기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외교업무를 담당한 신헌과 민영목과의 교유는 그의 식견이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불교적 색채가 드러나는 산사와 인물이 자주 등장한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요컨대 이 논문은 19세기 한시사 속에서 볼 때 호남의 해남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연안이씨의 시맥의 일단을 파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조선전기 청련 이후백에서 시작된 시맥이 송정 이복길, 하유당 이석신을 거쳐 조선 말기의 송파 이희풍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계승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는 이희풍의 『송파유고』에 나타난 한시의 의미를 규명한 첫 연구이자 호남지역 연안 이씨의 시맥을 고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朝鮮朝 道學詩의 展開 樣相 硏究

        양훈식(Yang, hoon shi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문화와 융합 Vol.37 No.1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moralist genealogy but also Dohaksi s semantic category. The study disclosed semantic changes and thought background of Do - Dohak - Dohaksi. Dohaksi had good harmony of both Tang style of art and Song style of lesson. The study could examine true character of Dohaksi of Hansi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Not only semantic changes but also spiritual base of ‘Do - Dohak - Dohaksi.’ was: ‘Do’ according to the Confucianism included duties that men should do at daily lives, and Dohak put knowledge and conduct of ‘Jondeokseong Domunhak’ into practice. Genealogy of moralists in the Joseon Dynasty was said to be that of Dohaksi. In other words, genealogy of moralists included Kim Jong-jik who was enshrined at Munmyo, and Jeong Yeo-chang, Suh Gyeong-deok, Lee Eon-jeok, Jo Sik, Lee Hwang, Kim In-hu, Song Ik-pil, Seong Hun and Lee I. The ones who did Sugichiinjihak were also said to be moralists, and contents that described duties at daily lives concerning moralists lives should be included in category of Dohaksi. Dohaksi in the Joseon Dynasty had thought background of Dohak that had wide semantic category of Ihak. And, Dohaksi harmonized not only Tang style of art but also Song style of lesson. Appearance and dignity were of no problem. Therefore, genealogy of Dohaksi was that of moralists, and Dohaksi in the Joseon Dynasty put literary knowledge and conduct into practice by using various kinds of subjects and topics. 이 논문은 조선조 도학시의 전개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조 도학시는 도학자들이 도학을 사상적 배경으로 도학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다룬 도학시와 일상생활을 소재로 한 도학적인 내용을 시로 형상화 한 것을 말하며, 당시의 예술성과 송시의 교훈성이 조화되어 전개되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도-도학-도학시’의 意味的 연변과 정신적 바탕에서는 儒學에서 말하는 도는 인간으로서 행해야 하는 마땅한 도리와 일상생활에서 이뤄지는 생로병사와 관련한 내용까지 포함하며, 도학은 타고난 덕성을 높이고, 묻고 배우는 데 이르기까지 알고 실천하는 행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었다. 조선조 도학자의 系譜와 도학시의 展開 樣相에서는 조선조의 도학자의 계보는 곧 도학시의 계보가 됨을 알 수 있다. 도학시는 문묘에 配享된 김종직을 위시하여 정여창, 서경덕, 이언적, 조식, 이황, 김인후, 송익필, 성혼, 이이가 쓴 시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이 주를 이루지만 修己治人之學하는 이들도 도학자로 보아야 하며 도학자의 삶과 관련한 일상생활의 도를 읊은 내용도 도학시의 범주에 포함시켜야 함을 알게 되었다. 도학시 바탕으로서의 敎訓性과 藝術性의 調和에서는 조선조 초기에 송풍, 중기에 당풍, 이어 당풍의 예술성과 송풍의 교훈성이 調和되어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여기서 風格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도학시는 도학자들이 도학을 직접 주제로 한 교훈적인 것과 도학적인 내용을 題材로 형상화 한 시였다. 따라서 그 풍격은 문제가 되지 않으며 이들의 주제와 소재가 그 예술성과 교훈성이 조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도학을 바탕으로 知行의 實踐을 형상화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