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 지역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행위 위임정도에 따른 전문직업성 및 직무만족도

        양윤서,김덕희 한국노인간호학회 2013 노인간호학회지 Vol.1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nurse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ith the level of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4 nurses working in 13 long-term care hospitals in the J region.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24 and October 26, 2012 using self-report surveys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with the following stat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Results: The mean score for level of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 was 1.25 points (SD=±0.57), for professionalism, 3.29 points (SD = ± 0.40) and for job satisfaction, 2.61 points (SD = ±0.33). Level of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Conclusion: Guidelines for legal and institutional policies, standards, methods and procedures for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re needed and efforts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re needed.

      • KCI등재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양윤서,김영화,최혜경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7 신학과 사회 Vol.31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search the trends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Korea based on 40 theses(81.6%) for master's and doctor's degree and 9 research papers(18.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began in 1994, an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2005 to 2009. Second, the study began in theology, but the studies in Christian education showed the largest in number up to 31 articles(63.3%). Third, the researches for parents are 13(26.5%),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are 8(16.3%), and for parents of the adolescent are 8(16.3%), and some are for the unmarried mothers and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Fourth, in the type of program aspect, 40 studies(81.6%) recommended the programs, and only 9 studies(18.4%) investigated the effect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s. Fifth, among the research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experiment-control group pre-post design were 8(88.9%), and single group pre-post design was 1(11.1%). The variables were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faith maturity. It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was decreased while parenting behavior, parent role satisfaction and faith maturity were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researches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contents in the future and to derive its effects.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석· 박사 학위논문과학술지 논문 49편 연구물에 대한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는 1994년을 기점으로 나타나기시작하여 2005년~2009년에 확연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출처로는 학위논문40편(81.6%), 학술지 논문이 9편(18.4%)이었다. 둘째, 연구전공에서는 신학에서 가장먼저 연구되었으나 기독교 교육학의 논문이 31편(63.3%)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모든부모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13편(26.5%), 아동기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 8편(16.3%), 청소년기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8편(16.3%)이었고 미혼모, 탈북자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 유형에서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연구가40편(81.6%)이었고,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9편(18.4%)에 그쳤다. 다섯째, 프로그램의 효과까지 본 연구 중 실험-통제집단 사전 사후 설계가 8편(88.9%),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가 1편(11.1%)이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변인으로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 신앙성숙도 등 이었고 양육스트레스는 감소하는 반면 양육행동, 부모역할만족, 신앙성숙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도출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KCI등재

        도시 비공식성과 노점상의 공간정치: 부산 BIFF 광장을 사례로

        양윤서,권규상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dismantles the dichotomy of formality and informality by revealing that the informal urban landscapes such as street vendors is a political product of formal and informal actors’ contention and spatial strategy. Using the street vendors at BIFF Square in Busan as a study area, 20 major actors associated with the street vending were interviewed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tion of street vending landscape at BIFF Square was the result of the state’s strategic decision in the conflict between the value of accepting street vendors and the value of illegally defining street vendors. Second, informality is a process that constantly changes according to policies and plans of the state. Street vending was temporarily allowed at BIFF Square, but they were subject to regulation due to economic growth. The ‘New Order New Life Action Campaign’ strengthened the informality of street vendors. However, third, the street vendors at BIFF Square did not passively respond to the national strategy, but sought to alleviate the informal conditions imposed on the street vendors through the ongoing negotiation of values with the public actors. Fourth, the boundary between the formality and informality surrounding the street vendors is gradually blurring, as the store merchants, public sector actors, and companies that recognized the positiv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of the street vendors actively utilize them beyond implicitly allowing them.

      • KCI등재

        준실험설계에 의한 연구개발특구 정책이 지역의 광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양윤서,전재범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4 地方行政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초석이 되어온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사례로 특구 정책의 시행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위치한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그리고 충청북도 총 33개 시・군・구 기초지방자치단체의 9년간(2002~2010년) 자료를 패널 형태로 구축하여 특구 정책의 시행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책의 수혜 지역과 비수혜 지역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정책시행 전후의 변화가 그 시행으로 인과된 지역경제의 성장정도를 추정하는 기법인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 DID)을 사용하여 연구개발특구 정책이 해당 지역을 둘러싼 광역경제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및 고찰하였다. 그 결과, 특구 정책이 시행된 2005년 이후 특구가 소재한 지역의 지역내총생산(GRDP), 인구수, 그리고 종사자 수가 양적으로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구지정의 지역경제 성장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실증할 수 있었다. 이후, 이를 토대로 향후 특구정책의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특구 관련 정책들이 시행되어왔지만 정책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에 대한 증거자료가 부족했던 상황에서 연구개발특구 정책이 지역의 광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e impact of Special Zone Policy on regional economic growth. The Daedeok Innopolis, which is the foundation of Korea’s innovation cluster policy, is used as a case to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Special Zone Policy on local economic growth, a 9-year(from 2002 to 2010) panel data from 33 cit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is used. And, the main findings driven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lthough GRDP (Gross Regional Product), population, and employment have increased in the regions where the Special Zones are located since 2005 when the policy was implemented, the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shows that the policy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ocal economic growth. Finally, this paper suggests some implications that are helpful for the design of new relevant policies. The importanc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impact of Special Zone Policy on adjacent regional economic growth is statistically identified in a situation where different types of special zones have been introduced, while there is little empirical evidences on the policy effec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눈치가 대인관계조화에 미치는 영향

        양윤서,홍소형,류정림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눈치가 대인관계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전라북도 소재의 B, H, H, J, K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대학생 178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소 통 능력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였으며 눈치 파악, 간호학 전공에 대해 만족도 순으로 대인관계 조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전체변수의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조화에 대한 설명력은 55% 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의사소통 능력, 눈치 수준, 간호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조화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nchi on their interpersonal harmony. One-hundred and seventy-eight third-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tending one of B, H, H, J, K universities in the North Jeolla Province were survey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had the greatest impact on interpersonal harmony, followed by nunchi and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with these variables explaining for 55% of interpersonal harmony. Hence, strategies that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nunchi,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would be helpful for increasing interpersonal harmony.

      • KCI등재

        도시재생 측면에서 본 구겐하임 효과의 한계성에 관한 연구

        양윤서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4

        This study focuses on urban regeneration in Bilbao, which has even generated a specific term: the “Guggenheim Effect.”This initially arose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everyone was truly satisfied with Bilbao’s urban regenera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ay it actually is and the way it is portrayed in common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mitations of, and to deduct the implications of, the effects of a given cultural facility in a city. The main research method is the literature review, using recently collected statistics when needed. As Internet media is particularly influential in this global age, the study analyzes remarkable features of the Guggenheim Effect from online articles and analyzes the Guggenheim Effect based on economic impact, artistic impact, and general quality of life using related literature. The limitations of the Guggenheim Effect are as follows: first, excitement over the Guggenheim Effect has often focused on job creation and initial investments. However,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a mor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the Guggenheim Museum’s official report. The museum reported more positive results than other measurements did.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city are not as good as they were right after the museum’s opening, while the number of the museum’s visitors has remained similar through the present. Second, the reputation of the architects of the Guggenheim Museum Bilbao, Frank O. Gehry and the Solomon R. Guggenheim Foundation, has been a major part of the conversation promoting the Guggenheim Effect. However, it does not reflect the city’s uniqueness and gives the impression that this place is for tourists instead of citizens. Third, the general quality of life was one of the main concerns of the initial urban regeneration plan. However, the strategies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eem to have misfired, and gentrification, a typical sid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has been the result in Bilbao as well. Therefore, the Guggenheim Effect on the city’s artistic culture and general quality of life is very limited. The effect on economic issues was notable at the time the museum opened, but has not been sustained. 본 연구는 ‘구겐하임 효과(Guggenheim Effect)’라는 용어를 만들어 낸 스페인 빌바오(Spain Bilbao)를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빌바오 사례가 정말 모두에게 효과적이었는지,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만한 요인이나 한계점은 없었는지 하는 의문으로부터 출발하였다. 해외 학술지에 실린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전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최근 현황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글로벌 시대에서 인터넷 미디어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음에 따라 국․내외 기사에서 구겐하임 효과가 어떻게 시사되고 있는지, 공통적으로 시사되고 있는 특징을 도출하였다. 경제 측면․예술 측면․삶의 질 측면에서 구겐하임 효과의 한계점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로 조명 받아온 부분인 일자리 생성에 관한 측면과 투자금 회수에 관한 부분은 대외적으로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었다. 구겐하임 미술관 보고서의 내용이 다른 연구의 효과 분석 결과보다 더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미술관 방문객은 지금까지도 비슷한 수치로 유지되고 있지만 도시의 방문객과 실업률에 있어서의 효과는 지속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구겐하임 재단(Solomon R. Guggenheim Foundation)의 명성과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Guggenheim Museum Bilbao)을 디자인한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Gehry)의 명성과 영향력이 구겐하임 효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미술관을 도시의 랜드마크로 고려할 때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고, 소프트 웨어적인 측면에서도 지역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역할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셋째, 도시재생 사업을 계획 할 때 삶의 질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 중 하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수준에서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부재되어 있었다. 그리고 도시재생의 전형적인 부작용으로 볼 수 있는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이 미술관이 있는 아반도이바라(Abandoibarra) 지역에 예외 없이 나타나고 있었다.

      • KCI등재

        태도와 소비자ㆍ광고 : 정교화 가능성 모형, 단순노출 효과, 태도 접근가능성 모형을 중심으로

        양윤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5 No.-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 광고심리학 영역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태도를 세 가지 주요 이론들의 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정교화 가능성 모형, 단순노출 효과, 그리고 태도접근가능성 모형 등의 이론들을 고찰함으로써 현장 연구에서의 설명력을 높일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비자의 성격, 인지, 정서, 상황 등의 다양한 심리적 변수들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해야만 태도에 관한 연구들의 설명력이 높아질 것이다. Attitude and attitude change have been studied intensively in the area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The results for these topics, however, have not been positive. When the theories which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social psychology have been applied to consumer and advertising fields, the critical gap between the theory and the field has often been founded. In this article, three models for attitude formation and change are described: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which is prevalent in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mere exposure effect which has a powerful influence, even if it has not been studied intensively, and attitude accessibility model which has a potential influence. Through the review of these three models, the basis of improvement in the field work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is provided

      • KCI등재

        대안 제시형태, 대안 수의 크기, 정보처리 양식이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에 미치는 영향

        양윤,김혜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2

        본 연구는 대안제시형태(시각적 이미지/언어적 텍스트), 대안수의 크기(6개/30개), 정보처리양식(시각처리자/언어처리자)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과부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삼원 요인설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제시형태의 경우,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보다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에서 선택과부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대안 수의 경우, 6개보다 30개에서 선택과부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리고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 조건에서 언어처리자보다 시각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으며,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 조건에서 시각처리자보다 언어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또한 대안 수가 6개이고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일 때 언어처리자보다 시각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고, 대안 수가 30개일 때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에서 시각처리자보다 언어처리자가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그러나 대안 수가 6개이고 언어적 텍스트 제시형태일 때는 언어처리자와 시각처리자간의 선택과부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안 수가 30개일 때 시각적 이미지 제시형태에서 시각처리자가 언어처리자보다 선택과부하를 유의하게 덜 지각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effect of two depiction ways of assortment(visual/verbal), the size of assortment, and the SOP(style of processing) on the consumer's choice overload level. Therefore,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depiction way of assortment: visual/verbal) X 2(size of assortment: 6/30) X 2(SOP: verbal processing/visual processing) between-subjects desig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first, in the case of assortment depiction way, verbal depiction resulted in more choice overload than visual depiction. Second, in the case of assortment size, participants in size of 6 experienced low choice overload than participants in size of 30. Third,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visual depicted assortment was presented and verbalizers also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verbal depicted assortment was presented. Fourth,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isual depicted assortment and small size of assortment. Also, verb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erbal depicted assortment and big size of assortment.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oice overloads of visualizers and verbalizers when they served verbal depicted assortment and small size of assortment. But, visualizers experienced less choice overload when they served visual depicted assortment and big size of assortment.

      • KCI등재후보

        COVID-19 환자 전담 간호사의 불면증 중증도와 영향요인

        양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2022 계명의대학술지 Vol.41 No.2

        The sleep disturbance of nurses participating in patient care is under threat amid the Coronaviur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somnia sever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n 154 nurses who participated in patient care at a dedicated hospital for COVID-19 in June 2020 in South Korea. In our participants, insomnia severity score was 12.05 point, and 63.0% (n = 97) reported having insomnia (insomnia severity score ≥ 10). The most common insomnia symptom in the insomnia group (n = 97) was sleep fragmentation (54.6%). In this study, anxiety influence nurse’s insomnia severity. Therefore, a management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the sleep disturbance of nurses during the current pandemic. In particular, a solution to reduce anxiety is requires special at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