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문학 『파친코(PACHINKO)』에 재현된 자이니치(在日) 서사와 공동체 윤리

        양명심(梁明心),신인섭(申寅燮) 한국일본문화학회 2023 日本文化學報 Vol.- No.96

        The novel Pachinko is a story about Zainichi written by an American writer. Just as multicultural novels published in South Korea have been re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immigrants countries of origin, ethnic identities, and their various types of migration, this text is the narrative of the Zainichi and the immigrants. This article broadly incorporates the stories of diverse minorities. It tells the story of the life of a migrant worker married to an immigrant woman who immigrated to Osaka, Japan, and the identity of second-generation immigrants, as well as the multicultural Zainichi family community living in Japan. This paper first considers how the Zainichi family experienced place and what kept them from settling down and continuing to look for alternative places. Thusly, I will consider the problem of place identity inherent in place experience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the pachinko industry. In addition, I aim to explore the issues of community ethics presented by the transformation and breakdown of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in the dynamic life of the Zainichi family community.

      • KCI등재

        재일작가의 이중의 마이너리티 서사 연구

        양명심(梁明心) 한국일본문화학회 2018 日本文化學報 Vol.0 No.77

        Korean-Japanese literature started to be noticed in the late 1960s; it has become a part of Japanese literary history and has been mentioned in Japanese literary circles since the 1980s. In this process, a dozen writers who maintained the flow of Korean-Japanese literature have won prestigious literary awards in Japanese literary circles, leaving marks on literary history. This made them parts of Japanese literary circle, but the others expelled from it, and, as a result, in turn oversimplified the potentials of Korean-Japanese literature. In this study, the narratives that have been unnoticed in Korean-Japanese literary history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double minorities.” These double-minority narratives show that Korean-Japanese writers have been identified as a double minority (first by their nation or ethnic group as a Korean-Japanese [Zainichi ], and second as another minority due to the hierarchy within Korean-Japanese literary circles).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d on interpreting the possibility of embracing and, at the same time, transforming the historicity, that is, the ethnic and nation-centric meaning of Korean-Japanese narratives in double-minority narratives.

      • KCI등재

        理와 心의 문제로 본 李退溪思想의 특징과 사상사적 의의

        이퇴계,,마음심,퇴계심학,양명심학 영남퇴계학연구원 2010 퇴계학논집 Vol.6 No.-

        본고에서는 이 理와 心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이퇴계가 중국과 조 선의 선배학자나 동료들을 상대로 그것의 이해를 둘러싸고 씨름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구축해가는 모습을 추적하는 것으로, 이퇴계 사상의 특징 과 그것의 사상사적 의의를 다시 한 번 살펴보고자 하였다. 논의의 진행 은 먼저 이퇴계가 明代의 羅整菴과 조선의 徐花潭을 비판하는 모습을 살피고, 그것의 이유로서 四端七情論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본격적으 로 리와 심의 관계를 본래성과 현실성의 문제를 통하여 논하였고, 마지 막으로 퇴계심학의 사상사적 의의를 양명심학과의 관계에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퇴계가 리와 기를 준별하여 나정암과 서화담을 비난하 고, 또 사단칠정논쟁에서 기고봉을 詰難한 이유는 기 혹은 그것이 작용 하는 현실에 대한 불만이었음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한편에서 이퇴계 는 추구하여야할 이상으로서의 리가 기․현실과 유리되어 있다고도 생 각하지 않았는데, 이퇴계는 일견 모순처럼 보이는 이 문제를 사람의 마 음을 매개로 하여 그것과 같은 내용이 되는 리와 성에 능동성을 불어넣 는 방법으로 돌파하고 있었음을 말하였다. 그리고 朱子의 리와 심의 관 계가 하나이면서 둘이라는 양면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양명심학은 주자 의 심과 리의 ‘둘’의 측면에 기초하여 주자를 부정적 매개로서, 이퇴계는 ‘하나’의 측면에 기초하여 주자를 긍정적 매개로 하여 각각 자신의 사상 을 재구축해 간 것이었음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총유(寵綏)의 음독(音讀)에 관하여

        양명석(Yang Myung suck)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20 No.-

        이 글은 <정대업>의 8번째 곡인 총유(寵綏) 의 음독에 관한 글이다. 寵綏 는 세종대에 지어진 정대업이 세조7년(1464년)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된 이후 <정대업>의 여덟 번째곡 이름으로 그 이름은 현재에 이르기 까지 변형되거나 바뀐 적이 없이 전해 내려왔다. 寵綏 는 한자로만 그 이름이 전해져 내려오고 1955년도 설립된 국립국악원부설국악사양성소의 교과과정에서 종묘제례악을 교육하기 위한 <기악보>가 처음으로 총유(寵綏) 로 한글과 한자 곡명이 함께 기록되어있다. 이후 국립국악고등학교 <기악보>, 각종 학교와 대학교에서의 교과과정에 포함된 전공별 종묘제례악 악보, 국립국악원에서 발간된 국악전집류, 한국음악선집류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간된 여러 책자에 寵綏 의 음독이 총유 로 기록되었는데, 1979년 발간된 『국역 악학궤범』, 2001년에 발간된 『신역악학궤범』, 국악학회에서 발간된 『한국음악연구』 제39집 등에 寵綏 의 음독이 총수 로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00년대 이후 국립국악원에서 발간된 모든 국악전집과 한국음악선집, 공연프로그램 등의 해설서에서 寵綏 의 음독이 총수 로 이름이 뒤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문화재청에서 공동저자로 편집되어 발간된 『중요무형문화재 보고서 종묘제례악』에서는 공동 저술한 저자마다 총유 , 또는 총수 로 제각각으로 표기되어있어 곡명의 혼란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곡명의 혼란에 대해 국립국악원의 공식적인 설명은 없었고, 매년 종묘제례를 봉행하고 매달 수회씩 종묘제례악을 전수하는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보존회조차도 곡명의 혼란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은 없었다. 단지 국악학회에서 발행된 『한국음악연구』 제39집의 「종묘제례악 악장의 음악적 변화」라는 논문에 寵綏 는 총유 또는 총수 의 두 가지가 사용되고 있고, 그 내용은 『강희자전』의 해석에 따라 편안 수 가 깃발 늘어질 유 보다는 그 내용에 부합되고 문화재청의 사적 명칭에서 綏 의 음독을 유 에서 수 로 변경함에 따라서 총수 로 표기했다는 내용만이 있을 따름이며, 곡명의 혼란 또는 병용에 관한 논의는 전혀 없었다. 寵綏 라는 곡 이름이 한자로만 기록되어 전해져서 20세기 이전에는 어떻게 읽혔는지 알 수 없지만, 20세기에 이르러 1934년 이왕직아악부 4기생 교과철의 내용에 종묘제례악 희문의 악장가사 중에 綏 를 편안 유 로 기록한 부분이 보여 총유 로 읽혔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의 교과철 이후 현재까지 많은 악보와 저서에서 寵綏 는 총유 로 기록되고 읽혀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에서 18세기에 지어진 『강희자전』만을 전적으로 따르게 된다면 寵綏 가 총유 가 아닌 총수 로 읽혀져야 하지만 『강희자전』 보다 훨씬 이전 16세기에 우리나라에서 왕명에 따라 편찬된 『신증유합』, 『석봉 천자문』 그리고 『광주본 천자문』 등에 따르면 綏 는 편안유 , 또는 안덩 유 로 읽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을 바탕으로 綏 는 16세기에 편안 유 , 혹은 안덩 유 로 읽혔고, 이 음독은 1934년 이왕직아악부 <제4회 아악생 교과철>의 <보태평> 중, <희문>의 악장가사 중에 綏 의 음독을 편안 유 로 적은 부분과 함께 寵綏 는 총유(寵綏) 라는 곡명으로 근대에 까지 이르렀으며 이왕직 아악부 출신의 노악사들의 전승노력에 의해 현재까지 전해진 것이 확실하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은 1765년(영조41년)에 신제악장을 <보태평>이나 <정대업>에 추가하지 않도록 결정함에 따라서 <보태평>과 <정대업>은 인조(1623년-1649년)이후 현재까지 더 변천되지 않고 전승될 수 있었다. 라는 이전의 역사적 사실과도 확실하게 부합한다. 寵綏 is the name of the eighth chapter in Jeongdaeup for Jongmyojerye. Many musicians who have studied Jeongdaeup have pronounced 寵綏 as Chongyu . From 1934, in lots of music books and dictionary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name has been pronounced as Chongyu . In some books 寵綏 is printed as Chongsu . And some scholars also has written so by the Chinese dictionary called Ganghijajeon printed in 1710. Even in a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 NCKTPA - does not have any exact definition about the name. And a researcher has read it as Chongyu or Chongsu even in the same book. What is the proper reading for 寵綏 ? Chongyu? or Chongsu? As shown above it is so confused. By the Chinese Dicitionary Ganghijajoen in 18th century, the reading is Chongsu . But many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in Korea have known the differences between Sino-Koreans and Chinese letters. By the books for learning Sino-Korean called Sinjeungyuhap, or Cheonjamun printed in 16th century 綏 in 寵綏 was pronounced as yu for centuries. And on a music book for learning Jeongdaeup in Yiwangjikaakbu, the letter 綏 was read as yu . So 寵綏 has been read as Chongyu in Korean. This music book was printed in 1934 for teaching Jongmyojeryeak. From 1934 till now 寵綏 has been read as Chongyu in Sino-korean like learning books for Sino-Korean as shown above : Sinjeungyuhap and Cheonjamun printed in 16th century. 寵綏 has been named in 1463 and has been read as Chongyu in 16th century. Till 20th century, 寵綏 has been read as Chongyu on the traditional customs and old learning books. Also many musicians who have studied or have played for decades have pronounce it as Chongyu . From 16th century, Chongyu is the proper name for 寵綏 according to the Sino-Korean learning books. The name is not for the scholars who have not played any chapter in Jeongdaeup but for the musicians or students who have been playing and studying 寵綏 for decades on the traditional custom from the beginning of the music Jongmyojeryeak .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