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대안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와 그 가치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인천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안지언 ( Ji Un 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2

        이 글의 목적은 현재 대안학교가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와 그 가치를 탐색하는 것이다. 국내, 대안교육 출범시기가 약 17년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대안학교 내에서 실제로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자들이 가지는 커리큘럼의 목표와 가치는 과연 어떠한 것일까? 대안학교 내의 문화예술교육은 과연 초창기의 이념대로 듀이의 실용주의(pragmatism)에 기반한 일상으로의 확장을 반영하는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교수, 학습자는 대안학교내 예술교육의 가치 및 현황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본 연구는 상기한 문제의식들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제 문제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방법으로 인천에 소재한 6개의 대안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 7명을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1) 놀이와 창의성 (2) 학습 및 교육의 효과 (3) 일상으로의 확장, 크게 3가지로 대안학교 내 예술교육의 의의를 포착하였으며, 대안학교 각 유형 별 공통점 및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미래연구를 위한 방향제언도 함께 논의하여 제시 하였다. Alternative education inauguration period about ``17, The purpose of this study, or goal and value of the curriculum with educators in charge actually a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the current alternative school would really what kind of? I wonder reflect regularly extend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alternative school is really based on the initial idea to Dewey of pragmatism (pragmatism)? If Professor if so, whether the learner has seen how the value and the current state of art education in the alternative school? Lecturer In this study, we are starting in the above problem consciousness, in order to find an answer to the problem, in this paper, which is in charge of Incheon six instead of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in a qualitative way 7 people I interviewed (in-depth interview). This result of the study, which was based the following street:(1) play and creativity (2) learning and education of effect (3) regularly extension, captures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of big three in the alternative school, and describe the differences and alternative school each type another common point was.

      • KCI등재

        심미적·지역문화 공간으로 어린이전용극장의 가치와 의의에 관한 연구

        안지언 ( An¸ Ji-un ),마수현 ( Ma¸ Soo-hyun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5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심미적 지역문화 공간으로 어린이전용극장이 무엇이 내재되어 있는지, 어떤 가치가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지역중심 어린이전용극장의 대표적인 미국·국내 사례의 중심으로 기획·감독 전문가 PII(개별조사면접)을 통해 면담, e-mail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심미적 지역문화 공간으로 어린이전용극장의 가치와 의의를 분석하여 유형화하였다. 결과: 첫째, 심미적 공간으로서 지역 어린이전용극장의 가치는 상상력교육으로서 가치를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심미적 공간으로 어린이전용극장의 가치화에 있어서 ‘마치~되는 것(as~if)’과 같은 상상력의 공간의 환원은 어린이전용극장이 심미적공간이 될 수 있는 주요 요소임을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공동체성으로의 가치이다. 지역중심의 어린이전용극장은 물리적·정서적 공간을 뛰어넘어 공동체(Community)기반의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와 특징을 감당하고 있었다. 지역의 예술가·시민(아동·어른)에게 공동체성을 발휘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셋째, 융합교육으로서 역할을 감당하고 있었다. 융합(Convergence)의 정의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핵심이라고 한다면, 본 공간에서 예술장르· 다양한 문화·대상들이 서로 융합함을 통해 새로운 ‘하나의 경험’ 일어나고 있었다. 앞으로도 지역문화공간으로서 어린이전용극장이 활성화 되어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적 구조와 환경을 반영하여 심미적 공간으로서 역할이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hildren's theaters are organized and what values are embedded into aesthetic and local cultural spaces. Methods: Based on representative American and domestic examples of children‘s theaters, data from interviews and e-mails were collected through PII (individual survey interviews) and analyzed, and children’s theaters typified aesthetic and local cultural spaces. Results: Children’s theaters play a role in imaginative education. A case study confirmed that the return of imaginative spaces, such as "as-if" situations, is a major factor in children's theaters developing into aesthetic spaces. Second, children’s theaters are valuable to communities. Children's theaters deal with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based social capital, beyond just physical and emotional spaces. Children’s theaters were established as a place for local artists and citizens (children and adults). Third, children’s theaters play a role in convergence education. If the definition of convergence is a key to creating new values, then children’s theater programs, intermediaries, and alternative spaces act as spaces where ideas converge to create synergy. We hope that children's theaters will continue to be activated and play their role as aesthetic spaces, reflecting continuously changing social structures and environments.

      • KCI등재

        ‘진지한 여가’ 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노인여가교육의 미래방향 탐구

        안지언(Ji-Un, An),이병준(Byung-Jun, Yi)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4

        여가연구에서 생성되는 담론들은 고령사회로 이행하는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인식을제공한다. Robert Stebbins에 의해 정립되어진 ‘진지한 여가전망’(SLP) 담론은 노년기 삶과일, 그리고 학습의 문제를 바라봄에 있어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특히 활동력 있는 새로운 노인세대의 등장과 노년기의 일과 여가의 문제 등을 고려해볼 때 진지한 여가 담론은 보다폭넓은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tebbins의 진지한 여가 담론이 고령사회에서의 노인을 위한 여가교육의 실천적 차원에서 어떻게 이론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를 밝혔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Stebbins의 진지한 여가담론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며, 둘째로는진지한 여가담론이 창의적인 나이듦의 가치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는 진지한 여가담론이 제공하는 노인여가교육의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Stebbins는 여가를 진지한 여가, 일상적 여가 그리고 프로젝트 여가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분은 노인여가교육의 실천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과 내용분석이라는 해석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The discourses created in leisure research provide a very important perception in the modern society that transitions to an aging society. The “Serious Leisure Perspective” (SLP) discourse, established by Robert Stebbins,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looking at the problems of life, work and learning in old age.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a particularly active new elderly generation and the problems of work and leisure in old age, serious leisure discourse can provide a wider perspectiv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clarify how Stebbins serious leisure discourse can theoretically contribute to the practical dimension of leisure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an aging society. For this reason, first, I want to systematically reveal the content of Stebbins serious leisure discourse. Second, I want to reveal how serious leisure discourse is connected to the value of creative aging. Finally, I want to review the implications of leisure education for the elderly provided by serious leisure discourse. Stebbins divides leisure into three types: serious leisure, daily leisure, and project leisure. This division is expected to bring about new changes in the practice of leisure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analytical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재배움의 가치와 의미연구 - 직업훈련 장에서의‘연극놀이지도자’과정 중심으로

        안지언(Ji-Un, An),이송하(Song-Ha,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6

        In the case of female sex, the life of the female, and the life of the female and the female. cycle) and the nature of the story and the nature of the self-determination. It's a good idea, and it's a woman's relationship with a woman. With the above problems, in this research, after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and grasp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efinition of the Women'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the possibility of re-learning women with career breaks through discussions on the combination of vocational training and cultural arts education. I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Next, the value and meaning of re-learning through cultural arts education will be utilized by the method of qualitative case study, and eight career-disrupted women will be centered on the process of teaching theatrical play at the Ashihara Women'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An individual learner interview (PII) was conducted.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s in terms of "vocational training meaning", "lifelong education meaning", and "cultural art education meaning", and finally being treated in the dimension of lifelong education is a proposal for improving education for women with discontinued careers. Described the limits of the study. 여성의 일자리에 관한 논의는 중요성을 인지하면서도 경력단절여성을 ‘차상위계층’으로 분류하여 정책화되어져 왔다. 여성은 결혼, 출산, 육아라는 여성의 삶의 연속성(life-cycle)과 특수성에서 일자리뿐 아니라 자기정체성에 혼란을 야기하였다. 이에, 최근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한 ‘재배움(다시 배움)’기관과 프로그램들이 다수 형성되면서, 문화교육과 직무교육 등 다양한 형태로 여성의 재사회화와 사회 진출을 돕는 교육의 공급이 늘어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안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 여성인력개발센터의 현황과 정의를 파악한 후, 직업훈련과 문화예술교육의 접목에 관해 논의를 통해 경력단절여성의 재배움의 가능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재배움의 가치와 의미를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노원여성인력개발센터의 연극놀이지도자과정 4기 과정을 중심으로 8인의 경력단절여성 학습자 개별인터뷰(PI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직업훈련적 의미’, ‘평생교육적 의미’, ‘문화예술교육적 의미’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평생교육적 차원으로 다뤄져야 할 경력단절여성들의 교육 개선점 제언과 연구한계를 기술하였다.

      • KCI등재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질 관리 연구

        안지언(Ji-un An),이송하(Song-ha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라는 장(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창작-유통-향유가 이루어진다는 근거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기본방향을 탐구하기 위해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담론연구와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활동을 10년 이상 지속한 문화예술 기획자, 예술강사, 관리자와의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해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 논의를 정리하고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모형을 도출하여 ‘요소, 체계, 역할’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예술교육의 질 관리 영역은 ‘수요자, 역량, 기반’으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제도적 시스템, 과정적 시스템)를 도출하였다.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가 선순환구조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대안을 통해 지역의 자율성, 역량강화 시스템, 협력 및 네트워크 형성 등이 담보되어야 한다. 끝으로 연구한계와 의의를 밝혔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gional culture of arts education ecosystem based on the evidence that the creation-distribution-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arena(field) of the loc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lternatives to revitalize th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ecosystem in order to explore the basic direction for quality manage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is a discourse study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a focal group interview (FGI) with culture and arts planners, art instructors, and managers who have continued cultural arts education activities for more than 10 years, centered on the Daejeon region. Through this, the discussion on quality manage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organized, and elements, systems, and roles were presented by deriving a model of th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eco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quality management area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consumers, capabilities, and foundations , and based on this, a regional cultural arts education ecosystem (institutional system, procedural system) was derived. In order for th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ecosystem to be activated in a virtuous cycle, local autonomy, capacity building systems, cooperation and network formation must be guaranteed through policy alternative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were reveal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업 예술인이 생각하는 예술(藝術)의 가치 탐색 및 예술인 복지법에 관한 인식 연구

        최진경(Choi, Jin-Kyung),안지언(An, Ji-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2 문화산업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예술인들이 생각하는 예술의 가치를 탐색하고 예술경제로써 예술에 관한 질문과 예술가가 느끼는 예술인 복지법에 관한 필요와 인식을 연구하기 위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의 주제에 관하여 연구절차는 존 러스킨의 예술경제이론과 국가 별 예술복지제도에 관한 고찰과 사례연구로서 연구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순수 예술가들을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로서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통해 반 구조화된 질문으로 예술가로 경험과 생각을 진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10년 이상의 직업으로서의 예술가로 정체성을 가지는 전업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국내와 국외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는 예술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계에는 특수한 아비투스가 있고 예술가들은 예술 행위를 실현한다는 것에 그들이 지닌 사명감이나 가치실현을 우선으로 한다는 것이 직업으로서 예술가 활동을 지속하는 이유가 된다. 둘째, 순수 예술을 한다는 것은 예술 ’행위’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포함한다고 보기에 예술 활동이 노동시장에서 예술 경제로써 정당하고 타당한 예술의 소비재의 기능이 정상 가동되도록 예술가의 역할과 인식조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예술인과 외국에서 활동하는 예술인의 예술인 복지 인식 비교에서 우리나라 예술인 복지법은 다소 절차가 까다롭고 최하위 계층임을 증명해야 하는 등의 실효성 면에서 어렵다는 인식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제언으로 예술계의 아비투스를 이해하고 반영하여 실효성 있는 예술인 복지법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of art that artists think, and to study the questions about art as an art economy and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artists welfare laws felt by artists. Regard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dure is a qualitative case study by selecting pure artists who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s a case study and an examination on John Ruskin’s art economy theory and national art welfare system, and FGD(Focus Group Discussion)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s so that I can state my experiences and thoughts as an artis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rtists based in Korea and abroad as research participants for full-time artists who have an identity as an artist as a profession for more than 10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pecial habitus in the art world, and the reason artists continue their artistic activities as a profession is that they give priority to the sense of mission or value they have in realizing the artistic act that they have cultivated throughout their lives. Second, since performing pure art implies that the ’act’ of art itself includes social valu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ole and awareness of the artist so that artistic activity is justified as an art economy in the labor market and the proper functions of art consumer goods are normally operated. Third, there was a perception that the Korean Artist Welfare Act was difficult in terms of effectiveness, such as a rather complicated procedure and the need to prove that it was the lowest class in the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artist welfare between artists working in Korea and those working abroad.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n effective artist welfare law by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the habitus of the art world as a future suggestion, and describ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