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길준의 해외체험과 민주주의의 유교적 수용 : 전통과 근대의 융합

        안외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6 한국문화연구 Vol.11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대표적인 개화사상가인 유길준(兪吉濬 1856~1914)의 근대적 해외유학 경험과 그 문화수용의 성격을 재고찰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의 서구문물 수용관은 특히 유교적 성격 혹은 전통적 성격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직 왜 그의 문명관 혹은 문화 수용관이 유교문화 혹은 전통문화를 보수 혹은 근대문화와의 융합을 취하게 된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미진했었다. 이 논문은 바로 이 점과 관련하여 그의 해외문화 체험을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해외유학 이전의 그가 조선에서 받은 교육의 성격에 주목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이것이 이후 해외체험과 유기적 연관을 갖는다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대략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길준은 해외 유학 이전에 조선의 전통적인 최고 엘리트 계열의 교육, 즉 일반적인 조선주자학 교육은 물론 조선말기 학문적 특징인 경화사족(京華士族) 중심의 학문을 교육받았다. 그 가운데서도 그는 특히 북학파적 실학(實學)의 산실로 청(淸)의 태서신학(泰西新學)까지 수용했던 그룹의 경화학풍을 학습했던 것이다. 그 결과 그는 해외유학 이전에 조선유교의 내재적이고 자발적인 근대화 노력을 수행하였던 그룹의 막내로서 조선유학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었다(2장). 그런 그가 최초의 '근대 문명국가'인 일본과 미국에 유학하였다. 그곳에서 그가 새롭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체험한 배움은 근대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중요성이었다. 그는 서구 국가의 부강함이 근본적으로 참정권을 중심으로 한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채택과 인민의 자유권에 있음을 확신하였다(3장). 이러한 조선에서의 교육과 해외유학을 통한 학습은 귀국 후 그로 하여금 향후 조선의 진로에 대해 서구 근대 민주주의 정치제도와 전통 유교적 정치원리의 융합이라는 대안을 제시하게끔 만들었다. 그것은 전통의 장점과 근대의 장점을 취합하는 전통과 근대의 융합이었다고 하겠다(4장). 이러한 그의 전통과 근대의 융합 혹은 유교와 민주주의의 융합적 시도는 당시는 제국주의의 전개고 실패하였으나 탈근대적 대안을 모색하는 오늘날은 오히려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다(5장). The purpose of study was to review nation's model enlightenment ideologist Yu Kil-joon's (1856-1914) overseas education experiences and nature of the cultural accommodation. Preceding studies about him seem to have agreed in a sense that his view of accommodating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culture was much Confucian or traditional. However, few preceding studies have focused on why his view of civilization or cultural accommodation was harmony of Confucian or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one.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his experiences of foreign culture in this sense. To this end,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nature of his education in Korea before his overseas education in order to determine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his two educational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efore his overseas education, Yu Kil-joon was educated within an elite Confucian education system. Namely, he learned about general theories of Neo-Confucianism, while being educated on the subjects programmed for the high literati class residing in the capital. Among them, he learned about the theories developed by an academic group or a base for Northern Learning, who had accommodated even New Western Learning of Ching China. Thus, he was proud of Confucianism during Chosun dynasty, although he had been the last runner of Chosun Confucian scholars championing a spontaneous and voluntary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before his overseas education(Chapter Ⅱ). After all, he would study in the 'modern civilized nation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for the first time among Koreans. What he learned anew and specifically there was the modern democratic political system. He would be convinced that the power and wealth of the Western nations were attributable to the democratic political system and people's rights of liberty(Chapter Ⅲ). Owing to his two different educational experiences in Chosun and overseas, he would suggest, upon returning home, the alternative to merge the Western modern democracy and the traditional Confucian politics. It was a merge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taking advantages of the both(Chapter Ⅳ). Although such an attempt to merge Chosun's tradition and modernity or Confucianism and democracy failed due to invasion of imperialism, it may well be a good model today when a de-modern alternative should be explored(Chapter 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학교모범(學校模範)』에 나타난 고등교육 정책 : 정치와 교육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안외순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5 동방학 Vol.33 No.-

        인간은 교육행위를 통하여 자기 속의 잠재적 능력들을 계발함으로써 노동생활도 영위하고, 국가생활도 영위한다. 특히 국가에 의한 제도교육은 인류의 문명생활의 진보와 분리되어 이해될 수 없고, 또 그만큼 해당 국가의 정치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율곡(栗谷) 이이(李珥)는 교육과 관련하여 자기교육인 수기(修己)에도 관심을 기울였지만, 타인교육(他人敎育)에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당대 최고의 정치학자이자 관료였던 율곡이 국왕 선조(宣祖)의 명으로 학교모범(學校模範)을 저술한 목적은 고등교육 기관인 중앙의 성균관과 사학(四學), 지방의 향교 교육을 혁신하기 위해서였다. 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육활동은 주체의 개인 및 가정, 국가 및 학교 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국가구성원 모두의 행복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 관계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존엄성과 학습권은 어떤 경우에도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 셋째, 교사선발 기준을 엄격하게 하되 경제적, 사회적 대우를 충분하게 제공하여 존경받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입학기회는 경제적, 신분적 배경을 초월하여 학문의지와 실력만으로 선발하는 공평성과 개방성을 보유하고, 학사관리는 엄정하게 해야 한다. 다섯째, 성균관과 사학, 그리고 향교는 중앙과 지방이라는 지역적 차이 외에는 어떠한 차별 없이 미래 국가관료를 양성하는 고등교육 기관으로서 동등한 위상과 역할을 차지한다. 상기 율곡의 교육정책 인식은 오늘날의 교육현실을 개혁하는데도 강력하게 유효하다. Through an act of education, human beings develop their potential abilities in them and experience lives as a laborer and as a citizen of a country. Advancement of humankind’s civilization cannot be understood completely without education system operated by a nation. Education is that much crucial in deepening understanding about a country’s politics. Yulgok Yi I’s view on educational issues stands out because his interests span not only Su-Ki, education for oneself, but also education for others. He, then the prominent political scientist and government official, wrote Model School(Hakkomobeom) by the order of Seonjo, the fourteen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Aimed at innovating the country’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eonggyungwan and Sahak, and Hyanggyo in non-capital areas, Model School’s’ key messages are as follows: First, all education should pursue successful lives at an individual, family, nation, and school level. This eventually should be related to ensuring happiness for every member of a community. Second, students’ dignity and right to education should not be violated for any occasion. Third, teachers should be recruited under strict selection processes yet also be offered with educational and social rewards to garner enough respect. Forth, any students, regardless of socioeconomic statu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get into educational institutions only based on their academic zeal and performance. Such equity and openness should be secured, and school affairs should be regulated strictly. Fifth, there should be no discrimination between the nation’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t the capital --Seonggyungwan and Sahak, and institutions at non-capital areas-- Hyanggyo. The only distinction should be where those institutions are located in. These policy suggestions made by Yulgok still have strong relevance to today’s education reform.

      • KCI등재

        선조 초년 남명 조식과 율곡 이이의 정치 인식 비교 -<戊辰封事>와 『東湖問答』을 중심으로-

        안외순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examine the political perceptions of Nammyeong (南冥) Cho Sik (曺植, 1501~1572) and Yulgok (栗谷) Lee Yi (李珥, 1536~1584), the representative 16th-century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period, who looked at problems and consequent solutions of the times in the same manner despite different circumstances. As Nammyeong and Yulgok had 35-year age gap, their entire life and behavior also had big difference at a glance. While Nammyeong lived a life as ‘Cheosa’(處士, not serving the political power), an ‘intellectual from outside the government’ for his entire life, Yulgok was ‘Chulsa’ (出仕, serving the political power) who promoted reformative politics, holding a series of government posts after entering into central politics at an early age. However, they were representative doers in different sectors and also had common ground from that perspective; Nammyeong did not ever stop raising his voice in real politics as a scholar out of political power and Yulgok pursued reform policies in real politics all his life. Focusing on Mujinbongsa(戊辰封事), a work of Nammyeong and Donghomundap (東湖問答) by Yulgok that demanded political reforms in early years of King Seonjo, this paper examines an aspect that both scholars identically recognized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times in spite of their different circumstances. 이 논문은 16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유학자 가운데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 1572)과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의 정치인식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그들의 개인적인 정치적 삶과 처지는 달라도 시국의 문제와 그 해결방식을 바라보는 점에 있어서는 동일했던 점을 확인하였다. 남명과 율곡은 35세의 나이 차이만큼이나 일생의 삶과 처신에서 일견 많은 차이가 있다. 남명은 일생을 ‘재야의 비판적 지식인’인 ‘처사(處士)’로서의 삶을 살았다면 율곡은 일찍부터 중앙정치 무대에 진출하여 중요 요직을 거치면서 개혁정치를 펼쳤던 ‘출사(出仕)’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명은 평생토록 재야에서 부당한 현실정치에 대한 비판을 멈추지 않았고, 율곡은 현실정치 속에서 평생 개혁정책을 추진하였다는 면에서 각각 다른 세계의 대표적인 실천가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 글에서는 선조 초기에 저술된 남명의 <무진봉사(戊辰封事)>와 율곡의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중심으로 구성과 체계성 여부에는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선조에게 폐정(弊政)을 개혁함으로써 왕도정치를 실현할 것을 요구하되 그 기본 구조는 군주인 선조(宣祖)의 명선(明善)과 성신(誠身)(수기(修己)), 용현(用賢), 그리고 안민(安民) 정책의 구조로 되어 있고 , 군주의 명선과 성신(수기)의 실천이 다름 아닌 폐정을 개혁하는 데 달려있다고 보는 인식이 동일하다는 점을 밝혔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저우언라이(周恩来)의 구동존이(求同存異) 외교사상과 유교의 인서(仁恕) 가치 전통

        안외순,洪子怡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동방학 Vol.35 No.-

        이 논문은 현대 중국의 탁월한 외교지도자이자 총리였던 저우언라이(周恩來, 1898-1976)의 대표적인 외교정책인 ‘구동존이(求同存異)’ 원칙이 중국의 전통사유체계인 유교의 인(仁)과 서(恕)에서 각각 유래한 것임을 새로이 밝혔다. 그의 ‘구동존이’는 1955년 아시아/아프리카 대표들이 모인 반둥회의에서 중국측 대표로 연설한 평화공존 5원칙 주창에 이어, 보충발언에서 구체적으로 피력되었는데, 이후의 그 효과와 영향력은 대단하였다. 덕분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그것이 특히 중국의 전통사상인 유교의 인서(仁恕) 이론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임은 밝혀진 바 없었다. ‘구동존이’는 아시아/아프리카 국가들이 서구 제국주의로부터 정치적, 경제적 독립을 쟁취해야 한다는 공통의 문제를 안고 있다는 ‘구동(求同)’의 문제인식과 해결을 위해 당시 각국의 자본주의냐, 사회주의라는 체제적 차이에 대해서 상호 인정하자는 ‘존이(存異)’는 각각 유교의 핵심 가치인 인(仁)과 서(恕)의 원리를 준용한 것이었다. 즉 ‘구동’은 ‘내가 원하는 것은 남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적극적인 배려의 준칙’인 ‘인’의 개념에서, ‘존이’는 ‘내가 싫은 것은 남에게도 행하지 말라’라는 ‘소극적 배려의 준칙’인 ‘서’의 개념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구동존이’ 사상 형성에 미친 ‘인서(仁恕)’의 영향은 이와 같은 논리도 그러하지만 실제 저우언라이 자신이 <아시아/아프리카회원국회의> 중국대표 보충발표문에 직접 논어(論語)의 관련 구절을 인용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This paper reveals how the principle of 'qiu tong can yi (求同存異: seeking out common points with differences upheld),' a foreign policy initiative led by the great diplomat and premiere of contemporary China, Zhou Enlai, originates from the Confucian ideals of 'ren' (仁: benevolence) and 'shu (恕: forgiveness)' - a traditional Chinese ideology. Zhou's concept of 'qiu tong can yi' was delivered in an additional speech which followed the promulgation of the five principles of peace at the 1955 Bandung Conference, a meeting of Asian and African leaders where Zhou represented China; the concept had a significant impact. Much research has therefore been conducted on the idea, but none has shown that the concept was heavily influenced by China's traditional Confucian theory of 'renshu (仁恕: benevolence and forgiveness).' 'Qiu tong (seeking out common points)' referred to the common challenge shared by Asian and African nations which needed to achieve political and economic independence from Western imperialism, where as 'can yi (upholding differences)' referred to an attitude of mutual acceptance with regards to different ideological systems, be it capitalist or socialist, as different nations tackle the challenge in their own ways; these ideas drew from the core Confucian precepts of 'ren' and 'shu,' respectively. In other words, 'Qiu tong' comes from the idea of 'ren (benevolence),' a principle of proactive consideration which enables others to do what I would want to do; 'can yi (upholding differences)' is a development of 'shu,' a passive form of consideration which forbids one from doing things to others which one does not like oneself. While such logical link elucidates the influence of 'renshu (benevolence and forgiveness)' on the idea of 'qiu tong can yi (seeking out common points with differences upheld),' it should not be missed that Zhou himself, in his additional speech as the Chinese representative at the Asian-African Conference, quoted related lines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형치, 법치, 그리고 덕치 : 조선의 좋은 정치[善政]

        안외순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1 동양문화연구 Vol.8 No.-

        This study consists of roughly two sections: one to correct the misconception of Confucianism, Governance by Law and Governance by Virtue by adding the concept of Governance by Punishment; and the other to look into their examples from the governance under King Sejong in Joseon Dynasty. No political community can exist as it is without the character of Governance by Law because the physical enforcement represented by law can exist legally only in a political space. This is not different in a Confucian community too. Unlike such persistent and stubborn prejudice of the western scholars, Confucian communities have conceptualized, from two forms of Governance by Law, the 'Agreement' into 'Governance by Virtue' and 'Enforcement' into 'Governance by Punishment' under the cognition that 'Good Politics' are only on the community that maximizes the agreement based Governance by Virtue while minimizing the enforcement based Governance by Punishment. Joseon Dynasty worked also in the same way as she put Confucianism as her national political idea. King Sejong positively used both (enforcement based) Governance by Law in the style of Governance by Punishment and (agreement based) Governance by Law in the style of Governance by Virtue. As he was the best king of Joseon Dynasty, a Confucian country, however, King Sejong performed the idea of DeokJuBeopBo(德主法輔: Governance mainly by virtue with supplementation by law) that maximized Governance by Virtue while minimizing Governance by Punishment. He did not want to perform Governance by Punishment in most cases except for inevitable cases. Even in such inevitable cases, he stood on the Idea for Minimal Punishment. He enacted the acts for the poor and minor group including the acts for the people to accuse their local governors of greed and corruption directly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 acts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the slaves from tyranny of their owners and etc, trying to look for the reason of existence of Governance by Punishment only from the original spirit of law that should protect the poor and minor group. Such performance of DeokJuBeopBo by King Sejong was his efforts to realize a community of Governance by Virtue based on the idea to feed and enlighten the people, and it is a valuable model that alerts today's climate prevailed by law, which is like Governance by Punishment. 이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유교의 법치(法治), 덕치(德治) 관념의 오래된 오해를 풀기 위해 형치(刑治) 개념을 추가하여 해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실제 사례를 조선(朝鮮)의 세종(世宗)의 치세를 통해 논증하는 것이다. 어떤 정치공동체든 그것이 정치공동체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법치(法治)의 성격을 벗어날 수 없다. 법으로 대표되는 물리적 강제력은 정치적 공간에서만 유일하게 합법적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교사회는 법치의 두 기제 가운데 ‘동의’ 부분을 ‘덕치’로, ‘강제’ 부분을 ‘형치’로 개념화 하였고, 강제에 기반한 형치가 최소화되고, 동의에 기반한 덕치가 최대화하는 공동체야말로 ‘좋은 정치, 곧 선정(善政, Good Politics)’라고 인식했다. 조선의 세종(世宗) 또한 당연히 형치적 법치(강제)와 덕치적 법치(동의) 모두를 사용하였다. 다만, 세종은 형치를 최소화 시키고 덕치를 최대화하는 덕주법보(德主法輔)를 실천하였다는 점에서 유교적 최고 군주였다. 세종은 형치의 경우 부득이할 때 행하였고, 그나마 경형주의(輕刑主義)에 입각하였다. 또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방관의 탐호와 비리를 백성들이 직접 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법령을 제정하고 주인의 횡포로부터 노비의 인권을 보호할 수 있는 법령 등을 제정하였다. 이는 세종이 법의 본래 기능을 약자를 비롯한 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보호라는 법정신에서 찾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세종의 덕주법보 실천은 양민(養民)과 교민(敎民)에 기반한 덕치공동체의 구현 노력이었고, 오늘날과 같은 형치식 법률 만연 풍토를 극복하는 귀감이다.

      • KCI등재

        전쟁과 평화에 대한 孟子의 인식

        안외순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6

        이 글은 전쟁과 평화에 대한 맹자의 인식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맹자에게 있어서 전쟁이란 기본적으로 피아(彼我)를 모두 파괴하는 악(惡)이다. 맹자는 전쟁이 발생하는 원인을 강국/부국, 곧 패도정치(覇道政治 politics of power)의 지향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맹자는 현실에 존재하는 모든 전쟁이 동일한 수준의 것이라고 파악하지는 않았다. 동기나 목적에 따른 질적 차이에 대해서는 인정하였다. 요컨대 자국의 영토 확장이나 권력자의 탐욕 때문에 타국의 국권과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대부분의 침략전쟁이 존재하는가 하면 자국의 국권수호를 위한 방어전쟁, 그리고 이를 원조하는 주변국들 해방전쟁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이 가운데 맹자에게 있어서 방어전쟁과 해방전쟁은 국민의 생존과 자국 보호를 위한 부득이한 전쟁으로서 상대적으로 정당한 전쟁에 속한다. 맹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평상시의 노력이다. 요컨대 평상시의 내수(內修)에 기초한 국방력 강화 및 주변국들과의 우호적 관계에서만이 가능한 외교적 노력을 요구했다. 그러나 맹자에게 있어서 전쟁상태를 종식시키고 평화를 찾는 근본방법은 무엇보다도 왕도정치 곧 인정(仁政 politics by virtue)이었다. 맹자에 의하면, 인정은 백성들의 생명보호와 이를 통한 백성들의 윤리화를 최우선 목표로 삼는 정치, 곧 ‘양민과 교화[養民而敎化]’의 도덕정치이기에, 이러한 정치공동체라면 적이 침략했을 때 인민들은 국가가 요구하지 않아도 자신의 생명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국가를 지키고자 헌신할 것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ystematically look into Mencius's thoughts of war and peace. To him, war is an evilness that must destroy both sides. War breaks out because of desire of a powerful/rich nation so-called politics of power. However, every war in the world cannot be regarded as evilness. They are essenti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own motivation or purpose of each. Some wars are for invasion of seizing the others' lives and the other nations' independent rights, and accordingly there must be the wars for defense and wars for independence against such invasive wars. To him, such wars for defense and wars for independence are righteous. Furthermore, every independent nation must make efforts to prevent wars and build peace. For this, he told the nations to reinforce their defense power and make diplomatic efforts. Most of all to him, however, it is politics of capable and righteous king; politics by virtue that can end the war age getting uncivilized and build peace essentially. He said that politics by virtue is to protect the people's lives for ethical enlightenment of them at the most; politics of ethics for 'feeding people and enlightening them'. That is, politics by virtue is the best way of security and peace-building because the people living in such political community for people and their enlightenment will voluntarily contribute to national defense to protect their own lives and rights even if they are not required to do so by their government when their nation is invaded by enem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