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교사의 수업역량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구성주의 교육신념의 매개효과

        심지경,김미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성주의 교육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창의적 교수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전국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 국공립, 직장, 민간 등 어린이집 유아교사 274명이고, 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창의적 교수행동, 구성주의 교육신념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창의적 교수행동,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창의적 교수행동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구성주의 교육신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 교수행동 증진을 위해서 유아교사의 수업역량과 구성주의 교육신념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성주의 교육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지경 ( Sim Ji Kyeong ),김미애 ( Kim Mia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성주의 교육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을 위해 필요한 창의적 교수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했다. 연구대상은 전국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 국공립, 직장, 민간 등 어린이집 유아교사 274명이고, 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창의적 교수행동, 구성주의 교육신념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창의적 교수행동,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모두 상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창의적 교수행동 및 그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구성주의 교육신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 중심 및 유아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증진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구성주의 교육신념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 in the effect of their teaching competencies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It also explored ways to enhance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necessary for manag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various types of child car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using surveys on the instructional competencie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nd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structional competencie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nd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nd the sub-factors.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when their instructional competencies influence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s well as promoting their teaching competencies in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at emphasizes play-centered and early childhood-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심지경(Ji Kyeong Sim),김미애(Miai Kim)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 자료로부터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집중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정교화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분석은 Charmaz(2014)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응답을 녹음한 후 전사하여 초기코딩, 초점코딩, 이론적 코딩의 과정을 거쳤다. 이론적 코딩은 데이터에서 출현하는 주제에 따라 소진에 대응하는 교사들의 행위와 전략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1) 교사가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소진 2) 교사가 대응하는 소진3) 교사를 변화시키는 소진으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나타난 범주 및 하위 범주는 유아교사들의 소진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정체성 형성 이론으로 이론화되었다. 논의는 유아교사가 그들의 개인적, 전문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전문성을 발달시키는 데 있어 소진 경험이 그들의 정체성 형성과 어떻게 연결되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자아를 확인하는 소진, 둘째, 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소진, 셋째, 대응을 위한 의도적 행위를 생성해 내는 소진, 마지막으로 필연적인 전문성 생성으로의 소진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burnou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this study developed a contextual theory from the data. Eight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were interviewed intensively, and their stories were elabor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armaz's(2014)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including initial coding, focus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Theoretical coding focused on teachers' behaviors and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ir burnout with themes emerging from the data. The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identified in the results were theorized as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e burnout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iscussion focused on how burnout i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discussion centered on four aspects of burnout: 1) burnout as a means of confirming self; 2) burnout as a means of confirming professional identity as a teacher; 3) burnout as a means of creating intentional actions for response; and 4) burnout as a means of inevitably creat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원격교육 실천 경험과 인식

        김미애,심지경,곽희선,김언경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0 No.4

        This study explored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of distance education execu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We examined the changing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meaning of their practice in a hyper-connected society through teachers’voices. For the study, we selected seven kindergarten teachers and intensively interviewed them using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itial coding, focused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1) looked for directions to solve problems in confusion, 2) practiced strategies to manage the curriculum for distance education, and 3) expanded connections utilizing technolog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eacher expertise that requires cooperation, emerging roles of teachers who need technological competencies, hierarchical teacher expertise, finally, teacher practices that expand connections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eachers use various strategie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for distance education and actively participate in solving problems, thereby re-recognizing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anding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are required in a hyper-connected society.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이후 유치원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원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을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탐색함으로써 초연결사회의 새로운 교육환경에서의 유아교사가 바라보는 그들의 역할과 교사 실천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7명의 교사를 선정하였으며 집중면접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를 정교화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분석은 Charmaz(2014)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응답을 녹음한 후 전사하여 초기코딩, 초점코딩, 이론적 코딩의 과정을 거쳤다. 이론적 코딩은 데이터에서 출현하는 주제에 따라 원격교육 상황 속에서 교사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1) 혼란 속에서 방향 찾기 2) 원격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략 실천하기 3) 테크놀로지로 연결 확장하기로 나타났다. 유아교사가 밝힌 원격교육에서의 그들의 경험은 초연결사회의 새로운 교육환경에서의 필요한 교사의 역할 및 그들이 지닌 전문성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첫째, 협력이 전제되는 교사전문성, 둘째, 테크놀로지 역량이 필요한 교사실천, 셋째, 위계적인 교사전문성, 마지막으로 초연결사회에 연결을 확장시키는 교사실천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