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aradoxes and Contradictions of Child Care Teaching as Gendered Work

        김미애 ( Miai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6명의 미국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젠더화된 일로서 보육이 어떻게 개념화되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해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Corbin & Strauss (2008)의 근거이론방법론에 의해 데이터가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주제는 1) 젠더화된 일로서 보육에 대한 개념화, 2) 비젠더화된 일로서 보육에 대한 개념화, 3) 여성문화를 창출하는 것으로서 보육에 대한 개념화이다. 어린이집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나타난 이러한 범주들은 이 보육 업무가 지닌 모순과 상반적 본질을 보여줌과 동시에 각각의 범주가 서로 연관되고 얽혀있는 것을 보여준다. 논의를 통해 어린이집 교사들이 보여준 개념화의 비일관성은 이들 교사들이 겪는 현실의 복잡성을 보여주고 또한, 보육에 대한 일반적인 담론과 교사 개개인의 경험 사이에서 어떻게 어린이집 교사들이 협상을 통해 자신의 일에 대한 의미를 만들어가고 있는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유아교사의 일을 이해해야할 필요성과 보육에 대한 교차문화적인 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교육자 및 행정가들이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보육업무를 이해하고 지원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six America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work as gendered work.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llowing Corbin and Strauss``s(2008) grounded theory methodology, data were analyzed to find emergent theme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1) conceptualization of child care work as gendered, 2) conceptualization of child care work as non- gendered, 3) conceptualization of child care work as creating women``s culture. The categories about the participants`` conceptions of their work demonstrated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of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s. Each category was interrelated and interwoven with one another. It was discussed that the inconsistencies of the teachers`` perceptions reflect the complexity of child care teachers`` reality and their negotiations between dominant beliefs about what child care work means and the elements of their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eriences that they bring to their profession.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volved a need to utilize feminist perspectives in analyzing gendered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ing and a need of cross-cultural research on child care teachers`` conceptualization of their work.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ed that teacher educators, directors or administrators can help fe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conscious of gender, bring their gendered experiences to teaching, and make use of gender in their practice.

      • KCI등재

        누리과정 운영의 노동과정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일에 대한 탐색

        김미애(Miai Kim)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누리과정 시행 이후 시장경제체제 안에서 정부가 규제하는 교육 정책적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 유아교사의 일을 비판적/갈등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매뉴얼화된 교육과정의 운영과 평가 속에서 유아교사의 노동강도의 심화(intensification)와 탈숙련화(deskilling)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며 이에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하는 교사의 실천적 행위를 6명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탐색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Corbin과 Strauss(2008)의 연속적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s)를 통해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1) 작업강도의 물리적, 심리적 심화, 2) 업무의 통제력 약화, 3) 창의적 실천, 4) 직업정체성의 혼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누리과정의 이중성, 둘째, 제도 안의서의 대응과 순응, 셋째, 모순적인 전문성의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누리과정 운영 안에서 노동심화와 탈숙련화를 경험하면서 자신의 업무에 대해 상반되고 모순적인 방향으로 개념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 from critical/conflict perspectives on teachers’ work in Nuri Curriculum management that government controls in a marketized system of education. Six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 to examine how they experience intensification and deskilling and how they negotiate and renegotiate to cope with issues in performing their work. Corbin & Strauss’s(2008)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were used to collect and interpret the descriptive data. Findings demonstra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1) experiencing 1) physical and psychological intensification, 2) loss of work control 3) creative teaching practice, 4) confusion of professionalism.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ree aspects: 1) dualism of Nuri Curriculum, 2) teachers’ confrontation and adaptation in the system, 3) contradictory professionalism. confus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is qualitative study showe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experiencing intensification and deskilling in performing their work in Nuri Curriculum, conceptualizing their work in paradoxical and contradictory ways.

      • KCI등재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자율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은연(Shin, Eun Youn),김미애(Kim, Mia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의 자율성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 질 수 있기에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90명과 그의 어머니 29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배경적 변인과 코칭역량과의 상관관계에서 어머니의 학력, 부모교육경험, 수입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유아의 행복감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행역량, 관계역량, 의식역량 순으로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자율성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자율성 6가지 하위요소 중 유아의 자발성, 추구성, 우월성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코칭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 및 부모코칭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코칭역량을 원활히 수행하고 유아의 자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others’ coaching ability on their children’s happ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autonomy.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90 children who were 5 years old and attended in kindergarten in Daegu city and 290 mothers of theirs. Data analysis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21.0. For exploring effects of mothers’ coaching capability on their children’s happiness and the modul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autonom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variables of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s, parental training experiences, and their incomes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coaching capabilities. 2) Mothers’ coaching capabil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children’s happiness. Among the subcategories execution capability had the highest effect and then, relation and consciousness capabilities follows in order. 3) Children’s spontaneity, pursuit, and superiority among the six subcategories of children’s autonom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children’s happiness.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developing parental training programs that can facilitate and improve parents’ coaching capability for improving their children’s happines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성주의 교육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지경 ( Sim Ji Kyeong ),김미애 ( Kim Mia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성주의 교육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을 위해 필요한 창의적 교수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했다. 연구대상은 전국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 국공립, 직장, 민간 등 어린이집 유아교사 274명이고, 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창의적 교수행동, 구성주의 교육신념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창의적 교수행동,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모두 상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창의적 교수행동 및 그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구성주의 교육신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 중심 및 유아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증진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구성주의 교육신념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 in the effect of their teaching competencies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It also explored ways to enhance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necessary for manag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various types of child car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using surveys on the instructional competencie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nd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structional competencie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nd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nd the sub-factors.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when their instructional competencies influence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s well as promoting their teaching competencies in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at emphasizes play-centered and early childhood-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

        텃밭 가꾸기를 통한 환경교육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 인식 및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최명진 ( Choi Myung Jin ),김미애 ( Kim Mia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텃밭 가꾸기를 통한 환경교육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 인식 및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이다. 실험 처치는 실험집단은 텃밭 가꾸기를 통한 환경교육 활동을,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텃밭 가꾸기 활동을 12주 24차시 동안 실시하였고 사전과 사후에 생명존중 인식 및 생태적 감수성 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텃밭 가꾸기를 통한 환경교육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 인식과 생태적 감수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텃밭 가꾸기를 통한 환경교육 활동이 유아에게 생명을 소중하게 느끼고 존중하는 가치를 내면화하고 생명을 보호하고 아끼는 긍정적인 행동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활동일 뿐만 아니라 주변의 식물과 교감하고 환경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느끼는 과정을 통해 생태적 감수성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텃밭 가꾸기가 환경교육으로서 가지는 가치를 부여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실증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backyard gardening on young children's life-respect awareness and their ecological sensi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rty, 5-year-old children(20 for experimental group and 20 for comparative group) attending kindergarten in D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gardening, while the comparative group took part in the general gardening activities for 12 weeks during 24 sessions. Participants in each group were tested on their life-respect awareness and ecological sensitivit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backyard garde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life-respect awareness and their ecological sensitivity. These results show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backyard gardening are not only 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the value of life and the sense of respect for life, but also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ecological sensitivity. Children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surrounding plants, appreciate the importance and beauty of the environment, and express caring and positive behaviors through the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the implication of gardening as a form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at it furnishes important empirical data to utilize the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KCI등재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심지경(Ji Kyeong Sim),김미애(Miai Kim)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 자료로부터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집중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정교화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분석은 Charmaz(2014)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응답을 녹음한 후 전사하여 초기코딩, 초점코딩, 이론적 코딩의 과정을 거쳤다. 이론적 코딩은 데이터에서 출현하는 주제에 따라 소진에 대응하는 교사들의 행위와 전략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1) 교사가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소진 2) 교사가 대응하는 소진3) 교사를 변화시키는 소진으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나타난 범주 및 하위 범주는 유아교사들의 소진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정체성 형성 이론으로 이론화되었다. 논의는 유아교사가 그들의 개인적, 전문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전문성을 발달시키는 데 있어 소진 경험이 그들의 정체성 형성과 어떻게 연결되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자아를 확인하는 소진, 둘째, 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소진, 셋째, 대응을 위한 의도적 행위를 생성해 내는 소진, 마지막으로 필연적인 전문성 생성으로의 소진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burnou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this study developed a contextual theory from the data. Eight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were interviewed intensively, and their stories were elabor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armaz's(2014)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including initial coding, focus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Theoretical coding focused on teachers' behaviors and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ir burnout with themes emerging from the data. The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identified in the results were theorized as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e burnout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iscussion focused on how burnout i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discussion centered on four aspects of burnout: 1) burnout as a means of confirming self; 2) burnout as a means of confirming professional identity as a teacher; 3) burnout as a means of creating intentional actions for response; and 4) burnout as a means of inevitably creat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여현정(Yeo, Hyun Jung),김미애(Kim, Mia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그림책의 작가들이 그림책 안에서 사용한 다양한 일러스트레이션기법과 여러 가지 재료를 활용한 유아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독특한 표현능력과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 창의성과 미술표현능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유아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K시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5세반 20명(실험집단)과 B유치원의 만5세반유아 20명(통제집단) 총40명이다. 유아의 미술 표현능력과 창의성 측정을 위해 각각이미혜(2009)의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와 전경원(2002)이 개발한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주 2회 총 14회의 실험 처치를 실시하였으며, 미술표현능력과 창의성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결과의 자료 분석은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산출해내는 미술활동 자체가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과 창의성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일러스트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의 어떠한 요소들이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positive effects of a children s art program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on kindergarten children’s art expressive ability and creativity. For the goal of the study, an art program was designed to use various illustra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used by illustrators in children’s picture books. The designed program was applied to 5-year-old children with 14 sessions for 14 weeks. For testing children s art expressive ability, instrument of art expressive ability used in Lee Meehye s(2009) research was applied. For testing creativity,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K-CCTYC) developed by Jun Kyung-won(2000) was used. In order to verify effects of the children s art program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on their art expressive ability and creativity,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and then test results were analyzed. This study proves that the designed art program using illustration techniques of picture books has good effects on improvements of children s art expressive abilities and creativity. Factors and detailed elements of the designed art program that influenced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re discussed. It is suggested that the designed art program be utilized as an effective media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n the field.

      • KCI등재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의 인식

        이재경 ( Lee Jae-kyung ),김미애 ( Kim Miai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의 가정환경의 변인으로써 어머니가 차지하는 역할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어머니들의 인식을 통하여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음악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기대를 탐색하였다. 특히 누리과정 시행 이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같은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어머니들이 체감하고 있는 유아음악교육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연계할 수 있는 유아음악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유치원과 어린이집 어머니 모두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인식하였으나, 가정에서는 비교적 소극적인 음악환경을 유아에게 제공하고 있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음악교육은 정규교육과정을 통한 음악교육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에서 부족한 유아들의 음악경험을 교사가 적극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음악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보충적 기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기관에서 유아들에게 주어지는 음악경험은 특별활동의 형태가 아닌, 누리과정 안에서 놀이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통합교육의 형식으로 제공되어져야함을 시사하며 이를 위한 유아교사의 창의적인 계획과 실천이 요구된다. This paper investigated mothers` general perceptions regarding their children`s musical activities and education performed in their home and institutional settings. Based on the fact that most young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have increasingly experienced music as part of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ince Nuri-curriculum appli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ffective ways to teach children music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association with their homes. An analysis of 265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30 items designed to elicit mothers` perceptions of music education revealed that most mothers had strong beliefs about the values and significance of their children`s musical engagement for children`s psychological and physical development. Although not highly interested in creating musical environment for their children, mothers focused their efforts mainly on children`s listening to music and singing songs in their homes. Mothers showed their strong trust in roles of a teacher for managing balanced music program in a regular curriculum rather than in after-school programs. Manipulating musical instruments among other musical activities was the one that mothers expected to be taught in schools. Results imply a necessity for a school`s complementary function in providing music activities and suggest important roles of a teacher who can plan for play-based

      • KCI등재

        실외 밧줄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곽희선(Kwak Hee-seon),김미애(Kim Mia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실외 밧줄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위치한 H유치원 A학급의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12주간 실외 밧줄놀이 활동을 계획하여 적용하였다. 동일 유치원 B학급 유아 20명은 비교집단으로 소도구를 활용한 신체 활동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실험집단은 실외 밧줄놀이 활동을 통해 이동, 비이동, 조작 등 기본운동능력의 기초가 될 수 있는 활동을 계획하고 유아가 수준에 따라 단계적 도전을 경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검사 점수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외 밧줄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외 공간에서 밧줄이라는 매체의 속성을 활용한 대근육 신체활동이 유아로 하여금 달리기, 매달리기, 지탱하기, 균형잡기 등의 활동을 통해 이동, 비이동, 안정성 능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단계별 도전을 통해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게 되어 자신의 신체능력을 높게 인지하고 신체적으로 자기표현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rope-based on outdoor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nd physical self-efficacy. Outdoor physical activities utilizing ropes were conducted among 2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H kindergarten located in S province among 12 weeks. The other 20 children in a comparative group experienced physical activities using small manipulative materials.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activities practicing, was designed to take part in activities practicing basic movement skills including movement, non-movement, and manipulation through outdoor activities using ropes. The group was also allowed to experience step-by-step challenge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level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test and post-test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n independent t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outdoor physical activities utilizing ropes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fundamental motor skills and physical self-efficacy.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factors and detailed elements of the activities that influenced young children’s movement, non-movement, and stability skills as well as their high confidence in their physical abilities and self-expressions were discussed. These results show that rope-based outdoor physical activities not only improves the children s mobility, non-movement and stability ability through activities such as running, hanging, holding, balancing, bu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gain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through step-by-step challenges, thereby highly recognizing their physical ability and improving confidence in self-express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옹호(advocacy)와 옹호교육에 대한 인식

        조은경(Cho, Eun Kyeong),김미애(Kim, Miai)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과 학습과 권익 보호를 위하여 목소리를 내고 도움이 필요한 가정의 아동과 학부모를 지원하는 옹호자로서의 유아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예비유아교사의 옹호와 옹호교육에 대한 인식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졸업을 앞둔 363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관심, 교사양성기관에서의 옹호관련 교육경험, 옹호교육의 필요성과 적절성에 관한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고, 이들의 사회정의옹호도(social justice advocacy)를 진단하였다. 사회정의옹호도 측정은 Nilsson et al.(2011)이 개발한 사회문제옹호 척도(Social Issues Advocacy Scale, SIAS)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응답자들은 유아교육 관련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해 보통 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옹호지식과 옹호능력에 대한 자기 효능감에 대해서는 아동 및 가족 옹호보다는 교사 옹호에 대해 더 높게 지니고 있었다. 74.1%의 응답자가 교사양성과정의 여러 과목을 통해 옹호관련 교육내용을 접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옹호관련 수업을 들었다고 응답한 그룹은 옹호지식과 옹호능력에 대한 자기 효능감, 옹호교육의 적절성 인식, 옹호교육의 필요성 인식 면에서 옹호관련 수업을 들은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그룹에 비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정의옹호도는 일반적인 옹호인식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양성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옹호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교사 옹호역량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Focusing on the critical rol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s advocates for vulnerable children and families,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ECPTs) on advocacy and advocacy training. A survey collected from 363 ECPTs was used to examine their interests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eir perceptions of advocacy-related training experiences, and the adequacy and necessity of the advocacy training. The Social Issues Advocacy Scale(SIAS) developed by Nilsson et al.(2011) was translated into Korean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justice advocacy of the ECP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respon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n in general issues. In terms of self-efficacy for advocacy, the ECPTs reported higher scores in their advocacy for teachers than for children and their family. 74.1%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exposed to advocacy in their teacher training courses. Second, the ECPTs with advocacy-related training reported higher scores in relation to self-efficacy for advocacy, on the adequacy of the advocacy training they received, and on the necessity of advocacy training than those of the ECPTs who had no experience in advocacy training. Third, the level of social justice advocacy of the ECPT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advocacy training. Th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advocacy training i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the need to revisit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to build advocacy competence of EC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