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이동 자동사 ‘새다, 빠지다1’ 연구

        신은수(Shin, Eun-su)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이 논문은 이동 자동사 ‘새다, 빠지다1’이 보이는 현대한국어의 공시적 특징을 살피고, 그와 같은 특징을 지니게 된 이유를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 안에서 설명하였다. ‘새다, 빠지다1’은 일반 대상 이동 자동사와 달리 행위주 주어를 갖는다. 행위주 이동 자동사는 행위주 이동 의미에서 대상 이동 의미로 확장하는데, ‘새다, 빠지다1’은 이와 반대되는 모습을 보인다. ‘새다, 빠지다1’은 ‘가다, 나가다’ 등보다는 더 부정적인 행위주 이동 의미를 지니고, ‘꺼지다1, 뜨다’ 등보다는 덜 부정적인 행위주 이동의미를 지닌다. 또 ‘새다, 빠지다1’은 대상 주어의 밖으로-이동을 나타내는데, 행위주 이동 의미를 드러낼 때는 이동 방향이 폭넓은 평행 이동으로 바뀐다. ‘새다, 빠지다1’이 보이는 여러 공시적 특징은 이동 자동사의 밖으로-이동과 관련이 깊다.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단순동사 체계에서 밖으로-이동이 빈칸으로 있어, 밖으로-이동을 나타내는 대상 이동 자동사 ‘새다, 빠지다1’이 다른 이동 자동사와 구별되는 여러 특징들을 나타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ynchronic features of ‘saeda, ppajida1’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in modern Korean, and analyzed the reasons they have such features in the lexical system of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saeda, ppajida1’ have agent subjects, differently from most of theme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While agent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generally extend the meaning from agent to theme, ‘saeda, ppajida1’ do reversely. ‘saeda, ppajida1’ have more negative agent locomotive meaning than such as ‘gada, nagada’, which have less negative one than ‘kkeogida1, tteuda’, etc. Also, ‘saeda, ppajida1’ show the outward-movement of theme subject, which change the way to wide parallel movement when they represent the agent locomotive meaning. Several synchronic features of ‘saeda, ppajida1’ are related with the outward-movement of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Since the outwardmovement is empty in the simple verb system of agent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saeda, ppajida1’, theme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which present the outward-movement show such features, differently from other locomotive intransitive verbs.

      • KCI등재
      • KCI등재

        다시마밥 제조조건의 최적화

        신은수(Eun-Soo Shin),이진화(Jin-Hwa Lee),박경태(Kyong-Tae Park),류홍수(Hong-Soo Ryu),장대흥(Dae-Heung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10

        백미밥에 비하여 기능성과 기호성이 향상된 다시마밥의 최적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반응표면 분석하여 다시마편 첨가비율, 가수량과 침지시간 등의 최적 수준을 정하고, 최적수준으로 제조한 다시마밥과 백미밥의 물성검사와 영양적 품질평가를 비교하였다. 40대 이상을 대상으로 한 결과로부터 얻어진 2차 회귀 방정식에서 맛, 찰기, 색상, 전반적기호도의 관능적 특성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고(p<0.05), 예측되는 최적 조건은 다시마편 첨가비율 14%, 가수량 1.67배, 침지시간 47분이었다. 이 최적조건으로 지은 다시마밥의 경도는 압력솥으로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경도는 상압에서 지은 백미밥과 비슷하였다. 부착성은 상온에서 지은 백미밥보다는 낮았고 압력솥에서 지은 백미밥과는 큰 차이 없었다. 씹힘성은 상온에서 지은 백미밥에 비해 2배 높았으나 압력솥에서 지은 백미밥보다는 약간 낮았다. 밥을 지은 뒤 30분 경과 후의 물성의 변화는 백미밥보다 다시마밥의 변화가 더 적었다. 다시마밥의 식이섬유소 함량은 5.4%이었고, 백미밥에 비해 식이성 섬유소, 회분, 단백질의 보강효과는 현저하였다. 다시마밥의 단백질 소화율(in vitro), 단백질 효율비(C-PER)과 전분호화도는 백미밥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시마밥은 열량섭취량이 높고, 섬유소 섭취량이 낮은 현대인의 식생활에 이을 보완해 주는 저열량 고섬유소의 기능적 식품으로 권장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n sensory evaluation was used to optimize cooking condition of cooked short grain rice (CSR) and cooked short grain rice containing grainy sea-tangle patch (CST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nutritional evaluation were also performed. For maximizing overall acceptability, it can be predicted sea-tangle patch 14%, added water 1.67 times of rice and sea-tangle amount and steeping time 47 min as optimum cooking conditions from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the forties panelist. Hardness of pressure cooked short grain rice containing grainy sea-tangle patch (CSTR) were lower than cooked short grain rice (CSR), but it showed similar as CSR in adhesiveness, chewiness and higher in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 addition CSTR was delayed retrogradation compared with CSR. The nutritional quality of CSTR showed higher level in total dietary fiber, protein, ash than CSR, but lower in protein digestibility, C-PER, gelatinization degree compared with CSR.

      • KCI등재

        ‘흙의 물 빠짐’과학 활동에서 경험귀납적, 가설연역적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신은수(Eunsoo Shin),정현빈(Jeong Hyun Been),정영미(Jung Young M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흙의 물 빠짐’ 과학 활동에서 경험귀납적, 가설연역적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저소득층에 속하는 인천시 G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유아 40명(만 4세 20명, 만 5세 20명)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상류층에 속하는 서울시 B대학 부속유치원의 유아 40명(만 4세 20명, 만 5세 20명) 총 80명의 유아들로 선정하여 유아의 연령,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집단을 구성하였다. 경험귀납적 방법을 적용한 집단은 자유 실험 및 탐색(가설검증), 교사와의 대화(가설설정), 적용(가설적용)의 3단계로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가설연역적 방법을 적용한 집단은 교사와의 대화(가설설정), 자유 실험 및 탐색(가설검증), 적용(가설적용)의 3단계로 활동을 진행하였다.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 평가는 적용(가설적용) 단계에서 유아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및 삼원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자유 실험 및 탐색을 강조한 경험귀납적 방법이 가설연역적 방법보다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irical-inductive and Hypothetical-deductive Method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subjects were total of 80 young children consisting of 40 children (20 children of 4-year-olds and 20 children of 5-year-olds) from a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G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so called low class areas in Incheon and the other 40 children (20 children of 4-year-olds and 20 children of 5-year-olds) from a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B University in Seoul so called mid-high class areas in Seoul. The science activities of ‘soil drainage’ were used to assess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activities were based on empirical-inductive methods. They are conducted in three phases; 1) free experimentation and exploration, 2) talking with teachers and 3) applicati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were assessed by observation when they were doing the scientific task in the third phase of activities. The observational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three-way repeated ANOVA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depending on young children’s age,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age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young childre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erve special needs of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 KCI등재
      • Visual object detection 기반 의수 제어

        신은수(Eunsoo Shin),최태환(Taehwan Choi),나재영(Jayeong Na),유다영(Dayoung You),이회림(Hoirim Lee),임철용(Chulyong Lim),남우철(Woochul Nam)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2 No.11

        Most prosthetic hands cannot automatically control their gripping motions according to target objects; users need to manually select gripping motion.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integrated a vision system with the prosthetic hand to autonomously detect an object to grip and conduct a suitable grip motion. The users vision was replaced with a laser pointer and mini-cam. The user needs to indicate a target object with the laser pointer. Then, the object detection model (Scaled-YOLOv4) discerns the object class and determines the gripping motion corresponding to the class. To improve the object detection accuracy, various image processing methods are applied to the detection model. Moreover, a public robot hand design (Handi-hand) was significantly modified to realize precise and robust grip motions. Actuators, joints, and stiffness components in the robot fingers were replaced with different devices for high gripping performance, and the part design was changed accordingly. The unmovable wrist was also changed to an active wrist that is controlled by a servo motor. The gripping time was determined by the user’s electromyography signals. In experiments, this prosthetic hand successfully grasped four different objects.

      • KCI등재

        동사 ‘녹다’에 대한 통시적 고찰

        신은수(Shin, Eunsu)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5 No.-

        이 논문은 15세기 ‘녹다’의 통사 · 의미를 살피고 통시적 변화를 기술한다. 아울러 15세기 ‘녹다’의 의미 관계, 통시적 의미 확장 양상, ‘녹다’의 의미특성을 밝힌다. ‘녹다’는 15세기부터 ‘NP이 녹-’, ‘NPpl이 (서르) 녹-’, ‘NP1이 NP2에 녹-’ 구문을 보인다. 통시적인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전반부터 ‘NP이 녹-’ 구문에서 ‘NP’에 사람명사가 쓰인다. 둘째, 15세기에는 복수 주어 명사가 주로 ‘N1과 N2와’로 실현되지만, ‘N1N2’와 같은 병렬구조로 드러나는 예도 있다. 셋째, 15세기 ‘NP1이 NP2에 녹-’ 구문에서 ‘NP1’과 ‘NP2’는 추상명사가 대부분이다. 넷째, 20세기 전반에 ‘NP1이 NP2에게 녹다’ 구문이 보이는데, ‘NP1’과 ‘NP2’는 사람명사이다. 15세기에 ‘녹다’는 [액체화]를 기본의미로 하여, [소멸화], [융합화], [원형화]라는 파생의미를 갖는다. 여기에 18세기에 [현혹화]라는 의미가 추가된다. 통시적으로 ‘녹다’는 논항 명사가 확장되고 개별의미가 늘어난다. ‘녹다’의 의미특성은 문맥, ‘노가 V’ 구성, 비유 표현 등을 통해 살폈다. ‘녹다’는 [액체화] 라는 의미를 갖는 거의 유일한 동사로, 주로 [변화], [소멸] 동사와 유의관계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syntax structure and meanings of "nokta" in the 15th century and to examine its syntax structure and meanings diachronically. Also this paper is to examine relations of its meanings in the 15th century, and extension of its meanings, a characteristics of meaning. "nokta" basically has a syntax structures of "NP-i nokta", ‘NPpl-i (seoreu) nokta’, "NP1-i NP2-e nokta"(NP1․NP2: abstract noun) in the 15th century. By the way "NPpl" appears in form of "N1N2" on "NPpl-i (seoreu) nokta" in the 15th century. Also new sentence structure, "NP1-i NP2-ege nokta"(NP1 · NP2: human noun) appears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NP" of "NP-i nokta" is human noun in this time. "nokta" has the four meanings of [become a liquid], [disappear], [become one], [keep its original form] in the 15th century. "nokta" has many senses with this meanings as the center. It has more meaning of [be seduced] in the 18th century. And "nokta" has the semantic features of [disappearance] and [change].

      • KCI등재

        유치원의 실외놀이의 구성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신은수 ( Eun Soo Shin ),김은정 ( Eun Joung Kim ),유영의 ( Youn Geui You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2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남, 제주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실외놀이시설의 공간 구성, 운영 실태, 안전점검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실외놀이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있다. 독립적인 실외놀이 공간의 유무, 실외놀이 시간 편성유무, 실외놀이 계획안작성유무에서는 지역의 차이없이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독립적인 실외놀이 공간을 갖고 있고. 실외놀이의 시간을 편성하고 계획안을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의 위치 및 영역구성, 실외놀이 대체 장소, 실외놀이 횟수,놀이 시간대, 시간대 계획시 고려사항, 보조교사 활용유무, 실외놀이 시간량, 실외놀이 시설의 안전점검 실태 등에서는 지역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uses of kindergarten outdoor playgrounds. Data collected was through a questionnaire presented to teachers on the conditions and content of outdoor play.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kindergartens had their own outdoor playgrounds. Fixed play equipment structures such as swings, slides, and seesaws were the most frequently provided items in outdoor playgrounds. Future programs to active outdoor plays should include various outdoor activities including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hecks on play facilities, and possible ways to take advantage of currently given space and environment for outdoor play. Also, for the purpose of children`s entertainment and recovery in their own traits, it is noteworthy to provide such conditions and environments.

      • KCI우수등재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어휘 체계 변화 - 단순동사의 공시적 위상을 중심으로-

        신은수(Shin, Eun-su)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0

        이 논문은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합성동사 체계를 바탕으로 단순동사를 추출하여 이들 단순동사의 공시적 위상을 살피고, 이 공시적 위상을 통해 단순동사 체계의 어휘 변화를 유추하였다.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합성동사 체계에서 추출한 단순동사 체계는 앞-뒤 이동이 있고, 체계의 빈칸이 없어 대응짝 어휘가 온전하게 대응한다. 단순동사들의 공시적 위상은 사전과 문헌 자료에서의 출현 양상을 정리하고, 친숙도와 빈도를 합성동사와 비교하여 살폈다. 그 결과 어휘 소멸, 행위주 이동 의미의 축소나 소멸 등을 겪은 단순동사가 확인되었다. 어휘 소멸이나 행위주 이동 의미 소멸을 겪은 단순동사는 행위주 이동 자동사의 단순동사 체계에서는 제외되므로 체계에 빈칸이 생긴다. 실제로 단순동사 체계는 체계의 빈칸, 의미영역의 한정성 등의 이유로 대응짝 어휘가 비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다. 앞-뒤 이동을 나타내는 ‘낫다’와 ‘무르다’도 대응짝 어휘의 비대칭 구조를 이룬 뒤 단순동사 체계에서 제외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대체로 행위주 이동 의미 빈도나 비율은 단순동사보다 합성동사가 더 높았다. ‘들다, 오르다’도 그러하였다. 특히, ‘들다’는 행위주 이동 의미 빈도와 비율이 낮아서 조만간 행위주 이동 의미가 소멸할 것이라고 보았다. ‘들다’에 비해, ‘오르다’나 ‘비키다’는 전체 의미 중 행위주 이동 의미가 차지하는 비율이 대체로 높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ome of simple verbs on the basis of the system of compound verbs in ag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investigate their synchronic status and also infer their lexical change from their synchronic status. The system of simple verbs found in the system of the compound verbs in ag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has front-back locomotion and corresponds to pair words since there is no gap in the system. To check synchronic status of simple verbs, this study arranged appearance pattern from dictionary and corpus and compared their familiarity and frequency with the one of compound verbs. As a result, several simple verbs which had experienced lexical extinction, reduction or extinction of agent locomotion meaning were found. Some of simple verbs whose meaning of agent locomotion had been extinct or other ones that had experienced lexical extinction were excluded from the system of simple verbs in agent locomotion intransitive verbs and the gap appears in the system. In fact, the system of simple verbs has the asymmetrical structure of pair words, due to the gap of system and the limitation of semantic domain. This study found that after "mureuda" and "nasta" which represented front-back locomotion had the asymmetrical structure of pair words, they were excluded from the system of simple verbs. The frequency or percentage of the meaning of agent locomotion in compound verbs is generally higher than the one in simple verbs. The examples are ‘deulda, oreuda.’ Especially in ‘deulda’, its meaning of agent locomotion will be extinct in the near future sinc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meaning of agent locomotion are low.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the meaning of agent locomotion in "oreuda, bikida" is generally high.

      • KCI우수등재

        소리의 전딸에 대한 이동의 개념 발달 연구

        신은수(Eunsoo Shin),김은정(Eunjung Kim) 한국아동학회 2013 아동학회지 Vol.34 No.4

        This siudy examined concept development in children in ternlS of sound propagation. TIle subjects consisted of 240 five-, seven-, and ten-ye..`lr-old children from three kinderganens and two primary schools respectively. The instrument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he examination insrrument on sound as developed by the SPACE Project in the UK The concepts related to sound were classified into five stages including: no recognition, egocentric concept, initial mental models, synthetic mental models, and scientific mental models. TIle results reveal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ons of the types of concept that children were aware of, according to age and context. Most five-, seven-, and ten-year-old children revealed egocentric concepts related 10 every sound. drum, rubber band context, however, most five-, seven-, and ten-year-old children revealed their recognition of the synthetic models of sound propagation when using the string telephone context.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for children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of concepts related to sound propa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