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령도 가을리에 분포하는 고(古)해안사구층의 특성과 형성 시기

        신원정,김종연,이재호 한국지형학회 2020 한국지형학회지 Vol.27 No.2

        The Baengnyeongdo-island, located at the northernmost point of the west coast, has developed several coastal landforms. Although the coastal landforms of Baengnyeongdo-island are widely used as a tourism resource, a lot of academic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particle size analysis, XRF, and OSL age dating were performed on the BR sandy deposits to find out the formation of coastal sand dunes on Baengnyeongdo-island. Bas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BR section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BR-A, BR-B and BR-C. First, about 56ka, which corresponds to the MIS 3, fine sand was deposited and forms the BR-C section. Second, the BR-B which located middle part of BR section, showed reversed age stratigraphy. The BR-B was interpreted as reworked sediments based on sedimentary facies and chemical weathering intensity. And, the BR-A composed of fine and medium sands was formed in middle Holocen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inds out the paleo sand dunes formed in Pleistocen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coastal sand dune development on the west coast.

      • KCI등재

        충북지역 토사재해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에 대한 연구

        신원정,홍성찬,김종연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1

        Due to torrential rains that occurred in late July to early August 2020, 457 landslides were reported in Chungcheongbuk-do, of which 210 were reported in Chungju-si to claim governmental relief fund. The damaged area was 376.23ha in Chungju-si and 333 landslide locations were identified. Using various information systems, the characteristics of rocks and the degree of risk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disasters that occurred between 2008 and 2021 were identified using satellite imag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debris flow occurred in 41 places, and debris flow, landslide and/or sediment flux caused by surface runoff were all recognized in 24 places. Large-scale erosion and sedimentation occurred in 10 of the 17 sites where only debris flow occurred. At other points, landslide and/or sediment flux caused by surface runoff were predominant. Meanwhile, vegetation was completely removed between 2008 and 2021 in 157 places (47.1%) of places where landslides occurred, and partial vegetation removal was identified in 57 places (17.7%). In other words, it is estimated that the removal of vege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as the landslide disaster occurred at 64.9% of the total.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ere located along rivers and valleys, and were identified as simply damaged areas rather than the cause of landslides. 2020년 7월 말~8월 초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충청북도에는 457건의 토사재해가 신고되었다. 그중 충주시에서 210건의 신고가 있었으며, 이로 인한 피해 면적은 376.23ha로 충청북도 피해 전체의 거의 절반에 달했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발생한 충청북도 지역의 토사재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사 재해의 피해 현황 및 재해의 원인을 살펴보고 토사 재해의 유형을 구분하였다. 특히 충주시의 산사태 발생 장소를 중심으로 하여 각종 정보 시스템에서 피해 발생 위치의 암석특성, 위험도 등을 분석하고, 2008년~2021년 사이의 위성사진을 이용하여 해당 기간에 발생한 토사재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41개소에서는 토석류가 발생하였으며 그중 24개소에서는 토석류와 사면침식 및 토사유출이 모두 인식되었다. 토석류만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17개소 가운데 10개소는 곡지를 중심으로 대규모의 침식과 퇴적이 발생했다. 다른 지점에서는 지표유출로 인한 사면 침식 및 토사 유출이 주를 이루었다. 한편 토사재해가 발생한 곳 가운데 157개소(47.1%)는 2008년~2021년 사이에 식생이 완전히 제거된 바 있으며, 57개소(17.7%)에서는 부분적인 식생의 제거가 파악되었다. 즉, 토사재해 발생지가 전체의 64.9%에 달하여 식생의 제거가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양광 발전 시설은 하천과 곡지 주변의 시설들로 토사재해의 원인 지역이 아닌 단순 피해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미디어와 산업의 인식도 조사

        신원정,하상도,이유시,오세라,박태균,김보영,김호식,이정호,이승용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8 No.2

        To describe the comparative awareness between media and industry, we conducted a survey with a professional group including 28 food safety managers at food corporations and 17 food journalist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reporting terms’ and ‘correspondence terms’ when food safety incident occurs. We surveyed by questionnaire methods and did the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The results showed that 70.6% of the journalists and 92.9% of the corporation workers answered ‘yes indeed’ about the question whether the media has a great influence when food safety incident occurs. In the perception that use of the stimulating terms of the media was the cause of company damage, 83% of the corporate workers answered ‘yes indeed’, and 70.6% of the journalists answered ‘yes’. It means that both groups agreed on stimulating terms causing company damage. In the question whether the ‘reporting terms’ of the media and the ‘correspondence terms’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made a difference in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the spread of the incident, 92.9% of the corporate workers and 35.3% of the journalists answered ‘yes indeed’. It means that both groups showed a common opinion that the difference in choice of words expanded the perception of consumers, and the spread of the incident. However, the corporate workers agreed with this in a more serious manner than the journalist group. In standardization of ‘reporting terms’ and restricting use, corporate workers were overall at a positive stand while journalists showed a big difference in opinion within the group.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asure to standardize the terms used by corporations,journalists, and professionals in order to decrease the differences of terms and the damage of consumers and the company when food safety incident occurs. 본 연구는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보도용어’와 ‘대응용어’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알아보고용어선택에 따른 피해정도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식품기업체 식품안전관리책임자28인과 식품전문기자 17인 총 45인을 대상으로 인식도 조사 및 개선방안에 대해 설문조사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그결과,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는 질문에 기자 70.6%, 기업체 92.9%가 ‘매우 그렇다’의 응답률을 보였다. 미디어의 자극적인 용어사용이 기업피해의원인이라는 인식에는 기업체의 83%가 ‘매우 그렇다’, 기자의 70.6%가 ‘그렇다’로 답해 양측 모두 자극적 용어사용으로 인한 기업피해를 인식하고 있었다. 미디어의 ‘보도용어’와 정부, 학계 등의 ‘대응용어’가 소비자의 인식과 사건의 파급에 차이를 주는지를 묻는 질문에 기업체의 92.9%와 기자의 35.3%가 ‘매우 그렇다’로 답해 두 집단 모두용어의 차이가 소비자의 인식뿐 아니라 파급을 확대시킨다는데 공통적인 의견을 보였으나 기업이 훨씬 심각하게느끼고 있었다. ‘보도용어’의 통일 및 사용제한에 대해 기업체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이고 기자는 긍정과 부정으로 답변이 나뉘어 개인차가 컸다. 식품안전사건 발생시 소비자와 기업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업과 기자,전문가간 사용하는 용어의 일치 및 차이를 좁힐 수 있는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예술적 전략으로서의 문화적 정체성: 1960년대 서구 미술현장의 동아시아 작가들

        신원정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9

        The early performances of various young Asian artists show how their identity has been constructed in the western scene: Nam June Paik, who questioned the traditional definitions of genre and actively embraced new media; Yoko Ono, who experimented passionately with an exquisite understanding of music, art, and literature; an avant-garde composer Takehisa Kosugi, who built upon a musical foundation to achieve the expansion of genre; and Shigeko Kubota, the lifetime and artistic partner of Paik, who developed an original framework of art. These artists often employed an artistic strategy that includes the instruments and materials representing eastern origin. Behind their typical and/or exotic works of art, there was an active contemplating entity. As ‘foreign’ artists, Paik, Ono, Kosugi, and Kubota have constructed their identities within the Fluxus as artists who acknowledged their differences and overcame the barriers strategically by building new identities and expanding upon them. This also became the foundation on which they were able to successfully take place in the center of 1960s western art, which was undergoing a lot of change. 전위음악에서 출발해 행위예술을 거쳐 비디오 아트의 영역에 본격적으로 들어서기까지 여러 예술 분야의 경계를 허물며 장르융합적 작업을 선보인 백남준, 음악, 미술, 문학에 높은 식견을 갖추고 예술적 실험에 열중한 오노 요코, 음악적 토대 위에 장르의 확장성을 성취한 전위 작곡가 고수기 다케히사, 백남준의 삶과 예술적 동반자이면서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구보다 시게코의 초기 퍼포먼스는 젊은 아시아 예술가들의 유동적인 정체성 구축 과정의 한 단면을 잘 보여준다. 동양적 특성을 표상하는 기재들을 포함시키는 예술적 전략을 구사하며 때로는 전형적이고 때로는 낯선 타자의 모습으로 등장한 그들의 작업 이면에는 능동적으로 사유하고 행동하는 적극적 주체가 자리했다. 끊임없이 ‘이방인’의 위치에서 ‘우리’와 접한 백남준, 오노 요코, 고수기 다케히사, 구보타 시게코의 작업을 통해 본 플럭서스 내 아시아 작가들의 정체성은 바로 자신이 다름을 인지하고 그 차이를 전략적으로 극복하며 새로운 정체성을 쌓음으로서 끊임없이 확장되는 모습으로 드러났다. 이는 또한 이들이 강력한 지각변동으로 흔들렸던 1960년대 서구미술계의 중심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었던 토대가 되었다.

      • KCI등재

        케테 콜비츠의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 이미지 연구

        신원정 미술사학연구회 2021 美術史學報 Vol.- No.57

        Käthe Kollwitz, famous for her works, which accuse the dark side of industrial society at that time by describing various workers, takes the working class as the main artistic motif throughout her life and gets inspiration from their lives, but paradoxically never deals with the moment when workers actually work. This paper examines the worker image created by Kollwitz and re-examines it from a critical perspective, noting the contradiction that the prints and drawings of Kollwitz extremely rarely show workers being in the main job. Kollwitz’s workers show up in a variety of situations, such as being out of their workplace, enjoying leisure, taking a short break while working, losing jobs and thus being confused. Kollwitz, who was initially fascinated by describing workers’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the unique environment and atmosphere of the working class, begins to focus on the tragic situation of workers’ families in large cities full of poverty and despair from the 1900s. Depicting the desperate appearance of home industrial workers located in time and space of labor with unclear physic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and of families suffering from unemployment, as well as of workers who have lost their families due to war, Kollwitz criticizes the society where people have to labor.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ntradiction of Kollwitz’s image of a non-working worker. 노동자의 모습을 통해 당대 산업사회의 어두운 면을 고발하는 작품으로 유명한 케테 콜비츠는 평생 노동 계급을 창작의 주요 모티프로 삼고 그들의 삶에서 영감을 얻지만, 역설적이게도 노동자가 노동하는 순간은 그리지 않는다. 본 논문은 콜비츠의 작품에서 정작 본업에 종사하는 모습의 노동자가 묘사된 예는 극히 드물다는 모순에 주목하여 콜비츠가 그린 노동자의 모습을 살펴보고 비판적 시각에서 재조명한다. 콜비츠의 노동자 그림에서는 뚜렷하게 육체노동자의 외양을 띠는 인물들이 일터를 벗어나거나, 여가를 즐기거나, 일하던 중에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일자리를 잃고 혼란에 빠지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등장한다. 처음에 노동자의 외양적 특징과 노동자 계급 특유의 환경과 분위기를 묘사하는 데 매료되었던 콜비츠는 1900년대부터 빈곤과 절망이 가득한 대도시 노동자 가정의 비극적 상황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기 시작한다. 물리적·심리적 경계가 불명확한 노동의 시공간에 위치하는 가내 공업 종사자, 실업자가 된 가장과 더불어 고통받는 가족, 전쟁으로 가족을 잃은 노동자의 처절한 모습을 그리며 콜비츠는 노동해야 하는 사회를 비판한다. 본 논문은 콜비츠의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라는 모순이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지형분야 대학 교양과목의 개발 사례와 전망 - ‘한국지형여행’ 과목을 사례로 -

        신원정,김종연 한국지형학회 2022 한국지형학회지 Vol.29 No.1

        As part of an effort to popularize geomorphology, a course called “Traveling Lanforms in Korea” was developed and opened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1. The lecture materials are posted on the online Liberal Education courses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rovided as a Lifelong Education content through K-MOOC; and provided to nine national universities through the Base National University Credit Exchange System. The contents of the lecture focus on the geography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including mountain landforms, plateaus, granite topography development, mountain rivers, coastal erosional and depositional forms, volcanic landforms, and karst topography. Some portions of this lecture, representing important landforms of Korea, were filmed.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and proceed with additional lectures that include geomorphological topics, which are not currently included in this lecture, such as rivers at plain, alluvial fan, arid landforms, glacial landforms, and periglacial landforms. In addition, it seems that new subjects such as landforms of geopark in Korea, are necessary as well. Also, in relation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thought that physical geography and geomorphology-related lectur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