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관계가 청소년의 범죄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장애청소년을 중심으로-

        신소라,조윤오,Shin. Sora,Cho. Younoh 한국범죄심리학회 201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뇌질환, 시각장애, 정신지체 등의 장애청소년을 중심으로 장애와 부모-자녀관계가 범죄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실시한 ‘청소년 복지욕구실태 및 지원방안’ (2006년)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청소년이 일반 청소년보다 부모양육태도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554.96)=2.40, p<0.05). 그러나 로지스틱 회귀분석모델에서 청소년 장애유무는 범죄피해경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신 청소년의 범죄피해경험이 (1)성별, (2)거주 지역, (3)양육태도, (4)가정 내 학대 정도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비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청소년에게 있어서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관계수립 정도가 청소년의 범죄피해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청소년의 범죄피해 확률을 증가시키는 변수(성별, 거주 지역, 부모 양육태도 및 가정 내 학대)를 중심으로 장애청소년 보호 정책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factors that affect criminal victimization among juvenile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physically and mentally retarded juveniles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most vulnerable crime targets in communit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examing or reporting any impact of family abuse and negative family relationship on crime victimization. In the current study Three thousand and one hundred juvenil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abusive family relationship and handicap on the experience of being victimiz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between retarded juveniles and intellectually-average juveniles in terms of negative family relationship. Regardless of physical or mental disability, gender, type of residence, family relationship, and family abus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that is related to the likelihoods of crime victimization for juveniles in logistic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The futher policy implication for juveniles with disabilitie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폭력물시청과 폭력목격이 청소년의 사이버불링과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신소라(Shin, Sora) 한국교정복지학회 2016 교정복지연구 Vol.- No.44

        이 연구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에 대하여 청소년의 폭력목격 및 폭력물시청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학습이론에 따라 폭력에 대한 직·간접적 학습이 자기통제력과 함께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검증하여 청소년의 폭력예방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모형에 따라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 예측변인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폭력목격을 많이 하고, 폭력물시청을 많이 할수록 학교폭력 및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둘째, 매개변 인으로 사용된 자기통제력의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셋째, 폭력목격과 폭력물 시청 모두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하여 학교폭력과 사이버불링에 유의미한 영향을미친다.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면, 이 연구에서는 아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이버불링에 대해 기존의 학교폭력과 함께 이론의 적용 가능하다는 결과를 보여주어 기존의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정책에 사이버불링의 예방교육을 접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has become a serious issue among the juvenile. Given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 on traditional-bullying and cyber-bullying preventi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learning theory and general theory.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how often they witness of violence and watch of violence media affects their involvement on traditional-bullying and cyber-bullying. Second, self-control, the mediating variable, shows that it negatively affects traditional-bullying and cyber-bullying.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 control is significant both witness of violence and watch of violence media. It implies that the theories which were to explain traditional bullying can be applied to explain cyber-bullying as well. Thus, it suggests possibility that grafting new efforts onto current policy and program can be a measure to prevent cyber-bullying.

      • KCI등재

        난폭운전 및 보복운전의 피해위험요인 분석

        신소라(Shin sora)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1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으로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주변의 운전자나 목격자, 보행자에게도 심리적, 신체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상황들에 대한 연구가 이미 오래전부터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것과 비교하면 난폭운전 및 보복운전은 최근에서야 불법으로 자리 잡은 개념으로 이에 대한 연구 또한 거의 없다. 이 연구에서는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이 단순히 도로에서 발생하는 우연한 상황이 아닌 범죄라고 생각하고 피해자의 측면에서 범죄피해이론에 근거를 두어 피해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피해와 피해로 인한 손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피해자의 피해-가해 중첩이론과 생활양식이론에 근거하여 피해자의 개인적 특성과 운전습관, 단속경험 등의 요인을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난폭운전과 보복운전 피해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두 행위의 유사성은 물론 기존의 대인범죄 피해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교통법규 단속경험과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의 습관이 각각 피해의 위험요인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히려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의 피해자들을 위해 오히려 더 간단하고 명료한 피해예방 대책을 가능하게 한다. 난폭운전과 보복운전의 피해자의 피해위험요인이 그들의 잘못된 운전습관에 일부 근거한다는 결과는 범죄피해이론이 처음 발표된 때처럼 피해자 비난의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지만, 피해를 예방하는데 명확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 더욱 의미가 있다. Victimization caused by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can result in psychological and physical damage not only direct victim, but also to other drivers, witnesses, and pedestrians around them. Studies of the various hazards that occur while driving on the road have long been actively studied and the types of studies vary. In comparison, however, there is little academic study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as the concept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has recently become perceived as illegal and has not been taken seriously by people. In this study,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is not just an accident occurring on the road, but a type of crime, and the victimization risk factors are analyzed based on victimology theory.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by using survey data on victims.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reduce victimization and suffered by victims. To this end, factors such as the victim s personal characteristics, driving habits, and experience of penalty due to violation of traffic laws are analyzed based on the offender-victim overlap theory and lifestyle-exposure theory. In summar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n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of victimization from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shows the similarities between groups who experienced victimization from the two offenses. And the victim s character in conventional interpersonal crimes also appears. Experiences of penalty due to violation of traffic laws and the habit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were each showing significant effects as risk factors for victimization. These results rather enable the presentation of simpler and clearer prevention of victimization measures for victims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The result that the victim risk factor of risky and aggressive driving victims is partly based on their poor driving habits may lead to problems of victim criticism, as was the case when the victimology was first published. However, it is all the more meaningful that we can provide a clear way to prevent victimization.

      • KCI등재

        가정에서의 방임과 성적 학대가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소라(Shin Sora) 한국공안행정학회 201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6 No.1

        최근 데이트폭력은 가정폭력과 함께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데이트폭력의 적절한 예방방안을 제시하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데이트폭력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변수를 선정하였다. 가정요인과 폭력의 경험이 가정폭력의 원인으로 제시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정요인과 폭력허용도가 데이트폭력에도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요인으로 부모로부터의 방임, 가정 내 성학대 경험을 설정하였으며, 매개요인으로 폭력허용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모형에 따라 데이 트폭력 가해의 예측변인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내에서 부모로부터 방임을 경험하거나 성적 학대를 당한 경험이 많을수록 데이트폭력 가해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둘째, 매개변인으로 사용된 폭력허 용도가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폭력허용도가 높을수록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의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면, 이 연구에서는 아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데이트폭력의 위험요인에 대해 가정에서의 방임이나 성적 학대를 경험한 경우 데이트폭력의 가능성과 폭력허용도 모두 높아진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대학생에게 폭력에 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겠다. Dating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issue among the couple along with traditional domestic violence. Given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 on dating violence preventi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The variables of this study have grounds on previous study that explain dating violence offence. neglect from parents, experience of sexual abuse from family member were adopted to explain negative family factors, and violence approval was set as a mediating variable. The model of this study examines how negative family factors and their violence approval affects offence of dating violenc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how often they experience neglect from parents or sexual abuse from family member affects their offence of dating violence. Second, violence approval, the mediating variable, shows that it positively affects offence of dating violence. It implies that the previous study which were to explain off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other violence can be applied to explain offence of dating violence as well and student who experience more family abuse can have higher violence approval and more offence of dating violence. Thus, it suggest that new efforts onto current policy and program can be a measure to prevent dating violence include child of abuse from family member.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불링에 영향을 미치는 긴장요인에 관한 연구

        신소라(Shin Sora)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으로 최근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괴롭힘인 사이버불링에 대하여 청소년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긴장과 분노가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의 긴장으로 가족요인, 학교생활요인, 학교폭력 피해요인을 설정하였으며, 매개요인으로 분노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모형에 따라 사이버불링 예측변인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가족으로부터의 긴장과 학교폭력 피해로부터 긴장을 경험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둘째, 매개변인으로 사용된 분노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분노를 느끼는 빈도가 높을수록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 연구에서 청소년의 일상생활 긴장으로 선정한 가족요인과 학교생활, 학교폭력피해요인 모두 분노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분노는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긴장요인은 모두 분노를 매개로 하여 사이버불링가해행동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고, 학교생활로부터의 긴장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분노를 매개로 하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높이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면, 이 연구에서는 아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이버불링에 대해 기존의 이론이 적용 가능하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정책에 사이버불링의 예방교육을 접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ain and cyberbullying among adolescent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Finally, it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reducing cyberbullying. To examine the effect of strain on cyberbullying, the current study sets up the strain factors such as family strain, school strain, and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ger, the negative emotion formed by strain, was used as a mediation variable in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juveniles who have been experienced more strain in their family and traditional school bullying than others are more likely to become cyberbullying perpetrators. Secon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nger on cyberbullying, the youths who have been experienced more anger than others are more likely to commit cyberbullying behaviors. Third,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show that strain or stress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can manifest itself in problematic emotion like anger; futhermore, it finally leads to cyberbullying with mediation effect of anger.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provides empirical support that strain factors in GST also influence on cyberbullying behaviors, which is not yet examined fully.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the survey is nationwide to examine the factors of influencing on juvenile cyberbullying behaviros in South Korea. It suggests appropriate preventive strategies for cyberbullying as well.

      • KCI등재

        여름과 겨울철 권장실내온도에서 의복 선호 및 의생활 습관, 자각 내한내열성과의 관계

        백윤정(Yoon-Jeong Baek),신소라(Sora Shin),이주영(Joo-Young Lee) 한국생활환경학회 2014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1 No.5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s and attitudes about heating and cooling energy saving and indoor clothing habits according to occupation and gender. 509 people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47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1) people were more dissatisfied with summer indoor temperature (26~28℃) compared to winter indoor temperature (18~20℃) recomme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save airconditioning energy; 2) no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attitudes to the summer indoor temperature, whereas females expressed more experiences of being cold in the winter indoor temperature than males; 3) indoor workers wearing uniforms everyday preferred more conservative styles in their summer uniforms than free wear-workers; 4) people who expressed “I am comfortable with winter cold” showed a tendency of being more tolerable to the winter indoor temperature (18~20℃) and less dependent on supplementary heaters compared to those who expressed “I am sensitive to cold”. Similarly, people who expressed “I am comfortable to summer heat” were more tolerable to the summer indoor temperature and used supplementary coolers less often. The results suggest that governmental policies developed to save heating and cooling energy indoors needs to consider individuals’ thermal tolerance as well as occupation and gender.

      • KCI등재

        대한민국 해군 기존 하절기 함상복과 개발 하절기 함상복의 동작적합성 및 착용 생리반응 평가

        이효현(Hyo-Hyun Lee),신소라(Sora Shin),김영빈(Yungbin Kim),박성진(Sungjin Park),이주영(Joo-Young Lee) 한국생활환경학회 2016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3 No.6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mobility and physiological performance of the current Korean Navy summer uniform with a newly developed Navy summer uniform. Eight young males (22.4±2.4 yr in age) participated in the following investigations: simulated-naval tasks at Tair 30℃ and posture analyses at Tair 22℃. The simulated naval tasks consisted of the following five activities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low ceiling and an arrow aisle, going up/down stairs, going up/down a straight ladder, walking at 5.5 km·h<SUP>-1</SUP> on a treadmill, and laying down/standing on a portable b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blood lactate acid, total sweat rate, and completion time between the old and new uniforms, while clothing microclimate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back was greater for the old uniform than for the newly developed uniform (p<.05). For humidity sensation, subjects felt more humid when wearing the old uniform than wearing the new uniform (p<.05). As for the posture test and interviews, the old uniform was evaluated as more uncomfortable and irritating than the new uniform, especially for the upper arms, waist, and front thigh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sign requirements to improve the mo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old uniform are to improve breathability on the upper back of the shirts, to leave the shirts hanging out over the pants, to enlarge the thigh parts and narrow down the bottom of trousers, and to use elastic materials on the elbow and knee parts.

      • KCI등재
      • KCI등재

        제주 고령 해녀의 체온과 심박수 일내 변동

        박준희(Joonhee Park),차성원(Seongwon Cha),신소라(Sora Shin),김수정(Sujung Kim),이주영(Joo-Young Lee) 한국생활환경학회 2018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24-hr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of women divers, haenyeo. Young and older non-diving females, who have no experience of swimming in cold sea water, were recruited as control groups. Three groups participated in a modified routine protocol: ten females in older haenyeo group, eight in young non-diving female group and eight in older non-diving female group. The fluctuation ranges of the core body temperature were about 1℃ in all groups (Older haenyeo: 36.7~37.8℃, Young non-diving female: 36.7~37.6℃, and Older non-diving female: 36.8~37.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e temperature among groups except for during exercise and the rest period the following morning (P<0.05). No differences were in mean skin temperature among groups except for the rest period just after cold exposure and exercise (P<0.05). Heart rates in older haenyeo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two groups for all time intervals (P<0.05). Older haenyeos’ lower heart rate during daily lives, as their unique trait, may reflect their lifelong practice of swimming under the s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