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자연 색채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상은 ( Sangeun Shin ),김유선 ( Yoosun Kim ),김정미 ( Jungmi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자연의 색을 활용한 색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14년 6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문헌연구, 요구조사, 유아교사 색채교육 시행 및 2차 요구조사, 색채전문가 및 유아교육 전문가 협의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연 속에있는 색채를 활용하여 색채의 아름다움을 탐색하고 자연 색채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자연 색채를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색채의 아름다움 탐색하기, 색채를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색채 이미지 감상하기의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은 놀이하기-이해하기-표상하기의 통합적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가 자연색채에 대해 인식하고 생활 속에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적용 후, 관찰과 기록, 포트폴리오 작성, 평정척도 등을 통해 유아의 미적인식, 표현능력, 감상능력 등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of colors using Natural Colors for early childhood. The program went through several processe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the 2nd investigation of requests,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Color Educational program practiced by teachers, and participation by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colorists between June 2014 and March 2015. The purpose of this program was set to discover the beauty of colors, and to express Natural Colors creatively and appreciate the Nature of Color itself. Therefore, the program had organized the context into three main parts: exploration of beauty of colors, expression of colors with creativity, and appreciation of color image. The program for early childhood professors had formed a course by integrating enjoyment,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colors. Through the application, exploration, record, portfolio, and rating scale of the program, it pursued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sense of beauty through applying the program, observing and recording the results, writing portfolios and rating scales.

      • KCI등재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AAC Graphic Symbols Focusing on Nouns, Adverbs, and Verbs

        신상은(Sangeun Shin),김영태(Young Tae Kim),박은혜(Eun Hy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중증 의사소통장애인들이 보완대체의사소통의 그림상징을 사용하여 문장 수준까지 효과적으로 산출해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품사의 목표 상징들을 정확하고 빠르게 판별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기반의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품사별로 그림상징의 판별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목표어휘와 그림상징 간의 일치성 여부가 이에 영향을 주는지를 함께 조사하였다. 방법: 20-30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그림상징 판별과제를 실시하여 명사, 부사, 동사에 해당하는 개별 그림상징이 목표어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피험자들의 정확도와 반응시간은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과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품사유형은 상징판별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반응시간에는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명사에 해당하는 그림상징의 판별 시간이 부사나 동사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고 동사와 부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목표어휘와 그림상징이 불일치하는 조건에서 명사 상징과 동사 상징의 판별시간이 일치하는 조건일 때보다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품사별로 그림상징을 인지처리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도상성의 차이가 실제로 사용자의 수행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아울러 목표어휘와 그림상징 간의 불일치조건에서는 정확한 판별을 위한 인지처리의 부담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효율적인 상징 판별을 위한 전략이 중재 단계에서 강구되어야 함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Verifying graphic symbols in an accurate and timely manner is essential for individuals with severe communication difficulties to be able to produce words, phrases, and sentences effectively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ystems. In order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AAC evidence-based practic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part-of speech (POS) of target symbols and the congruency between a word and a symbol affected the verification process. Methods: Thirty-three healthy young adults (mean age=26.85 years, SD=6.96) participated in the symbol verification task. They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 graphic symbols were matched with written words composed of nouns, adverbs, and verb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POS significantly affected the response time: participants judged noun symbols faster than the other two symbol typ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ponse time between adverbs and verbs. In addition,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ly longer response time in the incongruent condition than the congruent condition for the noun symbols and verb symbols.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high iconicity of noun symbols, which affects the performance of graphic symbol verifi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cognitive load increases when filtering out non-target graphic symbols, which requires a strateg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arget symbol selection.

      •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 색채 교육 현황 조사·분석을 통한 색채교육 제안

        신상은(SangEun Shin),김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1

        생활 속에서 다양한 목적과 형태의 색채를 경험하는 현대인은 색채 교육에 있어 더 중요한, 전문적인 내용을 요구한다. 특히 유아의 색채교육은 성인이 되었을 때 보다 다채롭고 풍부한 색채를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는 기대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현재 유아 색채 교육은 미술과의 전 영역에 균형 있고, 유아의 흥미와 동기유발 요소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색채 학습 형성에 최적기인 만 3-5세의 해당하는 누리과정의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 색채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의 전문 유아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을 진행하였다. 분석한 결과 실제 유아 미술 활동은 주 2회로 진행, 다수가 미술 활동자체를 흥미롭게 생각하였다. 또한 색채 비전문가인 유아교사의 영역이 넓어서 미술 활동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는데, 유아 미술 활동에 있어 색채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나, 적합한 유아 색채 교육과 활동의 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내용을 토대로 향후 유아 색채 교육과 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먼저 누리과정 유아교사의 색채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미술 활동 내에서도 다양한 색채 활동을 제안하고, 마지막으로 인공적인 색감을 배제한 자연 색채를 지향하여 교구 제작 및 미술 활동을 전개하도록 한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로 유아교사를 지원하는 색채 교육과 유아 색채 활동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Effect of Working Memory and Exposure to the Symbols on Sentence Construction using AAC Graphic Symbols

        Sangeun Shin(신상은),Heeyoung Park(박희영)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그림상징의 배열조건에 따라 언어적/비언어적 작업기억능력과 상징에 대한 노출횟수가 문장구성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32명의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고정과 비고정배열조건에서 자극문장(명사-부사-동사)에 대한 목표 상징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였고, 피험자들의 정반응수와 반응속도를 측정하였다. 작업기억능력은 숫자와 공간의 역순 기억과제를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어적/비언어적 작업기억능력은 반응속도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징배열의 고정성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작업기억의 유형이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고정배열에서는 언어적 작업기억이, 고정배열에서는 비언어적 작업기억이 더 높은 예측설명력을 보여주었다. 반응속도에 대한 노출횟수의 효과는 두 배열조건 모두에서 유의하였으나 고정배열이 비고정배열보다 노출에 따른 반응속도의 감소율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상징 위치를 고정시켰을 때 비언어적 작업기억이 작용하여 효과적인 상징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징과 그 위치에 대한 학습효과를 통해 반응시간의 단축이 도모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AAC 사용자들이 상징을 선택하는 속도의 향상을 통해 원활한 쌍방향의 의사소통을 개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울러 효과적인 상징배치에 대한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임상적인 의의를 갖는다. 추후연구에서는 상징의 배열조건에 따라 중증장애인들의 AAC 수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정상인의 자료와 비교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verbal/non-verbal working memory skills and the exposure to graphic symbols of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 the context of a sentence construction task with a fixed/ non-fixed array of AAC symbols. Methods: Thirty-two healthy young adults (26.75±7.05 yea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were asked to locate the target symbols in a given order (noun-adverb-action verb) for the sentence stimuli which were presented visually with written words on the computer screen. The symbols were presented in two conditions: a fixed array and a non-fixed array. The working memory skill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verbal (backward digit span) and visuospatial (backward matrix) working memory tasks.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was analyzed using accuracy and response times. Results: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verbal and non-verbal working memory only affects response time. Moreover, working memory contributed differently to the task depending on the array type: the non-verbal working memory primarily predicted the response times in the fixed array condition, which was not the case in the non-fixed array condition. Conclusion: The exposure to the symbols significantly reduced the response time and the reduction rate was three times higher in the fixed condition compared to the non-fixed condition. Implications for AAC intervention by using a fixed array of symbols are discussed.

      • KCI등재

        누리과정 색채 교육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한 유아 교사 대상 색채 교육의 필요성 연구

        신상은(SangEun Shin),김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3

        색채의 활용이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해짐에 따라 색채 교육의 전문성은 중요해지고 색채 교육의 발달에 따른 교육 구성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별히 색반응에 민감한 만 3-5세는 색채 활동을 진행하면 시감 발달, 전인격적 성장 등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오는데 실제 만 3-5세에 해당하는 누리과정의 유아는 영역별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면 교육 체계성 부족,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부족, 활동이 용이하고 접근성 높은 분야로의 편중, 통합적 활동의 부담 등의 이유로 색채 교육과 활동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누리과정의 시행 이후 색채 교육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와 현장의 수요를 정확히 알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2013년 누리과정 실행 이후 색채 교육 현황 조사를 위해 설문 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등의 내용을 수렴하여 살펴보는 동시에 현장의 요구와 내용을 수용하여 유아 교사 대상의 색채 교육을 실시하고 문헌 조사 등을 통하여 누리과정 색채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색채 교육 현황을 분석하면 색채 활동 자체의 흥미를 느끼는 유아는 많지만 색채 분야에 대한 충분한 이해 부족, 교구와 재료의 색감 불만족과 색채 활동의 다양성 부족으로 교육의 어려움이 있다. 이후 유아 대상 기초 색채 교육을 실시, 색과 색채, 색채 지각, 색채 체계 및 표준의 내용의 이론과 먼셀 색체계, KS 색체계를 활용한 실습을 함께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유아 교사 대상 색채 교육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 교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색채 활동이나 교육을 제안하고 이를 다시 유아 교사에게 설명하고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유아에게 맞는 색체계, 색채 용어 등 누리과정용 색채 표준과 같은 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도법이나 교육이 상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아 교사 대상 색채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제안한다. As the application of colors diversifies in every field, the importance of color education and the interest as to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lor education are increasing. Especially the 3~5 years old preschoolers who are sensitive to the color response had positive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visual sense, whole personal growth, etc. as they perform the color activities. A close look at the contents and structures of Nuri curriculum by area reveals that the actual 3~5 years old preschoolers are not getting the benefits of color educations and activities due to reasons of insufficient education system and training to improve teacher’s capacity, overvaluation of simple activities and accessible areas, and pressure of integrated activities. In addition, the materials or demands on site to examine the contents of color educat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are not found. To research the current state of color education after implementing the Nuri curriculum in 2013, this research conducted the survey and collected the expert interview results in addition to analyzation of the Nuri curriculum color education contents by practicing the color education for early preschool teachers and literature investigations as receiving the demands and contents from the site. In the analysis of color education state, there were many preschoolers taking interests in the color activities but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 process for the lack of full understanding of color field, dissatisfaction with the colors of learning tools and materials, and non-diversified color activities. Then, the basic color educ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the preschoolers using the theories on color and tone, tonal perception, tonal system and standards, Munsell color system and KS color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lor education for the preschool teachers can be proposed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once again suggest and explain color activities and education to preschool teachers. Furthermore, the color standards used in the Nuri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including the color system and appropriate terms for preschoolers. Finally, preparation of color education learning standards for preschool teachers is recommended to ensure that the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 are consis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