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금폐촉매액내 팔라듐 재자원화에 따른 자원 및 온실가스 감축량 분석

        신가영,이성유,강홍윤,Shin, Ka-Young,Lee, Seong-You,Kang, Hong-Yo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1 資源 리싸이클링 Vol.30 No.3

        Palladium present in colloidal-type plated spent catalyst solution that is used i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has not been recovered but discharged as wastewater so far. Recyclig of paladium in colloidal-type plated spent catalyst solution is achieved with this study. This study presents the estimation of resource consumption and GHG emissions during the recycling and disposal of palladium in the plated spent catalyst solution using life cycle assessment. The reduction of resources and GHG are also estimated. Based on the palladium amount of 1 kg during disposal, the GHG emission amount was estimated to be 9.67E+03 kgCO<sub>2</sub>eq., and the amount of resource consumption was 3.94E+01 kgSb-eq. However, GHG emission was 1.96E+03 kgCO<sub>2</sub>eq., and the amount of resource consumption was 1.54E+01 kgSb-eq. during recycling. Considering the major substances affecting GHG emissions and amount of resource consumption, CO<sub>2</sub>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GHG emissions, accounting for 91.42% in disposal and 98.37% in recycling. The major substance affecting the amount of resource consumption was hard coal, which accounted for 40.63% in disposal and 60.73% in recycling. Upon recycling 1 kg palladium, 8,967.17 kgCO<sub>2</sub>eq. of greenhouse gas emission was reduced, while the resource consumption was reduced to 10.10 kg Sb-eq. In addition, the direct palladium resource reduction rate due to palladium recycling was 50%.

      • KCI등재

        대가야 멸망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

        신가영(Shin, ka-young)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2

        이 글은 『삼국사기』 진흥왕 23년 ‘加耶叛’ 기사를 주목하여 대가야 멸망 과정을 재검토한 것이다. 신라의 주변국 복속 과정에서 나타나는 ‘叛’의 양상을 볼 때 ‘加耶叛’은 대가야의 멸망 시기만이 아니라 그 과정을 알려주는 하나의 실마리였다. 진한 소국으로부터 7세기의 보덕국에 이르기까지 신라는 주변국을 군사를 동원하여 한 번에 소멸시키기보다는 점진적인 복속 과정을 거쳐 통합하였다. 금관국을 비롯한 가야의 다른 소국들 역시 제각각의 과정을 거쳐 신라에 통합되었고 일시에 멸망되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대가야 역시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멸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가야는 오랜 기간 백제와 신라의 사이에서 독자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신라의 압박과 회유로 인하여 대가야의 지배세력은 신라의 영향력 하에 자신들의 기반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 무렵 일부 지배세력은 신라로 내투하였다. 551년 이전부터 대가야인이 국원에 옮겨 살고 있었던 것을 볼 때, 국원에 안치된 대가야인의 대부분은 대가야 소멸 이전부터 신라에 복속된 이들이라 생각된다. 대가야의 구체적인 멸망 과정은 알 수 없으나 신라의 보덕국 통합 과정과 가장 유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가야의 지배세력도 대규모로 사민되어 일시에 해체되었다기보다는 온존되었을 것이다. 562년 이전 우륵을 비롯한 강수의 선조 등 일부의 대가야 지배세력이 신라에 옮겨가 살고 있었던 것은 신라의 점진적인 대가야 복속 과정이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런 과정 끝에 일부 지배세력을 제외한 대가야의 최상위 지배층은 562년 ‘加耶叛’이 일어나기 이전에 신라로 옮겨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신라에 옮겨온 대가야 지배세력을 부에 편적시키고 골품과 관등을 내려주는 일련의 조치가 이루어졌을 것이다. 대가야는 ‘叛’을 계기로 끝내 신라에 통합되면서 멸망하였다. 대가야가 최종 멸망한 것은 562년이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신라의 복속 과정에 따라 이미 독자성을 상실하였다고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Daegaya, focusing on records of ‘Gayaban(加耶叛)’, occurred in the 23th year of the Jinheungwang era. Considering the aspect of ‘ban(叛)’, when Silla conquered other countries, ‘Gayaban’ is a clue that implies not only when Daegaya fell, but also how it happened. From Jinhan confederacy to Bodeokguk in 7th century, Silla gradually merged the surrounding countries, rather than conquering them at once by using military force. Polities of Gaya confederacy including Geumgwanguk had been slowly unified into Silla respectively as well, not had been ruined all at once. Daegaya also had undergone the same process till its fall. For a long time, Daegaya had made efforts to keep the identity between Baekje and Silla. However, due to the threatening and placation of Silla, governing groups of Daegaya had to secure their positions under the control of it. Furthermore, some of them were admitted to Silla around this time. Seeing that there were immigrants from Daegaya in Gugwon even before year 551, it is thought that most people, emigrated from Daegaya, had already belonged to Silla before its fall. Although specific process of collapse was not immediately revealed, it is assumed that the process was probably similar to that of Bodeokguk absorbed by Silla. And governing classes of Daegaya were conserved rather than dispersed. Based on the fact that certain of those governing classes, including Ureuk and ancestors of Gangsu, were moved to Silla before year 562, it can be said that Silla steadily subjugated Daegaya. As a result, the greater part of the top-level classes in Daegaya had migrated to Silla before ‘Gayaban’ occurred in year 562. After that, for the top-level class immigrants from Daegaya, Silla implemented a series of measures, such as offering the resident registration in ‘bu(部)’ and granting Golpum(骨品) and gwandeung(官等). At last, ‘ban’ brought on the fall of Daegaya and made it unified into Silla.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Daegaya had already lost their identity under the rule of Silla, even before they completely collapsed.

      • KCI등재

        광개토왕비문의 `안라인수병(安羅人戍兵)`에 대한 재해석

        신가영 ( Shin Ka-you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78 No.-

        이 글에서는 광개토왕비문의 영락 10년조에 등장하는 `安羅人戍兵`의 해석을 재검토하여 400년 고구려 남정의 실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고구려의 비문이라는 사료의 특징을 감안하면서 비문의 훈적기사 서술방식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가야 세력인 안라가 비문에 기록되지 않았다고 파악하였다. 영락 10년조가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기록이라는 점과 `安羅人戍兵`이 기술된 위치 그리고 `安羅人戍兵`이 세 군데 기록된 점에서 볼 때 `安羅人戍兵`은 “신라인을 두다”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이해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400년 고구려의 남정에 대해 고구려의 한반도 남부 지역 진출과 가야 세력의 변동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安羅人戍兵` 기사는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400년 전쟁을 살펴보면 고구려군과 신라군이 연합하여 임나가라의 종발성을 비롯한 여러 지역의 성을 점령하고 신라군에게 인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문에서 `安羅人戍兵`을 여러 번 반복하여 기술했던 것은, 전쟁의 성과를 신라에게만 베풀었음을 거듭 강조하고자 했던 고구려의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安羅人戍兵` 기사는 5세기 초 고구려와 신라의 역학 관계를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신라가 가야 지역으로 진출하는 가운데 가야 제국 간의 변동 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This article explores Koguryo`s conquest toward the south in 400, by reexamin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安羅人戍兵` phrase on the Gwanggaeto Stele. There is no record of Anla, which was one of the Gaya countries, in the inscription. The Gwanggaeto Stele focuses on the King`s achievements and was written from Koguryo`s point of view. In particular the article for the tenth year of Yeongrak concentrates on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Silla. Considering that the phrase `安羅人戍兵` is placed in the section for the year 400 and that the phrase appears three times in the same inscription, it should be translated into “deploy Silla people”. Earlier studies have tended to analyze Koguryo`s conquest in 400 as its southern expansion and have tended to focus on Gaya`s position. However, it needs to be reanalyzed in ligh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Silla, as the `安羅人戍兵` phrase meant “deploy Silla people”. The Koguryo army joined up with the Silla one and handed over recaptured regions including Imnagara`s Jongbalseong to the Silla army during the war of 400. The fact that the phrase `安羅人戍兵` was written several times in the inscription reflects the writer`s intention to emphasize Koguryo`s dispensation, which means that Koguryo assigned the recaptured regions from Wa and the newly conquered regions to Silla.

      • KCI등재

        4세기 후반 고구려와 백제의 대립구도와 가야 諸國의 향방

        신가영(Shin, Ka-Young)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6

        이 글에서는 「광개토왕비」의 영락 9년과 10년조를 ‘백제·가야·왜 연합’의 대응으로 이해하려는 관점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4세기 후반 고구려와 백제의 대립구도로 인해 가야 제국은 백제, 왜와의 우호관계를 바탕으로 고구려, 신라와 대립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이는 일부의 가야 세력의 대외활동을 가야 전체로 이해했기 때문에 가야 제국의 실상을 왜곡할 여지가 있다. 가야 제국은 단일한 정치체가 아니었고, 당시 구심 역할을 하는 중심국의 여부도 불확실하다. 4세기 후반 가야 각국의 대외교섭은 다양하게 진행되었는데, 백제·왜와 이해관계가 같지 않았던 가야 세력을 상정할 수도 있다. 가야사 연구에서는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에서 가야 각국의 동향을 달리 이해하고 있기에 전쟁의 피해를 입은 지역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파악한다. 그러므로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을 백제, 왜와의 관계에서만 분석하는 것은 당시의 가야의 역사상을 왜곡할 여지가 있다. 가야와 백제의 우호관계의 근거로 제시된 『일본서기』 신공기를 검토해보면, 금관국이 아닌 탁순이 백제와 왜의 교섭을 중계하였다. 광개토왕비문에는 ‘임나가라’, 즉 금관국만 등장할 뿐 백제 측에서 4세기 후반부터 우호관계가 있었다고 주장된 대가야, 안라, 탁순은 나타나지 않는다. 신공기와 비문을 근거로 가야 제국이 백제, 왜와 연합하고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구려·신라 연합’과 ‘백제·가야·왜 연합’의 대립구도에서 벗어나 4세기 후반 가야 각국의 동향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또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도 백제, 왜와의 관계만이 아니라 고구려, 신라와의 관계에서 면밀히 재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요컨대 가야 제국이 백제, 왜와 연합하여 고구려와 신라에 맞섰다는 기존 견해와는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의 국제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descriptions of the ninth and tenth years of Yeongrak discussed in the inscription of the Great King Gwanggaeto are responses to the union of Baekje, Gaya, and the Japanese Wae. Due to the confrontation between Goguryeo and Baekje in the late 4th century, the Gaya countries came to be at odds with Goguryeo and Silla as a result of the empire’s friendly relations with Baekje and Wae. However, perceptions of the Gaya Countries can be warped because they were understood to be a unified whole as a result of some of their activities. The Gaya Countries were not a single political body and it is uncertain whether it ever acted in a unified way at the time. Each Gaya countries engaged in foreign relations in different ways in the late 4th century and had different interests with regard to Baekje and Wae. Gaya researchers view the behaviors of the Gaya countries during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and identify the areas affected by the war differently. Therefore, analyzing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only in relation to Baekje and Japan would produce a distorted perspective of the Gaya countries at the time. According to the chapter reviewing the Jin’gu-ki in Nihonshoki, Takujunnokuni, not Geumgwan,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Wae, reported on the negotiations between Baekje and Wae. The inscription of Great King Gwanggaeto shows only Imnagara, or Geumgwan, but Daegaya, Anra, or Taksun, with which Baekje had had friendly relations since the late 4th century, were not mentioned. Based on the Jin’gu-ki and the inscription,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Gaya countries were allied with Baekje and Wa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op viewing this period in terms of the Goguryeo-Silla alliance and the Baekje-Gaya-Wae alliance and instead examine the actions of each Gaya country individually. In addition,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should be closely reviewed in relation to Baekje, Wae, Goguryeo, and Silla. It is time to understand international relations during this period from a new perspective and reject the prevailing idea that the Gaya Countries were allied with Baekje and Wae against Goguryeo and Silla.

      • KCI등재

        백제의 사비회의 개최와 가야 諸國의 대응

        신가영(Shin, Ka-young)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이 글은 사비회의를 중심으로 가야 諸國과 백제가 처한 대내외적인 상황을 종합하면서 가야 제국과 백제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왕의 연구를 통해 6세기 전반 가야 제국이 백제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음에도, 사비회의 개최 과정은 가야 제국과 백제의 관계를 ‘부용’관계로만 볼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백제가 가야 각국을 대하는 태도 혹은 구체적인 방식은 규명되지 못하였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주로 안라의 입장을 중심으로 가야 제국과 백제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안라 이외 가야 제국들의 입장 역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고구려와의 전쟁을 대비해야했던 백제는 가야 제국을 둘러싸고 신라와 직접적으로 대립할 수 없었기에 백제의 가야 진출은 신라의 방식과 같은 적극성을 가질 수 없었던 한계가 있었다. 그렇기에 백제는 관념적이나마 가야 제국을 통할하는 宗主國의식에서 여러 가야 세력을 사비에 소집하여 두 차례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가야 제국이 신라에 복속․통합되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6세기에 들어서면서 가야 제국은 백제와 신라의 위협에 직면하였다. 각국이 처한 상황과 이해관계는 달랐지만, 이들은 백제와 신라 사이에서 세력 균형을 이루고자 노력하였다. 가야 제국이 사비회의에 참석한 것도 이러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541년․544년 회의의 참석국 수에 차이 가 있었던 것, 그리고 다양한 위계를 가진 참석자가 파견된 것은 가야 각국의 외교 현안에 대한 관심과 적극성의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또한 다양한 참석자 구성은 가야 제국 내에 어떤 한 나라의 주도로 합의체가 구성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가야 제국은 사비회의 참석을 통해 백제의 적극적인 지원과 보호를 기대했지만, 여전히 관념적인 위상에 집착하며 현상유지를 바라는 백제의 태도에 실망했을 것이다. 결국 사비회의에서 제시된 대안은 신라의 가야 진출을 저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며, 오히려 사비회의를 계기로 가야 제국은 백제보다 신라를 선택하게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by integra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they were facing, focusing on the Talks at Sabi(泗沘會議). In the early sixth century,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were in a close relationship; however, when investigating the Talks at Sabi,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cannot be seen solel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One aspect is the attitude or the method in which Baekje treated each of the Gaya countries. Furthermore, in current study, the analysis between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was mostly on the perspective of Anra. As such,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each of the other Gaya countries with respect to their relations with Baekje. Baekje, which had to prepare for war with Goguryo, could not directly confront Shilla regarding the Gaya countries. Moreover, the expansion of Baekje into Gaya was limited, unlike Shilla’s more aggressive method. Therefore, Baekje called various powers of Gaya to Sabi, with the awareness of a suzerain state that in theory controls the Gaya countries. Through such talks, Baekje sought to prevent the Gaya countries from being subjugated to and integrated into Shilla. In the sixth century, the Gaya countries faced direct threats from Baekje and Shilla. The circumstances and stakes of each country were different, but they all attempted to establish a balance of power in the middle of Baekje and Shilla. Thus, the Gaya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 Talks at Sabi.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years 541 and 544 meeting,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various ranks reflect the interest and assertiveness to diplomatic issues of each of the Gaya country. Furthermore, the composition of the various participants reflects the lack of a centralized committee which led by one country within the Gaya countries. The Gaya countries anticipated Baekje’s active support and protection by participating in the Talks at Sabi, but they must have been disappointed at Baekje wanting to maintain the status quo, unable to separate from the ideological superiority. In the end, the alternative that was offered at the Talks at Sabi was insufficient to stop Shilla’s expansion into Gaya, and it can be believed that the Talks at Sabi triggered for the Gaya countries to choose Shilla.

      • KCI등재후보

        항만 내 컨테이너 위험물 저장 시 위험성 평가 및 개선방안

        신가영(Ka-Young Shin),김서은(Seo-Eun Kim),이익모(Ik-Mo Lee),황용우(Yong-Woo Hwang),천영우(Young-Woo Chon) 한국위험물학회 2019 한국위험물학회지 Vol.7 No.1

        In this study, investigate the risk of storing dangerous goods in the port. The volume shipped by container ships doubled in 2014 from 2010 as the volume of maritime risk through ports steadily increased. Against this backdrop, when firefighters used fire water at a logistics warehouse in Tianjin, China in 2015, sodium cyanide and ammonium nitrate reacted, releasing hydrogen gas and causing 1.3 trillion won in property damage. Since then, the Environment Ministry has prepared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for dangerous goods in the port through inspection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ntainer companies, however, have not used direct withdrawal to set up stores among exceptions in the guidelines due to lack of 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nd compare the risk of indoor and outdoor storage of hazardous materials through ALOHA.

      • KCI등재

        대가야와 신라의 ‘國婚’과 ‘變服’의 함의

        신가영(Shin, Ka-young)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7

        이 글에서는 대가야와 신라의 ‘國婚’을 통해 양국 관계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국혼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라 衣冠과 ‘變服’ 문제를 복식의 정치적 의미에서 분석하였다. 6세기에 들어서면서 대가야는 백제와 신라의 위협에 직면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대가야는 신라에 국혼을 요청하였다. 대가야는 신라와의 국혼을 통해서 백제와 신라의 군사적 위협에서 벗어나 독자성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신라와의 관계는 점차 신라에 복속되어 가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전근대 복식은 禮的 질서의 확립을 위해 활용된 수단이다. 신라 의관은 국혼의 성립 과정에서부터 논의된 주요 안건이었다. 대가야에 파견되었던 신라인들은 신라 의관을 착용하고 있었고, 대가야의 여러 지역에 배치되었다. 대가야왕에 의해 신라인들이 배치되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대가야가 신라의 대가야 잠식 의도를 알고 있었더라도 이들에게 일정한 임무를 부여하고 그 역할에 대해 기대했던 바가 있었을 것이다. 이후 신라에서는 공식적으로 대가야에서 신라 복식으로 활동했던 신라인들을 통해 대가야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꾀하였고, 국혼 관계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대가야를 흡수・병합하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대가야인의 ‘變服’ 문제가 대두하게 되었다. 대가야인의 ‘變服’으로 인해 대가야 내부에 갈등이 생겼고, 대가야인들이 신라를 선택하게 되는 상황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즉, 대가야인의 ‘變服’은 결국 신라가 가야 제국을 복속・통합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대가야는 점진적으로 신라에 복속되었고, 562년에 최종적으로 소멸하게 되었다. 국혼 관계에서 나타나는 신라 의관과 ‘變服’은 신라가 가야 제국을 복속・통합하기 위한 조치 중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egaya and Silla through the royal marriages conducted between them. Specifically, the symbolism of Sila’s clothing and undergoing a “Changing Clothes” in the process of royal marriages is analyzed in terms of the political meaning of clothing. With the onset of the 6th century, the Daegaya faced threats from Baekje and Sila. In response to this struggle, Daegaya requested conducting royal marriages with Silla. These royal marriages helped Daegaya evade the military threats of Baekje and Silla, while also allowing Daegaya to maintain its independence. However, as a result, Daegaya’s status gradually developed into one of subjugation under Silla. During pre-modern times, clothing was used as a means to establish ceremonial rank. Silla clothing was an important issue that was discuss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marriage system. Many people from Silla were dispatched across various regions of the Daegaya, wearing the traditional clothing of the Silla. An important point to consider is that these individuals were di spatched under the command of Daegaya’s king. As such, even if the people of Daegaya had been aware of Silla’s intention to encroach on their territory, the dispatched individuals would have been given certain tasks and would have been expected to fulfill them accordingly. Afterwards, the Silla sought to expand its influence on Daegaya through the Silla people who were officially active in Daegaya wearing Silla’s traditional clothing. Furthermore, Silla and Daegaya upheld the custom of royal marriages, as a means of the former’s attempt to gradually absorb and merge the land and people of Daegaya. It was through this process that the “Changing Clothes” of the Daegaya people became an important issue. Conflicts arose within Daegaya due to the noticeable changes in their fellow people, and there were increasing instances in which the Daegaya people chose Silla over their own identity. In other words, the transformation of Daegaya was effectively utili zed in Silla’s subjugati on and integration of Daegaya and its people. Daegaya was gradually subjugated under the Silla, and finally disappeared completely in 562. Silla’s clothing and “Changing Clothes” that appear in the national relationship were one of Silla’smeasures to subjugate and unify the Gaya.

      • KCI등재

        가야 諸國과 고구려의 관계

        신가영(Shin, Ka Young)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8

        가야 제국과 고구려의 관계는 기록이 소략하여 자세히 파악하기 어렵다. 이 글에서는 3세기부터 6세기 중반까지 가야 각국이 고구려와 어떻게 관계를 맺었고, 그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가야 제국은 고구려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었기에 직접 교섭하거나 지속적으로 교류하기 쉽지 않았다. 그렇지만 고구려의 영향으로부터 동떨어져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고구려에 의해 낙랑·대방군이 축출된 이후 고구려와 신라를 중심으로 전개된 새로운 교역체계 속에서 신라가 가야보다 앞서 나가게 되었다.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 이후 신라는 낙동강 하구 교역권에서의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4~5세기의 고구려와 북방 문물은 신라를 매개로 가야 사회에 들어오게 되었다. 가야사에 가장 큰 외부 충격으로서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이 평가되고 있지만, 엄밀히 따지면 금관국(금관가야)에 한해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다. 안라(아라가야)를 비롯한 다른 가야 세력들은 그 영향권 밖에 있었다. 가야 제국은 400년 이전부터 변화하고 있었으며, 그 변화의 원인은 낙동강 하구 유역으로 진출하려는 신라와 이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금관국의 쇠퇴에서 비롯되었다. 고구려를 등에 업은 신라가 가야 제국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각국은 새로운 진로 모색을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대가야와 안라가 각각 고구려와 교섭했던 것이 확인되지만, 모든 가야 세력들이 동시기에 고구려와 관계를 맺었던 것은 아니었다. 고구려·백제·신라의 역학관계에 따라 가야 제국 중 일부가 신라·백제와 함께 고구려에 대항하기도 하고, 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고구려와 손을 잡기도 했다. 고구려 역시 백제와의 대립 구도 속에서 필요한 경우 가야 세력과의 연계를 도모하였다. 이처럼 가야 각국이 개별적으로 고구려와 교섭하였고, 교섭은 일시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고구려가 가야 사회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대가야와 안라가 백제와 신라의 틈바구니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우에 따라 고구려를 외교적 수단으로써 활용했다는 점에서 고구려와의 교섭은 그 의의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Goguryeo is difficult to figure out in detail due to the lack of related records.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how each state of Gaya countries built a relationship with Goguryeo from the 3rd to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nd what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was. It was hard for Gaya countries to have direct negotiation or interact consistently with Goguryeo because the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was far. However, it did not mean that Gaya countries was far from the influence of Goguryeo. After the expulsion of Nangnanggun(樂浪郡) and Daebanggun(帶方郡) by Goguryeo, Silla attained superiority over Gaya in the new trading system developed around Goguryeo and Silla. After the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Silla took the lead in the right of trading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Goguryeo and Northern civilizations of the 4th and 5th centuries was spread to Gaya society through Silla. In the history of Gaya,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is considered to be the biggest external impact, but technically, it directly affected only Geumgwanguk(金官國), also known as Geumgwangaya(金官加耶). Other Gaya forces including Alla(安羅), also known as Aragaya(阿羅加耶), were outside of its influence. Gaya confederacy had already been changing before 400, and the reason of change was because of Silla that was trying to expand to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decline of Guemgwanguk that failed to respond properly to this situation. As Silla started to influence Gaya countries by having Goguryeo in the back, each state was forced to seek new paths. Although it is confirmed that Daegaya(大加耶) and Alla negotiated with Goguryeo separately, but this did not mean that all the Gaya forces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Goguryeo at the same period. Depending on the dynamic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some states of the Gaya countries held against Goguryeo with Silla and Baekje, or joined forces with Goguryeo to keep Baekje in check. Goguryeo also aimed to form association with Gaya forces, if necessary, in the confrontation with Baekje. Each state of Gaya countries separately negotiated with Goguryeo, and because this negotiation was temporary, the influence of Goguryeo on Gaya society was limited. Nonetheless, the negotiation with Goguryeo can find its meaning in that Daegaya and Alla took advantage of Goguryeo as diplomatic means to survive from the dynamics between Baekje and silla.

      • KCI등재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신가영(Shin Ka-Young),양수진(Yang Su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19 人間發達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성인 진입기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모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유연한 정서의 조절과 대처를 어렵게 하며, 이러한 정서조절곤란이 대인관계문제를 증가시켜 결국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성인진입기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정정서들을 유연하게 대처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뿐 아니라, 자신과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내적표상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는 SNS 중독경향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치료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anxiety to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proneness. 405 university students from various regions in South Korea took part in the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2.0 and M-Plus 7.0.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tion tendency. That is, the anxious-preoccupied attachment style in university students can make it difficult to regulate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 which in turn aggravates interpersonal problems, eventually leading to SNS addiction proneness. These results imply that to properly deal with SNS addiction tendency,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both internal characteristics(attachment) and socio-emotional functioning(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e further discus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university students’ SNS addiction pron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