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현대 종교상황에 비추어 본 원효의 삶과 사상

        송현주 ( Song Hyun-ju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the life and thought of Wonhyo(617-686) in the contemporary religious situation of Korea. This study deals with three major topics. First, it discusses about the theory of `One-mind`(一心) and the logic of reconciliation and harmonization of disputes(和諍) of Wonhyo which suggest us how to approach the issue of modern religious pluralism. Second, it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Wonhyo`s imagery depicted by the two main Buddhist hagiographies, the Samgukyusa (Memorabilia and mirabil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and Sung kao-seng chuan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compiled during the Sung, 宋高僧傳). The imagery of Wonhyo is considered as one of the two main religious archetypes of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and as the most popular religious archetype loved by people. Third, it compares the life and thought of Wonhyo with the life and teaching of Jesus, the Christ of Christianity. This idea of comparison is inspired by Hee-sung Keel`s `Bodhisattva-Jesus Christology`. Wonhyo represents the ideal of `Bodhisattva religion` which mediates the ultimate truth(眞諦) and the conventional truth(俗諦) and gives us the common ground for the Buddhist-Christian dialogue.

      • KCI등재

        조계종 전통의 창조와 혼종적 근대성: 서구 근대불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송현주 ( Song Hyun Ju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한국 근대불교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근대불교 보편의 요소와 함께 한국 적 특수성을 이해해야 하며, 식민지 국가로서의 조건 역시 고려해야 한다. 1941년 `조선 불교조계종`이 수립하고자 했던 한국불교의 전통은 문자 그대로 `과거에 존재했던 역사의 재현`이 아니라 근대의 관점에서 이상화되고 재구성된 `창조된 전통`이라고 볼 수 있다. 호미 바바의 개념을 빌려온다면 이 전통은 근대와 전근대, 탈근대의 혼종성(混種性, hybridity)을 지닌다. `혼종성`은 본질주의적 문화이해 및 이에 근거한 이분법을 극복하고자 고안된 개념이다. `근대`가 전근대로부터의 탈피를 강조하고 `전통`을 개조하려고 한다면, 다시 전통을 강조하고 복원하려고 하는 것은 `전근대로의 회귀`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근대`에 대한 저항이라는 면에서 또한 `탈근대적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1941년 당시 조계종은 일본불교의 영향으로 일본불교와 문화적 혼종성 역시 갖고 있었다. 이렇게 파악된 한국불교의 근대성은 `혼종적 근대성(hybrid modernity)` 혹은 `식민지 근대성(colonial modernity)`이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clarify the various features of the modern Korean Buddhism, we should consider the distinctive aspects of Korean Buddhism in terms of its universality as modern Buddhism and the particularity in which Korean Buddhism has been endur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situations. In 1941, `the Chogye Order of Chosun Buddhism(朝鮮佛敎曹溪宗)`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Son sectarian identity(禪宗) and proclaimed its `Order-ship` through “the invention of tradition.” This tradition cannot be so called “the tradition of the past” which had been actually existed through the whole Buddhist history of Korea. It was “a made-tradition”, which is idealized and reconstituted along with the perspective of modernity. When adopting Homi Bhabha`s concepts, this invented tradition retains the hybridity of pre-modernity, modernity and post-modernity. This `hybridity` is a concept to overcome the cultural essentialism and the dichotomous way of thinking on the culture. When `modernity` means a `de-traditionalism` or an `anti-traditionalism`, which goes over beyond the situations of the pre-modernity, the movement of revitalizing the tradition might easily be meant to `returning to the pre-modernity.` But the `re-traditionalism` can be also meant a facet of post-modernity inasmuch as it resists to the modernity and aspires to overcome it. Japanese Buddhism was one of the role models for the modern Korean Buddhism at this time and `the Chogye Order` had a kind of cultural hybridity with Japanese Buddhism too. We can call it as a `hybrid modernity` or a `colonial modernity` of the modern Korean Buddhism.

      • KCI등재

        한용운의『불교대전』과 난조분유 · 마에다 에운의『불교성전』의 비교연구 : 구조의 차이와 인용 경전의 특징을 중심으로

        송현주(Song Hyun Ju) 韓國佛敎硏究院 2015 불교연구 Vol.43 No.-

        본 연구는 한용운(韓龍雲)의 『불교대전(佛敎大典)』(1914)과 난조분유(南條文雄)와 마에다 에운(前田慧雲)의 『불교성전(佛敎聖典)』(1905)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한용운의 불교사상의 특징을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두 문헌 모두 근대 불교성전(Buddhist Bible)의 편찬 흐름 속에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불교경전이다. 이들은 여러 불교경전의 주요 내용을 발췌, 채록하여 구성한 초종파적, 종합적 성격의 경전으로서, 『화엄경』, 『열반경』, 『법화경』, 『무량수경』 등 다양한 경전의 내용을 망라하고 있다. 또 ‘국가’, ‘사회’, ‘박애’, ‘계급’, ‘위생’ 등 다양한 근대어들을 주요 항목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두 문헌은 근대 한국과 일본에서 불교경전을 새롭게 재편하고자 노력한 선구적 문헌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한용운의 『불교대전』은 일본의 『불교성전』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두 가지 면에 초점을 맞추어 두 문헌을 비교했다. 그 하나는 내용의 배치와 구성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인용경전의 비교이다. 결론적으로 『불교대전』과 『불교성전』은 그 내용과 형식에서 많은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리적 차원에서 『불교대전』과 『불교성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둘 다 ‘마음[心]’이 우주와 인간의 본체이며 인간에게 여래장과 불성이 있다고 보며, 『화엄경』과 『열반경』의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불교성전』이 정토진종 특유의 ‘타력신앙’과 ‘참회’, ‘신심’을 강조하며, 『무량수경』 계통의 경전을 인용하는 비율이 『불교대전』에 비해 4배에 이르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한용운의 『불교대전』의 독창성은 ‘신앙’의 차원에서 ‘발심’, 부처 만이 아니라 ‘보살’의 중요성, 그리고 일체 만유의 ‘평등성’과 ‘수학’, ‘수행’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다. 그것은 부처와 보살과 일체중생의 평등을 강조하는 ‘평등주의적 세계관’과, ‘발심’과 ‘발원’을 통한 인간의 주체적 자각을 강조하는 한용운의 기본 사상을 반영한다. 또한 『불교대전』의 목차구성에서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유가적 성격도 발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Great Texts of Buddhism(佛敎 大典, 1914) of Yongun Han(韓龍雲) by comparing with the Holy Texts of Buddhism(佛敎聖典, 1905) of Bun’yu Nanjo(南 條文雄) and Eun Maeda(前田慧雲). These modern Buddhist Bibles have appeared in the Modern Era to make one concise and simple Buddhist canon. The Great Texts of Buddhism by Yongun Han is a product of the flow of the modern Buddhist Bibles as well as a unique accomplishment of modern Korean Buddhism. Han’s Bible is arranged and structured by the original idea of Han, but his book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Holy Texts of Buddhism.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two aspects of the texts. One i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and the other is the Buddhist scriptures these texts cite. In the conclusion, the two texts hav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well. On the doctrinal dimension, these two texts show the almost same Buddhist world view. They see ‘the mind(心)’ is the most important reality of the universe and humankind. They think every human-being has 'Buddha nature(佛性)' and 'buddhadhatu(Tathagata garba, 如來藏)’. Their basic doctrines rely on Avatamsaka Sūtra(華嚴經) and Mahāparinirvāna Sūtra(涅槃經). On the contrary, they show big differences as well. The Holy Texts of Buddhism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belief in the Other Power(他力信仰) of Amitabha Buddha and 'repentence' and 'faith'. It also cites the scriptures of the Pure Land(Sukhāvatī, 淨土) Buddhism many times much more than the Great Texts of Buddhism does. All these facts tell us that it has a strong feature of the authors' belief, that is, the faith of Jōdo Shinshū(淨土眞宗). The Great Texts of Buddhism of Han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solution(spiritual awakening, 發心), self-discipline, autonomy and meditation of Buddhist practitioner. It also sets a high value on 'Bodhisattva Ideal' as much as 'Buddha Ideal', and stresses 'the equality of all beings' of the universe. Han’s book also shows us a Confucian aspect that is included in the ethical dimension of his Buddhist faith. Accordingly, Han's text shows that he made the text by foll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Holy Texts of Buddhism, but at the same time, he transformed it by his own creative thought and purpose.

      • KCI등재

        <특집논문2> 불교의 한국적 변용과 특징: 한국적 독법을 통한 불교의 대중화 : 근대불교성전(Modern Buddhist Bible)의 간행과 한용운의 『불교대전』 : Buddhist Catechism, The Gospel of Buddha, 『불교성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송현주 ( Hyun Ju S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본 연구는 한용운의 『불교대전(佛敎大典)』(1914)을 근대불교시기에 출현한 다른 불교성전들, 즉 헨리 스틸 올코트(Henry Steel Olcott)의 『불교교리문답(Buddhist Catechism)』(1881), 폴 카루스(Paul Carus)의 『붓다의 복음(The Gospel of Buddha)』(1894), 난조 분유(南條文雄)와 마에다 에운(前田慧雲)의 『불교성전(佛敎聖典)』(1905)과 비교함으로써 한용운의 『불교대전』의 특징과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한용운의 『불교대전』은 넓게는 근대불교(Modern Buddhism)라는 불교의 범세계적 재편시기에 출현한 근대적 불교성전간행 흐름 속의 한 부분이며, 작게는 한국불교 근대화 시도의 한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용운의 『불교대전』은 난조분유와 마에다 에운의 『불교성전』으로부터 영향 받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 구체적인 형식과 내용에서 많은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독자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불교대전』은 한용운이 나름의 관점에서 한국의 상황에 맞게 불교의 내용을 재구성한 것이다. 네 개의 근대불교성전을 비교해 보면, 올코트의 『불교교리문답』과 카루스의 『붓다의 복음』에는 서구 근대불교학의 오리엔탈리즘적 성향이 반영되어 있으며, 불교를 이상주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들어있다. 이들 책에는 역사적 붓다, 철학자 붓다, 인격적이고 도덕적인 교사로서의 부처상이 부각되고 있으며, 붓다의 기본 교리를 철학적, 과학적 차원에서 해명하는 것을 주요한 내용으로 구성하고 있다. 반면에 난죠 분유와 마에다 에운의 『불교성전』과 한용운의 『불교대전』은 불교교리에 대한 설명과 함께 불교의 사회.윤리적 덕목 또한 중요한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이들에게 불교의 사회적 효용성이 주요 관심사였음을 보여준다. 한용운의 경우는 더 나아가 불교의 윤리적 덕목이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유가적 관점을 포용하는 방식으로 불교경전의 내용을 조직화하고 있다. 동양의 두 근대불교성전은 식민주의와 제국주의를 경험하면서 불교가 국가와 민족, 사회의 문제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를 고민했던 동양의 불교인들의 생각을 반영하고 있다. 이들 불교성전의 비교는 서구 근대불교와 동아시아 근대불교의 유사성과 차이점, 나아가 한국 근대불교의 성격을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Great Texts of Buddhism(佛敎大典, 1914) written by Yongun Han (1879-1944). Yongun Han is one of the great Buddhist thinkers of Modern Korea. He wrote a famous article, Treatise on the Reformation of Korean Buddhism(Choson Pulgyo Yusillon, 朝鮮佛敎維新論, 1913), and an important writing, the Great Texts of Buddhism. This study clarifies the structure of the text and uncovers the meaning of the Great Texts of Buddhism by comparing with Buddhist Catechism(1881) of Henry Steel Olcott, The Gospel of Buddha(1894) of Paul Carus, and the Holy Texts of Buddhism(佛敎聖典, 1905) of Bun`yu Nanjo(南條文雄) and Eun Maeda(前田慧雲). These modern Buddhist Bibles have appeared in the Modern Era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 that is, coming up with one concise and simple Buddhist canon. The Modern era expects to unify the diverse doctrines and practices of Buddhist sects in order to compete with the challenge of Christianity or to endure the hardship caused by the government`s policy or colonialism. The Great Texts of Buddhism by Yongun Han is a product of the flow of the modern Buddhist Bibles in the world as well as a unique accomplishment of modern Korean Buddhism. Han`s Bible is arranged and structured by the original idea of Han although his book is influenced by The Holy Texts of Buddhism. Buddhist Catechism and The Gospel of Buddha reflect the Orientalism of Western Buddhist Scholars. Han tries to search for nirvana within the mundane society where human beings belong, not the outside world where they do not reside. Accordingly, this book shows that Modern Buddhism of Han has pursued the well-being of the country, nation, and society of people belong. Han`s book is organized in a way that a Confucian aspect is included under the ethical dimension of Buddhism. This study helps us see the meaning and role of Buddhism in society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stern modern Buddhist Bibles and the Eastern ones.

      • KCI등재

        “불교는 철학적 종교” : 이노우에 엔료(井上円了)의 ‘근대일본불교’ 만들기

        송현주(Song, Hyun Ju) 한국불교연구원 2014 불교연구 Vol.41 No.-

        일본의 메이지시기 대표적 불교사상가의 한 사람인 이노우에 엔료(井上円了, 1858~1919)는 일본불교를 새로 정의함으로써 ‘불교의 근대화(modernization)’라는 과제를 수행하고자 했다. 그의 사상적 업적의 하나는 ‘불교는 철학적 종교'라는 명제 혹은 담론의 체계화이다. 본 논문은 이 명제의 배경과 논리, 의미와 영향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불분리(神佛分離)와 폐불훼석(廢佛毁釋)으로 침체된 불교는 자신을 근대적이며 국가에 유익한 종교로 보일 필요가 있었다. 또 서구문명과 함께 유입된 ‘철학', ‘과학' 등의 신조어와 기독교를 모델로 하는 ‘종교' 개념은 ‘불교가 종교인가 철학인가?' 등의 논쟁을 낳았다. 엔료의 ‘근대일본불교 만들기'는 불교를 당시의 보편적 진리의 표준인 철학․과학과 부합하는 종교로 설명함으로써 하나의‘근대적 종교(a modern religion)'로 만들기 위한 해석학적 노력이었다. 이를 위해 한편으로는 ‘철학'과 연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독교 중심의 ‘종교' 개념의 외연을 넓히는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하였다. 그것이 그의 ‘신판석(新判釋)'과 ‘종교신론(宗敎新論)'이었다. ‘불교는 철학적 종교'임을 뒷받침하는 논리로는 1) 불교는 철학․과학과 부합함, 2) 불교의 절반은 철학이며, 불교사는 철학사와 유사함, 3) 종교는 철학의 응용이라는 점을 들었다. 엔료의 사상의 영향은 중국의 양계초와 한국의 한용운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Inoue Enryō(1858-1919)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uddhist thinkers in the Meiji period(1868-1912) of Japan. With the Meiji Restoration, Buddhism lost its traditional power and meaning. It faced a crisis of extinction by the policy of Meiji government. By importing Western civilization, new classifications of scholastic disciplines, cultural categories and terms like ‘philosophy', ‘science' and‘religion' were introduced and they caused a confusion and challenge to the Meiji intellectuals. Japanese Buddhism had to prove that Buddhism was a rational and modern religion which had a value for society and nation. It had to solve th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risen between Buddhism and those western terms. As a reformist and revivalist of Buddhism, Inoue Enryō devoted his life to make Japanese Buddhism as modern and acceptable to the Japanese. For this aim, he made various efforts and contributions. One of those was the making of a thesis such as “Buddhism as a philosophical religion".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logical structure, contents and meaning of that thesis. It can be esteemed as a new version of ‘the critical classification of teachings(敎相判釋)'. Inoue Enryō himself called his work as‘a new hermeneutics of Buddhism(新判釋)' and ‘a new theory of religion(宗敎新論)'. In the thesis, the strategies for Inoue Enryō to make Japanese Buddhism as a modern religion were twofold. On the one hand, he explained Buddhism by the terms of philosophy and revaluated Buddhism to correspond with the truth of science and philosophy and to be superior to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 he enlarged the scope and changed the meaning of ‘religion' which was centering around Christianity. His idea aided to defend Japanese Buddhism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to resist the danger of distortion caused by the concept of‘religion' and the threat of Christianity. We can find the influence of Inoue Enryō in China and Korea, especially in the work of Liang Qichao(梁啓超) and Han Yongwoon(韓龍雲).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고령자 빈둥우리가계의 부채보유여부와 가계 재무상태: 소득과 자산 수준을 고려하여

        송현주 ( Hyun Ju Song ),윤정혜 ( Jung Hai Yoon ) 대한가정학회 201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0 No.4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analysis the middle-old aged empty nest households` debt holdings and their financial status(emergency fund index, liquidity index, debt burden index) considering the level of income and asset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we made use of the KReIS third beta-version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all income·asset groups there were more non-debts holding houses compared to debt holding houses. Moreover in debts holding houses, compared to other groups high income·high assets groups were more. Second, the households that possessed more assets, had more debts. Third, the financial status of the households holding debts were more vulnerable compared to households that had no debts. Moreover, all income·asset groups` emergency fund index were low. Households having no debts possessed low real assets and so the liquidity index was higher in holding debts households. In holding debts households, debt burden index was high. And especially these houses suffered from high debt burden when their income and asset were 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