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작학적 관점에서

        송한샘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9

        이 글의 목적은 ‘문화콘텐츠’라는 용어의 개념에 대한 보편적이며 통시적인 정의를 내리는 것이다. 최근 담론에서 문화콘텐츠는 ‘4차 산업혁명’에 그 자리를 내어준 듯하다. 문화콘텐츠라는 용어가 온전한 개념적 정립 없이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편입되고 있는 것이다. 이대로라면 문화콘텐츠라는 용어는 대기 중에 녹아 사라질지 모른다. 문화콘텐츠의 보편적 통시적 개념 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얘기이다. 문화콘텐츠의 기원에 대한 단초는 고대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축제에서 찾아진다. 이 축제에서는 신화를 개작한 이야기를 즐겼으며, 디오니소스에게 ‘디티람브’라는 합창곡을 바쳤다. 이는 그리스 고전시대의 비극으로 진화하였다. 융은 조상들이 수만 년 동안 살아오면서 반복하여 겪은 원천적인 경험들이 인간 정신의 구조적 요소로 고착되어 집단 무의식을 통해 유전된다고 하고, 그것이 신화, 종교, 꿈, 환상 또는 문학에 상징적인 형태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보편적인 인물상, 전형적인 행동 방식, 보편적 이미지 등은 단지 문학의 전통적 수법이나 도구일 뿐 아니라 인류의 깊은 심리 속에 뿌리박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를 초월하여 독자에게 강한 정서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 문화콘텐츠에도 이 같은 원형이 내재하며, 그것으로부터 많은 개체들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고대 희랍 비극의 특질은 현대 문화콘텐츠에도 그대로 전승되어 오고 있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제작학의 대표작인 『시학』은 주로 비극을 다룬다. 희랍 비극의 황금시대로부터 2500년이 지난 지금도 희랍 비극과 동일한 구조의 작품이 발견되고, 그것이 수신자들의 내면에 동질의 정서적 울림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현대 매체의 비극, 나아가 문화콘텐츠의 창작에도 『시학』의 덕목을 반영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이 제작하는 사물에는 ‘질료인’, ‘형상인’, ‘목적인’, ‘운동인’이라는 ‘네 가지 원인’이 반드시 존재하며, 이들은 상호 관계 속에서 하나로 합쳐져 작동한다. 이 글에서는 문화콘텐츠의 본질을 아리스토텔레스 제작학 이론 중 ‘네 가지 원인’과 『시학』의 비극 이론의 관점에서 포착할 수 있다고 보고 문화콘텐츠의 대표적 양태를 ‘여섯 가지 형성소’(질료인), ‘형상과 미디어’(형상인), ‘본질적 기능’(목적인), ‘제작자’(운동인)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비극의 여섯 가지 형성소–플롯·성격·사고력·언어 표현·노래·시각적 장치-는 오늘날의 문화콘텐츠에도 질료로 내재한다. 또한 문화콘텐츠는 인간의 기본적인 다섯 가지 감각의 대상이며, 미디어에 따라 ‘가능태로서 내적 구조화된 질료’ 즉 ‘2차적 질료’로서 다시 시각·청각·시청각·통감각적 텍스트의 네 가지 양태를 띄게 된다. 문화콘텐츠의 본질적 기능은 ‘대중의 내면에 감정을 생성하는 것’, ‘대중의 정신 체계에 기억 장치가 되는 것’, ‘대중의 내면에 인간성을 환기하는 것’의 세 가지이며 이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수사학』에서 강조되는 파토스, 로고스, 에토스의 세 측면에 각각 상응한다. 한편, 문화콘텐츠의 ‘운동인’으로서, ‘제작자’는 기획·제작·창작자는 물론 그 외연을 확장하여 이용자까지 포함한다. ‘제작자’는 인문학적 사고력을 원천으로 문화기술을 도입·적용·개발하도록 하며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term ‘cultural contents’ universally and diachronically. In the latest discourse, cultural content appears to have given way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erm ‘cultural contents’ is being incorporated into the new paradig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out proper conceptual establishment. At this rate, the term cultural contents may melt into the air. In other word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universal, diachronic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The inception of the term derives from Dionysia, the festival in ancient Greece to honor the god Dionysus. During the festival, people enjoyed stories on the adaptations of the myth of Dionysus, the god of wine and fertility, and offered the god the chorus, ‘dithyramb,’ which developed into Greek tragedy. As C. G Jung asserted, the repetition of experience over generations ultimately formed the human mind and became hereditary through a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at was projected symbolically in myths, religion, dream, fantasy and literature. Building on Jung, the universal character, traditional action, and the universal image in narrative literature are not merely literature’s traditional function, but they are also deeply embedded in the psychology of humanities. It transcends in a way that instigates a strong emotional reaction of the receiver. Likewise, the same can be applied to modern cultural contents. In this context, I argue that Greek tragedies’ elements are prominent in modern cultural contents. In Poetics, Aristotle explores Greek tragedy, and even after 2,500 years since its golden age, modern works resemble the traditional framework that arouses a collective emotion. Therefore, when creating cultural contents, the tragedy of modern communication comes into play and the elements of Poetics can be applied to modern audiences. According to Aristotle, there are four causes of being: material cause, formal cause, final cause, and efficient cause. These elem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conflate in consilience. The essence of cultural contents is deciphered through Aristotle’s Poietike theory, four causes of being, and consequently divided into “six formative elements,” “form and media,” “essential function,” and “a producer.”The six formative elements of Tragedy, plot, character, thought, diction, melody and spectacle, exist in cultural contents of today. Moreover, cultural contents reflect the five senses, and on top of that, as secondary matter, it is subdivided into visual, auditory, audiovisual, and ‘sensus communis’ text. The essential function of cultural contents is to “instigate emotion among the public,” “provide collective memory,” and “arouse humanity.” The elements parallel pathos, logos and ethos, which Aristotle emphasizes in both Poetics and Rhetoric. Meanwhile, as ‘efficient cause’ for cultural contents, ‘producer’ contained users by expanding its extension as well as planner, producer, and creator. The ‘producer’ shall develop cultural contents by introducing, applying, and developing cultural technologies based on humanistic thought abilities and by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 I assert that cultural contents are representations of human actions that can be deciphered through the human mind only, created with knowledge in humanities and cultural technology and through reconciliation to generate emotion, provide collective memory, and arouse humanity among the public.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뮤지컬 <헤드윅>의 극텍스트 공간 연구

        송한샘(Han-saem Song)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7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2 No.1

        The musical Hedwig and the Angry Inch is one of the best box office hit licensed musicals in South Korea. Since it s Off-Broadway debut of 1998, it has been mounted in dozens of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Hedwig and the Angry Inch is one-man stand up comedy , which presents one male lead of Hedwig and one chorus, and a punk rock band called The angry Inch . The 2014 s Broadway production of Hedwig and the Angry Inch won several Tony Awards, including Best Revival of a Musical, Best Lead Actor in a Musical, Best Featured Actress in a Musical, and Best Lighting Design of a Musical. Since it s first production of Korean language production in 2005, Hedwig and the Angry Inch has been remounted 10 times, which has received a lot of praise from both critics and audience. Specially at the interview with L.A. Weekly, one of the authors John Cameron Mitchell said that after staging Hedwig and the Angry Inch tens of thousands of screaming fans in Seoul, they had begun wondering about the possibility of Broadway revival, which underpins that Korean production s box office record and the quality of work inspired the authors and the original creators. Commonly there hardly ever are fancy set changes and dynamic mob scenes in this musical. Nevertheless, it is not monotonous and boring. That s because as Hedwig uniquely hovers between Diegesis and Mimesis, simultaneously the drama space also tridimensionally and expeditiously changes, which keeps absorbing and attracting audience. In accordance with Ubersfeld, theatrical space is basically on the assumption of the text space which acquires the matrix. Whether or not it appears on the stage as figure, text space refers to the all imaginative spaces summoned and built through the text. This disquisition assumes that Hedwig and the Angry Inch s huge success is mainly attributed to the quality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points of difference of this musical are aesthetic and polysemy of drama text space.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Ubersfeld s semiotics and Jung s analytical psychology, this paper analyze the aspect of reappearance of drama text space into three categories; dramatic allegory of mythic space , narrative impulse of dualistic space , self-realization process of psychological space . In the first, Hedwig and the Angry Inch s drama text builds mythic space, through which drives the audience into willing suspension of disbelief , and this mythic space itself fulfills a function of allegory on the drama space. Because this is where the object of the drama-Hedwig s journey to find its lost half-is firstly built up. Secondly, Hedwig and the Angry Inch s dama text space is dualized into current space and latent space. And again the current space is dualized into deflict space and prerogative space , latent space is dualized into prerogative space and transcendental space . Through the dialectical interplays composed of opposition, conflict and settlement between those meaning territories, these spaces incessantly drive the narrative. In the third, the drama text of this musical is the structure itself of Hedwig s mind. The narrative is about the story of the ego called Hedwig s finding its self -unconsciousness archetype- through the journey into unconsciousness. The characters of text correspond to each factors of the structure of Hedwig s mind. At the same time, the complexes of the layers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reappear on the text space as literal and non-literal symbols, which arouse more multilayered space images in receiver s inner side. This study tries to awake the present value of the musical Hedwig and the Angry Inch and the potentiality of text space esthetics in future new musicals in Korea. Hope a follow-up study will match the result of this paper to the aspect of reappearance of the musical Hedwig and the Angry Inch and capture text space esthetics extension to stage space. <헤드윅>은 한국 최고의 흥행 라이선스 뮤지컬 중 하나이다. 1998년 뉴욕 오프브로드웨이 초연 이래 지금까지 전 세계 수십 개 국에서 공연되어오고 있는 <헤드윅>(원제: Hedwig and the Angry Inch)은 주인공 ‘헤드윅’ 역의 배우 한 명과 한 명의 코러스 ‘이츠학’, 그리고 펑크 록 밴드 ‘디앵그리인치’가 극 전체를 이끌어 가는 ‘원 맨 스탠드 업’ 형식의 콘서트 뮤지컬이다. 2014년 개막한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은 토니상 4개 부문 수상 등 주요 뮤지컬 상을 석권하며 브로드웨이에서도 위용을 과시했다. <헤드윅>의 한국어 공연은 2005년 서울 초연 이래 2016년까지 총 11년간 열 번의 시즌을 거치며 매 공연 대중과 평단의 찬사를 받아왔다. 특히 원작자인 존 카메론 미첼은 미국의 유력 주간지 엘에이 위클리와의 인터뷰에서 “서울에서의 엄청난 성공을 목도한 뒤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의 꿈을 꾸기 시작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한국의 <헤드윅>이 원작자에게 마저 영감을 주었을 만큼 흥행성과 작품성의 측면에서 모두 의미 있는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전 세계를 통틀어 <헤드윅>의 무대에서는 화려한 세트 전환이나 대규모 출연진의 역동적인 장면을 찾기 힘들다. 하지만 <헤드윅>은 단조롭거나 지루하지 않다. 그것은 들려주기(Diegesis)와 극적 재현 방식(Mimesis)을 넘나드는 헤드윅 특유의 재담과 연기가 시종일관 관객을 흡인하며, 이 두 방식이 교차될 때마다 그 한 켜 아래에서 극 공간 역시 다양하면서도 입체적으로 신속하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위베르스펠드에 의하면 무대 공간은 기본적으로 모태의 자격을 지닌 텍스트 공간을 전제로 한다. 텍스트 공간이란 “무대에서 형체로 나타났건 그렇지 않건 간에, 텍스트에 의해 환기되고 텍스트를 통해서 구축된 모든 상상적 공간을 지칭한다.” 이에 본고는 <헤드윅>의 흥행성과 작품성이 무엇보다 원작 텍스트의 힘에 기대고 있으며, 작품의 가장 큰 특성이 극텍스트 공간의 심미성과 다의성이라고 보고 위베르스펠드의 기호학과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그 대표적인 양태를 ‘신화적 공간의 극적 알레고리’, ‘이원적 공간의 서사 충동’, ‘심리적 공간의 자기실현 과정’의 세 유형으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헤드윅>의 극텍스트는 신화적 공간을 구축하여 관객의 상상과 무의식의 지평을 넓혀주어 ‘불신의 자발적 중단’을 추동하는 한편, 신화적 공간은 그 자체로 극 공간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기능한다. 이 공간에서 ‘헤드윅의 잃어버린 반쪽을 찾는 여정’이라는 극의 목적이 처음 구축되기 때문이다. 둘째, <헤드윅>의 극텍스트 공간은 현동적 공간과 잠재적 공간으로 이원화하고, 현동적 공간은 다시 ‘결핍 공간’과 ‘특권 공간’으로, 잠재적 공간은 다시 ‘특권 공간’과 ‘초월적 공간’으로 이원화된다. 이 공간들은 그 의미 영역들 사이의 대립과 갈등 그리고 해소라는 변증법적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서사를 충동한다. 셋째, <헤드윅>의 극텍스트는 주인공 ‘헤드윅’의 마음 구조 그 자체이며 작품의 서사는 헤드윅이라는 ‘자아’가 무의식으로의 여행을 통해 무의식원형인 ‘자기’를 발견하는 이야기이다. 텍스트의 인물들은 마음의 구조의 각 요소에 상응하는 한편, 텍스트의 각 공간을 점유하는 의식·무의식 층위의 콤플렉스들은 문자적·비문자적 기호를 통해 텍스트 공간에 종합적으로 도상화되어 수신자들의 내면에 보다 다층적인 공간 심상을 불러일으킨다. <헤드윅>의 극텍스트가 생성하는 공간들의 다의성과 심미성은 작품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하고, 자칫 단조로운 느낌을 줄 수 있는 단일 세트 무대의 단점을 보완할 뿐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장점으로 승화하며 독특한 미학적 효과를 창출한다. 본 연구는 <헤드윅>의 현재적 가치는 물론 향후 한국에서 창작될 뮤지컬에서의 텍스트 공간 미학에 대한 가능성을 환기하였다는 데에 그 나름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행동 선택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홈에서의 상황 적응적 인터페이스 생성

        한샘(Han-Saem Park),인지(In-Jee Song),조성배(Sung-Bea Cho)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최근 가정환경의 홈 씨어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TV, 오디오, DVD, Video, 셋탑박스 등 여러 장치를 동시에 조작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기기에 해당하는 리모컨 버튼의 기능과 위치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더욱이 유비쿼터스 가정환경이 현실화 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장치들이 늘어나면, 사용자의 혼란은 가중될 것이다. 따라서 기능을 요약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적응적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조작하고자 하는 장치 뿐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컨트롤러에도 다양한 모바일 또는 고정된 장치들이 사용되므로 각 장치의 능력이나 제약 조건에 맞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조절해 줄 필요가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상황에 따라 표현되는 기능과 형태가 변경되는 적응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가정환경을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상황 및 장치 정보를 사용한다. 상황에 맞는 장치별 필요정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행동 선택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상황과 예측된 장치별 필요도를 입력으로 사용해 장치별로 현 상황에 필요한 기능을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된 기능들을 실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장치에 맞게 프레젠테이션 템플릿을 이용해 실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하여, 적응적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실험을 위해서는 유비쿼터스 홈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고, 해당 환경을 바탕으로 장치 사용기록을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생성하였다. 생성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장치별 필요도 추론결과를 평가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14명의 사용자들에게 평가된 10개의 태스크에 대해 기존의 고정된 홈 UI와 제안하는 적응적 홈 UI를 비교해 본 결과, 생성된 적응적 홈 UI가 일반적인 태스크를 고정적 홈 UI에 비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ecently, we should control various devices such as TV, audio, DVD player, video player, and set-top box simultaneously to manipulate home theater system. To execute the function the user want in this situation, user should know functions and positions of the buttons in several remote controllers. Normally, people feel difficult due to these realistic problems. Besides, the number of the devices that we can control shall increase, and people will confuse more if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is realized. Therefore, user adaptive interface that provides the summarized functions is required. Moreover there can be a lot of mobile and stationary controller devic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so user interface should be adaptive in selecting the functions that user wants and in adjusting the features of UI to fit in specific controller. To implement the user and controller adaptive interface, we modeled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and used modeled context and device information. We have used Bayesian network to get the degree of necessity in each situation. Behavior selection network uses predicted user situation and the degree of necessity, and it selects necessary functions in current situation. Selected functions are used to construct adaptive interface for each controller using presentation template. For experiments, we have implemented ubiquitous home environment and generated controller usage log in this environment. We have confirmed the BN predicted user requirements effectively as evaluating the inferred results of controller necessity based on generated scenario. Finally, comparing the adaptive home UI with the fixed one to 14 subjects, we confirmed that the generated adaptive UI was more useful for general tasks than fixed UI.

      • KCI등재
      • KCI등재

        Breas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Polycaprolactone Ball Scaffolds in a Partial Mastectomy Pig Model

        Shim Kyu-Sik,Ryu Da Hye,한샘,김기범,Kim Do-Hyun,Park Yong-Kyu,Heo Min,Cho Hee-Eun,윤을식,이원재,노태석,승용,백우열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23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20 No.4

        BACKGROUND: Breast cancer patients suffer from lowered quality of life (QoL) after surgery. Breast conservancy surgery (BCS) such as partial mastectomy is being practiced and studi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onfirmed breast tissue reconstruction in a pig model by fabricating a 3-dimensional (3D) printed Polycaprolactone spherical scaffold (PCL ball) to fit the tissue resected after partial mastectomy. METHODS: A 3D printed Polycaprolactone spherical scaffold with a structure that can help adipose tissue regeneration was produced using computer-aided design (CAD). A physical property test was conducted for optimization. In order to enhance biocompatibility, collagen coating was applied and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for 3 months in a partial mastectomy pig model. RESULTS: In order to identify adipose tissue and fibroglandular tissue, which mainly constitute breast tissue, the degree of adipose tissue and collagen regeneration was confirmed in a pig model after 3 month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lot of adipose tissue was regenerated in the PCL ball, whereas more collagen was regenerated in the collagen-coated Polycaprolactone spherical scaffold (PCL–COL ball).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 and IL-6, it was confirmed that PCL ball showed higher levels than PCL–COL ball.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e regeneration of adipose tissue through a 3-dimensional structure in a pig model. Studies were conducted on medium and large-sized animal models for the final purpose of clinical use and reconstruction of human breast tissue, and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