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인수 수업에서의 PBL 튜터 역할에 대한 연구

        성지훈,장경원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4

        When PBL(Problem Based Learning) is implemented in university level courses,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have a tutor with each group because of resource limitation. Therefore, in many PBL cases in universities, students work in groups and a tutor moves from group to group during class providing guidance. However,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the roles of tutor in such PBL ca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PBL tutor's roles in a large clas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BL tutoring strategy.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roles of a PBL tutor in large classes from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and a tutor. Three PBL courses with a tutor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litan area were selected for data collec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a tutor and student survey with open ended questions about the roles of a tutor. I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PBL tutor in a large class provided content related guidance more than process related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became an their important role. As a tutor had to take care of many groups in a limited time, she should grasp points of discussion in each group in a short time, deal efficiently with some common challenges many groups meet, and take measures to make up for the insufficient tutor's guidance in a classroom. 다인수 수업으로 진행되는 대부분의 대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이루어질 때는 한 명의 튜터가 하나의 학습 그룹을 관리하는 본래의 문제중심학습 모형과는 달리 한 명의 튜터가 여러 학습 그룹의 학습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인수 수업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 가 어떻게 역할을 하는지 그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다인수 문제중심학습에서의 튜터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소재 A 대학교에서 PBL로 진 행된 다인수 수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튜터의 역할을 수행한 교수자와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전체 수강 학생들을 대상으로 튜터 역할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묻는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 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인수 수업 문제중심학습에서의 튜터 역할의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튜터는 문제중심학습의 과정을 안내하고 지도하기보다 학습 내용에 대한 안내 를 보다 비중있게 수행하고, 강좌 전반에 대한 운영 및 관리 역할을 강화하게 된다. 또한 정해 진 시간에 여러 학습 그룹을 관리해야하므로 짧은 시간에 각 학습 그룹의 논의 사항을 파악하 고, 여러 학습 그룹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유사한 문제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교실 상황에서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튜터 지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 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준영상의 특징점을 이용한 무기준점 UAV 정사영상의 기하보정

        성지훈,이기림,한유경,이원희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7 No.6

        공간정보 산업에서는 주기적으로 신속하게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 무인항공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UAV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UAV를 이용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할 경우 지상기준점의 입력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영상을 이용하여 GCP를 사용하지 않고 정사보정한 대상영상의 기하보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영상의 특징점을 SURF기법을 이용하여 매칭한 후 RANSAC기법을 사용해 추정한 Affine 변환모델을 적용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였으며 정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준영상의 수평 최대오차는 x=0.11m, y=0.15m이며, 항공 삼각 측량오차는 z=0.16m로 나타났으며, 표준편차의 경우 =0.07m, =0.09m, =0.10m로 나타났다. 기하보정을 진행하지 않은 대상 영상의 경우 수평 최대오차 x=3.61m, y=3.85m, 표준편차 =1.73m, =1.70m로 나타났으며, 기하보정을 진행한 후의 수평 최대오차는 x=0.43m, y=0.43m, 표준편차는 =0.19m, =0.18m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기준영상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GCP 없이 정사영상의 제작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unmanned aerial vehicles(UAVs), which can acquire data periodically and various researches on UAV have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due to the merit that a small number of people can acquire data at a rapid interval, various researches on UAV are being conducted. However, surveying of ground control points (GCP) is essential when producing orthophotos using UAV. In this study, geometric correction of the ortho-corrected target image without GCP was performed using the reference image. we matched the feature points of the two images using SURF method, and then performed the geometric correction using the Affine transform model estimated using the RANSAC method. The accuracy of the reference image was horizontal maximum error x=0.11m, y=0.15m and z=0.16m.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0.07m, =0.09m and =0.10m. The accuracy of the image without geometric correction was the horizontal maximum error x=3.61m, y=3.85m.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1.73m, =1.70m. Geometrically corrected image was horizontal maximum errors x=0.43m, y=0.43m and standard deviation were =0.19m, =0.18m. Through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making orthophoto using the feature points of the reference image.

      • KCI등재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고려한 폭염취약지역 도출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성지훈,이기림,권용석,한유경,이원희 한국측량학회 2020 한국측량학회지 Vol.38 No.4

        IPCC는 기상이변의 예방 대책의 중요성을 권고하였으며 폭염은 주요 예방대책수립 주제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예방대책수립을 위한 기존 연구는 지형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을 따로 구분하여 폭염취약지역을 도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공간, 지형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폭염취약지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에너지 사용량, 인구밀도, 정규식생지수, 수변이격거리, 태양복사량, 도로분포를 변수로 하여 점검하고, 여러 회귀모형 중 가장 적합한 모형인 Spatial Lag Model을 선택하여 사용가능한 변수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Fuzzy 이론에 기초하여 각 변수에 대한 폭염 취약정도를 분석하고, 6개의 변수를 중첩분석하여 최종적으로 폭염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폭염의 영향이 큰 대구광역시를 선정하였으며, 취약지역의 경우 기존 도심지이며 수변 및 식생에 영향을 적게 받은 대구 서구, 남구, 달서구에 주로 분포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구광역시의 폭염 저감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있어 공간적, 사회적 특성을 모두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recommended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extreme weather, and heat waves are one of the main themes for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heat vulnerable areas by considering not only spatial characteristics but also social characteristics. Energy consumption, popu lation density,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waterfront distance, solar radiation, and road distribution were examined as variables. Then, by selecting a suitable model, SLM (Spatial Lag Model), available variables were extracted. Then, based on the Fuzzy theory, the degree of vulnerability to heat waves was analyzed for each variable, and six variables were superimposed to finally derive the heat vulnerable area. The study site was selected as the Daegu area where the effects of the heat wave were high. In the case of vulnerable area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isting urban areas are mainly distributed in Seogu, Namgu, and Dalseogu of Daegu, which are less affected by waterside and vegetation. It was confirmed that both spati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policy support for reducing heat waves in Daegu.

      • KCI등재

        폭염취약지역 도출 및 온도저감시설 적지분석: 대구광역시를 기반으로

        성지훈,이기림 대한공간정보학회 2023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31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grid-level heatwave vulnerability areas while considering both geograph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e suitable locations for temperature mitig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concept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provid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variables such as solar radiatio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density of elderly population, density of children and youth population, aquatic influences, existing heat shelters, and Shade cloth location data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for the research.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city of Daegu, which is highly affected by heatwaves. Vulnerable areas were identified in locations such as Yucheon-dong, Dalseo-gu, Guam-dong, Buk-gu, Yuga-eup, Dalseong-gun, Map of Jisan-dong, Suseong-gu, where additional temperature mitigation facilities are deemed necessar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ropriate location of detailed temperature reduction facilities can be suggested in policy support for heat wave reduc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Keywords : Heat Wave, Heat Wave Vulnerable Area, Climate Change, Geographic Information

      • KCI등재

        유아교육과 교직과목 연계 강화를 위한 개념도/반성적 저널 활용 사례 연구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성지훈,김태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교직과목 중 하나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 시간에 ‘유아교육에서의 교수설계’라는 주제로 개념도와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유아교육과 교직과목의 연계 학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과목을 수강하는 4년제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37명이 작성한 개념도와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고, 이들이 경험한 교육적 효과와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개념도와 반성적 저널은 4가지 유형 - 1) 자기생각 중심형, 2) 내용정리형, 3) 적용중심형, 4) 비판적 통합형 - 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개념도 및 반성적 저널 작성 활동의 교육적 효과로는 유아교육과 교육공학의 연계성 파악, 체계적 지식 구성, 교수설계에 대한 자신감, 메타인지 활성화가 나타났으며, 활동 수행에서 나타난 어려움으로는 유아교육과 교육공학 지식 이해 부족, 유아교육과 교육공학의 주요 내용간 관계 이해의 혼란스러움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과 교직과목 연계를 위한 방안으로 개념도와 반성적 저널이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원격성인학습자의 CSCL에서 학생 리더십 발생 및 전개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성지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0 평생학습사회 Vol.6 No.2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고등교육기관에서의 컴퓨터 기반 협력 학습(CSCL)에서 학습자들이 소그룹을 구성하여 협력학습을 해 나가는 가운데 나타나는 학생 리더십의 발생 과정과 전개 과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A 원격대학원의 온라인 강좌에 참여한 학생 43명이 7개 조로 나뉘어 협력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학생들이 온라인 상에 올린 메시지와 학생들이 작성한 저널을 분석하였으며, 조장 역할을 수행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바쁜 원격성인학습자 들은 조장 역할을 부담스러운 봉사직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자발적으로 조장 역할을 수 행하기를 희망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서로 조장 역할을 피하고 싶은 상황에서 조장 선정 과정도 조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 력학습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면서 원치 않지만 하는 수 없이 조장 역할을 수행하게 된 학생들은 의사소통 기회가 적은 원격 환경, 유대감이 부족한 원격 관계 가운데 시간 부족과 CSCL 도구(위키) 활용 능력 부족으로 인해 참여가 저조한 학생들과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으며, 과제물 책임 작성이라는 업무를 하는 수 없이 책임감으로 수행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원격성인학 습자를 대상으로 CSCL을 실시할 경우,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리더십 발생 및 공유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결론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 리더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원격성인학습자 대상 CSCL에서 학생 리더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모든 학생들이 참여하는 공식적인 조장 선출 과정을 도입하고, 교수자가 조장 역할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구축하고, 리더십 공유 및 분산을 통해 리더 역할에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2명 정도의 공동 조 장을 선발하여 함께 활동하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adult students' leadership in small groups in CSCL(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in a distance graduate course. 43 adult students, who were mostly kindergart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organized into 7 groups and collaborated online through Wikis and bulletin boards for 6 weeks to write a paper about how to successfully implement CSCL in distan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s. The researcher observed the students' activities online from the beginning, and students' messages posted on the Wikis and bulletin boards, students' journa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Open ended questionnaire survey for leaders in small groups was conducted and response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In the results, how leadership emerged and developed in each small groups were illustrated and common patterns found in the analysis were described. Findings suggested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voluntary and distributed leadership to appear and develop in distance adult students' CSCL because of busy students' reluctance to be a leader. Online asynchronous communication, little rapport between group members, and busy and low motivated students made group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difficult. In spite of the difficulty, it was proved that students' leadership was significant factor to complete the task. This study suggested thre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uccessful students' leadership in distance adult students' CSCL.

      • KCI등재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람의 심박변화와 활동강도를 이용한 운동 검출 방법

        성지훈,최선탁,이주영,조위덕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8 No.4

        웰니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개인의 건강상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모니터링하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운동과 일상 활동을 구분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기계학습을 활용한 방식이다. 하지만 개인별 학습 데이터에 의존적인 과적합 문제와 연속적인 사건으로 구성되는 사람의 행동을 독립적으로 취급하여 인식 결과가 중간에 끊기고 오인행동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운동 시 심박이 오르내리는 생체반응 원리를 기반으로 한 운동 상태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3축 가속도 센서와 PPG 센서를 통해 활동강도 및 심박 수를 산출하여 심박 회복기를 판단한 후, 활동강도 검사 또는 심박 상승기 검사를 통해 운동 상태를 검출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평균 정확도 98.64%, 정밀도 98.05%, 재현율 98.62%로 기존 알고리즘보다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As interest in wellness grows, There is a lot of research about monitoring individual health using wearable devices. Accordingly,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studied to distinguish exercise from daily activities using wearable devices. Most of these existing studies are machine learning methods. However, there are problems with over-fitting on individual person’s learning, data discontinuously recognition by independent segmenting and fake activity. This paper suggests a detection method for exercise activity based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principle of heart rate up and down during exercise. This proposed method calculates activity intensity and heart rate from triaxial and photoplethysmography sensor to determine a heart rate recovery, then detects exercise by estimating activity intensity or detecting a heart rate rising stat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algorithm has 98.64% of averaged accuracy, 98.05% of averaged precision and 98.62% of averaged rec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