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외탐방기 - 일본 축산관련 기관의 역할 및 쇠고기 시장 방문 후기

        선창완,Seon, Chang-Wan 축산물품질평가원 2014 KAPE누리 Vol.209 No.-

        소고기 등급제는 UR무역협상 속에서 국내 축산업의 대외 경쟁력을 만들어 온 원동력이었으나 최근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이 논의되고 체결되는 현실에서 새로운 기능의 변화와 도약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축산현실이 비슷한 이웃나라 일본을 통하여 축산관련 기관의 역할, 시장현황, 등급판정, 식육소비홍보기능, 축산물 유통정보 수집 및 공유 체계에 대한 사례를 배우고 우리기관의 지속가능한 역할과 발전 방향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 KCI등재

        Kaguya Lunar Radar Sounder (LRS) 표면 레인지 데이터를 이용한 Rima Galilaei의 북쪽 달 용암 동굴 후보지 조사

        선창완 ( Changwan Sun ),고바야시타카오 ( Kobayashi Takao ),김경자 ( Kyeong Ja Kim ),최영준 ( Young-jun Choi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3

        미래 인류의 달 기지 설치 후보인 달 용암 동굴은 지형 카메라의 관측 자료를 통해 탐사가 수행되었지만 이는 달 용암 동굴의 존재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 투과가 가능한 High Frequency (HF) 레이더의 달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달 용암 동굴 탐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달 탐사선 Kaguya의 Lunar Radar Sounder (LRS)의 관측 자료에서 LRS에서 가장 강한 반사파 펄스가 나 발생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인 LRS 표면 레인지가 추출되었다. 달 용암 동굴은 얕은 지하에 분포하고 LRS의 거리 분해능은 얕은 지하에 있는 목표물의 반사파와 표면 반사파는 분리 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달 얕은 지하에 구조물이 있는 경우 일반적인 달 표면의 위치가 실제 달 표면과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LRS 펄스의 낮은 거리 분해능을 이용하여 LRS 표면 레인지로부터 얕은 지하에 존재하는 달 용암 동굴 검출이 가능하다. LRS 표면 레인지에서 Kaguya의 궤도 고도를 제하면 달 표면 고도가 나타나고 이를 달 지형 고도를 나타내는 Kaguya Digital Terrain Model (DTM)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DTM 평균 지형 고도와 비교 분석하여 달 용암 동굴을 검출한다. 이러한 분석 방법을 Rima Galilaei의 북쪽에 위치한 달 용암 동굴 후보지에 적용하여 LRS 지형 고도 값과 DTM 평균 지형 고도 값의 차이를 발견하였고 검출된 차이가 천부 지하에 존재하는 달 용암 동굴의 반사파로 인하여 생긴 것으로 추정하였다. A lava tube is one of the hot issues of lunar science because it is regarded as a good candidate place for setting a lunar base. Recently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find lunar lava tubes. However, preceding works mainly made use of high-resolution lunar surface image data in conjunction with geomorphological consideration to present some lava tube candidates. Yet, those candidates stay no more than indirect indications. We propose a new data analysis technique of High Frequency (HF) radar observation data to find lunar lava tubes of which location depth is smaller than the range resolution of the radar pulse. Such shallow target echoes cannot be resolved from surface echoes, which presents the different location of the lunar surface compared to that of real lunar surface. The proposed technique instead finds the surface range (distance from LRS to the reflector of the most intense signal) anomaly which occurs as a result of the low range resolution of LRS pulse. We applied this technique to the surface range of Kaguya Lunar Radar Sounder (LRS) data. The surface range was deduced to make LRS surface elevation which was compared with the average surface elevation of Kaguya Digital Terrain Model (DTM). An anomalous discrepancy of the surface elevation was found in the Rima Galilaei area, which suggests the existence of a shallow lava tube.

      • KCI등재

        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이용한 지표천부 단층 연구

        KOBAYASHITAKAO,선창완,최진혁 대한지질학회 2022 지질학회지 Vol.58 No.4

        Recent Mw 5 class earthquakes reminded us that Korea is not a land that is free from earthquake hazard. Hence, the government has promoted updating hazard information regarding known fault systems as well as surveying/documenting yet-to-know faults for a purpose of mitigating possible damages associated with moderately large earthquakes. We utilize in our study those geophysical exploration devices/techniques which has been more popular to geologic field survey these years such as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and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This paper introduces GPR survey techniques that are applied to study of near surface geologic structure in a context of active fault study. Three survey techniques are described, i.e. conventional single line survey, multiple lines survey, and orthogonal dual polarimetric survey, and the case results of these survey techniques are presented. The single line survey is typically performed to investigate secondary geological structures associated with an active fault. The results of surveying of the Southern Yangsan Fault zone revealed secondary geological structures associated with the Yangsan Fault. The multiple lines surve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ree dimensional geologic structure. We carried out the survey in a survey site of Baekmaryeong, Eumseong to image three dimensional fault structure. We also performed the survey In Mogod, Mongolia where a Mw 7.1 earthquake took place in 1967, and successfully imaged a paleo-river which was covered by unconsolidated sedim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horizontal offset markers of the Mogod fault. Finally, the orthogonal dual polarimetric survey is carried out to detect a vertical fault that occurs in a base rock which is covered by a surface soil layer. We applied this technique to a survey site in Ulsan to detect a vertical fault under a few tens of centimeter thick soil layer. 최근에 경상 지역에서 발생한 Mw 5급 지진들을 계기로 중대형지진으로 인한 지질재해 발생가능성과 함께단층 및 고지진 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다학제 연구를 통해 미고결 퇴적층에 피복된 단층에 대한 조사가진행 중이다. 이 논문에서는 천부지구물리탐사 중 지하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GPR) 탐사에 대해 국내외 단층 조사현장에서 수행 중인 탐사 기법과 사례를 소개하고 토의한다. 우선, 단일측선 GPR 탐사는남부 양산단층의 4개 지점에서 수행된 사례를 통해 단층대 내에 발달하는 피복된 지질구조를 탐지할 수 있음을보여준다. 다음으로 다중측선 GPR 탐사는 음성 백마령 일대 단층 조사와 몽골 모고드단층의 변위지시자인 고하천 조사 사례를 통해 단층의 기하와 변위량을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다중측선 직교편파GPR 탐사는 울산 미호일 일대 단층 조사 사례를 통해 피복된 수직단층을 탐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기법별 탐사 사례 결과를 통해 탐사 대상, 단층의 종류, 조사현장 조건 등에 따라 기법이 달라질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 단층 및 고지진 연구에 GPR 탐사가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등도 이하의 변형을 보이는 무지외반증에서 연부조직 교정술과 근위부 절골술의 비교

        조덕연,김희천,선창완,Cho, Duck-Yun,Kim, Hee-Chun,Seon, Chang-Wa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1997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 No.1

        국립의료인 정형외과에서 최근 10 년간 경도 및 중등도의 변형을 보인 무지외반증에 대해, 원위 연부조직 교정술을 시행받은 환자 12명, 20례(1군)와 원위 연부조직 교정술 및 근위 중족골 절골술을 시행받은 환자 6명, 9례 (2군)를 최초 6개월 이상 추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최종 추시상 주관적 평가 및 합병증의 유무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1군 80%, 2군 78%에서 만족으로 분류되었다. 2. 술전 무지외반각 및 중족골간각은 1군에서 평균 30.6도, 12.5도 였으며 수술 직후 각각 7.3도, 10.4도로 호전되었다. 술전 2군에서 평균 32.5도, 12.4도 였으며 순술 직후 각각 8.0도, 10.1도로 호전되었다.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최종 추시 상 교정각의 소실은 무지외반각의 경우 1군에서 평균 8.7도, 2군에서 평균 10.9도 로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중족골간각 친정의 소실은 1관에서 평균 0.4도, 2군에서 평균 2.7도 였다. 그러므로 중등도 이하의 변형을 보이는 무지외반증에서 원위 연부조직 교정술에 추가한 근위 절골술은 별다른 잇점이 없었다. Multiple surgical procedures for the correction of hallux valgus have been described. The surgical algorithm is based on the degree of deformity, patient's ag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rthritis. It is known that the role of an isolated distal soft-tissue procedure is limited and the procedure must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to correct most hallux valgu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 radiological results of distal soft-tissue procedure with or without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performed in 18 patients (29 cases ) who had mild to moderate degrees af hallux valgus deform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20 cases with isolated soft-tissue procedures, the preoperative hallux valgus angle (HV) averaged 30.6 degrees and the postoperative HV averaged 7.3 degrees. The preoperative intermetatarsal angle (IM) averaged 12.5 degrees and postoperative IM averaged 10.4 degrees. 2. In 9 cases with the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added, the preoperative HV averaged 32.5 degrees, and the postoperative HV averaged 8.0 degrees. The preoperative IM averaged 12.5 degrees, and postoperative IM averaged 10.1 degrees.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oss of correction, presence of complication, patients own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as for the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degrees of hallux valgus deformities,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following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and proximal metatarsal osteotamy are not proved to be superior to those following isolated soft-tissue procedures.

      • KCI등재

        축산물 및 가공 : 말고기의 육질 등급에 따른 부위별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성분 비교

        정진형 ( Jin Hyung Cheong ),선창완 ( Chang Wan Sun ),황도연 ( Do Yon Hwang ),권기문 ( Ki Mun Kwon ),이재청 ( Jae Cheong Lee ),김효선 ( Hyo Sun Kim ),김용준 ( Young Jun Kim ),이상근 ( Sang Kun Lee ),류연철 ( Young Chul Ryu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3 한국축산학회지 Vol.55 No.3

        본 연구는 말고기 응급(1등급과 2등급)에 따른 품질을 비교하여 향후 부위별 및 등급별 구분 판매시 등급간 육질 특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의해 이화학적, 관능적, 지방산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등심에 대한 일반성분분석 결과에서는 1등급이 2등급에 비해 높은(p<0.05) 조지방 함량을 보인 반면, 전단력은 1등급이 5.87(kg/cm²)으로 2등급 10.86(kg/cm²)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육질등급별등심, 목심, 넓적다리에 대한 보수력 측정결과 등급간 및 부의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p<0.05), 육색에 대한 육질등급별 부위간 비교에서는 L* 값, a* 값 및 b*값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2등급의 경우 등심, 목심, 넚적다리의 L*, a* 및 b* 값은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지방산 조성에 대한 분석결과 등심에서 palmitoleic acid (C16:1)는 1등급이 11.39%, 2등급이 5.36%으로 1등급이 2등급에 비해 유의 적으로 높았다 (p<0.05). 반면 stearic acid(C18:0)는 1등급이 2등급에 비해 유의 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5), oleic acid(C18:1)는 등급간에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결과 육질 등급간에는 전체적인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냉동된 말고기의 육질 1등급과 2등급에서는 조지방 함량, 전단력, palmitoleic acid (C16:1)와 stearic acid(C18:0)는 등급별 육질을 판별할 수 있는 요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위 및 등급에 따른 차별화를 위해서는 40개월 이상의 장기간 사육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fatty acid profile and sensory property of horse meat according to meat quality grade (1 and 2) and cuts (loin, chuck roll and top round). The lipid content of loi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ade 1 (4.65%) compared with grade 2 (2.31%), whereas moisture content was lower (p<0.05) in grade 1 than in grade 2. The pH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loin than in other cuts regardless of meat quality grade. Shear force value of lo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grades 1 (5.87kg/cm²) and 2 (10.86kg/cm²). Water-holding capacity values of loin, chuck roll and top round were not different (p<0.05) between grades 1 and 2. Meat color values (L*, a* and b*) of loin, chuck roll and top round were not different (p<0.05) between grades 1 and 2. Palmitoleic acid of loin in grade 1 (11.39%) was higher (p<0.05) than that in grade 2 (5.36%). Stearic acid of loin in grade 1(3.58%) was lower (p<0.05) than that in grade 2(7.02%). Overall palatability of loin, chuck roll and top round did not differ (p<0.05) between grades 1 and 2. Therefore, meat quality grade had mainly affected lipid and moisture contents, shear force, palmitoleic acid and stearic acid of horse loin; and horse loin of grade 2 had lower pH and higher L*, a* and b* than the other cu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