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지역 노인 급식 프로그램 수혜자의 만족도 및 요구도 분석

        서희재,홍민지,장영애,김복희,이행신,김초일 대한영양사협회 200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9 No.2

        In the process of devising an efficient meal service system for the elderly, 478 elderly were interviewed at 6 different social centers with the elderly meal service program in Seoul area to monitor degree of satisfaction and/or needs of the beneficiaries regarding the pro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2002 by well-trained interviewers using self-developed questionnair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AS package program. Most of the beneficiaries were low economic class and 76% of them had doctor diagnosed disease(s). Mean satisfaction score of the beneficiaries of congregate meal service was 3.72 out of 5. For most of the questions, female elderly and healthy elderly responded with higher score than male elderly and unhealthy elderly, respectively(p<0.05, p<0.01). On the other hand, beneficiaries of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were little bit less satisfied with the service(3.54 out of 5). Compared to the beneficiaries of congregate meal service, larger portion of beneficiaries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wanted more meats(28.5% vs. 17.1%) and vegetables(23.2% vs. 12.3%) as side dishes. On the other hand, the most preferred type of cooking and/or seasoning was stewing for both cas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more fresh foods should be used than processed foods in the preparation of meals for the elderly and, more fish-, meat- and vegetable- dishes should be served to come up to the needs of the elderly. Onto this, mainly Korean style meals with some intermittent Western, Japanese or Chinese style meals served at the right temperature would suffice most of the elderly needs.

      • KCI등재

        효소 가수분해 백삼, 홍삼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서희재,Suh, Hee-Jae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5

        본 연구에서는 백삼 및 홍삼 추출물과 그 효소 가수 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를 첨가하여 제조된 양갱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효소 가수분해를 위해서는 Rapidase C80 max, Pyr-flo, Ultimase MFC를 선정하였다. Rapidase C80 max, Pyr-flo, Ultimase MFC로 가수분해 한 백삼과 홍삼에서는 효소반응 전에는 검출되지 않았던 ginsenoside F2와 Compound K (CK)가 검출되었으며 특히 홍삼의 2차 효소 반응군에서 CK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효소 가수분해 전 또는 후의 백삼 및 홍삼을 함유한 양갱을 제조한 후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능력을 분석한 결과 백삼 및 홍삼을 함유하지 않은 양갱(대조군)에 비해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분석 결과 모두 우수하였으며, 첨가한 백삼 및 홍삼에 효소반응을 진행할수록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P<0.05). 밝기(L<sup>*</sup>)는 무첨가 양갱(대조군)이, 적색도(a<sup>*</sup>)는 홍삼양갱(RG)이, 황색도(b<sup>*</sup>)는 백삼양갱(WG)이 높게 나타났고, 조직감은 홍삼 첨가 후 2차 가수분해까지 진행한 양갱(RG-T2)이 강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씹힘성(chewiness), 응집성(cohesiveness), 검성(gumminess)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백삼 또는 홍삼 추출물에 Rapidase C80 max, Pyr-flo, Ultimase MFC를 처리하면 진세노사이드 탈당화에 매우 유용하여 생리활성이 우수한 CK를 생산할 수 있으며, 효소로 가수분해 된 백삼 및 홍삼을 첨가한 양갱은 대조군(인삼 무첨가 양갱)에 비해 총 폴리페놀과 항산화 활성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기능성 양갱 제조에 우수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containing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s and their enzyme hydrolysates that we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hite and red ginseng extracts were hydrolyzed using Rapidase C80 max, Pyr-flo, and Ultimase MFC. Ginsenoside F2 and compound K (CK) were not detected in white and red ginseng before enzymic reaction but were detected in white and red ginseng hydrolyzed through Rapidase C80 max, Pyr-flo, and Ultimase MFC, and the content of CK was the highest in the second enzymic reaction group of red ginseng. Upon preparing yanggaeng containing white and red ginseng before or after enzymatic hydrolysis, the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bilities were analyzed. The yanggaeng containing enzyme-hydrolyzed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showed greater total polyphenol content, superi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io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ior FRAP analysis results compared to the yanggaeng that doesn't contain white or red ginseng. As the enzymic reaction was performed in the added white and red ginseng, the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brightness(L<sup>*</sup>), non-additive yanggaeng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red ginseng yanggaeng (RG) showed the highest redness(a<sup>*</sup>), and the white ginseng yanggaeng (WG) showed the highest yellowness(b<sup>*</sup>). In terms of texture, the yanggaeng containing red ginseng with second hydrolysis (RG-T2) showed significantly high results in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P<0.05). In conclusion, treating white and red ginseng with Rapidase C80 max, Pyr-flo, and Ultimase MFC is very useful in ginsenoside deglycosylation and will produce CK with excellent biological activity. It can also be seen that yanggaeng containing white and red ginseng hydrolyzed with enzymes significantly increase total polyphenol and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yanggaeng with no added ginseng).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as excellent foundational data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yanggaeng in the future.

      • KCI등재

        식품 색소 Canthaxanthin의 HPLC 최적 분석법 확인 및 타당성과 측정불확도 평가

        서희재(Hee-Jae Suh),김경수(Kyung-Su Kim),홍미나(Mi-Na Hong),이찬(Cha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한국에서 식용색소로 지정되지 않은 keto-carotenoid계의 canthaxanthin에 대한 최적 분석방법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HPLC-UVD를 이용한 외국의 canthaxanthin 공인분석법을 검토하여 직선성, 분리능, 민감도, 검출한계(LOD), 정랑한계(LOQ)를 도출하고, 각 실험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적의 canthaxanthin 분석방법을 확보하였다. 또한 확보된 최적 분석방법에 대한 정밀도, 정확도, 회수율, 실험실 간 교차검증, 측정불확도를 산출하여 canthaxanthin 최적 분석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AOAC법, 일본 및 영국의 공인분석법을 이용하여 canthaxanthin 표준용액을 5, 10, 20, 50, 100, 300 μg/mL의 6 point로 희석한 후 얻은 검량선의 상관계수는 모두 R2=0.999 이상으로 나타나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으나 분리능, 민감도, LOD, LOQ는 일본의 공인분석법이 가장 우수하였다. 일본 공인분석법의 LOD와 LOQ는 각각 0.084 mg/kg, 0.254 mg/kg으로 나타났으며, 1보다 낮은 정밀도, 100%에 가까운 정확도, 100±10% 사이의 회수율, 교차검증 시 세 기관의 변동계수가 5이하로 나타나 canthaxanthin 분석을 위해 가장 최적화된방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측정하는 중에 나타나는 불확실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anthaxanthin이 함유된 가공식품을 분석하여 측정불확도를 산출한 결과 39.5±5.29 mg/kg(95% 신뢰구간, k=2.78)으로 나타났다. 확장불확도는 측정농도의 13.4%로 나타나 유럽연합의 기준(16% 이하)에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optimized analytical metho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pplied to canthaxanthin, which is not yet designated as a food colorant in Korea, as well as to perform validation and uncertainty evaluation of this method. Official methods of AOAC, UK, and Japan with HPLC-UV detection were evaluated for the analysis of canthaxanthin by comparison of linearity, resolution, selectiv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tation (LOQ), accuracy, precision, recovery, inter-laboratory tests, and uncertainty measurement. The calibration curves showed high linearity with an R<SUP>2</SUP> value of over 0.999 for canthaxanthin standard solutions in all three official methods. The official method of Japan exhibite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resolution and selectivity, including the lowest LOD and LOQ. The average coefficients of variation were calculated as less than five of three institutes with a precision value less than 1, accuracy near 100%, and recovery ratio between 100±10%. The expanded uncertainty for canthaxanthin was estimated to be 39.5±5.29 mg/kg (95% confidence level, k=2), and the uncertainty of measurement was 13.4%. In this study, official methods of canthaxanthin were compared and the validities verified. The results will be further applied to establish an authorized analytical method for canthaxanthin in Korea.

      • KCI등재

        영양보충용 식품 중 수용성비타민(VitaminB1,B2,B3,B6 andC)의 HPLC를 이용한 동시분석법

        서희재 ( Hee Jae Suh ),김소희 ( So Hee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4 No.3

        시중에 유통 중인 영양보충용 제품의 수용성 비타민 B1(thiamin), B2(riboflavin), B3(nicotinic acid and nicotine amide), B6(pyridoxine), C(ascorbic acid)의 신속한 동시분석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양보충용 제품은 정제, 연질캅셀, 분말, 액상의 4가지 제형에 대해 27종의 제품을 구입한 후, Ion-pair 분리기법을 사용하여 HPLC-UVD를 이용한 동시분석 방법을 검토하였다. 비타민 B1, B2, B3, B6, C의 HPLC에 의한 동시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 이동상은 0.02% triethylamine, 17.5% 메탄올, 5 μM sodium hexanesulfonic acid가 함유된 pH 3.5(acetic acid로 조절)의 수용액을 사용하였고, 용출시간은 다른 피크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30분으로 하였다. 수용성 비타민의 회수율은 96% 이상이었다. 본 연구에 의해 확립된 수용성 비타민의 동시분석 조건은 검량선의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기기적합성 등이 USP 및 ICH 기준에 적합하여 HPLC의 동시분석 방법으로 합당하였다. 수용성 비타민의 추출 용매는 제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긴 했으나, 물이나 산성조건을 갖춘 HPLC의 이동상이 에탄올이나 메탄올보다 높은 추출 효율을 보였다. 초음파 추출기에 의한 추출 시간은 20분이 가장 적당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용성 비타민의 신속한 추출 및 분석에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SCOPUSKCI등재

        식품을 통한 몰식자산프로필, 이디티에이, 에리쏘르빈산의 섭취량 평가

        서희재(Hee-Jae Suh),최성희(Sunghee Choi)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6

        가공식품에 첨가된 몰식자산프로필(propyl gallate), 이디티에이(ethylenediamine tetra acetate), 에리쏘르빈산(erythorbic acid)의 섭취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몰식자산프로필 함유식품 65 품목, 이디티에이 함유식품 121 품목, 에리쏘르빈산 함유식품 266 품목을 HPLC로 분석하여 그 함량을 모니터링 하고, 국민건강ㆍ영양조사의 식이섭취량자료를 이용하여 몰식자산프로필, 이디티에이, 에리쏘르빈산의 국민평균섭취량 및 상위섭취량(95<SUP>th</SUP> percentile)을 추정하였다. 몰식자산프로필은 건과류 2건에서만 0.1 ppm 검출되었을 뿐 다른 품목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이디티에이는 총 시료의 47.1%의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이디티에이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품목은 마요네즈로서 50.6 ppm이었고, 드레싱과 마가린에서도 각각 26.3, 14.1 ppm 검출되었으며, 이 세 식품 유형에서의 이디티에이 검출율은 전체의 약 40%에 달하였다. 에리쏘르빈산은 총 266개 품목 중 128개 품목에서 검출되어 48.1%의 검출율을 나타내었고, 검출율이 높은 품목은 건조저장육(67.5%), 소시지(51.9%), 햄류(40.7%)로 나타났다. 에리쏘르빈산의 평균 함량은 향신료가공품이 523.6 ppm으로 가장 높았다. 이디티에이의 국민 일일 평균 섭취량은 1.14 ㎍/㎏ㆍbody weight/day(ADI 대비 0.05%)로 나타났고, 기여식품은 마요네즈, 드레싱, 햄버거, 마가린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섭취량은 29세 이하의 연령대에서 그 이상의 연령대 보다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양은 ADI 대비 0.1%에 불과해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다. 이디티에이 섭취자 그룹 중 상위섭취자(95<SUP>th</SUP> percentile 섭취자)의 섭취량은 141.24 ㎍/㎏ㆍbody weight/day 로 나타나, JECFA에서 설정한 ADI 대비 5.6%로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다. 식품을 통한 에리쏘르빈산의 국민 평균 섭취량은 16.93 ㎍/㎏ㆍbody weight/day 로 나타났고, 섭취에 기여하는 식품은 햄, 소시지, 어육가공품, 빵류 이었다. 연령별로는 3-6세의 어린이들이 58.43 ㎍/㎏ㆍbody weight/day로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EU에서 설정한 ADI와 비교해 볼 때 ADI의 1.0%로 매우 안전한 양이었다. 또한 에리쏘르빈산 섭취자 그룹 중 상위 95<SUP>th</SUP> percentile 섭취량을 추정한 결과 1320.31 ㎍/㎏ㆍbody weight/day, ADI 대비 22.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한국인의 몰식자산프로필, 이디티에이, 에리쏘르빈산 섭취량은 모든 연령대에서 매우 안전한 수준이며, 상위 섭취자(95<SUP>th</SUP> percentile 섭취자)의 섭취량 또한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aily intakes of propyl gallate, EDTA (ethylenediamine tetra acetate), and erythorbic acid for average consumers by age group and the intake of high consumers (95<SUP>th</SUP> percentile) in Korea. The average intake of EDTA was 1.14 ㎍/㎏ㆍbw/day, and 0.0% of the ADI (acceptable daily intake) established by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The 95<SUP>th</SUP> percentile intake of EDTA was 141.24 ㎍/㎏ㆍbw/day (5.6% of ADI). The average intake of erythorbic acid was 16.93 ㎍/㎏ㆍbw/day, and the 3-6 year-old group had the highest consumption (58.43 ㎍/㎏ㆍbw/day), which was <1.0% of the ADI established by the EU (European Union). The 95<SUP>th</SUP><SUP></SUP> percentile intake of erythorbic acid was 1,320.31 ㎍/㎏ㆍbw/day and 22.0% of the ADI. In conclusion, daily intakes of propyl gallate, EDTA, and erythorbic acid in Korea were at safe levels in all age groups and also in high consumers.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식이를 통한 평가방법과 공급량 평가방법을 이용한 산화방지제 일일 추정 섭취량 안전성 평가

        서희재(Hee-Jae Suh),최성희(Sunghee Choi)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6

        식품 중 사용빈도가 높은 BHT, BHA, TBHQ에 대한 식이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식이를 통한 섭취량 추정 방법과 공급량 자료를 통한 섭취량 추정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인의 BHT, BHA, TBHQ 일일추정 섭취량을 평가하였다. 식이를 통한 섭취량 추정을 위해 산화방지제 별로 BHT 131품목(빵 및 떡류, 과자류, 츄잉껌, 식용유지, 식사대용 곡류가공품, 견과류가공품), BHA 134품목(빵 및 떡류, 과자류, 츄잉껌, 견과류가공품, 마가린), TBHQ 104품목(빵 및 떡류, 과자류, 츄잉껌, 어패류가공품)을 HPLCUVD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이섭취량자료를 이용하여 BHT, BHA, TBHQ의 일일추정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공급량 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추정을 위해 식품 공급량과 첨가물 최대 허용량을 근거로 BHT, BHA, TBHQ의 일일추정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JECFA의 ADI와 비교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식이를 통한 섭취량 추정 결과 BHT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0.8 μg/kg body weight/day, BHA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0.5 μg/kg body weight/day, TBHQ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0.3 μg/kg body weight/day로 나타났고, 이는 각각 ADI 대비 0.2, 0.1, 0.04% 이었다. 상위섭취자(90<SUP>th</SUP> percentile)의 BHT 평균 섭취량은 2.2 μg/kg body weight/day, BHA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1.6 μg/kg body weight/day, TBHQ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0.6 μg/kg body weight/day로 나타났고, 이는 각각 ADI 대비 0.7, 0.3, 0.1% 로 나타나, 한국인의 BHT, BHA, TBHQ 섭취량은 평균섭취자와 상위섭취자 모두에게서 안전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급량 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추정 결과 BHT, BHA, TBHQ 섭취량은 각각 0.3 mg/kg body weight/day(ADI 대비 97%), 0.3 mg/kg body weight/day(ADI 대비 60%), 0.3 mg/kg body weight/day(ADI 대비 40%)로 나타나, 역시 안전한 수준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식이를 통한 섭취량 추정결과와 공급량 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추정 결과 간에 200-480배의 섭취량 차이를 보여, 식품첨가물 섭취량은 그 추정 방법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valuated daily intakes of BHT, BHA, and TBHQ in Korean. The daily intakes were estimated using both a dietary survey approach and food supply survey approach. In the dietary survey approach, individual dietary intak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05, as well as analytical results of BHT in 131 samples, BHA in 134 samples, and TBHQ in 104 samples, were used to assess daily intakes of the antioxidants. In the food supply survey approach, both total production amounts of BHT, BHA and TBHQ and maximum permitted levels of the antioxidants were used to calculate daily intakes. In the dietary survey results,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BHT, BHA and TBHQ were 0.8, 0.5, and 0.3 μg/kg body weight/day, respectively, and below 0.2% of the ADI (acceptable daily intake) set by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In the food supply survey approach,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BHT, BHA,and TBHQ were all 0.3 mg/kg body weight/day. The ratios of ADI were 97, 60, and 4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se results, daily intakes of BHT, BHA, and TBHQ in Korean are lower than the ADI.

      • SCOPUSKCI등재

        식품 중 삭카린나트륨과 수크랄로스의 사용실태 파악 및 한국인의 삭카린나트륨과 수크랄로스의 섭취수준 평가

        서희재(Hee-Jae Suh),최성희(Sunghee Choi)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5

        식품 중에 함유되어 있는 삭카린나트륨(sodium saccharin)과 수크랄로스(sucralose)의 섭취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삭카린나트륨 함유식품 339 품목, 수크랄로스 함유식품 590 품목을 서울, 경기, 충청, 경상지역에서 구입한 후 HPLC-UVD와 HPLC-ELSD로 각각 분석하여 그 함량을 모니터링 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식이섭취량 자료를 이용하여 삭카린나트륨과 수크랄로스의 국민평균 섭취량, 연령별 섭취량, 상위 95<SUP>th</SUP> percentile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삭카린나트륨은 절임류와 음료류에서 주로 검출되어 이 두 품목의 검출율이 총 검출율의 85%를 차지하였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품목은 159.40 ppm이 검출된 절임류 이었다. 수크랄로스는 23.9%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껌류, 유제품, 음료의 검출율이 전체 검출율의 66.0%를 차지하였다. 수크랄로스의 평균함량이 가장 높은 식품 유형은 과자류로서 320.5 ppm이 검출되었다. 삭카린나트륨의 국민평균 섭취량은 59.02 ㎍/㎏ · bw/day로 나타나 ADI 대비 1.18% 수준이었고, 기여식품은 김치(39.8%), 절임류(27.8%), 과실채소음료(15.7%), 탄산음료(11.7%)로서, 이 네 품목의 섭취량이 전체 삭카린나트륨 섭취량의 95.0%를 차지하였다. 연령별로는 6세 이하의 어린이가 체중 당 삭카린나트륨 섭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1-2세는 ADI 대비 1.90%, 3-6세는 ADI 대비 1.79%이었고, 상위 95<SUP>th</SUP> percentile 섭취자의 섭취량은 264.37 ㎍/㎏ · bw/day, ADI 대비 5.29%로 나타나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다. 식품을 통한 수크랄로스의 국민 평균 섭취량은 83.22 ㎍/㎏ · bw/day (ADI의 0.55%)로 나타났고, 기여하는 식품은 유제품, 음료류, 아이스크림, 탁주 등이었다. 연령별로는 6세 이하 어린이들의 체중 당 수크랄로스 섭취량이 가장 높아, 1-2세는 ADI의 2.18%, 3-6세는 ADI의 1.76%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우리나라 국민이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삭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의 국민평균 섭취량, 연령별섭취량, 상위섭취자(95<SUP>th</SUP> percentile 섭취자)의 섭취량 모두 JECFA가 설정한 ADI의 16% 이하로 매우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daily intakes of sodium saccharin and sucralose for individuals in Korea with average and high levels of consumption of both these substances. The estimated daily intake of both sweeteners was determined from analytical data and dietary intake data collected as part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sodium saccharin was found in 53 (15.6%) of 339 processed foods analyzed, whereas sucralose was found in 141 (23.9%) of 590 processed foods analyzed. The average intake of sodium saccharin was 1.18% of the acceptable daily intake (ADI) defin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The average intake of sucralose was 0.55% of ADI. The 95th percentile intakes of sodium saccharin and sucralose were 5.29% and 15.66% of ADI, respectively. Children 6 years old and younger consumed more sodium saccharin and sucralose than did children from any of the other age groups tested. In conclusion,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sodium saccharin and sucralose within members of the Korean population fall within safe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