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 예비 연구

        이용주,김철민,인요한,이덕철,서상연,서아람,안홍엽,Lee, Yong Joo,Kim, Chul-Min,Linton, John A.,Lee, Duk Chul,Suh, Sang-Yeon,Seo, Ah-Ram,Ahn, Hong-Yup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3

        목적: 말기암환자의 영성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영역이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해 있는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서울소재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자와 연구간호사가 연구에 동의한 50명의 환자에게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는 방법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영적 안녕지수의 측정은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Illness Therapy-Spirituality (FACIT-Sp)의 영적 상태 12문항을 이용하였으며 병원 우울불안지수는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통증지수의 측정은 BPI-K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earmans' rank test, T-test,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영적 안녕은 평균 통증 강도(r=-0.283, P<0.05), 불안 하부척도(HADS-A)(r=-0.613, P<0.05), 우울 하부척도(HADS-D)(r=-0.526, P<0.05)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보정한 뒤에도 영적 안녕은 종교유무(OR=9.193, 95% CI=4.158~14.229, P<0.001)와 불안하부척도(OR=-1.03, 95% CI=-1.657~-0.403, P=0.002)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감은 통증, 우울, 불안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종교가 있고 우울지수가 낮은 경우 영적 안녕감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추후 전향적 연구를 통한 영적 말기암환자의 영적 중재 및 영적 지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Spirituality is an important domain and is relat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terminal cancer pati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atients' spirituality is associated with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s it has been explored by few studies. Methods: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50 patients in the palliative ward of a tertiary hospital were interviewed.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xiety and pain is measured by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Illness Therapy-Spirituality (FACIT-Sp),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BPI-K). The correlations between patients'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depression and pain were analysed. The associ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ge, gender,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 religion, mean pain intensity, anxiety, depression were assess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piritual well-be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mean pain intensity (r=-0.283, P<0.05), anxiety (r=-0.613, P<0.05) and depression (r=-0.526, P<0.05). I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piritual well-being showed negative association with anxiety (OR=-1.03, 95% CI=-1.657~-0.403, P=0.002)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existence of religion (OR=9.193, 95% CI=4.158~14.229, P<0.001). Conclusion: In this study, patients' anxiety and existence of relig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piritual well-being after adjusting age, gender, PPS, mean pain intensity, depression. Prospective studies are warranted.

      • KCI등재

        말기암환자에 대한 여명 예측교육 후의 의료인의 자신감과 정확도 및 지식의 변화

        박준석,백나영,서상연,김유일,정휘수,오상우,성낙진,안홍엽,서아람,이용주,Park, Jun-Seok,Baek, Na-Young,Suh, Sang-Yeon,Kim, Yu-Il,Jeong, Hwee-Soo,Oh, Sang-Woo,Sung, Nak-Jin,Ahn, Hong-Yup,Seo, Ah-Ram,Lee, Yong-Jo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5 No.3

        목적: 많은 의료인들은 여명 예측을 어려워하는데, 교육의 부족이 이러한 어려움을 가져오는 요인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최근 여명 예측에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예후 지수가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인들을 대상으로 예후 지수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고 이러한 교육이 여명 예측의 정확도, 자신감, 지식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7월 22일,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간호사 및 의사 29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교육 전 후의 여명 예측에 대한 자신감, 정확도, 지식의 항목을 중심으로 변화를 측정하였다. 교육은 완화의학을 전공한 1인의 가정의학과 교수가 파워포인트를 사용하여 Palliative Prognostic score (PaP score)와 Objective Prognostic Score (OPS)에 대해 강의하고 상호문답 방식으로 40여분간 진행하였다. 결과: 교육 전 후의 자신감 평균은 교육 전의 $4.00{\pm}1.73$ (평균${\pm}$표준편차)점 (0~10 visual analog scale)에 비해서 교육 후가 $5.83{\pm}1.71$점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 전 여명 예측의 자신감이 유의하게 높았고(P=0.04), 진료 또는 간호 증례 수가 많을수록 여명 예측 교육 전 후의 자신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각각 P=0.005, P=0.017). 교육 전 후의 여명 예측 정확도도 교육 후가 27/29명(93.1%), 교육 전이 14/29명(48.0%)으로, 교육 후가 교육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P<0.001). 결론: 예후 지수를 활용하여 여명 예측을 교육했을 때 여명 예측에 대한 자신감, 정확도의 상승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앞으로 의료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생존 기간 예측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raining for survival prediction of terminally ill patients in terms of medical professionals' confidence, accuracy and knowledge of survival prediction. Methods: Twenty-nine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ere they scored their confidence, accuracy and knowledge of survival prediction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session. The training was provided in July 2009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by a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specialized in hospice palliative medicine to predict survival of a case using the palliative prognostic score and objective prognostic score. The training was provided in the form of a PowerPoint presentation for 40 minutes. Results: Participants' confidence in survival predi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4.00{\pm}1.73$ ($mean{\pm}SD$) (0~10, visual analogue scale) to $5.83{\pm}1.71$ after the training (P<0.001). Before training, participant's level of confidenc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age (P=0.04). The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fidence level and the number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hom they have experienced (P=0.005 before training, P=0.017 after training). Participant's accuracy in survival prediction also significantly improved from 14 of 29 (48%) to 27 of 29 (93.1%) (P<0.001). The change in knowledge of survival prediction was too small to be statistically analyzed. Conclusion: After training, the confidence and accuracy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Further study with a greater number of participants is needed to generalize this fi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