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자 중학생의 교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수민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Clothing the effect which goes mad to a human behavior and a human psychology extends in all age groups and it is important. Of specially, in lifetime it has a many interest in the outward appearance and clothing different which timely step multi oneself and the reaction which is sensitive and it shows clothing leads and the influence which goes mad to the young people flag which a psychological condition shows is a possibility of saying that it grows very. The interest generally the school boy step multi schoolgirl regarding clothing is big. But, Recently clothing and the plaque of the some year for males, the interest augmentation actual condition regarding is embossed socially, the young people of today contact boat song of information are sensitive to highly new information, also the school boys accept a popularity quickly and the plaque of the new sense, they show the actual condition which it pursues. Most of the young people flag in order to wear the school uniform the school uniform as clothing has meaning which is important in the students. If past with the uniform and uniform school uniform differently to recently design or hue, from it comes to be various, but the young people regarding the school uniform were not satisfactory not to be able and school uniform variation conduct it led and it was solved and popularity and the actual condition which pursues the status became prominently. Consequently the necessity regarding the design which reflects the opinion of the young people against the school uniform is becoming larger. With school uniform design about under relating importantly from the research which it supports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 who is not the school uniform satisfaction, school uniform variation, against a school uniform design preference degree examined in the object and it presents the school uniform design which it follows in design preference degree the objective of the place where it put. It will reach and to respect Seoul and Kyonggi-Do Bu Chun and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 who is in the process of attending in the object in question answer back method about under collecting total 333 it used a data in the last analysis which it will call. The analysis of data executed a frequency analysis, t -analysis and ANOVA analysis and a range analysis (χ² analysis). Summary 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 satisfactory degree of the school uniform to be low generally, with the unsatisfactory reason it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t is because the design does not hold in mind. The school uniform production point of view above 15 compared in the students who put on the school uniform where the students who put on the school uniform which is produced long before are produced recently and the school uniform satisfactory degree was low. One month average clothing purchase cost was many above 5 full houses or clothing purchase in 1~2 months above once the frequency to be high clothing and the plaque, the students where the interest is many school uniform satisfactory degree appeared with the low-end thing. It was a low-end side which it goes round satisfactorily regard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whole school uniform. Second,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 who has a school uniform variation experience it is 24.9% of the whole but the grade rose and as time goes by the students who change the school uniform were many. The student who wears the school uniform which is produced recently from the student wild middle which has a school uniform variation experience and one month average clothing purchase cost are few or the students where the clothing purchase frequency is frequent the ratio which it does appeared a school uniform variation highly. With the fact that it changes the pants most plentifully from in item of the school uniform, the reason which changes the school uniform flood control is not right and as the because where the design does not hold in mind did. In consequence of the fact that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many sides pants which changes the school uniform it preferred the fact that it changes most.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convenient in activity or the popularity adds design, important poem it counted a design most highly with improvement point of the school uniform. Third, The result which tries to observe the school uniform design preference degree of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 with the each item, the jacket in the tailored collar and two button single adjusts with the waist some preferred the style which enters most in the waist line and hip intermediate degree length. Also the preference of waist length and with the fact that the skinny pants most the style which hits certainly to the waist comparison is high and it prefers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do slim and prefers a skinny one design is a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Also it preferred the shirt and V neckline knit vest of the button knock-down collar most, there was not, it preferred a tie, or the necktie. When it tries to observe the hue preference degree of the school uniform with the each item, preference boat song of official approval color and indigo and gray to be high the articulation and chroma are low from each item which whole excepts the shirt the possibility the fact that it prefers the hue which shows the male voice image it was. The shirt is white color and the tie preferred the hue of official approval color and red channel. Also the fact that it arranges colors with the coat of the school uniform and the beginning of history color under. It tried to observe the pattern preference degree of the school uniform, it preferred the fact that it is not pattern from all items of the school uniform most. The coat and low questionable matter pattern must be same, in the school uniform partially it arranged colors in the collar and pocket and sleeve end grade back and the low of the binding preferred the thing. Also the subject matter of the school uniform preferred the subject matter where the ventilation and keeping warm characteristic are good most. Research result above it led and considers the design which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 prefers the school uniform design which it presented. Most it accommodates the design which the m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refer most and a hue and a pattern, the whole artificial flower about under considering it set a design. It means also the effort for putting to practical use of the school uniform which reflects the opinion of like this young people must become accomplished. Also preference boat song of the craving which is various and the school boy who keeps the sense it sees with the fact that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school uniform which is reflected will do to become accomplished continuously. 의복은 인간행동과 인간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모든 연령층에 걸쳐서 중요하지만 특히, 일생 중 다른 어느 시기보다 자신의 외모와 의복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의복을 통해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청소년기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의복에 대한 관심이 크지만, 최근 몇 년간 남성들의 의복과 패션에 대한 관심 증대현상이 사회적으로 부각되었고, 현대의 청소년들은 정보의 접촉도가 높아 새로운 정보에 민감하여, 남학생들도 유행을 빨리 받아들이고 새로운 감각의 패션을 추구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청소년기의 대부분은 교복을 착용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교복은 의복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과거의 획일적인 교복과 달리 최근에는 디자인이나 색상 면에서 다양해졌으나, 청소년들은 교복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교복변형 행동을 통해 해소하며 유행과 트렌드를 추구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따라서 교복에 대한 청소년들의 의견을 반영한 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복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는 시기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교복 디자인과 관련하여 주요하게 다루어지지 않는 남자 중학생들의 교복만족도, 교복변형, 교복디자인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고 디자인 선호도에 따른 교복디자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 부천시에 재학 중인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응답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총 3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χ²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중학생은 전반적으로 교복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불만족의 이유로는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디자인제작 시점이 15년 이상 오래 전에 디자인된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최근에 디자인된 교복을 입은 학생들에 비해 교복 만족도가 낮았고, 한달 평균 의복구입 비용이 5만원 이상으로 많거나 의복구입이 1~2개월에 한번 이상으로 빈도가 높아 의복과 패션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도 교복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교복의 소재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편이었다. 둘째, 교복변형 경험이 있는 남자 중학생은 전체의 24.9%였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복을 변형한 학생들이 많았다. 교복변형 경험이 있는 학생들 중에서 최근에 디자인된 교복을 착용한 학생들과 한달 평균 의복구입 비용이 적거나 의복 구입빈도가 잦은 학생들이 교복변형을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복의 아이템 중에서 바지를 가장 많이 변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복을 변형하는 이유는 치수가 맞지 않거나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남자 중학생들은 교복을 변형한다면 바지통을 변형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고, 활동에 편하거나 유행이 가미된 디자인을 중요시하며, 교복의 개선점으로 디자인을 가장 높게 꼽았다. 셋째, 남자 중학생의 교복디자인 선호도를 아이템별로 살펴본 결과, 재킷은 테일러드 칼라에 투버튼의 싱글여밈과 허리선과 엉덩이선의 중간 정도 길이에 허리가 약간 들어간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였다. 허리선의 길이와 허리에 꼭 맞는 스타일의 선호도가 비교적 높고 스키니 바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자 중학생들은 슬림하고 스키니한 디자인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버튼다운 칼라의 셔츠와 V 네크라인 니트 조끼를 가장 선호하였고, 타이는 없거나 넥타이를 선호하였다. 교복의 색상 선호도를 아이템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셔츠를 제외한 각 아이템에서 검정색계열과 청색계열의 선호도가 높아 명도와 채도가 낮거나 남성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색상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셔츠는 흰색계열, 타이는 검정색계열과 청색, 적색계열 등의 다양한 색상을 선호하였다. 또한 교복의 상의와 하의를 유사색으로 배색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교복의 무늬 선호도를 살펴보면, 교복의 모든 아이템에서 무늬가 없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고, 상의와 하의의 무늬가 같으며, 교복에 부분적으로 칼라와 주머니, 소매끝단 등에 배색하거나 바인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교복의 소재는 통풍과 보온성이 좋은 소재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남자 중학생이 선호하는 디자인을 고려한 교복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남자 중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디자인 및 색상과 무늬를 대부분 수용하되 전체적인 조화를 고려하여 디자인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교복 전문업체가 교복을 제작하거나 우리나라 중학교에서 남학생 교복을 채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써 청소년들의 의견을 반영한 교복의 실용화를 위한 노력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욕구와 감각을 지닌 남학생의 선호도가 반영된 교복의 디자인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사회불안에 미치는 효과

        서수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사회불안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효과를 미치는지,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효과를 미치는지,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사회불안에 변화가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소재한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 3학년 학생 중 대인관계나 사회불안에 대한 문제를 호소하여 학교상담사 선생님의 추천을 받거나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12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6명씩 배치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4일부터 11월 27일까지 주 2회, 회기당 80분씩 총 10회기로 실시되었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Schlein와 Guerney(1977)의 대인관계변화 척도를 문선모(1980)가 번안한 것을 바탕으로 박영호(2006)가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사회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Beidel, Turner와 Morris(1995)의 아동용 사회공포증 및 불안 척도와 LaGreca와 Stone(1993)의 개정판 아동용 사회불안 척도를 문혜신과 오경자(2002)가 수정․번안한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를 사전과 사후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사후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사전․사후실시하여 참여자들의 설명과 이소정(2010)의 해석기준을 토대로 변화를 분석하였고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대인관계와 사회불안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대인관계 전체와 하위영역인 만족감, 감정이해, 의사소통, 개방성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험집단의 만족감의 평균점수(사전 M=3.87, 사후 M=4.20)는 상승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사회불안 전체와 하위영역인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행동 및 사고, 비주장성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z=-2.03, p<.05)은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실시한 동적학교생활화(KSD)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와 사회불안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표현된 인물상의 크기가 커지고 상호 간의 거리가 가까워졌으며 협동성이 발견되었다. 교사상은 학생들의 이야기에 공감해주고 친밀하게 상호작용하는 적극적인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또래관계에서는 친구의 수가 많아지고 긍정적인 상황을 묘사하였으며 부정적인 인식도 감소하였다. 넷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대인관계의 하위영역인 만족감, 감정이해, 의사소통 및 사회불안의 하위영역인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에서 질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우선 대인관계의 측면에서는 비슷한 문제를 가진 집단원들과 소속감과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만족감이 증가하였다. 또한 감각을 자극하는 매체와 객관화된 작품을 통해 내면을 구체화시키고 집단원들과 생각과 느낌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감정에 대한 이해와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사회불안의 측면에서는 타인을 의식하지 않고 매체에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면서 수행불안이 감소되었고 자신을 압도하는 기억과 감정을 구체적인 이미지와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통해 재구성하면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하였다. 더불어 협동작업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필요한 도움을 요청하면서 비주장성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사회불안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의미 있는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며 사회화 과정을 습득하는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을 달성하고 다양한 평가 상황에서 자신을 부각시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anxiety among young people, and specific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question was whether group art therapy has an effect on you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whether group art therapy has an effect on youth social anxiety, Thir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you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anxiety in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Among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attending specialized high schools located in S city, 12 students who want to be recommended by school counselors or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assigned six students each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rom Oct. 14 to Nov. 27, 2019 for experimental groups, 80 minutes per session, in a total of 10 sessions, and did nothing to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Park Young-ho(2006) reconstructed the scale of interpersonal change based on Moon Sun-mo(1980) in Schlein and Guerney(1977) to Relationship Change Scale. In addition, to measure social anxiety,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of Beidel, Turner and Morris(1995) and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of LaGreca and Stone(1993) were modified by Moon Hye-shin and Oh Kyung-ja(2002) to use the social anxiety measu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the program,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e and post effect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analyzed the changes based on the explanations of participants and the interpretation criteria of Lee So-jeong(2010) by pre- and post-program results. Kinetic School Drawing(KSD),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anxiety that occurred during the course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sub-regions of satisfaction, empathy, communication and openness. However,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pre-program M=3.87 and post-program M=4.20) rose, showing a positive change. Second, collective art therap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social anxiety and sub-region of performance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behavior and thinking, and non-argument. Rather, fear of strangers(z=-2.03 p<.05)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analysis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conducte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anxiety. The size of the figures expressed has grow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s has become closer, and cooperation has been discovered. The teacher award changed to an active figure who sympathized with the students' stories and interacted intimately. In peer relationship, the number of friends increased, the positive situation was described, and the negative perception decreased. Fourth, in the course of collective art therapy, qualita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sub-regions of satisfaction, empathy, communication and social anxiety, the sub-reg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non-attention. First of all,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y formed a sense of belonging and consensus with group members with similar problems. In addition,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emotions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inner side and sharing thoughts and feelings with the group members through sensory stimulating media and objectified works. Next, in terms of social anxiety, performance anxiety was reduced by actively expressing oneself in the media without being conscious of others, an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reduced by reconstructing memories and emotions that overwhelm oneself through specific images and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n addition, non-argumentality was reduced as opinions were presented in cooperative work and necessary help was request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erified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and social anxiety in adolescents, achieved the development task of adolescence in which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acquired socialization courses, and contributed to playing a more active role by highlighting oneself in various evaluation situations of evaluation.

      • 동양수학사를 활용한 방정식의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서수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생들이 알고 있는 수학 중 많은 것들이 서양식 용어와 유럽수학자의 업적이지만 사실상 수학 지식의 근원지는 다양하다. 그리고 서양의 수학에 비해 동양의 수학에 관해서는 지식도 빈약할 뿐만 아니라 관심의 정도도 미약할 것이라는 가설 아래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동양수학사를 활용하여 방정식단원을 지도하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중학교 교육과정에 한정하여 연구하였으므로 일차방정식, 연립방정식, 이차방정식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위하여 수학교육에서 수학사 도입의 필요성, 수학사의 역할과 활용방안, 동양수학사의 배경 및 특징, 방정식의 유래와 역사에 관해 알아보았다. 또한 동양수학사 자료들 중 방정식과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여 정리하였고, 이를 활용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서양의 수학을 별개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이미 알고 있는 수학적 지식을 활용해 동양수학사의 이해를 더욱 깊게 하고, 동양수학에 대한 관심과 긍지를 갖게 하고자 한다. 또한 선조들의 방정식 풀이법에 흥미를 느끼게 하고 동양수학사 자료를 연구하여 수학교육의 자료로 남기는 것에 목적을 둔다. In this research, we study how to teach equations in middle school levels by using eastern mathematical history. For this, we first look into the following: necessity of mathematical history in mathematical education, role and practical use of mathematical history, background of eastern mathematical history and history of equations. Next we see eastern mathematical history materials about equations and then suggest some teaching methods by using these materials. Our goal in this thesis is to observe ancestors's abilities in solving equations and improve skills in mathematical studies by knowing history of Eastern Mathematics.

      • 역할놀이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수민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역할놀이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수용 어휘능력, 표현 어휘능력, 24개의 범주별 수용 어휘능력, 24개의 범주별 표현 어휘능력의 변화를 연구문제로 제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3세의 언어발달지체 유아 4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로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역할놀이 언어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유아의 언어능력 자료를 토대로 연구자가 직접 구안한 주제를 가진 8개의 역할놀이 언어중재 프로그램으로 주 3회씩 40분간 총 24회기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할놀이를 활용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은 언어발달지체 유아 대상자 4명 모두의 수용 어휘능력, 표현 어휘능력, 24개의 범주별 수용 어휘능력, 24개의 범주별 표현 어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발적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동기가 부족하고 또래와 비교하였을 때 사용되는 어휘의 수가 제한적이며 습득한 어휘를 일반화하고 여러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하는데 한계를 보이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에게 역할놀이를 활용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들의 어휘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컴퓨터 공학 분야 학술 문헌을 사용한 텍스트 기반 이머징 이슈 탐색 : term burstiness 개념을 중심으로

        서수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presents an Emerging Issue detection methodology based on the concept of Term Burstiness using academic literature from the field of computer science. Emerging issues are not clearly revealed in the present, but if they occur, they can have a huge impact on society in the mid to long term. In some cases, directionality of emerging issue is difficult to predict due to the nature of "weak signal," but there is a need to analyze emerging issues beyond trend analysis to prepare for the future in advance.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detecting emerging issue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sector is increasing in the proc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rm Burstiness is a metric to measure how frequently the word appears in the short term compared to the long term trend. In this work, emerging issue detection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emerging issue candidate keywords are selected based on their high Term Burstiness. Second, the machine learning models to predict whether the normalized Term Frequency and Term Burstiness will rise or not are trained separately. Among the emerging issue candidate keywords, the keyword is classified as the emerging issue keyword if its normalized Term Frequency and Term Burstiness are predicted to rise in the future. In this process, relative weak and strong signals can be distinguished by analyzing the normalized TF. Third, to complement the keyword-driven Term Burstiness method, GloVe word embedding is used to explore words that a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emerging keyword. The strength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dictions of future influence are used to determine the emerging issue so that the potential of the issue can be considered. Second, the method can detect the emergence of new issues because it does not postulate the topic of the issue in advance. Third, the context of the issue can be understood through associated terms. It is expected that by presenting semi-automatic emerging issue detection methods using text data, it will help shape the area of expert discussion in the vast amounts of information and mitigate possible expert bias in expert-oriented emerging issue detection methods. 본 연구는 컴퓨터 공학 분야의 학술 문헌을 사용하여 Term Burstiness 개념에 기초한 이머징 이슈(Emerging Issue) 탐색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머징 이슈는 현재 명확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발현되면 중장기적으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슈를 의미한다. ‘약한 신호(weak signal)’라는 특성상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나 미래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트렌드 분석 이상의 이머징 이슈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흐름 속에서 과학기술 분야의 이머징 이슈 탐색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Term Burstiness는 장기적인 추세에 비해 단기적으로 해당 단어가 얼마나 활발하게 등장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이머징 이슈 탐색을 진행하였다. 첫째, Burstiness가 높게 나타나는 이머징 이슈 후보 키워드를 선별한다. 둘째, 기계학습을 사용한 분류 모형을 통해 이머징 이슈 후보를 대상으로 미래에 단어 등장 빈도(TF)와 Term Burstiness가 상승할지 여부를 예측한다. 이머징 이슈 키워드 중 향후 TF와 Term Burstiness가 현재에 비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 단어를 이머징 이슈로 분류한다. 이 과정에서 TF와 이머징 이슈 키워드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상대적인 약신호와 강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셋째, 키워드 중심의 Term Burstiness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GloVe 단어 임베딩(word embedding)을 사용하여 이머징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단어를 함께 살펴본다. 본 연구의 차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의 영향력 증가에 대한 예측을 이머징 이슈의 판단 기준으로 추가하여 이슈의 잠재력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반영하였다. 둘째, 미리 이슈의 토픽을 상정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이슈의 등장을 반영할 수 있다. 셋째, 연관어를 통해 이슈가 언급된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한 반자동(semi-automatic)의 이머징 이슈 탐색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방대한 정보 속에서 전문가의 논의 영역을 구체화하고, 전문가 위주 이머징 이슈 탐색에서 발생 가능한 전문가 편향(bias)을 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미치는 영향

        서수민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는 기질과 기질조화적합성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1-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차이는 어떠한가? 1-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조화적합성 차이는 어떠한가? 1-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화용언어능력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1.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2.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담화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의사소통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4.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5.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만 5세 언어발달지체유아 125명과 일반유아 125명이었다. 유아의 기질은 Rothbart(1981)의 유아용 기질 척도(CBQ-VSF, Putnam & Rothbart, 1981)로 측정하였다. 유아의 기질조화적합성은 CBQ-VSF 기질 문항과 어머니 요구도 문항을 짝지어, 두 점수의 차이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은 오소정 외(2012)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hildrens'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로 측정하였다. SPSS 25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는 일반유아보다 외향기질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외향조화적합성도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언어발달지체유아가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모든 화용언어능력에서 일반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집단별로 변인 간 상관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의사소통 의도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일반유아에서는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의사소통 의도 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담화 관리능력 간에도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에만 영향을 주었고, 외향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그리고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도 주의통제기질과 마찬가지로 화용언어능력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및 변인 간 관계를 비교해 보았다. 두 집단 간에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모두에서 주의통제기질이 화용언어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언어능력이 낮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외향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에서 화용언어능력의 발달을 위해서 서로 다른 양육 특성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뜻하며, 기질조화적합성이론에서 강조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가 연구 변인 간의 차이를 보이며 영향요인의 관계가 다름을 살펴보았다. 특히 집단별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언어발달지체유아의 다양한 개인차 및 특성을 고려한 양육특성과 중재방향에 대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능력에 따라 기질조화적합성의 영향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이는지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능력 집단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넓혀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언어발달지체유아

      • '趙氏孤兒' 素材 戱曲 硏究 : 崑曲本의 확립과 전승을 중심으로

        서수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趙氏孤兒’이야기는 오랜 기간 끊임없이 유전된 중국의 희곡 가운데 하나이다. 元代부터 淸代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개편을 통해 많은 판본이 나타난다. 유전 과정에서 작품의 줄거리가 변하였을 뿐 아니라, 새로운 인물들이 등장하거나 새로운 이야기가 추가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문에서는 《趙氏孤兒》의 전승맥락을 살피고자 했다. 다양한 ‘趙氏孤兒’소재 희곡 가운데, 특히 明代이후 성행한 崑曲 계통본에 중심을 두었다. 중국의 희곡양식 가운데 하나인 崑曲은 우미한 음악적 특성을 지녀 明代 사대부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으며 민간에 기원을 두어 통속적이었던 南戱를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취향에 맞게 개편한 것이다. ‘趙氏孤兒’소재 희곡의 전승맥락을 崑曲의 성립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崑曲 성립 이전의 《趙氏孤兒》는 雜劇과 南戱로 나누어 볼 수 있다. 雜劇으로는 『元刊雜劇三十種』,『元曲選』,『古今名劇合選·酹江集』이 있으며, 南戱로는 『風月錦囊』本과 世德堂本 등이 있다. 이들 판본 가운데 본문에서는 世德堂本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는 世德堂本《趙氏孤兒記》가 초기 南戱의 면모를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崑曲本인 『六十種曲』本《八義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판본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崑曲 성립 이후의 ‘趙氏孤兒’소재 희곡의 전승을 살피는 과정에서는 『六十種曲』本과 『綴白裘』本에 중점을 두었다. 『六十種曲』本은 世德堂本을 底本으로 한 것으로 상당부분 世德堂本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世德堂本의 불완전한 齣目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고, 다소 불분명했던 脚色체제를 재정비 했다. 문사와 격률이 잘 다듬어진 『六十種曲』本은 明代에 널리 읽힌 통행본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후에 등장하는 崑曲 계통본의 모범이 되었다. 明末에는 折子戱라는 새로운 형식의 희곡이 등장했다. 折子戱란 수십 齣에 달하는 全本戱를 전부 공연할 수가 없어서, 일부만을 골라서 공연하는 방식을 말하는 것이다. 折子戱의 등장으로 많은 折子戱 選本이 생겨났다. 崑曲 折子戱 選本 가운데 하나인 『綴白裘』本을 『六十種曲』本과 비교하여, 구성, 인물, 표현을 살펴보았다. 『綴白裘』본의 曲, 白, 曲牌는 『六十種曲』본과 대동소이 하다.『綴白裘』 이외에도 다양한 崑曲 選本들이 있는데, 『詞林逸響』,『醉怡情』,『吳歈萃雅』등이다. 이들 역시 崑曲 選本으로 사용된 曲, 白, 曲牌를 비교해 보았을때 서로 큰 차이가 없이 그대로 전승되었다. 그러나『六十種曲』본을 계승한 折子戱 選本들은 공연 정보를 담고 있는 판본으로, 연기 지시가 강화되었고, 생동감 있고 쉬운 어휘를 사용하는 등 공연본으로의 특색을 갖추고 있다. 折子戱 選本들이 공연본으로의 특성이 두드러지지만,『六十種曲』本을 거의 그대로 계승하고 있는 것은, 崑曲의 확립 이후 『六十種曲』本을 底本으로 하여 규범화된 전승 양상을 말해주는 것이다.

      • 마음 공감 언어치료 프로그램이 학령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수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령기 일반 아동과 언어발달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마음 공감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의사소통능력(감정 어휘 사용빈도, 주관적 진술, 주제 운용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생활연령이 6∼8세인 학령기 아동을 6명 선발하여 또래와 유사한 일반적인 언어발달을 하는 아동 3명, 언어발달지체 아동 3명씩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21년 3월 29일부터 주 2회씩 사전평가 1회기, 마음 공감 언어치료프로그램 18회기, 사후평가 1회기로 진행하였다. 마음 공감 언어치료 프로그램 중재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의 변화는 사전-사후평가를 통해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 공감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학령기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학령기 일반 아동의 감정어휘사용 빈도를 향상시켰으며, 일반 아동들에게 더 높은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아동들은 상황에 적절한 감정 어휘를 사용하고, 이전에 사용하지 않던 감정 어휘를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대화에 참여하는 모습이 나타나 학령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마음 공감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학령기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학령기 일반 아동의 주관적 진술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일반 아동들이 더 높은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아동들은 다양한 영역의 주관적 진술능력이 관찰되었으며 본인뿐만 아니라 타인의 감정과 행동, 상황을 설명하고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하여 학령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마음 공감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학령기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학령기 일반 아동의 주제 운용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이 더 높은 향상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은 부자연스러운 주제 개시, 변경이 감소하였으며, 착석시간이 길어지고 사전평가보다 대화에 집중하게 되어 학령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마음 공감 언어치료 프로그램은 학령기 아동의 감정 어휘 사용빈도 향상, 주관적 진술 능력 향상, 주제 운용능력을 향상시켜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더불어 대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감정어를 사용하고, 대화에 관련 없는 내용이 감소하고 착석을 유지하는 등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모습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학령기 아동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마음 공감 언어치료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of communication competences(the frequency of emotional vocabulary usage, subjective statement and topic manipulation skills) in normal school-ag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through a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For this study, 6 school-age children aged 6 to 8 were divided into a group of 3 children showing general language development like peers and a group of 3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Starting March 29, 1 session of pre-evaluation, 18 sessions of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and 1 session of post-evaluation were conducted twice per week.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competences by the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were compared through pre- and post-evaluation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improved the frequency of emotional vocabulary usage among school-age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and normal school-age children, and especially, normal children showed a higher improvement. Normal children joined natural conversations using emotional vocabularies that were appropriate for situations and were not used before, which means the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communication competences of school-age children. Second, the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improved subjective statement abilities of school-age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and normal school-age children, and especially, normal children showed a higher improvement. Subjective statement abilities of normal children were observed in diverse domains, and they joined conversations actively explaining their and others’ emotions, behaviors and situations, which means the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communication competences of school-age children. Third, the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improved topic manipulation skills of school-age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and normal school-age children, and especially,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showed a higher improvement. Also, unnatural topic presentations and changes of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reduced, and they were able to stay in the chair and focus on conversations longer than the pre-evaluation, which means the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communication competences of school-age children. These study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communication competences of school-age children by enhancing the frequency of emotional vocabulary usage, subjective statements and topic manipulation skills and making them try to join conversations actively using natural emotional language, using contents irrelevant to conversations less and staying in the chair longer. Based on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the mind empathy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 can be used as one of effective way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s of school-age children.

      • 초등영재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학습동기의 매개효과

        서수민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초등영재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학습동기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학교상담전공 서수민 이 연구는 초등영재학생이 지각한 애착에 기반한 교사-학생관계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학습동기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재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 자기결정성학습동기 및 학습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영재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학습동기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의 5개 초등학교 단위학교영재아동 5,6학년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용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초등영재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김종백, 김남희(2009)의 교사-학생 애착관계도구(STARS)를, 학습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석임복, 강이철(2007)의 학습몰입척도를 사용하였다. 또, 자기결정성학습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Ryan과 Conell(1989)에 의해 개발된 SRQ-A와 Hayamizu(1997)의 척도를 통합·수정하여 한국의 일반적인 학업상황에 맞도록 개발한 김아영(2008)의 한국형 자기조절설문지(K-SRQ-A)를 활용하였다. 단, 이 연구에서는 대상이 초등영재인 점을 고려하여, 무동기는 제외하고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자기결정성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아동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 자기결정성학습동기 및 학습몰입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의 각 하위변인인 신뢰성, 접근가능성, 수용성, 민감성 또한 자기결정성학습동기와 학습몰입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둘째, 영재 아동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학습동기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영재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가 긍정적일 수록 학습몰입의 정도가 높아지며, 긍정적인 교사-학생관계는 높은 자기결정성학습동기를 매개하여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초등영재아동과 교사의 애착을 기반으로 한 관계는 자기결정성학습동기를 매개로하여, 직·간접적으로 영재학생의 학습몰입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초등영재아동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 자기결정성학습동기, 학습몰입 간의 관계 및 경로를 확인하고 학습몰입에 있어 사회적 관계망, 특히 교사-학생의 애착 관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교사는 초등영재학생의 학습몰입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지지와 도움을 주어 자신감과 교사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학생이 필요로 할 때 항상 접근 가능한 범위에서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 교육적 상황에서 학생의 요구에 적절히 지각하고 반응하며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며 받아들이려는 수용적인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초등영재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자기결정성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초등영재, 교사-학생관계, 자기결정성학습동기, 학습몰입 ABSTRACT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on Relations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Learning Flow Seo Su-min Major in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bas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learning flow. For that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relation is there amo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and learning flow? Second, do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hav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learning flow? The subjects include 130 gifted children in the fifth or sixth grade at five unit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As for the scales employed in the study, the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Scale(STARS) by Kim Jong-baek and Kim Nam-hee(2009) was used to measur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Learning Flow Scale by Seok Im-bok and Kang Yi-cheol(2007) was used to measure learning flow; and the Korean Academic Self-Regulation Questionnaire(K-SRQ-A), which was developed by Kim A-yeong(2008) that integrated and revised the Academic Self-Regulation Questionnaire(SRQ-A) developed by Ryan and Conell(1989) and the scale by Hayamizu(1997) to fit the general academic situations of South Korea, was used to measure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Given that the subjects wer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 study, amotivation was excluded from measurements. Collected data with those scales were put to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PSS program to examine connections among the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gifted children,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and learning flow. Each subvariable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namely reliability, accessibility, acceptance, and sensitivity, all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and learning flow. Second,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turned out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gifted children and learning flow. The more positive perceptions they had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he higher their learning flow became.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had influences on learning flow via high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In short, attachment-based relationships between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were helpful for their learning flow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via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hecked relations and paths amo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rceived b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and learning flow and demonstrated that social networks, especially teacher-student attachment relationships, were important for learning flow. Teachers thus need to make the following efforts to promote the learning flow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y should boost the students' self-confidence and reliability in teachers through ongoing support and assistance and make themselves available when the students need them within the scope that allows for access any time. They also need to properly recognize and react to the needs of students in educational situation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students, and develop an accepting attitude for them. When they make such efforts, they will be able to help gifted elementary students attain a high level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and learning flow. Keywords: Gifted elementary students , Attachment-bas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elf-determined motivations for learning, Learning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