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의 창의성 발달을 저해하는 환경요인에 대한 성찰 : 가정의 놀이문화와 교실의 수업문화를 중심으로

        서명석 ( Seo¸ Myoung-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이 글은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둘러싸고 있는 두 가지 환경을 교육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으로 설정했다. 그런 다음 가정환경이 어떤 조건에 있을 때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에 공헌하는지 그리고 학교환경이 어떤 조건에 있을 때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에 공헌하는지 연구자는 차례로 성찰해 보았다. 성찰해 본 결과 연구자는 가정환경이 아이들의 놀이 활동을 적절하게 보장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한 학교환경의 측면에서는 교실환경 내의 수업문화를 검토하고 현행 수업방식만으로는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을 촉진하기엔 태생적인 한계가 있음을 연구자는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본다면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은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을 조장하는 환경으로의 재편이 보다 시급한 과제라고 말할 수 있다. 부연하면 가정에서는 아이들의 놀이권 보장이 필요하고 학교에서는 아이들의 창의성이 발달하는 쪽으로 학습권의 보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an educational reflection of two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To this end, I sets the home and school environment as areas that affect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I then reflected on which conditions of home and school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On reflection, I found that the home environment did not adequately guarantee children’s play activities. In addition, I reviewed the classroom culture in terms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confirmed that the current teaching has inherent limitations in promoting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Based on this, the home and school environment are more urgent tasks to re-organize into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In addition, families need to guarantee children’s rights to play, and schools need to guarantee their right to study in order to develop their creativity.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애매성과 모호성 비판

        서명석 ( Myoung Seok Se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3

        이 글은 현행 우리나라 교육과정 재구성 담론을 개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대생과 현직교사들은 이 용어를 어떤 지평 속에서 이해하고 있는지를 먼저 점검한다. 그런 다음 한국 교육과정학계에서 어떻게 이것을 개념 규정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염두에 놓고 미국 교육과정 담론의 지형 속에서 이 용어를 대비적으로 열람한다. 두 담론의 교차 비교 속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용어가 정말 교육과정 담론구조에서 적절한 지의 여부를 비판적으로 논증한다. 검토 결과 부적절하다면 어떻게 이 용어를 개념적으로 재규정하여 올바른 해석적 지평을 정립해야 하는가, 성찰의 결과 이 용어는 교육과정이 실제적으로 살아 숨을 쉬는 교실현장에서 교사의 관점으로 다시 정립해야 함을 드러내는 무엇이었다. 그것은 교사가 주도하는 교실단위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이 수업으로 넘어가기 위한 교사 교육과정의 설계·개발·조직 또는 편성·운영·전개 등으로 드러나는 복합적인 양상으로서의 다차원적 국면이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mbiguity of curriculum JaeGuSung and conceptual frameworks that provides a particular instance in South Korea. I explore meta-narrative and examine reification of a curriculum document into classroom practice. Without managing teachers` participations in the work of curriculum, curriculum document become centralized, and teachers` curriculum practice may be just powerless at the classroom level. We are usually viewed as being fundamentally interrelated the link or bridge between teacher competence and expertise 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What is important about all theory and practice is that teachers are only the key roles of relations among curriculum design,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organiz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planning. But concept of curriculum JaeGuSung is nowadays ambiguous in South Korea.

      • KCI등재

        철학상담의 교육 세계

        서명석 ( Seo Myoung 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이 글은 철학상담이 어떻게 교육과 만나고, 그 속에서 직조하는 교육의 세계상을 파헤치는 것이다. 철학은 원래 지혜 사랑을 그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 이런 철학이 상담과 만나면 철학상담의 세계를 구축한다. 이때 철학상담은 교사인 상담자와 학생인 내담자가 지혜로움과 어리석음의 대결 구조에서 대화를 매개물로 해서 지혜를 가르치고 지혜를 배우는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 현대교육의 내용물에 속하지 않는 지혜 담론이라는 세계를 형성한다. 이런 방식의 철학상담에 대한 평가는 21세기 교육의 내용체계를 새로 디자인하는 데 또 다른 교육적 숙고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철학상담이 교사가 학생에게 지혜를 가르치고 학생은 교사를 통하여 지혜를 배우는 것도 교육에서 필요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philosophical counseling meets education and how to make the world of education weaving in it. Philosophy is originally the starting point by love of wisdom. When this philosophy meets counseling, it establishes the worl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t this context,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teacher as counselor and a student as client, which teaches wisdom and learns wisdom through dialogue in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wisdom and foolishness. This forms the world of discourse of wisdom that does not belong to the curriculum of modern education today. This e valua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n this way will provide another educational contemplation to redesign the content system of the 21st century education. Furthermore, philosophical counseling reminds us that teachers need to teach wisdom to students and that students learn wisdom through teachers.

      • KCI등재

        『중용(中庸)』의 교육설계: 성(誠)개념을 중심으로

        서명석 ( Seo Myoung-seo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1 퇴계학논총 Vol.38 No.-

        이 논문은 子思가 핵심개념으로 설정한 성을 중심으로 설계해 놓았던 性-道-敎 패러다임을 현대적으로 바라보고 그것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나는 『中庸』을 기본 텍스트로 삼고, 그 안에 자사가 그려놓은 개념지도인 尊德性과 道問學의 세계를 확인해 보았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존덕성과 도문학의 세계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자사가 설치해 놓은 다섯 가지 전략을 현대적으로 풀어두었다. 자사는 인간의 본성이란 하늘이 이미 우리에게 선험적 산물로 주어진 것으로 전제하고, 이러한 본성을 따라야 하는 것이 인간의 길이며, 그 길을 부단히 나아가도록 장치하는 모든 활동을 교육으로 보았다. 이것이 이른바 성-도-교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오늘날 지식을 주축으로 설계된 현대교육과 매우 다른 패러다임의 세계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현대교육은 지식담론이고 자사의 성-도-교 패러다임은 본성담론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자사는 그의 성-도-교 패러다임을 추동하는 개념적 얼개를 誠과 誠之의 관점에서 파악했다. 이때 성은 천도와 같은 개념이고 성지는 인도와 같은 개념이다. 그럴 때 성은 元·亨·利·貞의 세계이고, 성지는 仁·禮·義·智의 세계이다. 이 속에서 자사의 관심은 천도의 운행법칙과 같이 인도의 운행법칙을 완벽하게 구현해 내는 인간을 육성하는 방안을 정교하게 구축해 두었다는 점이다. 이것이 현대교육의 설계도면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인간의 본성을 끌어 올리는 존덕성의 프로그램이었고, 이러한 존덕성을 어떻게 하면 달성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도문학의 프로그램이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핵심은 현대교육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할 수 있는 인간본성에 대한 질적 담보 영역을 그 내용의 중심으로 잡고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Xìng-Dào-Jià paradigm, which ZǐSī has designed around Chéng, as its core concept, and to explore its educational meaning. To this end, I took ZhōngYōng as the main text, and checked the world of ZūnDéXìng and DàoWènXué, the concept map ZǐSī drawn in it. Going further, the five strategies established by ZǐSī in order to concretely realize the world of ZūnDéXìng and DàoWènXué have been explained in a modern way. ZǐSī presupposed that human nature was already given to us by the Heaven as a product of a priori, and it is the way of human beings to follow this nature, and we saw education as all the activities that develop us to continue on that path. This is the so-called Xìng-Dào-Jià paradigm. This paradigm is a world that is very different from today's modern education designed around knowledge. From this point of view, modern education can be evaluated as a discourse of knowledge and the Xìng-Dào-Jià paradigm is a discourse on nature. In addition, ZǐSī grasped the conceptual framework driving his Xìng-Dào-Jià paradigm from the perspective of Chéng and ChéngZhī. At this time, Chéng is the same concept as the TiānDào, and ChéngZhī is the same concept as the RénDào. In that case, Chéng is the world of YuánHēngLìZhēn and ChéngZhī is the world of RénLĭYìZhì. In this context, ZǐSī's concern is that it has elaborately established a method to nurture humans who can perfectly embody the driving rules of the RénDào, such as the driving rules of the TiānDào. This was a program of ZūnDéXìng that elevates human nature,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the design drawings of modern education, and it was a program of DàoWènXué that contemplated how to achieve such ZūnDéXìng. The core of these programs is that they focus on the area of qualitative guarantees for human nature, which can be pointed out as the greatest weakness of modern education.

      • KCI등재

        율곡(栗谷) 성치료(誠治療)의 교육적 의의

        서명석 ( Seo Myoung-seo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4 No.-

        이 논문은 율곡을 중심에 놓고 그가 그리고 있던 인심도심설을 현재로 소환한 뒤 그것이 전해주는 교육적 메시지를 판독하는 것이다. 퇴계가 경을 중심으로 그의 수양론을 구축하였다면, 율곡은 성을 중심으로 해서 그의 수양론체계를 수립하였다. 그 중에서 이 글은 율곡의 성중심의 이론체계를 뒤에서 지원하는 교기질 패러다임 안에서 성과 성지 그리고 성의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것이다. 그런 다음 이 논문은 성치료라는 관점에서 이것들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검토한 것이었다. 천도의 운행원리인 원형이정이라는 운동방식이 성이라면, 천도의 운행처럼 인간에게 주어진 인의예지대로 인간은 살아갈 수 없다. 그것은 인욕이라는 걸림돌이 우리 마음속에 들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인의예지라는 정상궤도 속에서 우리 마음이 돌아가도록 하는 의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것이 이른바 성지이다. 이것만이 아니다. 그런 성지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율곡이 성의를 제안했다. 이때 성과 의의 결합어인 성의는 실천력으로서의 성과 선과 악을 구별하는 인지력과 악을 버리고 선을 지향하는 의지력인 의가 합쳐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성의는 인간의 본성이 오염되고 타락하여 발생하는 각종 문제를 해결해 줄 가능성을 함의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성이 인간의 본성에 대한 관리와 치료를 다루는 프로그램인 성치료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러한 세계는 본성에 대한 관리와 치료가 전무한 오늘날 현대교육의 맹점에 대해 우리에게 맹성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paper is to focus on Yulgok, summons RenXinTaoXin theory he was drawing, and then reads the educational message. As Toegye established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centered on Jing, Yulgok established his system of theory of self-cultivation based on the Cheng. Among them, I explains the role of Cheng, ChengZhi, JiaoQiZhi paradigm that supports Yulgok’s based theoritical system. I then examines how to understand these in terms of Cheng Therapy. While the motional principle of YuanHengLiZhen is the Cheng, the human being can’t live according to RenYiLiZhi of human being. It is because the stumbling block of RenYu is in our mind and heart. So we need an intentional effort to turn our mind and heart in the normal orbit of RenYiLiZhi. This is called ChengZhi. This is not the only one. As a concrete strategy to implement such a ChengZhi, Yulgok proposed ChengYi. In this case, ChengYi, which is a combination Cheng as the power of practice and Yi that combines the cognitive power that distinguishes between good and evil and the volitional power that aims for good without evil in the Yi. However, this Cheng implies the possibility of solving various problems caused by pollution and corruption of human nature. In this respect, Cheng can move into the world of Cheng Therapy, a program that deals with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human nature. This world offers us deep reflection to the blindness of modern education today, where there is no care and treatment of human nature.

      • KCI등재

        교과서를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과 해석

        서명석 ( Myoung Seok Seo )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7 No.-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textbooks in the curriculum. The study is based on three perspectives of textbooks that are perspective of reality, perspective of tool, and perspective of between-being on the textbooks. Textbooks are a core part of curriculum as important to the teacher as a blueprint is to a architect. Accordingly textbooks are not curriculum in itself but tools for teaching, instructional systems, instructional materials, instructional resources, and instructional medium. To develop curriculum materials teachers need teaching expertise by perspective of tool on the textbooks. Therefore textbooks are resources for teachers to interpretate in designing instruction rather than canon for instruction itself.

      • KCI등재

        만남, 어원, 구조, 개념의 교육적 프리즘: 네 가지 코드에 대한 교육적 의미부여 작업

        서명석 ( Myoung Seok Seo ) 한국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 Vol.40 No.-

        It is that the applicability and conceptuality of such a configuration that specifically concerns prism on encounter, etymology, structure, and concepts in education. The paper maintains that the move to describe the teacher-student relation is indeed inter-dependence by serious encounter. The problem arises in that we remain sure of the fundamental purpose of education. Also I draw on the work of etymological approach on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 on education. In these instances, we have said difference in a specific cultural program. This conception of the work of the trace helps clarify and decode the meaning of education. In other aspects, to be put in a question is already to move the structural logic of education. Education, one might adventure, is `being-led-else-where.` To teach, then, is to instigate or allow the student`s ex-cendence[啓明] of him self or her self. This ideal is Sang-Gu-Bo-Ri[上求菩提], Ha-Hwa-Joong-Saeng[下化衆生], and Jul-Tak-Dong-Si[쵀啄同時] in the Seon[禪] Buddhistic paradigm. It is for this reason that one might refer to a structural paradigm of education. In final aspects, the field to the concept of `concept` in education always tells us something about an educational `theory` from itself. This approaches articulates the theoretical frame of educational phenomenon. Through this explication of the question within "the" concept education appears in lens and l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