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차원 메쉬에서의 유연성 있는 프로세서 할당기법

        서경희(Kyung-Hee Seo)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Ⅲ

        상호연결망으로 메쉬 구조를 채택한 대규모 병렬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된 기존의 프로세서 할당기법들은 직사각형 모양의 서브메쉬 할당 기법으로 제한되어왔다. 그 결과 기존의 기법들은 심각한 시스템의 단편화를 초래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프래그멘테이션과 작업 응답 시간을 동시에 줄이기 위해서, 단편화된 메쉬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변형된 L자 모양의 서브메쉬를 할당하는 확장된 LSSA(L-Shaped Submesh Allocation) 기법을 제안한다. LSSA 기법에서 수행되는 모든 서브메쉬 모양의 변형들은 응용 프로그래머에게 투명성을 보장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 LSSA 기법이 작업 응답 시간과 시스템의 활용도 면에서 다른 기법들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英祖御製帖 '詩語'의 의미

        徐京希(Seo kyung-hee)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6

        『영조어제첩』은 조선왕조 21대 왕인 영조(1694∼1776)가 70대 후반에 일상적 감회를 술회한 필사본을 지칭한다. 현재 장서각에 보존되어 있는 시첩은 약 5300여건에 달하는데, 본고는 그 가운데 「어제강개」라는 표제가 붙어 있는 시첩을 통해 '강개류' 시어의 의미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강개류시'의 특성은 시어의 평이함과 소재의 현실성에 있다. 그리고 '탄식조의 음율'로 심회를 토로하고 있다는 점과 생각의 전이가 연결고리를 이룬다는 점. 한자로 표기되어 있지만 구어체로 인식되며, 시마다 독특한 시각적 나열이 그 특징이다. 영조가 구사하는 2보격 율격은 한국시가 율격의 직정적 성격과 유사하다. 특히 강개류에서 주로 드러나는 3언 2보격은 노인들의 호흡과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상성을 띤 직설적 술회방식의 율격은 영조 자신의 독창적 율격이므로 일반 한시와는 별개의 '영조체'라고 명명할 수밖에 없다. '강개류시'에서 강개의 대상은 과거와 현재의 괴리로 인해 슬픔을 느끼게 되는 '자아'와, 기강이 무너져 유행에 따라 변해가는 '세계'이다. 영조는 모든 이가 그런 세상에 함몰되더라도 자신은 깨어 있어야 한다는 관념에 휩싸여 있었지만, 과거의 시점들은 까마득하여 마치 전생으로 느껴졌던 것 같다. 자아의 인식으로 인한 추모의 감정은 특정한 추억과 연계되어 있으며, 조선의 신하들에게 미치는 분노의 감정은 당시의 조선을 '시체세상'과 '무언세계'로 인식한 영조 자신에게 기인한다. 그래서 영조는 '강개류'에서 '모년', '석년', '자성옹', '전생' 등의 시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 네가지에 국한시킨 것은 어제류 시문 정리의 시작 단계에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영조가 사용한 '시어'의 직정적이고 직설적인 면에 중점을 두어 의미 분석한 것이다. 『Yeongjo Eoje (Writings)』 signifies a copy of the manuscripts that was written by the 21st King Yeongjo (1694∼1776) about daily sentiments in his late seventies in the Joseon Dynasty. The Sicheop (poem collection) preserved currently in Jangseogak reached approx. 5,300 pieces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righteous wrath-type' poetic dictions through the Sicheop that was attached with the title of 'righteous wrath written by the King' among them. The characteristics of righteous wrath-type poems lied in the simplicity of poetic diction and reality of subject matters. Meanwhile, noticeable was that his thought and feeling were expressed with 'lamenting melody' and the transfer of his thought had some connection. Even if it was written in Chinese letters, it has been recognized as a colloquial style and his unique visual arrangement for each poem was conspicuous. Dimeter versification rules used by Yeongjo wer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frank attitudes of the versification rules of Korean poetry. Especially, the 3 Eon dimeter shown in righteous wrath-type tended to be corresponding to the breathing of the elderly. However, the versification rules of such an indicative recollection method with the subject matters in daily life was absolutely Yeongjo's own versification rules; therefore, it should be designated as 'Yeongjo style' different from general Chinese poems. The subjects of righteous wrath in righteous wrath-type poems were the 'self' that felt sorrow due to the estrangement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the 'world'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trends without fundamental principles. Yeongjo felt that he had to be awakened even if everyone fell into such destruction in this world; however, the points in the past were too far and he felt that they were like his former life. The feeling of commemoration due to the recognition of the self was linked with specific memories and his sense of anger against the subjects of his Dynasty was derived from his recognition on the then Joseon 'corpse world' and 'silent world.' Therefore, Yeongjo used the poetic dictions such as 'Old age and decline (暮年)', 'ancient times (昔年)', 'Jaseong-Ong', 'former life' in 'righteous wrath-type.' The reasons for limiting the words as such were because it was in the initial stage of arranging poetry and prose written by the King Yeongjo. This study was meaningful because it found out a different aspect of Yeongjo compared to the existing materials on him.

      • KCI등재후보

        문학 : 규훈소설의 성립 배경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경희 ( Kyung Hee Seo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7

        본 연구는 여성에 대한 교육을 목적으로 이상적 인물을 설정하여 전통적으로 여성들에게 강조되었던 부덕(婦德)의 실천 덕목을 형상화한 소설들, 즉 규훈소설을 대상으로 그 성립배경과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규훈소설은 조선후기 여성교훈서가 사대부에 의해 활발하게 저작되고 필사본이 폭넓게 유통되며 규훈의 문학적 형상화가 다양하게 시도되는 분위기 속에서 등장하였다. 또한 소설 향유자들이 여성의 소설 독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의식하여 소설의 창작, 유통 과정에서 교훈성을 강조하고 여훈을 위한 자료와 함께 필사하여 ‘읽을 만한 것’으로 만들고자 했던 노력이 규훈소설의 성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 초당□신부문답 >, < 설씨내범 >, < 유한당사씨언행록 > 등의 규훈소설은 비교적 현실적 맥락 위에서 허구적 세계를 구축하여 규훈서의 체제와 내용을 수용하고, 인물간의 대화 속에 규훈과 교양의 소양을 드러낼 수 있는 여러 경전과 고사, 고훈을 인용하며, 규훈을 배우고 실천을 강조하는 이상적 여성인물을 형상화하였다. 통속적 소재를 중심으로 다루기보다는 소설 속에 교양과 규훈의 전개와 실천을 다루면서 새로운 경향의 소설화 방식을 기획할 수 있었다. 또 규훈소설의 성립과 전변 과정에서 여성에게 요구되는 특정 덕목과 윤리를 형상화한 작품들도 등장하였는데, 이들은 규훈소설의 자장을 확대하면서 규훈의 보수성과 현실적 요구가 소설화 과정에서 다양하게 작동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established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novel shaping virtues of female for women``s education. Late Chosun Dynasty, women Tutorials has been actively creative, the lesson for women is made of a variety of literary forms. A novel depicting a lesson for women appeared in this atmosphere. Because of this negative view of women reading a novel, The novel emphasized the lessons and was written with resources to help education. This effort was the direct cause of the emergence of a novel depicting a lesson for women. Seolssinaebeom, The chronicle of Euhandang Sassi’s sayings and doings, Chodangja and the bride``s dialogue were utilizing a system of confucian Women’s classics, are quoted scripture in the dialogue of the characters, were shaping the ideal person to practice virtues of women. A novel depicting a lesson for women while such an attempt could be planning a new fictionalized manner. A novel depicting a lesson for wome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changing, it was also a fiction created around a virtue for women. They expanded the field of a novel depicting a lesson for women, and showed a process for variously operating the conservative aspects and the practical needs of a lesson for women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심청전>에 나타난 가장의 표상과 역설적 실체

        서경희 ( Kyung Hee Se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0 No.-

        본고는<심청전>의 심봉사를 중심으로 가장, 가족구성원, 가족이데올로기의 문제에 대한 향유층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봉사는 가장으로서 그 어떤 자질도 갖추지 못하였고, 또 무능력과 성적 욕망을 여과 없이 드러내면서 빈약한 내면을 노출시킨다. 이는 동정을 유도하여 이야기가 가장을 재건하도록 추동하고, 신분상승과 안씨와의 혼인이라는 서사의 귀결을 통해서 권위 있는 가장을 호명한다. 비약적 결말로 보수적 가족이데올로기가 재현되는 과정에서 심학규는 그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지만, 문제가 모두 해결되고 자신의 신분도 수직 상승을 이룬다. 이러한 결말은<심청전>이 신분제의 동요와 자본의 대두로 변화하는 시기에 무기력한 가장에 대한 신랄한 비판도 현실적인 대안도 제시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오히려 막연히 가부장의 권위가 회복되고 유지되기를 바라는 향유층의 내면화된 이념성을 확인시켜 준다. 또한 역설적으로 격동기에 적응하지 못한 무능한 가장을 더 이상 위기의 가정을 견고하게 지켜낼 수 있는 주체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심청전>은 책임을 다 하지 못한 가장일지라도 가족구성원에게는 관념적으로 권위가 견고하게 존속되며, 그 구성원들은 가장을 위한 자기 소진이 유일한 생존전략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가족제도의 모순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심청전>이 보여주는 가족이데올로기의 문학적 형상화는 충족된 결론과 달리 공고한 이념적 자장속에서 가족구성원의 새로운 지위와 역할을 제시하지 못했다. This thesis is aimed to know how people think of their breadwinner, family members and family ideology through Simbongsa and his family in Simcheongjeon. We will review the way the story show how Simbongsa and his family rebuild their disbanded family to us. Simbongsa in Simcheongjeon is far from the traditional vision of a breadwinner, but he is served by his wife and child just because he is the head of the family. Simbongsa’s authority as the head of his family seems very firm because Ms. Gwak and Simcheong―his wife and his daughter―are willing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ir head and worry about him even after their death. The story is caricaturing him by showing his disability and sexual desire, which make us feel sympathy for Simbongsa rather than blame the incompetent and selfish breadwinner. Not only does the sympathy encourage Simbongsa to rebuild his family but also the story result in get him on a better social status to be an authoritative breadwinner by getting married to Ms. Ahn. Luckily, Simbongsa solves the family problem with any decising-making or efforts. It is just done by a leap in the story which represents conservative family ideology. The story shows people have in mind that the authority of their breadwinners could be revived and kept alive, who neither blame nor make any realistic counter-offer to the heads of their family―even though the incompetent breadwinner cannot stand still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teased by agitation of status system and capitalism. It also tells us that incompetent breadwinners cannot protect their family from any crises. Simcheongjeon is a story about paradox of the family system by showing that self-sacrifice of family members for their breadwinner is the only way to survival although the head of their family doensn`t deserve the authority physically and ethically.

      • KCI등재

        가정 폭력의 실상과 해석의 간극, 그리고 효 담론의 작동 방식 - < 장화홍련전>을 중심으로 -

        서경희 ( Seo Kyung Hee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58

        본 연구는 <장화홍련전>에 나타난 폭력의 실상과 해결 과정, 그리고 이를 해석하는 시선에 주목하였다. 이 작품에서 가장인 배좌수의 권력은 집안의 이익에 따라 구성원들에 대한 처분을 일방적이고 매우 폭력적인 방식으로 결정하고 실행에 옮긴다. 이러한 폭력 행사에 의해 장화 자매의 존재가 파괴되고 부정되는 피해가 발생하지만, 박인수본에 비해 구활자본에서는 가장이 가해의 책임에서 점차 벗어나게 된다. 친 생부의 처벌이 경감되고, 피해자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이 원인제공자로서의 혐의를 온전히 벗지 못하며 가장이 져야할 가해의 책임까지 모두 계모에게 지운다. 또한 향유층의 해석이 반영되는 후기 이본에서는 가정에서 일어난 비극적 폭력 사건의 실체를 밝히고 시비를 가리는 것보다 상징적 악인을 징치하고 가정을 복원하는 것이 흡족한 결말로 자리잡게 된다. 이처럼 서사가 조정되면서 장화 자매는 가해자인 부친을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여 가부장제의 존속에 기여하는데, 이는 향유층이 강력하게 작동하는 효 담론을 거슬러 가장을 정조준하여 고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용납되기 힘든 환경임을 의식하기 때문이다. 장화자매의 자기모순적 발언은 부모의 잘못된 행실을 드러내면서도 공동체로부터 비난받지 않을 수 있었던 생존 전략이다. 이러한 자기 보호색을 갖추어야만 장화 홍련은 여전히 피해자로 남을 수 있고 국가 이념의 테두리 내에서 선한 인물로 평가받을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actual situation of violence in Janghwahonglyeonjeon, the process of solving it, and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ng it. In this work, the patriarchal power determines the disposition of the members in a unilateral and violent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the family. Such violence causes the victim to be destroyed and denied. In later versions, however, the patriarch gradually deviates from the responsibility of injustice. The punishment of the biological father is alleviated, and all the members including the victim can not completely remove the charge as the cause provider, and all the responsibility of the patriarch must be transferred to the stepmother. In the latter version, which reflects the interpretation of the enjoyers, it is more convenient to punish the symbolic wicked person and restore the family than to identify the reality of the tragedic violence in the family and reveal the responsibility. In this process of narrative change, Janghwa and Honglyeon take the position of advocating his father, the perpetrator, and contributes to the survival of patriarchy. This is because the discourse of the filial duty works strongly, so that the enjoyers are conscious that it is an environment where it is unacceptable to accuse the patriarch directly. Their self-contradictory remarks are survival strategies that could reveal the wrong behavior of their parents and not be blamed by the community. These self-protective colors can still be left as victims, and they can be regarded as good people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ideolog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논문 : 개인 필사본 한글소설의 독자 취향과 향유 방식 -<소약란직금회봉>을 중심으로-

        서경희 ( Kyung Hee Seo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4

        본고는 <소약란직금회봉>을 중심으로 개인 필사본 한글소설의 향유 방식을 살펴보면서 주독자층과 그들의 취향을 고려하여 개인 필사본 한글소설을 읽는 즐거움의 원천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인 필사본 한글소설 <소약란직금회봉>은 주향유층인 여성들의 욕망과 관심, 취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교훈성보다는 새로운 소재 등으로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독자들을 확보하였다. 개인 필사본 한글소설은 불특정다수를 독자로 하는 세책 필사본 소설과는 달리, 친족이나 지역 공동체 내에서 유통되면서 필사자, 소장자, 독자가 서로를 인지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필사 과정에서의 잦은 오류에도 불구하고 소장하고 읽을 만한 가치를 지니게 되고, 필사 과정에서의 추억이나 향유자들 간의 인연, 그들의 사연은 책을 소장하고 읽는 중요한 이유가 되었으며, 필체 역시 아는 사람의 노력이자 삶의 흔적으로 작품의 내용과 함께 향유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므로 개인 필사본 한글소설은 향유자들 간의 정서적 교감을 바탕으로 한 독서물로, 동일한 작품이라 하더라도 이본 하나하나가 향유자들에게는 다른 의미로 각인되었다. 이처럼 책 속의 글자나 문장의 의미를 넘어서서 기억과 감정, 향수와 같은 비문자적 영역을 함께 향유한다는 점에서 개인 필사본 한글소설은 향유자 개인의 삶에서 분화되지 않은 지점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The Korean novel in private transcript, <Soyaknanjikkeumhoebong> secured reader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y dealing with new themes rather than giving lessons. It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author reflected women`s desire, interest and taste. Women are main readers of the novel. The Korean novels in private transcript was circulated in a community or between relatives. The author, transcriber and owner know one another. So the novels were worth of owning and reading in spite of a lot of errors in them. The novels themselves became the reason they write and read them. The transcriber`s handwriting was also enjoyed by their readers. Because it was a part of the work the transcribers did and their lives themselves. So the Korean novels in private transcript were the books shared in emotional communication of writers and readers. Each copy transcribed had its own value. The Korean novels in private transcript is not personal because writers and readers share not only their books but also their non-literal part, memory and emotion.

      • KCI등재

        < 설씨내범 >에 나타난 이념적 당위와 현실적 소망의 거리

        서경희 ( Kyung Hee Seo ) 한국고전문학회 2016 古典文學硏究 Vol.49 No.-

        본고는 < 설씨내범 >의 저자가 서와 후서, 그리고 작중 인물의 발화를 통해 드러내는 여훈의 요소들이 소설적 형상화 과정에서 어떻게 굴절되는지 추적하여 이념성의 정체를 확인하고자 했다. < 설씨내범 >은 부녀에 대한 ‘교화’의 수준을 넘어서 ‘교육’을 노골적으로 표방하는 지극히 교조적 성격의 허구이다. 그러나 소설적 상상력은 저자의 의도와 달리 의외의 지점을 만들어내어 이념적 당위만으로 온전히 감당해낼 수 없는 현실적 소망과 부조리를 무의식적으로 혹은 중첩된 형태로 작품 속에 드러내게 된다. 작품 속에서 누구나 가르침을 받아 노력하면 본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전제를 외부인들에게는 적용하지 않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타고난 본성과 신분의 귀천을 근거로 판단하면서 교화의 대상에서 배제한다. 또 위행진이 도덕적 실천을 내면적 차원에서 추동하고자 했으나 작품의 귀결은 복선화음의 이치를 구현하는 것으로 마무리 되면서 복록을 받기 위한 규범의 실천이라는 세속적 동기 부여를 한다. 그리고 작품 속에서 윤리 교양을 실천하는 동기로 선한 본성 이면에 존재하는 문화적 차별화로 인한 자부심을 읽어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설씨내범> 속에 구현된 규훈의 이념적 논리는 현실에 기반한 상상적 세계에서는 세속적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그런 까닭에 규훈의 이상적 실천 역시 온전히 실현되기에는 불완전한 기획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cusing on Seolssinaebeom, to trace how the women educational content refraction fictionalized in the process and ensure its meaning. Seolssinaebeom is an extremely dogmatic fiction that openly advocating education for women. But fictional imagination creates a surprising point of contrast with the intent of the author. Apart from ideological sollen, realitic hope and absurdity unconsciously revealed in the work. Unlike the family, outsider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innate and identification and elimination from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And Wihaengjin wanted to make to the moral practice for the inner self, After all the work is finished lessons to practice the norm in order to receive a blessing, give worldly motives. In the Seolssinaebeom with the motivation to practice ethical culture can read great pride due to cultural differentiation. In conclusion, the lessons to be passed through Seolssinaebeom can not be free from worldly desires in the imaginary world based on reality. And the ideal practice of lessons for women is still revealed limitations on the practic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