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고급중학교『국어문학』에 수록된 제재 양상 및 특징―김정은 시대의 2013 교육강령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변경가(Byun Kyung-ga),권순희(Kwon Soon-hee)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북한의 2013 교육강령에 따라 출판된 고급중학교 국어 교과서(일명 김정은 시대의 교과서)의 제재 수록 양상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여 북한의 국어교육 현황 및 문식 경향을 탐구한 것이다. 국어 교과 일반의 관점에서 ‘국어문학’ 교과에 한정하여 교육강령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국어문학󰡕 교과서는 제재 중심의 총체적 언어 교수법을 따르고 있었다. 이어 교과서에 수록된 본문 제재에 대해 형태와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총 24종의 문종이 수록됐으며, 가사(歌詞), 실화(實話), 기사문이 남한의 것과 차별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김일성 일가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제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제재의 62.71% 이상이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다. 교과서의 제재가 해당 사회에서 반드시 읽어야 할 글이자 좋은 글쓰기의 전범으로 기능함을 고려했을 때, 북한 학습자의 문식 생활에 교과서 제재는 강력한 영향력이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literature in North Korea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drawing out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 published in the high school (known as the Kim Jong-un regim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ducation guidelines and textbooks limited to ‘Korean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eral public, the textbook for the researchers overall language teaching method centered on read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ading materials, which were included in the ‘Korean Literature’ Textbook, a total of 24 species were found to be contained, and lyrics, true stories, and articl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62.71 percent of the total reading materials were found to have been made in person,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Kim family, including the creation of the Kim Il Sung family, the quotations from the Kim Il-sung family, and the direct and indirect appearance of the Kim Il-sung family.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후원적 문식 활동과 자기후원적 문식 활동 간 관계 연구

        변경가 ( Byun¸ Kyung-ga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51

        이 연구는 다중 문식활동(multiple literacies)을 수행하는 문식자로서 청소년이 학교 안팎의 쓰기 활동을 어떻게 관계 짓고 엮어가고 있는지, 이를 통해 어떤 필자로 성장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관점에서 이들의 쓰기 경험을 수집하고 이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구조화한 뒤, 분석 결과를 문식성 후원의 관점에 기반하여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1) 학교 주도의 조직적 쓰기 활동, 2) 학교-자기 간 상호교호적 쓰기 활동, 3) 자기통합적 쓰기 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쓰기 경험에서 ‘학교’가 구심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것이 쓰기 활동을 범주화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쓰기 활동을 학교 안/밖의 선험적, 이분법적 접근이 아닌 맥락적이고 관계적인 차원에서 이해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청소년의 쓰기 활동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간에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 발전해가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드러냈다. 이 과정에서 학교가 문식성 후원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dolescents, as a literate of multiple literacies, relate to and weave their writing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how they grow into writers through this. Accordingly, writing experiences were coll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s, structured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literacy suppor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ook part in 1) school-led organizational writing activity, 2) school-self-interactive writing activity, and 3) self-integrated writing activity.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the ‘school’ is a pivotal point in the writing experience of adolescents and thus, serves as the standard for categorizing writing activities. The study is meaningful as it shows the writing activities of adolescents through a contextual and relational view.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as it reveals that the various types of writing activities that the adolescents participated in do not exist independently but form a relationship and develop with each other.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school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supporter of literacy in this process.

      • KCI등재

        초·중등 학습자의 쓰기 개념화 양상 연구 - 은유 분석(metaphor analysis)을 중심으로 -

        변경가 ( Byun Kyung-ga ) 한국작문학회 2017 작문연구 Vol.0 No.3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중등 학습자의 쓰기 개념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학습자의 글쓰기 개념은 학습자의 글쓰기 인식을 중재하기 위한 기본 개념으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은유 분석의 방법을 통해 쓰기 개념을 살폈으며, 초중 등 학습자의 은유 표현은 총 열 개의 은유적 주제로 나타났다. 이는 `쓰기 목적`, `쓰기 수행`, `쓰기에 대한 가치`의 세 범주에 따라, 표현의 발산, 생각의 발전, 성찰의 거울, 단순노동, 도관, 건축, 출판, 호흡, 가치 있는 도전, 감정으로 개념화 양상이 도출되었다. 학습자가 상정한 쓰기 개념이 쓰기 수행의 촉발에서부터 구체적인 결과에 이르기까지 쓰기 수행 전반에 걸쳐 기제로 작용하며 쓰기 수행의 중추에서 올바른 쓰기를 노정함을 고려했을 때, 쓰기 행위의 지속성을 도모하고 삶과 합일된 쓰기 수행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쓰기관에 대한 논의가 보다 면밀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examine the primary to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ization of writing. At this time, the learner`s writing concept has a meaning as a basic concept to mediate learner`s writing perception. In this study, metaphor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writing concept,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arners appeared as a total of ten metaphorical topics. It can be presented in three categories of `writing purpose`, `writing performance`, and `value for writing`. The concept of the learner`s writing concept plays a role as a mechanism throughout the writing process from the triggering of the writing performance to the concrete result, and at the same tim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riting performance. Considering that the concept of writing is based on the correct writing at the center of writing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writing of the learner more closely in order to promote the continuity of writing activity and perform life and unified writing .

      • KCI등재

        쓰기 교육에서 피드백 중재 이론에 기반한 교수자 피드백과 학습자의 수용 인식

        변경가 ( Byun Kyung-ga )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쓰기 교육에서 교수자의 중재적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수용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쓰기 학습에 유용한 피드백 유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피드백 중재 이론과 피드백 수용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쓰기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중재적 피드백 유형과 학습자의 피드백 수용 범주를 구체화한 뒤, 쓰기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쓰기 수업에서 쓰기 문제 분석 피드백이 가장 많이, 학습목표달성에 대한 진단 피드백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학습자들은 이러한 피드백에 대해 정의적 측면에서 가장 높게, 행동적 측면에서 가장 낮게 수용했다고 인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쓰기 피드백과 피드백 수용 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학습자의 쓰기 피드백 수용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피드백 유형이 학습목표 안내와 학습목표 달성에 대한 진단 피드백의 조합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쓰기 피드백 유형과 수용 요인 간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쓰기 교육에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ctual status and influence of learners' acceptance of writing feedback and, through this, derive useful types of feedback for writing learning. To this end, we specified the types of writing feedback and categories of feedback acceptanc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feedback mediation and acceptance, and then collected data from college students who took writing clas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riting class showed the most feedback on analyzing writing problems and the least amount of diagnostic feedback on achieving learning goals, and learners accepted the provided writing feedback the highest in the affective aspect and the lowest in the behavioral aspect. Confirmed. In addit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feedback and feedback acceptance, a specific feedback combination that promotes feedback acceptance was deri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s of feedback that affect the overall acceptance of writing feedback are learning goal guidance and diagnostic feedback for learning goal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certain implications for writing education in that they specifically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writing feedback and acceptance facto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ㆍ중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

        양소은(Soeun Yang),이지선(Jeesun Lee),김아미(Amie Kim),변경가(Kyung-ga Byu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교육논총 Vol.4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ㆍ중등학교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초ㆍ중등학교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경험하는 미디어 환경 특성이 빠르게 변화한다는 점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유관 분야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전문가 자문, 연구진 회의 등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능력을 중심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영역과 하위 핵심 능력 등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요소를 밝히고, 요소 간 관계를 위계적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 교과 교육 분야 등 다양한 유관 분야 전문가 자문진의 검토 의견을 수집해 반영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는 뉴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출현하면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세로축과 가로축을 지닌 2차원 확장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워크의 내용 영역은 ‘수용하기’, ‘생산하기’, ‘살아가기’로 구분된다. 각 영역별로는 기능적 리터러시(functional literacy)→비판적 리터러시(critical literacy)로 위계화되는 세부 핵심 능력을 설정하여, ‘수용하기’ 영역은 ‘(기능적) 소비→분석→평가’, ‘생산하기’ 영역은 ‘(기능적) 표현→확산ㆍ공유 →참여적 창작’, ‘(시민으로) 살아가기’ 영역은 ‘자기조절ㆍ안전→디지털 자아 구축→디지털 권리 이해ㆍ성찰→협력적 문제 해결’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는 초ㆍ중등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조직자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2022년 개정 고시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관련 교육 내용이 대폭 확대되고 전 교과와 전 학년군에 편재해 있는 교육 상황을 고려할 때,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for teaching media literacy in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s by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ediaenvironments and various related fields of this subject.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literature research, expert advice, and researcher meetings. W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to revealthe sub-elements constituting media literacy and the hierarchically constructed relationships between these elements. Furthermore, the review opinions of 11 expert advisors from the media communication and subject education domai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two-dimensional expansion structure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is characteristic of the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Moreover, the media literacy framework’s content areas are divided into “consuming”, “prosuming”, and “being”. For each area, detailed core competencies organized into functional and critical literacy were established. The consuming area includes “functional consumption → analysis → evaluation”; the prosuming area consists of “functional expression → diffusion/sharing → participatory creation”; and the being area includes “self-regulation and safety → digital self-building → digital rights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media literacy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organize a media literacy curriculum. Particularly,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systematical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chools as media-related educational content is significantly expan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22, and related educational content is ubiquitous in all subjects and grades.

      • KCI등재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Degree of 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2)

        서혁 (Suh, Hyuk ),이소라 ( So Ra Lee ),류수경 ( Su Kyeong Ryu ),오은하 ( Eun Ha Oh ),윤희성 ( Hee Sung Yoon ),변경가 ( Kyung Ga Byun ),편지윤 ( Ji Yun Pyeon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7 No.-

        본 연구에서는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하여 텍스트 복잡도를 상세화하여, 텍스트 내적 복잡도 공식을 개발하였다. 기존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보완하기 위해 (1) 이독성 측정을 위한 등급별 어휘집 마련, (2) 문장의 복잡도 측정 체계 개발을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삼았다. 텍스트 복잡도 공식 개발에 사용된 독립변수는 본고에서 마련한 등급별 어휘 목록 A, B, C등급 및 그 이외의 서로 다른 단어들의 포함 여부와 문장 길이 및 문장 복잡도 측정 체계에 따른 문장 복잡도 평균이다. 또한 종속변수는 전문가가 판단한 텍스트의 적정 학년 평균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산출하였다. 이 중 초등에서는 어휘와 문장의 길이가, 중등에서는 어휘와 문장의 복잡도가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등과 중등 교과서의 텍스트 학년 수준의 적합성을 판별하기에 적절한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각각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초등 및 중등 수준의 텍스트 복잡도 공식은 다음과 같으며, 해당 공식은 초등 텍스트 학년 수준에 대해 75.2%, 중등에 대해 65.6%의 설명력을 지닌다. 초등 텍스트 학년 수준 = 7.438 - 0.391×(문장 수) + 0.032×(A등급 이외의 단어 수) + 0.016×(문장 수×A등급 이외의 단어 수) * R2 = 0.752 중등 텍스트 학년 수준 = -0.060×(A등급 단어 수) + 0.145×(C등급 이외 단어 수) + 0.110×(문장 복잡도) + 0.024×(문장 복잡도×C등급 이외 단어 수) + 9.075 * R2 = 0.656 본 연구에서 마련한 텍스트 복잡도 공식은 텍스트 내적 요인만을 중요 변수로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 한계를 지닌다. 향후 총체적인 텍스트 복잡도 공식 마련을 위해서는 텍스트 복잡도 외적 요인인 배경지식과 과제 요인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xt Complexity Formula more precisely. For this, we focused on complementing the list of words and elaborating the measurement of Sentence Complexity.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is Formula are graded vocabulary list and the figure of sentence complexity calculated by the length and structure of sentenc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determination on text of the appropriate grade level by experts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suggested two Text Complexity Formular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which has the power of explanation of 75.2% about difficulties of texts in elementary level and 65.6% in middle school level. The Text Complexity Formula, we finally determined, is as follows. ETGL = 0.032uWa - 0.391S + 0.016uWaS + 7.438 * R2 = 0.752 ETGL = Elementary Text Grade Level uWa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A S = The number of sentence uWaS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A × The number of sentence STGL = - 0.060Wa + 0.145uWc + 0.110C + 0.024uWcC + 9.075 * R2 = 0.752 STGL = Secondary Text Grade Level Wa = The number of words in word list A uWc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C C = Degree of Sentence Complexity uWcC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C × Degree of Sentence Complexity This Text Complexity is o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features of the internal texts.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for supplementing the formula through including the qualitative factors of the text like Reader variables(reader`s background knowledge) and Task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