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발성골수종에서 염색체 이상의 임상적 중요성

        김경태 ( Kyoung Tae Kim ),백정환 ( Jeung Hoan Paik ),이창재 ( Chang Jae Lee ),김진호 ( Jin Ho Kim ),배이지 ( Yee Zee Bae ),서봉근 ( Bong Gun Seo ),권혁찬 ( Hyuk Chan Kwon ),오성용 ( Sung Yong Oh ),김성현 ( Sung Hyun Kim ),김재석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3

        목적: 다발성골수종은 단일 클론에서 유래하는 B 림프구의 악성종양으로 형질세포의 악성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다발성 골수종은 임상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생존율은 수개월에서 10년 이상으로 다양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발성골수종에서 특정한 세포유전학적 염색체 결함이 예후인자로서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4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다발성골수종으로 진단 받은 환자 4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세포유전학적 검사는 세포중기 핵형분석을 하여 염색체 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상염색체를 보인 군(A군)과 13번 염색체 결손 또는 부분 결손이나 저두배수체를 보이는 군(B군), 그리고 그 외의 염색체 이상을 보이는 군(C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3.1개월이었다(범위 1.5~92.1개월).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총 반응율은 58.8%였고, A군, B군, C군 간의 치료에 대한 반응율은 각각 56.3%, 33.3%, 75%였다(p=0.229).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로는 임상적 병기, 활동도,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성별 그리고 염색체 이상 여부 등이었다. A군, B군, C군 사이에 중앙생존기간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각각 34.9개월, 8.5개월, 19.8개월, p=0.0125), 염색체 이상 중 13번 염색체 결손 또는 부분 결손과 염색체 저두배수체성이 다발성골수종에서 생존기간에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결론: 다발성 골수종에서 진단시 염색체 이상은 임상적 예후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Background: Multiple myeloma is a clonal B-cell malignancy manifested by the accumulation of terminally differentiated plasma cells. The disease is characterized by clinical heterogeneity, with survival ranging from a few months to more than 10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gnostic value of specific chromosomal abnormality in multiple myeloma.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al records of 4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multiple myeloma, between April, 1995 and August, 2004. Cyt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by metaphase karyotype analysis. Patients were grouped into normal cytogenetic group (arm A), complete or partial deletion of chromosome 13 and hypodiploidy group (arm B) and other cytogenetic abnormality group (arm C). Results: Median follow up duration was 13.1 months (range 1.5-92.1). Overall response rate to chemotherapy was 58.8% and response rate among arm A, B and C were 56.3%, 33.3% and 75%, respectively (p=0.229).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re clinical stage, performance status, serum creatinine level, sex and chromosomal abnormality.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rm A, B and C (34.9 months, 8.5 months and 19.8 months, respectively, p=0.0125). Conclusion: chromosomal abnormality, especially, complete or partial deletion of chromosome 13 and hypodiploidy at initial diagnosi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rvival duration. (Korean J Med 69:303-311, 2005)

      • KCI등재

        특발성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1형의 임상경과

        정석희 ( Seuk Hee Chung ),문승환 ( Seung Hwan Moon ),백정환 ( Jeung Hoan Paik ),김경태 ( Kyoung Tae Kim ),최세웅 ( Se Woong Choi ),이창재 ( Chang Jae Lee ),조용락 ( Young Rak Cho ),나서희 ( Seo Heui Ra ),안원석 ( Won Suk An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0 No.6

        목적: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은 혈뇨를 동반한 무증상성 요이상에서 신증후군, 만성신부전 등 다양한 임상증상을 나타내며 아직까지 그 원인이나 병인에 대한 정확한 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고 확립된 치료방법도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성인에서 특발성 막증식성 사구 체신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1990년 3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 내과에서 시행한 조직검사 약 1,500예 중에서 Background: The manifestation of Membranoproliperative glomerulonephritis (MPGN) is variable from asymptomatic hematuria, nephrotic syndrome to advanced chronic kidney disease. The etiology,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MPGN are unclear. The incidence of

      • 동종골수이식 후 재발한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항암화학요법으로 장기간 관해가 지속된 1예

        백정환,김경태,김재석,어완규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06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21 No.1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동종골수이식이 성공한 뒤에 생기는 재발은 치료에 있어서 장애요인이다. 동종골수이식 후 재발의 치료에는 면역억제제의 신속한 중단, 공여자 림프구 주입(donor lymphocyte infusion, DLI), 골수이식 재시술, 면역치료, 항암화학요법 재투여 등이 있다. 저자등은 동종골수이식 후 35개월에 골수 및 양측 고환에 재발한 M2 형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를 cytarabine (100mg/m^(2) 7일간)과 idarubicin(12mg/m^(2) 3일간)으로 1주기의 재관해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관해를 유도했다. 이후 매년 시행한 골수의 광동소교잡법(FISH)에서 완전 키메리즘(chimerism), AML1/ETO RT-PCR에서 분자학적 관해를 보였다. 현재 환자는 재관해 항암화학요법 치료 후 66개월로서, 좋은 신체활동도와 완전관해를 유지하고 있다. Disease recurrence following successfu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remains a major impediment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Approaches to treat patients in relapse after allogeneic BMT including rapid tapering of immunosuppressive agents, donor lymphocyte infusion (DLI), second BMT, immunotherapy, and reinduction chemotherapy can be considered as treat modalities. We report a case of AML M2 in relapse 35 months involving testis and bone marrow after sibling allogeneic BMT. Second remission was achieved with one cycle of reinduction chemotherapy using cytarabine, 100 mg/m^(2) for 7 days and idarubicin, 12 mg/m^(2) for 3 days. Annual bone marrow study confirmed sustained complete chimeric status and molecular remission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d AML1/ETO RT-PCR. The patient has remained in complete response (CR) with good performance status for 66 months after reinduction chemotherapy.

      • KCI등재

        간염성 심내막염을 합병한 대동맥-대퇴동맥 간 우회로 인조혈관 감염 1예

        정동식,문승환,최세웅,이창재,김경태,백정환,정영진,조광조,강도영,이혁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5

        본 증례는 복부 대동맥류와 양 장골동맥 폐색증으로 대동맥-양대퇴동맥 간 우회로 인조혈관 이식술을 시행했던 환자에서 술 후 이식편 감염과 심내막염이 발병한 예이다. 환자는 이식편 감염의 진단이 모호할 때 Tc-99m HMPAO 백혈구 스캔을 통해 감염을 확인하고, 재수술을 시행하여 특별한 합병증 없이 회복하여 퇴원하였다. 이식편 감염의 진단에 있어서 대개는 일반적인 창상감염에서 볼 수 있는 발열, 백혈구 증다증, 수술부위의 농양, 화농성 분비물 등을 통해 진단한다. 또한 영상학적 검사로 컴퓨터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등의 검사를 통해 이식편 감염을 진단하기도 한다. 하지만 술 후 초기 내지저독성의 감염인 경우 그리고 진단이 모호한 경우에는 백혈구 스캔을 통해 신속히 이식편 감염을 더 잘 진단할 수도 있어 국내에서 이식편 감염 진단방법으로써 백혈구스캔의 더 많은 활용과 연구가 요구된다. Prosthetic vascular graft infection (PVGI) is a relatively uncommon complication of peripheral vascular surgery and although rare, is the most severe complication in reconstructive vascular surgery. The early diagnosis of this complication can reduce the mortality. We report a case of aorto-femoral bypass graft infection, which was diagnosed by Tc-99m HMPAO WBC scan, complicated with infective endocarditis. A 60-year-old man had been operated with aortofemoral bypass graft because of aortojejunal fistula due to abdominal aortic aneurysm. Nine months later, he was admitted with fever of two months' duration. On echocardiolography, aortic regurgitation and vegetation were observed, and then he was diagosed with infective endocarditis. He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for 6 weeks. Recurrent bacteremia of unknown origin persisted despite antibiotic therapy. Multiple microorganisms were separately isolated from the blood cultures. He complained of intermittent right groin pain. Imaging study (CT, MRI, US) showed no definite evidence of graft infection. However, Tc-99m HMPAO WBC scan demonstrated uptake in the aortofemoral bypass graft site. The patient underwent emergent aortofemoral graft removal with axillobifemoral bypass and right femoropopliteal byp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