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불 지역 토양지하수 환경 내 세슘의 거동 지연 특성 연구

        배효진(Hyojin Bae),정성욱(Sungwook Choung),정진아(Jina Jeong)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최근 지구온난화로 전 세계가 극심한 기후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기후변화는 우리나라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나 이상고온, 강수 패턴의 변화는 산불 발생의 규모와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산불은 바이오매스의 불완전 연소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성되는 다양한 입자성 유기물은 토양 내에 축적되어 토양 지하수 환경을 변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 발생으로 변화된 토양지하수 환경에 세슘이 누출될 경우 해당 물질의 거동 지연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토양 시료는 2017년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일대의 두 지점(GS1, GS2)에서 심도별(~5, ~20, ~40 cm)로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의 이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XRD, XRF, TOC 분석을 진행하였고, 지연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농도별 세슘에 대한 배치 흡착 실험을 수행하여 흡착 분배계수(Kd )를 산출하고 실험 결과를 비선형 흡착 모델(Freundlich & Langmuir model)에 적용하였다. 또한 실제 지하수 환경에서의 세슘 이동성을 평가하고자 고농도 세슘(C0 ≈ 100 mg/L)에 대하여 컬럼 실험을 수행하였다. XRD 분석 결과, 각 시료는 주로 석영과 장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GS2가 GS1에 비해 장석의 비율이 높고 소량의 일라이트(4~5.9%)를 함유하고 있다. 유기탄소 함량은 표토에서 7~8 wt%로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깊이가 깊어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농도별 배치 흡착 실험 결과, 고농도로 갈수록 Kd 값이 비선형적으로 감소하여 실험 농도 범위에서 Freundlich 모델과 잘 일치하였다. 각 시료의 Kd 값을 비교해보니 GS2 시료가 GS1 시료에 비해 Kd 값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GS2 시료에서 일라이트의 함량이 더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료의 심도별 흡착 특성은 유기탄소 함량이 높은 표토가 심토보다 높은 Kd 값을 보였다. 이는 광물 성분 이외에 유기물이 특성 및 종류에 따라 세슘 흡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컬럼 실험을 통해 분산도 및 지연계수를 특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입자성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지하수 환경에서 세슘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규명하였다.

      • KCI등재

        데이터 중심 통합생산시스템 설계 및 구현 : 대형항공부품가공 사례

        성문(Sungmoon Bae),배효진(Hyojin Bae),홍금석(Kum Suk Hong),박철순(Chulsoon Park)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21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4 No.4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riven by the convergence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anufacturing, research on smart factori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the manufacturing industry prefers smart factories that autonomously connect and analyze data.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smart factories, it is essential to have an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that vertically integrates separately operated production equipment and heterogeneous S/W systems such as ERP, M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ouble-verify production data by using automatic data collection technology so that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traced transparently. In this study, we want to show a case of data-centered integration of a large aircraft parts processing factory that requires high precision, takes a long time,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ing large raw materials. For this, the components of the data-oriented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were identified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m was explained. And we would like to share the experience gained throug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case. The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ntegrates internal components based on data, which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SMEs to develop into an advanced stage, and traces materials with RFID technology.

      • KCI등재

        산불로 인해 변화하는 토양지하수 환경에서의 세슘 흡착 및 거동에 대한 새로운 고찰

        배효진 ( Hyojin Bae ),정성욱 ( Sungwook Choung ),정진아 ( Jina Jeong ) 한국물환경학회 2022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hanged by wildfire on cesium adsorption and transport. Soil samples (A, B) used in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Gangwon-do, where wildfires frequently occur, and the adsorption and transport of cesium in the samples were evaluated through batch and column experiments. As a result of the batch adsorption experiment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esium (CW ≈ 10~10<sup>5</sup> μg/L), the adsorption distribution coefficient (K<sub>d</sub>) of cesium was higher in sample A for all observed concentrations. It means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of sample A was higher to that of sample B, which was also confirmed through the parameters of adsorption isotherm models (Freundlich and Langmuir model) applied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fixed bed column experiments simulated the actual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and they showed that cesium was retarded approximately 43 and 27 times than a nonreactive tracer in sample A and B, respectively. In particular, a significant retardation occurred in the sample A. Although sample A contains little clays, total organic carbon (TOC) contents were 3 times greater than sample B. These results imply that particulate organic matter caused by wildfire might influence the adsorption and transport of cesium in the organic matter-rich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한의학에서 딥러닝의 뜻밖의 역할: 딥러닝의 과학으로 한의학 이해하기

        배효진(Hyojin Bae),김창업(Chang-Eop Kim) 대한미병의학회 2023 대한미병의학회지 Vol.4 No.1

        Deep learning is revolutionizing in many scientific fields today. When it comes to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it is commonly expected that deep learning will be able to assist TKM doctors to diagnose and prescribe treatments. We believe, however, there is another way to revolutionize TKM using deep learning. Mathematically, deep learning is a universal approximation function and can be a powerful model that explains cognitive processes in the brain. Since all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in TKM are cognitive processes in the TKM doctors’ brain, they could also be modeled and explained using deep learning framework. As the science of deep learning advances, we will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TKM through deep learning framework.

      • KCI등재

        PBL 접목한 문화콘텐츠 기획의 교수학습 평가 요소 연구

        황보원주(Won-ju Hangbo),배효진(Hyojin Bae),박영일(Youngil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기획의 이해 강의를 통해 PBL(Problem Based Learnign)을 위한 교수 및 학습 방법도입의 제고와 이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요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문화와 문화콘텐츠 그리고 콘텐츠기획으로 학습자들에게 하나의 문화콘텐츠가 완성하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스토리텔링이 반영되도록 하기 위한 충분한 주도적 학습과 문제 중심 학습의 실용적인 교육방법론을 접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현장과 실무, 상황에 따라 유기적으로 팀워크와 협력을 잘 할 수 있도록 교수법에 대한 역할은 충실해야 한다.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수요를 충족시키고, 이를 설문을 통하여 반영하며 현실 문제를 적용하고, 수업 전 과정을 습득하게 하였다. 수업을 통해 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 결과물을 완성하기 까지 학습자들은 서로 협력해야 했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로부터 마지막 결과물이 완성되기까지 팀워크에서 스스로 평가와 동료를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함께 공유하고 학생 스스로에게 필요한 PBL평가 요소를 조사할 수 있었고, PBL평가방법에 대한 선행연구와 설문 조사를 통해 문화콘텐츠기획의 이해 과목의 평가요소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도출한 평가요소는 기본통계와 워드클라우드분석, AHP분석을 사용하여 평가요소간의 우선순위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도출된 평가요소는 소통능력, 기본지식, 추론과정, 전문성, 평가기술이었다. 본 글을 통해 문화콘텐츠기획의 이해과목을 문제중심학습 수업으로 이끌고,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원활한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enhancement of the introdu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Problem Based Learning (PBL) and the evaluation factors to evaluate them effectively through an understanding lecture in Cultural Content Planning. It was intended to incorporate a practical zero-volume education methodology of problem-oriented learning and sufficient leading learning to reflect storytelling in the entire process of completing a cultural content with culture, cultural content, and content planning. To this end, the role of teaching methods should be faithful to ensure that teamwork and cooperation can be done organicall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field, practice and situation. Students who take classes were asked to meet demand, reflect it through surveys, apply real-world problems, and acquire the entire course. Learners ha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until planning cultural content and completing the results through classes, and they evaluated themselves and colleagues in teamwork until the last result was completed from creative ideas. The results were shared together and the students were able to investigate the necessary PBL evaluation factors for themselves, and the prior research and survey on the method of PBL evaluation was conducted to derive the factors of understanding of cultural content planning. The derived assessment elements were able to identify priorities between the assessment elements using basic statistics, word cloud analysis, and AHP analysis. The components of the assessment derived were communication skills, basic knowledge, reasoning process, expertise, and evaluation techniques. Through this article, I was able to lead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content planning to problem-oriented learning classes and encourage students to be familiar and smooth.

      • 디지털 사이니지

        최예나(Yena Choi),배효진(Hyojin Bae),권영은(Youngeun Kwon),양윤화(Yoonwha Yang),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디지털 사이니지는 TV 프로그램, 메뉴, 정보, 광고 및 기타 메시지를 전달하는 전자 디스플레이의 한 형태이다. 국내에서 가장 대중화된 것은 현재 수도권 지하철역의 플랫폼에 약 900대 이상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뷰일 것이다. 디지털 뷰는 일방향 정보전달의 목적뿐만이 아니라 스마트폰과 유사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상호작용을 통해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디지털 시대를 연다.’라는 설치목적이 무색할 정도로 실제로는 디지털 뷰를 관심 있게 살펴보거나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대단위 투자를 통해 야심차게 시작한 상업 프로젝트가 최초의 기대를 벗어나는 이 사례는 사용성과 더불어 사용맥락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함의를 제시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디지털 뷰의 사용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사용환경적 측면에서 디지털 뷰가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지를 진단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는 사용성뿐만이 아니라 그것을 사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Digital signage is a form of electronic display that shows television program, menus, information, advertising and other messages. The most popular domestic digital signage might be Digital View which counts up to more than 900 installed at the platforms of Seoul metropolitan subways. A unique strength of Digital view is that the installation not only conveys information in a one-way manner but it also engages user attention by allowing interaction through touch screen similar to that of smart phones. Nevertheless, there are hardly any people who observe or use the display which puts the catch phrase‘Open digital era.’into shame. This case of large scale project which turned out to be a commercial failure could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about not only usability but also user context. In this research, we evaluate potential problems of Digital View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s environmental context while examining its usability, then propose potential solutions to the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digital devices used in public should be designed by considering not only its usability but also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the devices are uti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