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 그리고 평화교육의 관계 설정 및 발전 방안

        박형빈(Park, Hyoungb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7

        통일교육의 민주시민교육, 평화교육과의 연관성은 통일교육이 평화통일을 이루는데 필요한 역량을 배양하고 통일과정에의 참여능력 육성에 초점을 둔다는 점, 통일 이후의 변화된 현실적응 능력과 민족공동체 생활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이라는 점, 통일교육의 기본원칙으로 자유민주주의적 기본질서를 수호하고 평화적 통일을 지향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교육대상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적극적인 통일교육을 실현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차기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교육, 평화교육을 내포한 통일교육을 위해 제시할 수 있는 교육 차원은 정체성, 지식, 가치와 덕, 태도와 성향, 기술과 역량이다. 교육 원칙으로 인지․심정․태도․행동의 통합 변화 추구,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균형, 객관성과 주관성의 상호 참조, 내집단과 외집단 상호 고려, 내적․외적 변화 추구, 확증편향 및 집단극단화 극복을 제안할 수 있다. 도덕과 통일교육에서 학생들은 통일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도덕적 민주시민으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도덕과 통일교육은 민주시민교육과 평화교육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Reunification education is related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in the following points. It focuses on cultivating the competencies necessary to achieve peaceful unification and fostering participation in the unification process. It is an education that fosters changed real-life adaptability after unification and participation necessary for national community life. It should protect the basic order of liberal democracy as the basic principle of unification education. It suggests that we should aim for peaceful re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realize active unification education by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target of education. Identity, knowledge, values, virtues, attitudes, tendencies, skills and competences can be presented as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in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As an educational principle, we propose to pursue integrated changes in cognition, sentiment, attitude, and behavior, balanc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cross-referencing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mutual consider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groups, pursuing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confirming bias and overcoming group polarization. Based on this, students will be able to strengthen their participation capacity as a moral democratic citizen preparing for a future unification society. Through this, reunification education will also play a role a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 KCI등재

        AI 도덕성 신화와 그 실제: 기계의 인간 도덕 능력 모델링 가능성과 한계

        박형빈 ( Park Hyoungb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인공 도덕행위자(AMA) 설계 문제는 법적,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는 도덕적 행위 주체로서의 AI 실현 가능성과 직결된다. AMA 구현을 위해 프로그래밍 설계 능력 확보보다 선결되어야 할 문제는 도덕성에 대한 철학적, 심리학적, 뇌신경과학적 이해이다. 도덕적 판단은 고차원 수준의 정신 능력을 요구하기에 기억, 논리 추론과 같은 인간의 인지 능력을 재현하는 것만으로 AI의 도덕적 의사결정 능력을 확보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AI 도덕성은 인간의 도덕성, 도덕판단을 모델로하기에 도덕적 행위자로서 AMA 구현을 위해 도덕적 경험의 축적, 도덕적 감정의 구현, 도덕성이 지닌 복잡성 확보, 도덕성의 관계성 측면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AI 신화를 극복하고 이상적인 도덕적 행위자로서 AMA 제작을 위해 인류에게 남겨진 최대 과제는 ‘어떠한’ 도덕성을 구현해야 하는가에 대한 깊은 천착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인격을 갖춘 컴퓨터가 딥러닝에 의해 접근 가능한가의 기술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도덕적인 로봇은 행복과 같은 인간의 뿌리 깊은 감정적 목표뿐만 아니라 도덕적 판단을 둘러싼 도덕적 인지, 정서, 의지, 직관, 통찰, 실천력 등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AMA의 실현을 위해 컴퓨터공학자, 윤리학자, 뇌신경과학자의 도덕성 이해가 상호 참조되어야 한다. AI를 통해 인간만큼이나 다양한 도덕적 인격을 창출해 낼 것인지 아니면 인류가 추구해야 할 최상의 도덕적 인간상을 구현할 것인가의 문제 또한 우리에게 남아있다. AI 도덕성은 신경 신화와 같이 AI 신화를 만들어 내며 인류에게 도덕성의 접근에 있어 보다 도덕철학적이고 윤리학적인 동시에 뇌신경과학적, 신경윤리학적인 탐구를 요구한다. 이는 인공지능 도덕행위자 제작 기술자들에게 도덕적 의사결정에 있어 감정 컴퓨팅, 감성 지능의 역할을 설명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호이타주의와 공정성 같은 특정한 도덕 원칙에 대한 도덕철학, 윤리학의 고려뿐만 아니라 도덕심리학, 신경윤리학에서 얻은 통찰력을 결합해야 할 것을 요청한다. The issue of Artificial Moral Agent(AMA) design is directly related to the feasibility of AI as a moral agent that complies with legal and social norms. The problem that should be pre-determined rather than securing programming design ability for AMA implementation is the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neurological understanding of morality. Since moral judgment requires a high level of mental ability, it is hard to conclude that AI's moral decision-making ability has been secured just by reproducing human cognitive abilities such as memory and logic reasoning. AI morality is modeled on human morality and moral judgment, so as a moral ag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ll aspects of the morality, including the accumulation of moral experience, moral emotion, the securing of the complexity of morality, and the relationship. The biggest task left for mankind to overcome AI myths and produce AMA as an ideal moral agent is a deep sarcasm about what kind of morality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echnical question of whether computers with this moral character are accessible by deep learning. Moral robots are required not only to have deep-rooted human emotional goals such as happiness, but also to have moral awareness, emotion, will, intuition, insight and practical skills surrounding moral judgment. For the realization of AMA, an understanding of the morality of computer engineer, ethicist and neuroscience should be cross-referenced.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AI will create as diverse moral character as humans or realize the best moral human image that mankind should pursue. AI morality creates AI myths like neuromyths and demands more moral philosophy and ethical exploration of human beings in their approach to morality, as well as neuropsychological and neurological exploration. This calls for combining insights from moral psychology and neuroscience as well as moral philosophy and ethical considerations of certain moral principles, such as reciprocity and fairness, in order to provide engineers with data explaining the role of emotional comput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moral decision making.

      • KCI등재후보

        나바에츠(D. Narvaez)의 윤리 감수성(Ethical Sensitivity)에 기초한 통일감수성 교육 방안

        박형빈(Park, Hyoungbin)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1

        학생들의 통일 불필요에 대한 응답 증가와 교사들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요구를 참작할 때, 통일교육에서 학생들의 흥미, 참여 유도 방안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 유용한 교육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정서적 차원에 주목하여 현장 적합성, 밀착성이 높은 통일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윤리 감수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안한 나바에츠(D. Narvaez)에 주목하여 그녀의 이론에서 활용 가능한 감수성 교육 방법들을 도출하고자 했다. 정서는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핵심 요인이기에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 염원, 의지를 북돋기 위해서는 정서적 접근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통일교육과 통일정서의 관계, 통일감수성을 고찰하고, 둘째, 윤리 감수성이 통일감수성 교육에 주는 의의를 확인하며, 셋째, 나바에츠의 윤리 감수성 개발 방법을 살펴보고, 넷째, 윤리 감수성 교육 방법을 차용한 통일감수성 교육 방안을 제안했다. In reunific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increase in students responses to the need for unification and the demands of teacher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duc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but also to provide useful educational materials to teachers. In this study, I wanted to propose a reunification education plan that is highly suitable and useful in the field, paying attention to the emotional dimensions of students unification. I tried to derive the methods of sensitivity education that can be used from the theory of D. Narvaez. Emotions are a key factor influencing attitudes and behaviors, so an emotional approach cannot be excluded to encourage students interest, aspiration, and will for un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he following.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reunification education and unification sentiment and unification sensitivity were examined. Second, the significance of ethical sensitivity to unification sensitivity education was confirmed. Third, Narvaez s ethical sensitivity development method was examined. Fourth, a unified sensibility education plan was proposed using the ethical sensibility education method.

      • KCI등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과제

        박형빈 ( Park Hyoungbi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0 No.69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은 복지, 평등, 권리, 공정에 중점을 두기에 가치, 정의와 연관된다. 도덕과의 민주시민교육은 도덕적 민주시민을 지향하며 역량과 덕성의 가치 능력을 추구한다.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ESD 요소는 지식/인식, 가치/태도, 역량/실천으로 분류가능하며,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에서 ESD를 위한 과제로 ① 지식/ 인식, ② 가치/덕, ③ 정체성, ④ 기질/태도, ⑤ 역량, ⑥ 참여/실천이 제안될 수 있다. 이의 구성 내용 요소는 ① 시민의식, 자유/민주, 인권, 평화, 행복, ② 책임, 평등, 자유, 정의, 관용, 공정, ③ 민주시민정체성, 국가정체성, ④ 의사소통, 협업,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 반성적 성찰, 도덕적 상상력, ⑤ 행동, 참여 실행이다. 차기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ESD의 특징 개념인 사회, 환경, 정의, 지속가능성 구현은 도덕과에서 이루어지는 민주시민교육의 토대로 작용할 것이다. ESD is related to values and justice as it focuses on welfare, equality, rights and fairnes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aims for a moral democratic citizen and pursues the value of competence and virtue. The ESD elements of elementary morality and curriculum are classified into knowledge/perception, values/attitude, and competence/practice. The tasks for ESD in moral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dimensions are ① knowledge/ awareness, ② values/virtues, ③ identity, ④ temperament/attitude, ⑤ competence, and ⑥ participation/practice. The content elements of this are ① citizenship, human rights, ② responsibility, freedom, justice, ③ democratic citizenship, ④ communication, cooperation, problem-solving, critical thinking, reflection, ⑤action, participation. The realization of the characteristic concepts of ESD stated above will serve as the basi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in the next elementary moral curriculum.

      • KCI등재

        자율 주행 차량(AV)의 트롤리 딜레마 문제와 AI 윤리교육의 과제

        박형빈 ( Park Hyoungb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2

        자율 주행 차량(autonomous driving vehicle, ADV)과 같은 기술의 발달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심리적, 윤리적, 사회적, 경제적 및 법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 분포한다. 자율 차량(autonomous vehicle, AV)의 기술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동안 자율 기계에 제어권 부여의 도덕적 의미와 관련한 논의가 출현했다. 도덕 딜레마는 교통사고의 영향력과 정서적 중요성을 고려할 때 더욱 주목된다. 이제 로봇 및 기타 AI 시스템은 폐쇄된 환경에서 잘 정의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서 벗어나 실제 세계에서 중요한 물리적 행위자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다. 더 이상 공장의 테두리 안에 갇혀 있지 않는 로봇은 도시 환경에 침투하여 인간과 사물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인간과 함께 모든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AV는 수많은 사회적, 경제적 이점을 약속함과 동시에 인간의 생명 자체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목이 집중된다. AV가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과 부상의 비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것이라는 낙관적 기대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생명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기술 안에 도사린 파괴력 또한 간과할 수 없다. AV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은 피할 수 없는 위해 상황에서 결정을 안내하는 도덕적 원칙을 포함해야 한다. AV가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알고리즘을 정의하는 것은 큰 도전이며 사후가 아닌 사전에 조치되어야 할 사안이다. 특히, 인간의 생사와 직결되는 문제라는 점에서 AI 윤리, AI 윤리교육에서 주의하여 다룰 소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V의 트롤리 딜레마의 여러 유형을 고찰하고 이것이 주는 AI 윤리 및 AI 윤리교육에 제기하는 과제를 도출하고자 했다. 첫째, AV의 발전 현황과 윤리 문제를 확인했다. 둘째, 도덕기계(Moral Machine, MM)의 연구 진행과 이것이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AV의 도덕적 딜레마가 제기하는 AI 윤리 문제와 교육현장에 갖는 과제를 제안했다.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autonomous driving vehicles(ADV) creates new problems that can have a great impact on society. These problems have psychological, ethical, social, economic, and legal aspects. Whil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AV) is rapidly advancing, discussions have emerged regarding the moral implications of giving control to autonomous machines. The moral dilemma is more noticeable when considering the impact and emotional significance of traffic accidents. Robots and other AI systems are now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performing well-defined tasks in closed environments to becoming important physical actors in the real world. No longer confined within the restraint of factories, robots are able to infiltrate urban environments, exert influence over humans and objects, and perform all kinds of tasks with humans. Moreover, AV is gaining attention as it promises numerous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while at the same time is able to influence humans themselves. Despite the optimistic expectation that AV will dramatically lower the rate of deaths and injuries caused by accidents, the destructive power of technology cannot be overlooked since it is directly related to human life. Algorithms that control AV should incorporate moral principles to guide decisions in situations of unavoidable harm. In this study, various types of AV's trolley dilemma were considered, and the challenges it posed to AI ethics and AI ethics education were discussed. First, the development status of AV and ethical issues were checked. Second, the progress of the study of the Moral Machine and its implications were examined. Lastly, the ethical dilemma of AV raises the AI ethics problem and the challenges it has in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으로서 탈북청소년 윤리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질적 연구

        박형빈(Park Hyoungb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탈북학생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으로서 윤리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결과이다. 탈북학생들에게 윤리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들의 경험을 탐색한 질적 연구로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9년 7월부터 9월까지 S대학교 강의실을 중심으로 H중고등학교 고등학생 6명에게 본 프로그램을 5회기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6명의 남한 대학생이 함께 참여했다. 연구방법은 실제 운영 참여 관찰, 심층 인터뷰, 연구자 기록 등을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학생들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북한과 남한 사회를 비교하고 차이점을 인식하며 남한의 가치 및 사회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이에 친숙해졌다. 둘째, 탈북학생들은 통일에 대한 의견을 나눌 때 동포, 한민족, 우리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했다. 셋째, 탈북학생들은 한민족이라는 강한 민족정체성을 갖고 있었으나 남한의 법체계, 가치체계, 정치체제, 사회문화를 낯설게 느꼈으며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국가정체성은 한민족정체성보다 약한 모습을 드러냈다. 넷째, 탈북학생들은 남한 학생과의 활동을 통해 남한주민을 더 많이 이해하고 친밀감을 갖게 되었다고 고백했다. 다섯째, 탈북학생들은 윤리상담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기성찰, 남북 차이점 인식, 남한주민과의 연대감, 공동체 의식, 집단에의 귀속의식을 발전시키게 되었다고 진술했다. 결과적으로 탈북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남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안정된 소속감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ethics consultation program as a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applies ethics consultation programs to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and explores their experiences. From July to September 2019, the Ethics Consulting Program was applied 5 times to 6 North Korean refugees. The research method used actual observ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operation, in-depth interviews, and researcher records as research data, a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refugees became familiar with and understood South Korea s values and social culture. Second, North Korean refugees used the words ‘The Korean compatriots’, ‘The Korean ethnic’, and ‘We’ more than South Korean students when they shared their opinions on reunification. Third, North Korean refugees have a strong ethnic identity of the Korean race, but they have a weak national identity for the Republic of Korea people. Fourth, North Korean refugees became more understanding and intimacy with South Koreans through their activities with South Korean students. Fifth, North Korean refugees developed self-reflection, the feeling of solidarity with South Koreans, and community spirit. As a result, North Korean refugees showed a stable sense of belonging as a member of South Korean society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increased.

      • KCI등재

        초등학생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용 AI의 도덕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실용성과 윤리적 고려 사항 -

        박형빈 ( Park Hyoungbi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3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챗봇(Chatbot) 등의 AI 기술 발전은 기존 교육현장의 제약을 극복하게 한다. 인간 교사의 보조 도구를 넘어 인간 교사의 한계를 극복한 AI 교사의 등장 또한 예견된다. 한편, AIEd 시대 교육현장에서 인간의 고유성 및 존엄성이 중요하게 거론되며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AI 기술 발전이 인간 교사를 대신하는 역할로의 발전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현실에서 AI 교사라는 도전이 갖는 윤리적 문제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 기반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AI 기술의 인성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에서 AI 활용의 현황을 확인했다. 둘째, AI 시대 인성교육의 필요성, 인성교육의 핵심 교육요소, AIEd 인성교육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셋째, AIEd의 윤리적 고려 사항을 추출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도덕교육현장에서 AIEd 인성교육 적용을 위한 방안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ies such as AR, VR, IoT, and Chatbots are help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ducation sites. The emergence of AI teachers is also predict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AIEd era, the uniqueness and dignity of human beings are important. Character education is presented as one of the most essential education required in the AI era. It is a reality that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cannot completely rule out the development of a role that takes the place of huma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review the ethical issues of the challenge of being an AI teacher. To this end, first, I confirmed the current state of AI use in education. Second, core educational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and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AIEd character education were examined. Third, I extracted the ethical considerations of AIEd. Fourth,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educational plan for the application of AIEd in the moral education field were discussed.

      • KCI등재

        COVID-19 접촉자 추적 시스템의 윤리적 도전과 AI 윤리교육의 과제

        박형빈 ( Park Hyoungbi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3 No.1

        COVID-19 발발 후 몇 주 내에 이루어진 제약은 전례 없는 속도로 AI 솔루션의 채택을 가속화했다. COVID-19 확산에 대한 정책 대응에서 AI 디지털 사회는 데이터 수집, 접촉자 분류 및 인구 관리 등에 첨단 기술을 지원했다. 그러나 이는 일반 시민들에게 디지털 위험으로 작동하기도 했다. QR코드로 대표되는 팬데믹 인구 통제는 AI 판옵티콘을 현실화하며 AI 윤리 문제를 부각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 팬데믹 환경에서 AI 기술이 전염병 확산 방지라는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개인 및 사회 차원에서 어떠한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AI 활용 팬데믹 대응 조치의 윤리적 문제들은 AI 윤리교육에서 실제적인 교육 소재로서 적합한 교육 콘텐츠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시티가 잠재적인 디지털 이점을 어떻게 남용하고 있는가. 감시 및 추적 시스템이 제기하는 윤리적 문제는 무엇인가. 팬데믹 상황에서 이동의 자유 제한과 격리 및 고립 조치로 인한 자유 통제가 정당한지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다루었다. 첫째, COVID-19 팬데믹 환경에서 AI 기술 지원 상황과 이에 의해 발생한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COVID-19 접촉자 추적 시스템이 갖는 윤리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AI 추적 기술의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한 윤리원칙과 해결과제를 검토하였다. 넷째, 팬데믹 시대 AI 윤리교육에서 다룰 필요가 있는 핵심 논의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Sanctions imposed within weeks of the COVID-19 outbreak accelerated the adoption of AI solutions at unprecedented rates. In responding to the pandemic of COVID-19, the AI digital society has supported advanced technologies in data collection, contact classification, and population management. However, it has also acted as a digital risk to ordinary citizens. The pandemic population sanctions represented by the QR code acted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AI ethics issues by making AI Panopticon a reality. In a pandemic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view not only the positive aspects of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but also what ethical problems are being caused at individual and social level. Ethical issues of AI-enabled pandemic countermeasures can be used as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s in AI ethics education. Examples include: How are smart cities abusing their potential digital benefits? What are the ethical issues raised by surveillance and tracking systems? In a pandemic situation, is it justifiable to restrict freedom of movement in order to adhere to isolation measures? Therefore, the following topics were dealt with in this study. First, I looked at the use of AI technology and the problems caused by it in the COVID-19 pandemic environment. Second, the ethical problems of the COVID-19 tracking system were analyzed. Third, the ethical principles and tasks for solving the ethical problem of AI tracking technology were reviewed. Fourth, several core topics of discussion that needs to be dealt with in AI ethics education in the pandemic era were suggested.

      • KCI등재

        도덕철학 및 도덕심리학 기반 대화형 통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 윌슨(J. Wilson)과 나바에츠(D. Narvaez)를 중심으로

        박형빈(Park, Hyoungb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통일교육은 정치적인 문제이기보다 통일 주체 세대인 통일세대를 어떻게 이해시키고 그들의 인정을 받아낼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통일교육 현장에서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인식과 교육 대상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전제될 때, 성공적인 통일교육이 수행될 수 있다. 도덕윤리과 통일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공고히 하고 제기되는 쟁점들에 주목하며 실제적인 교육방법을 위해 통일교육의 본질, 목적,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이론 기반으로서 도덕철학을, 통일교육의 실제 방법을 위한 토대로서 도덕심리학을 살펴봄으로써 통일세대에 대한 강요의 교육에서 벗어난 교육 방법을 모색했다. 도덕철학 및 도덕심리학 기반 대화형 통일교육 방안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했다. 첫째, 통일교육의 교육목적 차원을 위한 도덕철학의 제안을 살펴보았다. 둘째, 통일교육의 교육방법 차원을 위한 도덕심리학의 제안을 탐색했다. 셋째, 통일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대화형 통일교육의 구조적 개요를 제시했다. Reunification education is not a political issue, but rather a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unification generation and obtain their recognition. In order to solidify the theoretical basis of moral ethics and reunification education, pay attention to the major issues raised, and to derive practical educational methodology,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explores the moral philosophy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and moral psychology as the basis for the actual method of reunification education that deviated from the compulsory education. It attemp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an interactive re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moral philosophy and moral psychology. First, the proposal of moral philosophy was examined for the educational purpose of reunification education. Second, the proposal of moral psychology was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method of reunification education. Third, as a concrete method of reunification education, a structural overview of interactive reunification education was presented.

      • KCI등재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에서 직관과 정서 - 그린(J. Greene)의 이중과정 모형과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을 중심으로 -

        박형빈(Park, Hyoungb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2

        오랜 합리주의 전통 속에 도덕심리학에서 이성의 역할이 강조되었으며 정서와 신경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2000년대 초반까지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러나 그린과 연구진은 도덕적 딜레마를 사용한 fMRI연구를 통해 도덕판단에 정서가 관여되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한 심리학과 뇌 신경과학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도덕판단이 종종 뇌 속에서 두 가지 유형으로 매개됨을 밝혀냈다. 그린은 자동적이고 수월하며 빠른 직관 과정의 System 1과 통제되고 힘들고 느린 추론 과정의 System 2로 이들을 규정했다. 하이트는 도덕판단이 주로 직관의 산물이며 추론은 그 이후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그에게 도덕판단은 추론보다 직관적 판단으로 이루어진다. 직관은 즉각적 판단으로 빠르고 수월하며 자동적인 정서적 반응으로 도덕적 감각의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판단에서 직관과 정서의 지위 변화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도덕적 직관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도덕교육에 제안하는 유의점을 논증했다. 특히, 그린과 하이트의 견해를 토대로 도덕적 추론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와 공통점을 탐색하여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했다. 이를 위해 첫째,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의 발전을 개괄했다. 둘째, 그린의 이중과정 모형과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을 분석했다. 셋째, 그린과 하이트의 이론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도덕적 직관 이론의 의의와 한계를 탐구하여 도덕교육에의 유의점을 도출했다. In the long rationalist tradition of moral psychology, the role of reason was mainly emphasized, and little was known about the neural correlation of emotions until the early 2000s. In an fMRI study using a moral dilemma, Greene and colleagues found that emotional involvement affects moral judgment. Their research served as an opportunity to unravel some of the puzzles of moral judgment observed by modern philosophers. A major topic of interest among social psychologists is the role of intuition, emotion, and emotion in determining rational reasoning and other moral judgments. An increase in psychological and neuroscience research has shown that moral judgments are often mediated by two types of brain processes. The first consists of processes that automatically change their pleasure state in response to certain types of socially relevant stimuli. The second type consists of processes in the more general domain that underlie abstract reasoning, simulation, and cognitive control capabilities. These intuitive and deliberative processes often work together to facilitate decisions that are aligned with goals. Greene named the automatic, easy and fast process of intuition as ‘System 1’ and the controlled, laborious and slow process of reasoning as ‘System 2’. Haidt argued that moral judgments are primarily the product of intuition, and that reasoning emerges thereafter. In his view, moral judgments are made more intuitively through reasoning. Intuition is an immediate judgment, a quick, easy, and automatic emotional response, the product of a moral sense. In this study, based on the views of Greene and Haidt, we closely examine moral reasoning and extract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them to derive the meaning given to moral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e development of moral philosophy and moral psychology was outlined. Second, Greene’s dual process model and Haidt’s social intuition were reviewed. Third,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Greene’s theory and Hait’s theory were investigate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moral intuition theory were examined to derive the meaning for mo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