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정변수에 따른 초전도 튜브의 전기적 특성

        박치완,장건익,하동우,성태현,Park, Chi-Wan,Jang, Gun-Eik,Ha, Dong-Woo,Seung, Tae-Hyu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8 No.5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HTS) tubes were fabricated in term of different processing variables such as preheating temperature, speed of mold rotation and cooling rate by centrigugal forming method. For powder melting by induction the optimum range of melting temperatures and preheating temperature were $1050{\circ}C{\sim}1100{\circ}C\;and\;550{\circ}C\;for\;30\; min$, respectively The mould roating speed was 1000 rpm. A tube was annealed at $840 {\circ}C$ for 72 hours in oxygen atmosphere. The plate-like grains were well developed along the loafing direction and typical grain size was about more than $40{\mu}$. It was found that Ic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reheating temperature and speed of mold rotation. While Ic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oling rate. The measured Ic in $50mm{\times}70mm{\times}2.5mm$ tube was about 896 Amp.

      • KCI등재

        박미하일의 『헬렌의 시간』과 다문화 수용 논제

        박치완(Tchi-Wan PARK) 프랑스학회 2018 프랑스학연구 Vol.0 No.84

        La question de l identité individuelle est-elle limitée par les frontières géographiques de l État? Certes, la nationalité se limite à un pays. Cependant, nous vivons aujourd’hui en traversant librement les frontrières. Notre mondre est devenu un «village planétaire». Dans ces conditions, l’identité serait présente là où notre âme se situe. On dit souvent qu’il n’y a rien de plus large que le cœur et rien de plus haut que l’esprit. Il serait donc impossible que le lieu où vit une personne et son origine ethnique ne capturent le cœur, l’esprit et l’âme de ce dernier. L écrivain coréen-russe de cinquième génération Mikhail PARK, nous allons voir dans cet article, est en train de tisser le Global Village dans son récent ouvrage Le Temps d’Hélène. C est pourquoi nous sommes convaincus que ce roman pourra transcender les frontières des territoires russes et coréens afin d’être apprécié par les lecteurs du monde. Dans l’histoire que mènent le héros coréen Sowol et l’héroïne éthiopienne Hélène, PARK dépeint la Corée comme un pays «mondial», basé sur le multiculturalisme. Bref, il n est pas exagéré de dire que l espace littéraire que PARK a incarné dans Le Temps d’Hélène vise à la fois la «globalité» et la «glocalité». Grâce à ses longues expériences multiculturelles, l’artiste nous montre un exemple fictif et réel de la manière dont les «conversations» entre les «cultures» devraient se poursuivre. Voici la principale raison pour laquelle nous examinerons le roman Le Temps d’Hélène de PARK dans cet article. Nous estimons que cet ouvrage a la valeur d’être étudié car il présente le «multiculturalisme» en utilisant la forme d’un roman au lieu d’une théorie.

      • KCI등재

        문학 공간과 에스닉 정체성의 문제 - 박미하일의 『헬렌의 시간』을 중심으로

        박치완 ( Park Tch-wan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2 No.-

        재러5세 작가인 박미하일은 “자신의 뿌리가 ‘한국’이고, 모국어가 한글”이라고 여러 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는 곧 자신의 러시아에서의 유민(流民)으로서의 삶, 주변부인으로서의 정체성의 위상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자신의 주변부인으로서의 위상을 가감없이 수용한 채 한 사람의 고려인 소설가로서 겪어야만 했던 에스닉 정체성의 문제를 러시아 사회, 즉 중심세력과 문학적 형식으로나마 대결의 구도를 통해 해소해나간다. 그런데 그의 마지막 소설 『헬렌의 시간』에 이르면 이러한 그의 실존적 고뇌, 에스닉 정체성의 문제가 말끔히 해소된다. 부언컨대 그의 에스닉 정체성의 문제는 이제 더는 한국과 러시아의 문화적 차이 또는 차별로 인해 생긴 정신·심리적 고통의 흔적들은 찾아볼 수 없게 된다. 이렇듯 박미하일은 ‘살아갈 미래’를 하나의 청사진으로 가지게 됨으로써 『헬렌의 시간』에 이르러 그가 ‘살아온 과거’에서 벗어나 마침내 자기를 치유하고, 에스닉 공동체에도 희망을 선사하는 발판을 마련한다. 자기를 중심으로 세계를 작도(作圖)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 더불어 살아가는 윤리적·도덕적 존재로 스스로를 객관화시키는 자기 비약을 『헬렌의 시간』을 통해 보여준 셈이다. Mikhail PARK, 5<sup>th</sup> generation Koreano-Russian author, repeatedly emphasizes that his roots are Korea and his native language is Korean in his writings. This means that he clearly recognizes his life as an wondering people in Russia and his status of identity as a periphery. And he has accepted his status as such and resolved the issue of ethnic identity that he had to suffer as a Korean novelist through the literary form of confrontation with Russian society, in other word the central force. By the time, he reaches his last novel Citrus of Helen, however, his existential and cultural troubles and psychological pains of identity are completely resolved. But the issue of his ethnic identity no longer finds traces of suffering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or discrimin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Like this, by having the blueprint for the future to live, PARK may have come to Citrus of Helen, and finally heal himself and provide a foothold giving hope for the ethnic community, getting out of his past life. Citrus of Helen, which is a self-elaboration that objectifies himself to an ethical and moral existence that lives with the other, rather than draws the world around himself.

      • KCI등재

        과학적 상상력과 시적 상상력의 구분은 정당한가?

        박치완 ( Tchi Wan Park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연구 Vol.0 No.49

        모든 ‘학계’에서는 더 탁월한 설명력을 가진 이론체계, 즉 더 객관적 이론 체계의 정립에 모든 에너지를 쏟는 경향이 있다. ‘하나의 논리’, ‘하나의 이론’, ‘하나의 세계’를 위한 지적 모험은 인간이 존재하고 학문이 지속되는 한 멈추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모험의 결과로 정립된 무수한 이론체계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상상력 개념 또한 그 논정(論定)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주지하듯 이미지, 상상력 개념은 철학자들에 의해 오랫동안 주로 부정적으로 언급되어왔던 게 사실이다. 이미지와 상상력이 지성이나 이성 개념의 폭력을 고스란히 감내해야 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부정적 의견을 일소시킨 학자가 본고에서 우리가 소개하려고 하는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이다. 그의 시학 정신(l’esprit poetique)을 인류학적·사회학적·인식론적으로 확대·심화시키고 있는 그룹에서는 이미지와 상상력은 새로운 인간관과 세계관을 위한 실천철학으로까지 해석하고 있다. 이들의 지속적인 연구에 따르자면 상상력은 부정적 의견을 가진 철학자들이 항용 비판의 빌미로 삼았던 환상적인 것(l’illusoire)이나 허구적인 것(le fictif)과는 하등 관련성이 없다. 바슐라르가 역설한 상상력은 어디까지나 고행을 동반하는 ‘이성의 작업’이며, 따라서 우리는 그의 상상력 이론을 ‘과학적 상상력’과 대비시켜 ‘시적 상상력’이라는 옹색한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고에서 우리가 <상상하는 것 = 사유하는 것>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통해 바슐라르의 철학을 소개해보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ere is no theoretic system more valuable than others. That is to say that, all theory has its own value. However, in this country, Academia is willing to prefer and regard an objective and scientific system as a supreme one. The intellectual adventure pursuing only one logic, one theory, and one world never stop, which produce the history of theory. This paper criticizes this tendency with shaping of the conception of imagination, which summarized as two contradictory perspectives on one movement. One the one hand, imagination, along with the concept of image, has been falsely and violently accused, by many philosophers, as an enemy of intelligence and reason. It was Gaston Bachelard the French philosopher that challenged this intellectual trajectory, and his l’esprit poetique(spirit of poetics) has been embraced by the group whose anthropological, sociological, epistemological studies on him and his work on image and imagination developed into a practical philosophy of a novel view on man and world. Contrary to the argument of many offensive philosophers on image and imagination, it is revealed that imagination has nothing to do with l’illusoire(something illusive) or le fictif(something fictive). Bachelard argues that imagination is an agonizing process of reason, thus his notion of imagination cannot be highlighted as poetic imagination contrasted with scientific imagination, because to imagine is to think and to think is, of course, to imagine.

      • KCI등재

        하위주체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아웃 오브 아프리카≫

        박치완 ( Tchi Wan Park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2 No.-

        카렌 블릭센(Karen Blixen, 1885~1962)의 『아프리카의 농장(La ferme africaine)』(1937)은 시드니 폴락 (Sydney Pollack) 감독에 의해 1985년에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로 영화화 되었다. 좋은 영화는 다양한 해석을 허용한다. 부언컨대 영화를 비평하는 시선은 일의적일 필요가 없다. 기억하는 내용과 장면도 관객에 따라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 영화를 항간에서의 평가와 달리 가야트리 스피박의 ‘하위주체’ 개념을 통해 (신)식민주의의 문제점을 재고해보고자 한다. 스피박에 따르면 하위주체는 ‘말할 수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이 영화에서도 카렌의 커피농장에서 일하는 키쿠유족(Kikuyus)을 비롯해 영국군의 전승(戰勝)을 기념하기 위해 동원된 인도인들에게는 특별한 대사가 부여돼 있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들의 존재는 영화의 배경 또는 코끼리나 사자와 같은 ‘즉자 존재’에 그친다. 이들에게 ‘말’이 없는 것을 우리는 단지 영화적 장치라고 치부해도 되는 것일까? 그런데 여주인공 카렌의 상대역인 데니스는 이들 하위주체의 ‘말’을 영화 전편에 걸쳐 일관되게 대리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대사는 카렌뿐만 아니라 영화 속에 등장하는 식민주민사회 전체 그리고 이 영화의 관객인 우리 모두를 향해 구미인의 아프리카 식민지배는 부당하다는 점을 암시한다. 데니스의 대사가 갖는 메시지는 무엇보다도 아프리카를 아프리카의 관점에서 감상할 것을 환기시키고 있다는데 있다. 그의 대사는 결국 아프리카에 대한 일종의 ‘증언서사’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카렌 블릭센이 17년 동안이나 머물렀던 아프리카를 아무런 미련도 없이 떠나(out of) 추후에 그곳에 대해 문화우월주의적 입장에서 묘사한 ‘낭만서사’, ‘추억서사’와 구분되는 점이다. ≪아웃 오브 아프리카≫를 ‘out of Africa’의 관점이 아닌 ‘to Africa’의 관점에서 내관(內觀)할 때 우리는 비로소 아프리카에 인종화라는 구미적 인식틀에서 벗어나 새롭게 가다설 수 있을 것이다. Karen Blixen’s La ferme africaine (1937) has been made into a movie Out of Africa by Sydney Pollack in 1985. A good movie allows various ways of analyzing. By the way, there is no need to have only one viewpoint to review a movie. A remarkable scene may be different appreciation by audience. In this article, it is our intention to reconsider a problem of new colonialism in this movie by Spivak’s ‘the subaltern’, different from overwhelming general remark of the movie review. According to Spivak, the subaltern has the characteristic of ‘unspeakable’. In the movie as well, Kikuyus, working at Karen’s coffee farm, and Indians, forced to participate in the streets to celebrate the victory of british army, are not given a no specific line. In this respect, they are not different from being-in-itself as like the background or an elephant and a lion. By the way, Dennis, an opposite to Karen, the heroine, is a character consistently representing that subaltern’s ‘words’ all over the movie. And his lines alludes to the iniquity of colonization by Europeans and Americans not only to Karen but also to the colonial society and all of us, the audience. Above all, the message of Dennis’s lines arouses us to feel the Africa from the viewpoint of African. Eventually, his lines can be a kind of a testimony of Africa, that is the distinguishing point from ‘the romance of Africa’ and ‘the memory of Africa’ that is described by the cultural exceptionalism by Karen Blixen who got out of Africa where she has stayed for 17 years without any feelings. We can newly approach to Africa, still known as Black Continent even today, after getting out from the Western frame as racialization by the introspection of ‘to Africa’, not ‘out of Africa’ to this movie, Out of Africa.

      • 플라톤의 실재관

        박치완(Park, Tchi-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6 철학과 문화 Vol.12 No.-

        실재, 이미지, 시뮬라크르, 동굴의 비유, 플라톤본 논문은 플라톤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플라톤의 실재관에 대한 분석이다. 플라톤에게 있어 실재(to on)는 이데아의 모사물이며 판타스마, 현대적 용어로 표현해, 시뮬라크르(환영)의 모태라 할 수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플라톤에게 있어 실재(실재하는 것들)는 분명 이데아와 시뮬라크르‘사이에’존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성에 의해 알 수 있는 것과 감각(감성)에 의해 알려지는 것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플라톤의 실재인 셈이다. 그리고 플라톤에게 있어 ‘철학함(philosopher)’이란 바로 이 실재의 발견으로부터 첫 디딤돌을 내딛기 시작한다. 그러나 주지하듯 플라톤의 철학에서 실재의 인식이 철학함의 최종 목표는 아니다. 이데아에 의한 반조(返照) 없이는 실재도 결국 자신의 존재 의미를 부여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국가』제7권에 묘사된 <동굴의 비유>에서 플라톤이 감각의 세계(즉 동굴 안의 세계에서 모사물이나 모사물의 모사물을 보는 것으로 만족하는)로부터 실재를 인식하는 단계를 거쳐 이데아에 이르기까지는 “혼의 전환 및 등정”이 필요로 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하면될 것이다. 요인즉, 이데아의 인식, 참된 앎(epistēmē)은 반드시 지성의 도움이 요청된다는 뜻이다. 플라톤에게 있어 진(眞), 선(善), 미(美)는 모두 같은 뿌리로 부터 탄생하는데, 그 공통 뿌리가 다름 아닌 이데아인 것이다. 이데아는 자연계에서 비유 가능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유일하게 태양이고, 바로 이 태양이“플라톤의‘이데아’”를 대변하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플라톤에게 있어 소위 실재는 역설적이게도 있는바 그대로 자신의 이름과 이미지를 가질 수 없지 않느냐는 역설에 봉착하게 된다. 그리고 바로 이점이 감각의 영역과 지성의 영역에 공통으로 걸쳐 있는 실재가 플라톤의 체계 내에서 제 고유한 얼굴과 의미를 가질 수 없다는 자체 모순이기도 하다. 플라톤에게 있어 실재는 결국 이데아 없이는 불구에 다름 아닌 것이다. 이렇듯 플라톤의 철학 내에서 실재는 한편으로는 이데아로부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이미지, 즉 보드리야르 식으로 말해 시뮬라크르로부터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지켜내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는 플라톤의 사유체계 내에서 실재의 진정한 지위를 발견하기 어렵고, 설사 발견한다고 해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부차적인 수준의 언급일 뿐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lato's realism that has not concerned widely by the former studies. On Plato, the Reality( to on) is the mimetic of the Idea and phantasma, in contemporary word, the matrix of the Simulacrum. In this view-point, the reality on Plato maybe existing between the Idea and the Simulacrum. In other words, the Plato's reality occupies between the "knowable things" by intelligence and the "be known things" by sensibility. And Plato's "philosopher" moves to next step by discover of the reality. However, known to everybody,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is not a goal in Plato's philosophy. If the idea's light do not shines on the reality, it has no meaning of the Being itself. The Allegory of Plato's Cave, in volume 7, of The Republic, we can understand Plato's saying that the human being are needed the turning around and uplifting of the "psychē" that is the process from the world of sensibility(who is satisfied to see the mimetic or mimetic of mimetic in the world of cave) to the reality, and finally arrives the Idea. In other words, the understanding of the Idea, the "true knowledge( epistēmē)" must needs guidance of the intelligence. On Plato, the truth(眞), goodness(善), and beauty(美) are born from the same root, as so called the Idea. The sun is the only thing that implies the Plato's Idea in the our natural world. So, the Plato's reality has the paradox that has not its name and image. And that is the reality's irony in itself that has not the essential existence and the meaning in the Plato's philosophical system, because it has the range from the territory of sensibility to the territory of intelligence. On Plato, the reality, that is not implied Idea, is just a disabled. On the Plato's philosophy, the reality has dual charges on one hand the attack from the Idea, on the other hand the attack from the image or image of image. Then, we can hardly find the real status of the reality, though, we find it, it has simply the secondary meaning.

      • 영화 <세 얼간이>와 다문화사회 인도 엿보기

        박치완(Tchi-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3 No.-

        라즈쿠마 히라니(Rajkumar Hirani) 감독의 2009년 슈퍼급 히트 작품인 <세 얼간이(3 Idiots)>는 인도는 물론이고 인도 밖에서도 널리 흥행한 마살라무비(Masala Movie)의 대표작이다. 2011년 8월 한국에서 개봉되었으며, 특히 한국의 주입식 교육현실의 폐해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한다는 측면에서 이 영화는 매스컴의 지목을 받기도 했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 영화를 표층구조 상으로 드러난 ‘로맨스 코미디’나 ‘코미디 드라마’로 분석하는 항간의 일반적인 비평방식을 탈피해 ‘문화적 독법(cultural interpretation)’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해보았다. 이러한 우리의 선택은 영화 <세 얼간이>에 감추어진 인도 문화의 심층, 즉 인도의 문화코드(Culture Code)를 분석해보기 위해서다. 주지하듯 인도는 다문화(다종교, 다인종, 다언어, 다신분)사회다. 그런데 히라니 감독은 이러한 인도의 다문화성을 단지 현상적으로 묘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심층의 고리를 보여줌으로써 인도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해결책도 제시한다. 12억 인도인이 좋아하는 마살라뮤직을 적절히 사용하면서 대사를 이중언어(힌디어와 영어)로 처리한 것도 같은 고민에서 나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음악과 대사는 인도의 명문 공대인 ICE(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의 세 반항아가 던지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이자 인도의 다문화성을 아우르는 촉매제이기도 하다. 모든 문화는 각기 고유한 토양을 가지고 있다. 다문화사회는 인도뿐 아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신자유주의의 등장과 더불어 ‘문화’는 점점 세계화의 먹이로 전락하고 있다.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무한경쟁, 약육강식의 논리가 그 주범이다. 그런데 <세 얼간이>에서는 바로 이것이 우리가 극복해야 할 제일 적임을 보여준다. 문화가 그렇듯, 삶의 서사(Narrative of Life)도 정체불명의 글로벌체제를 위해서 복무하는 것이 아니라 로컬에서 만들어지고 보존되며 전파된다. 그리고 그때에 한 해 그 로컬의 문화는 글로벌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 한류 열풍으로 들떠 있는 우리에게 <세 얼간이>가 건네는 교훈이 여기에 있다. <3 Idiots> by director Rajkumar Hirani, which was a big box office hit in India and in other countries in the year 2009, is a representative Masala movie. It was premiered in Korea in August 2011, and it received attention from the media, because it made viewers reflect on the harmful effect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is article goes beyond the general method of reviewing the movie which is based on its superficial structure, i.e. the view that it is a ‘romantic comedy’ or a‘comedy drama’, and applies a new method of reviewing called ‘cultural interpretation’. This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se the deep structure of the Indian culture, i.e. the ‘culture code’ of India, that is hidden in the movie. It is well-known that India is a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multi-racial, multi-lingual, and multi-stratal) society. Hirani not only describes the multi-culturality of India phenomenologically, but also reveals the chains that lie underneath it, thereby critically showing the problems of the Indian society and proposing some solutions. The fact that he used Masala music, a favorite of the 1.2 billion Indian people, and made the movie bilingually using Hindi and English can be understood as a sign of his agony. The music and the dialogue are the media that deliver the message of the three rebels of ICE (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 a prestigious college of engineering in India.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catalyst that embrace the multi-culturality of India. Every culture has its own soil. And India is not the only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world. Unfortunately, however, with the advance of neo-liberalism, ‘culture’ is being reduced to prey to globalization. The culprit is the unlimited competition and the law of the jungle that dominate the world. <3 Idiots> shows that these are ourprincipal enemies that must be overcome. Like culture, the narrative of life does not exist to serve the elusive global system, but is made, conserved, and transmitted locally. And only that will make a local culture global. This is the lesson of <3 Idiots> to those of us who are overly excited about the Korean Wave.

      • KCI등재

        로컬-지리적 자기인식으로서의 철학 그리고 칸트의 교훈

        박치완 ( Park Tchi-wan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5

        자신의 로컬-지리에도 능통하지 못한 정치가나 기업가가 글로벌 세계를 위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까? 자신의 로컬-지리의 시민들에 대해 무관심한 사회학자나 인류학자가 인류의 미래를 논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이기나 한가? 이러한 질문을 통해 본고에서 우리는 철학과 장소, 더 구체적으로는 로컬-지리와의 불가분의 관계를 칸트의 (자연)지리학에 대한 강의에서 교훈을 얻어 ‘지리 철학’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논의를 전개해볼까 한다. 최근 ‘지리 철학’에 대한 관심이 부상하고 있는데, 이는 일차적으로 인간의 세계인식은 과거에도 그리고 현재에도, 세종대왕의 한양에서도 트럼프의 워싱턴에서도 그 출발은 언제나 로컬-지리 ‘안에서’ 그리고 로컬-지리 ‘위에서’ 진행된다는 상식에 근거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세계화로 인해 많은 로컬들에서 탈로컬화, 탈영토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이에 대한 성찰의 일환으로 로컬-지리에 대한 자각이 생기(生起)하면서부터다. 로컬-지리는 각기 고유한 사유전통, 이해체계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장소이다. 따라서 어떤 철학이건 누구의 이론이건 재지성((在地性)과 본토성(本土性)을 품고 있기 마련이다. 로컬-지리는 ‘객관-보편-과학’의 이름으로 사상(捨象) 되거나 환원될 수 없는 불가침의 영역과도 같다. 그래서 철학은 ‘지리 철학(geo-philosophy)’일 수밖에 없다. Despite the fact that politicians and entrepreneurs are not familiar with the local-geography which they belong to, can they provide a vision for the global world? Is it possible for a sociologist or anthropologist who is indifferent to the citizens of the local-geography to which he/she belongs, to discuss the future of humanity? In this article, with these questions in mind, we will discuss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local-geography, that is, the importance of geo-philosophy by following lessons from Kant's lecture on natural geography. The recent rise of interest in geo-philosophy is primarily based on the commonsense notion that the world perceptions of humans always proceed both from the inside of local-geography and the above of local-geography. Secondly, due to globalization, delocalization and deterritorialization are rapidly progressing in many localities and they originate in the awareness of local-geography as a part of reflection from humans. Local-geography is a place to produce and consume one’s own unique traditions and understanding systems. In any philosophy, it is bound to have territoriality and be mainland-focused. As a simple example, this distinction between analytic philosophy and continental philosophy is attributed to these factors: If the stage of thought is different, the fruit of it also is necessarily different. Local-geography is an inviolable realm that cannot be absorbed or reduced to the name of ‘object-universal-sci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