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iO<sub>2</sub> 나노 입자로 코팅된 형광체 분말을 이용한 Gd<sub>2</sub>O<sub>3</sub> : (Li, Eu) 필름 제조

        박중철,Park, Jung-Chul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6

        졸겔법을 사용하여 $Gd_{1.9-x}Li_{0.1}Eu_xO_3$(x=0.02, 0.05, 0.08, 0.12) 형광체 분말을 합성하였다. 형광체 입자의 표면을 나노 크기의 $SiO_2$(입자크기${\thickapprox}30 nm$)로 코팅한 후 스핀-코팅법으로 유리 기판에 형광체 막을 제작하였다. 유리의 연화온도인 $700^{\circ}C$ 부근에서 융착 되는 $SiO_2$ 나노 입자들에 의해 $Gd_{1.9-x}Li_{0.1}Eu_xO_3$ 입자들은 유리 기판 표면 위에 강하게 융착 되었다(>9H, 연필 경도계). 본 연구에서 채택한, 형광체 막을 제조하는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Gd_{1.9-x}Li_{0.1}Eu_xO_3$ (x=0.02, 0.05, 0.08, and 0.12) powders (${\thickapprox}1{\mu}m$) synthesized by sol-gel method, whose surfaces are modified in a colloidal silica suspension (size of $SiO_2$ particles: ${\sim}30$ nm), have been fabricated to highly stable and effective luminescent films on the glass substrates. Thanks to the fused $SiO_2$ nano particles in the vicinity of the glass softening temperature (at around $700^{\circ}C$), $Gd_{1.9-x}Li_{0.1}Eu_xO_3$ powders are strongly attached onto the surface of glass substrate (>9H, pencil hardness tester). This simple and low-cost method to get $Gd_{1.9-x}Li_{0.1}Eu_xO_3$ phosphor films without any loss of luminescence brightness would promise for applications to display devices.

      • KCI등재

        점토광물을 이용한 완효성비료의 개발 및 응용에 관한 연구-I. 점토광물의 특성

        박중철,최진호,박권우,Park, Jung-Chul,Choy, Jin-Ho,Park, Kuen-Woo 한국환경농학회 198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 No.2

        K완효성 비료개발을 위해 $K^+$로 이온교환된 montmorillite를 규정하고 n-alkylammonium method에 의한 충전하 결정을 통해 그 특성을 확인하있다. 이 방법을 통해 결정내의 불균일한 전하분포를 식별하고 충전하 상하영역을 평가했다(충전하는 영일 bentonite에 국한 : ${\xi}=0.39-0.28e/(SiAl)_4O_{10}$, ${\xi}=0.34$). 그리고 층간 양이온 교환능(C.E.C.) 평균가는 0.915meq/100g임을 알았다. For the development of slow releasing K-fertilizer, K-ion exchanged montmorillonite was evaluated and characterized by layer charge determination with n-alkylammonium method. By this method it was possible to discern inhomogenous charge distribution within the crystals and to estimate the upper and lower limit of the layer charge(layer charge limit for Young-il bentonite in Korea: ${\xi}=0.39-0.28$ $e/(SiAl)_4O_{10}$, ${\xi}=0.34$) and the mean value of interlayer cation exchange capacity of 0.915meq/100g.

      • SCOPUSKCI등재

        Sr<sub>2</sub>Ru<sub>1-x</sub>Cu<sub>x</sub>O<sub>4-y</sub>(0.0≤x≤0.5) 화합물의 구조 및 전달 특성에 대한 연구

        박중철,Park, Jung-Chul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6

        고상반응으로 $Sr_2Ru_{1-x}Cu_xO_{4-y}(0.0{\le}x{\le}0.5)$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X-선 회절 분석 결과에 대한 Rietveld 정밀화로부터 합성된 $Sr_2Ru_{1-x}Cu_xO_{4-y}$ 화합물은 $0{\le}x{\le}0.30$의 Cu 치환 범위에서는 모두 단일상의 정방정계 구조를 갖는 $K_2NiF_4$ 형태의 구조를 취하지만, $0.4{\le}x{\le}0.5$의 범위에서는 미량의 $Sr_2CuO_3$ 화합물의 회절 피이크가 관찰되는 이중상을 갖는 화합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Sr_2RuO_4$ 화합물의 Ru자리에 Cu 이온을 부분적으로 치환할 때의 전이금속 이온인, Ru와 Cu이온의 원자가 상태는 X-선 전자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Ru\; 3p_{3/2}$ 전자와 $Cu\; 2p_{3/2}$ 전자의 결합에너지 측정으로부터 $Ru^{4+},\;Cu^{2+}$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r_2RuO_4$ 화합물의 Ru 자리에 치환하는 Cu 이온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Ru-O1({\times}4)$ 와 $Ru-O_2({\times}2$)의 결합길이 차이가 ${\Delta}=0.1329 {\AA}Sr_2RuO_4$ 경우)에서 ${\Delta}=0.0383 {\AA}(Sr_Ru_{0.7}Cu_{0.3}O_{4-y}$ 경우)으로 변하며, c/a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Sr_2RuO_4$ 화합물의 Ru 자리에 Cu 이온을 치환함에 따라 $RuO_6$ 팔면체의 국부 대칭성의 변화에 의해 결정구조가 정방정계로의 변화를 수반하면서, 이에 따른 $Sr_2Ru_{1-x}Cu_xO_{4-y}$의 전달특성이 금속에서 반도체로 변화한다. $Sr_2Ru_{1-x}Cu_xO_{4-y}(0.0{\le}x{\le}0.5)$ compounds were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solid state reaction. Based on the Rietveld refinements of X-ray diffraction results, it is revealed that $Sr_2Ru_{1-x}Cu_xO_{4-y}$ compounds are the single phases with K2NiF4 type tetragonal system in the range of 0=x=0.3, while the mixed phases of$Sr_2RuO_4$ and $Sr_2CuO_3$ in the range of $0.4{\le}x{\le}0.5$. By means of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 valence states of Ru and Cu in $Sr_2Ru_{1-x}Cu_xO_{4-y}$, have been confirmed to 4+ and 2+, respectively. The bond length difference between $Ru-O_1 ({\times}4)\;and\;Ru-O_2 ({\times}2)\;in\;RuO_6$ octahedron is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Cu content in $Sr_2Ru_{1-x}Cu_xO_{4-y}$, which results in the lower c/a ratio. So, it might be assured that the variation of local symmetry of $RuO_6$ octahedron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transporting property of $Sr_2Ru_{1-x}Cu_xO_{4-y}$ compounds. The behavior of resistivity discloses that the metallic property in $Sr_2RuO_4$ changes into the semiconducting one in proportion to the Cu content in $Sr_2Ru_{1-x}Cu_xO_{4-y}$.

      • KCI등재

        안쪽앞뇌다발 절단에 따른 신경아교세포의 증식활성

        송대용(Dae Yong Song),박중철(Jung Cheol Park),박병구(Byung Gu Park),이진숙(Jin Suk Lee),최병영(Byoung Young Choi),양영철(Young Chul Yang),강호석(Ho Suck Kang),조병필(Byung Pil Cho)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4

        신경아교세포의 형태, 면역학적 표현형, 그리고 분열 활성도의 변화는 중추신경계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병리현상에 있어 주요한 특징이다. 우리는 안쪽앞뇌다발(medial forebrain bundle; MFB) 절단 모델을 이용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신경손상을 유도하고 그에 따른 신경아교세포의 분열양상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안쪽앞뇌다발을 절단키 위해 삽입한 캐뉼라에 의해 뇌조직이 파괴되어 급성 세포괴사(acute necrosis)가 일어나는 cannula track에서는 시술 후 1일부터 이미 많은 수의 BrdU 면역 반응세포가 관찰되었다. 그 수는 7일까지 크게 증가하다 감소하였으나 14일 후에도 상당히 많은 수의 BrdU 면역반응세포가 관찰되었으며, 그들 중 일부는 GFAP에, 그리고 일부는 OX-42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cannula track에서는 기계적 손상이 가해진 후 즉각적으로 미세아교세포와 별아교세포가 활성화되고 분열하기 시작하며 14일 까지도 비교적 다수의 세포가 증식활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cannula track을 바로 둘러싸는 세포괴사 지역 내에서는 주로 아메바형 미세아교세포가, cannula track에서 다소 떨어진 세포괴사 지역의 가장자리에서는 주로 별아교세포가 BrdU에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전에 우리는 안쪽앞뇌다발을 절단하면 흑색질(substantia nigra)에 위치하는 도파민 신경세포의 세포자멸사(apoptosis)가 유도됨을 보고한 바 있다. 안쪽앞뇌다발의 절단에 의해 세포자멸사가 유도되는 흑색질에서도 시술 후 1일부터 BrdU 양성반응세포가 관찰되었으나 소수에 불과하였다. 그 수는 3일부터 점차 증가하여 7일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14일 후에는 분열 중인 세포의 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그들 중 대부분은 OX-42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분지형 미세아교세포와 이중염색 되었으나 GFAP와 이중염색되는 세포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것은 세포자멸사에 반응하여 분열하는 세포는 별아교세포가 아니라 미세아교세포이며, 그들의 형태와 분열 활성도도 cannula track에서 관찰된 것과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OX-42와 GFAP에 모두 음성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는 BrdU 면역반응세포를 cannula track과 흑색질에서 모두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말초에서 유입된 면역세포로 추측되었다. 이 결과는 신경손상의 종류에 따라 신경아교세포의 증식활성이 상이하게 일어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Changes in morphology, immunophenotypes and proliferative activity of neuroglia are key features in most forms of CNS pathology. We compared proliferative activity of neuroglial cells in response to two different types of brain injury induced by medial forebrain bundle (MFB) axotomy. In the cannula track where acute necrosis occurs due to mechanical lesion caused by cannula inserted to incise the MFB, many BrdU-immunoreactive (ir) cells appeared around the cannula track already at 1 day post-lesion (1 dpl). Their number significantly increased by 7 dpl and then decreased, but considerable number of BrdU-ir cells was still found at 14 dpl. Some of the BrdU-ir cells were double-labeled with either OX-42 or GFAP. This finding suggests that both microglia and astrocytes are activated and proliferate immediately after the mechanical damage, and the proliferative activity is maintained in a considerable number of these cells by 14 dpl. In general, the main cell type showing BrdU immunoreactivity was amoeboid microglia within the necrotic zon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cannula track, and was astrocytes in the periphery of the necrotic zone more or less apart from the cannula track. Previously, we reported that MFB axotomy induces apoptosis of dopaminergic (DA) neurons in the substantia nigra (SN). In the SN where axotomized DA neurons undergo apoptosis, only a few BrdU-ir cells were found at 1 dpl. Their number increased gradually from 3 dpl and peaked at 7 dpl, then significantly reduced at 14 dpl. Most of them were double-labeled with OX-42-positive ramified microglia but not with GFAP. This data indicates that microglia but not astrocyte are the cell type that proliferate in response to apoptotic neuronal cell death, and their morphology and proliferative activity are different from those observed in the cannula track. Meanwhile, in the both cannula track and SN, some BrdU-ir cells were thought to be neither GFAP-positive nor OX-42-positive, and thus they were presumed to be infiltrated peripheral immune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different types of neuronal cell death are accompanied with different neurogilal proliferative activities.

      • KCI등재후보

        흰쥐 작은창자 근육층신경얼기에서 미주신경의 전기적 자극에 따른 c-fos의 발현

        조병필(Byung Pil Cho),박중철(Jung Cheol Park),양영철(Young Chul Yang),Wang Zhao-Jin, 강호석(Ho Suck Kang)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4

        장신경계통은 기능적으로 중추신경계통으로부터 상당히 독립된 구조라고 간주되고 있지만 정상적인 생리 상태 하에서 는 장신경계통의 활성이 자율신경에 의해 조절된다. 장신경계통에는 운동신경세포, 중간신경세포, 감각신경세포 등 다양한 종류의 신경세포가 혼재하는데 이들 세포들과 미주신경과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근육층신경얼기와 미주신경 사이의 국소해부학적, 기능적 연관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의 하나로서 이 연구는 정량적으로 어느 정도의 장신경세포가 미주신경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가를 밝히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양쪽 미주신경을 목부분에서 30분간 전기자극 (10 V, 5 msec, 40 Hz) 한 다음, 신경세포 활성화의 지표로 인정되고 있는 c-fos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추적하여 흰쥐 작은창자 근육층신경얼기에서 미주신경의 전기적 자극에 의해 활성화 되는 장신경세포를 확인하였다. 작은창자의 근육층신경얼기에 분포하는 신경세포의 총 수는 cuprolinic blue 염색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흰쥐 작은창자 근육층신경얼기 내 신경세포의 총 수 (mean±S.D.)는 단위면적 (1 cm2) 당 샘창자, 빈창자, 그리고 돌창자에서 각각 평균 12,819±1,514, 14,261±1,452 및 15,411±2,380개로 산정되었다. 정상대조군에서는 작은창자 근육층신경얼기에 Fos 양성반응을 보이는 장신경세포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나, 미주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한 다음에는 Fos 양성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의 비율 (mean±S.D.)이 샘창자, 빈창자 그리고 돌창자에서 각각 31±17%, 17±9%, 16±1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작은창자 근육층신경얼기를 구성하는 신경세포 중 일부 (16~31%)가 미주신경 날신경섬유에 의해 그 활성이 직접 조절되며, 특히 샘창자는 다른 부위에 비해 기능적으로 미주신경의 영향을 보다 많이 받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c-fos의 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은 기능적으로 미주신경에 의해 활성화되는 신경세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해줄 뿐 아니라 세포핵에서 표지되는 Fos 단백질은 여러 신경전달물질들과 용이하게 이중표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미주신경과 관련된 장신경계의 기능적 회로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tivity of the enteric nervous system (ENS) is controlled by the autonomic nerves under the normal physiological condition, even though ENS has been regarded to be independent from the central nervous system.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myenteric neurons and vagus nerves has not been fully clarified. For the defining of topographical and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nervous systems, we analyzed how many myenteric neurons are activated after electrical vagal stimulation in the rat. Bilateral cervical vagi were electrically stimulated (10 V, 5msec, 40 Hz) for a duration of 30 minutes, and then each part of the small intestine was obtained. Fos, as a functional marker for neuronal activation, immunohistochemistry was used for the detection of vagally activated myenteric neurons. Total number of myenteric neurons was obtained using cuprolinic blue stained samples, and was calculated as 12,819±1,514, 14,261±1,452, 15,411±2,380 per unit area (1cm2) in duodenum, jejunum and ileum, respectively. Fos-positive myenteric neurons were scarcely observed in the normal control group. After the electrical vagal stimulation, Fos-immunoreactive (IR) neurons were detected as 31±17%, 17±9%, 16±10% of total number of myenteric neurons in duodenum, jejunum and ileum, respectively. These data demonstrate that only some (16~31%) of myenteric neurons are regulated by vagal efferent input, and the duodenum receives much more vagal input functionally than other distal regions. Furthermore, these findings can be applied to trials defining the functional circuit of the myenteric nervous system linked to the vagus nerves, since Fos-positive nuclei can be easily double-labeled with various neurotransmitters existing in the myenteric neurons.

      • 말기 위암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예후 인자

        김수재,문도호,이춘섭,이정호,김태균,박중철,이지은,Kim, Soo-Jae,Moon, Do-Ho,Lee, Choon-Sub,Lee, Jung-Ho,Kim, Tae-Gyun,Park, Jung-Chul,Lee, Ji-E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0 No.4

        목적: 위암은 각종 암 중에서 발생률, 사망률이 높은 암으로, 이런 말기 위암 환자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호스피스 병동에서 임종한 말기 위암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생존기간에 관련된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4년 5월 1일부터 2007년 8월 31일까지 일개 종합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말기 위암으로 임종한 9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빈도와 중간 값으로 제시하였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동안의 생존 기간은 SPSS 13.0의 Kaplan-Meie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99명의 말기 암 환자 중 남자 62명(63%), 여자 37명(37%), 연령의 중간 값은 60.9세이었으며 간 전이가 38명(38%)으로 가장 많았다. 입원 당시 증상은 전신쇠약이 97명(98%), 식욕부진이 85명(86%)이며, 검사실 소견상 저알부민혈증은 87명(88%), 저나트륨혈증이 60명(61%), 빈혈이 72명(73%)에서 있었다. 장폐색이 있었던 환자는 27명(27%)이었으며 이중 완화적 시술을 받은 사람은 17명이었으며 스텐트 삽입법이 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입원 당시 수행능력점수(ECOGPS)가 낮은 경유(P<0.001),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P=0.017)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병동 입원한 기간 중간간은 20일이었고, 전원 시부터 사망하기까지 생존기간의 중간값은 22일이었다. 결론: 보다 더 효율적이고 적절한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말기 위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 대해 더 많은 표본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revalence and mortality of gastric lancer is high. We studie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the advanced gastric canter patients who had died in the hospice care unit. and our study is the basic report for efficien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terminally ill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9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who had died in a hospice rare unit from May 2004 to August 2007. The survival days during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analyzed using Kaplan-Meier method of SPSS version 13.0. Results: There were 62 males (63%) and 37 females (37%). Median age of patients was 60.9 years and liver metastasis was as high as 38 patients (38%) of all. The most prevalent symptom of admission was general weakness (97%) and poor or intake (86%). There were also bypoalbuminemia (88%), anemia (73%), and hyponatremia (61%). Palliative procedure was performed on 17 (63%) out of 27 patients with intestinal obstruction. Of these stents were inserted to 11 patients. The stores of ECOGPS and dyspne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survival. The duration of median survival and hospitalization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22 days and was 20 days respectively. Conclusion: We need to study more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vanced gastric rancor patients to predict the length of survival for an effectiv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KCI등재

        OLETF 쥐에서 Thiazolidinediones 투여가 발기와 관련된 큰골반신경절 신경세포의 신경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이진숙(Jin Suk Lee),이지용(Ji Yong Lee),박중철(Jung Cheol Park),최병영(Byoung Young Choi),양영철(Young Chul Yang),정춘희(Choon Hee Chung),조병필(Byung Pil Cho) 대한해부학회 2009 Anatomy & Cell Biology Vol.42 No.4

        음경해면체 혈관의 내피세포와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신경종말에서 분비되는 nitric oxide는 발기를 매개하는 주된 전달물질이며, 신경전달물인 acetylcholine와 vasoacitive interestinal phlypeptide (VIP)도 발기를 매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따. 자율신경병증은 발기부전을 일으키고 체감각운동 신경병증과 자율신경병증을 포함하는 다발신경병증을 나타내는 당뇨환자들에게 이러한 발기부전이 일어난다. Thiazolidinedione (TZD)는 제2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약물이며, 당뇨병콩팥병증을 개선하고 혈당을 낮추며 혈압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발기부전과 관련된 신경병증에 대한 이 약물의 효과는 아직까지 알려진바 없다. 이 연구는 발기부전과 관계가 있는 신경병증에서 TZDs 계열 약물인 pioglitazone 또는 rosiglitazone 약물투여 후 큰골반신경절에서 신경전달물질 구성의 변화를 실험하였고 대조군으로 유전적으로 당뇨가 유발되지 않는 Long Evans Tokushima Otsuka (LETO) 쥐를 사용하였다. 형태계측에 의해 LETO 군, OLETF 군 그리고 pioglitazone 투여 OLETF 군 또는 rosiglitazone 투여 OLETF 군의 큰골반신결절에서 Nitric oxide synthase (NOS), throsine hydroxylase (TH), VIP 그리고 neuropeptide Y (NPY) 등의 신경전달물질들이 변화를 측정하였다. NOS, TH 그리고 VIP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수는 LETO 군의 비교하여 OLETF 군의 큰골반신경절에서 감소하였고, 반면에 음경혈관들의 혈관수축을 조절하는 NPY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수는 LETO 군과 비교화여 OLETF 군의 큰골반신경절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주간 pioglitazone 또는 rosiglitazone을 투여한 OLETF 군에서의 개체간의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LETO 군과 같은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이 결과들은 TZDs 투여가 발기부전과 관련된 자율신경병증의 치료를 위해 도움을 줄 것이라고 여겨진다. The main transmitter substance mediating erection is the nitric oxide released from the vascular end-othelial cells of corpus cavernosum and from the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nerve endings. In addition, some neuro-transmitters, such as acerylcholine or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VIP), have been repo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the erection. Thus, autonomic neuropathy may cause erectile dysfunctionm and in reality, it occurs frequently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mellitus(DM), in which polyneuropathy, including both peripheral somatic sensorimotor neuropathy and autonomic neuropathy, develops usually. Thiazolidinedione(TZD) is an insulin-sensitizing agent used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M with insulin resistance, and has been reported ameliorate nephropathy, decrease plasma glucose level and reduce blood pressure. However, the effect of this drug on the neuropathy related to erectile dysfunction has never been proved. In the present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TZDs on the neuropathy concerned with erectile dysfunction, we examined neurochemical changes of major pelvic ganglion (MPG) neurons in Otsuka Long 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genetic models with non-insulin-dependent DM, after(TZD)s(pioglitazone and rosiglitazone) treatment. Age-matched nondiabetic Long Evans Tokushima Otsuka(LETO) rats were used as controls. Nitric Oxide synthase(NOS), tyrosine hydroxylase(TH), VIP, and neuropeptide Y (NPY) contents were measured in MPG neurons of LETO, OLETF and pioglitazone- or rosiglitazone-treated OLETF rats by morphometry. Compared to the correspondign LETO group, number of TH-, NOS- and VIP-immunoreactive(ir) neurons decreased, while that of NPY-ir neurons, which modulate noradrenergic vasoconstriction of penile arteries, increased in the MPG of the OLETF group. After administration of pioglitazone- or rosiglitazone to OLETF rats for 23 weeks, these neuronchemical changes were recovered to the control levels of the LETO group, although some variations were accompan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ZDs treatment may be helpful for the treatment of autonomic neuropathy concerned with erectile dysfunc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 태아에서 척수 길이와 척수종말부 척추 높이의 변화

        강호석(Ho Suck Kang),조병필(Byung Pil Cho),김지원(Ji Won Kim),송대용(Dae Yong Song),양영철(Young Chul Yang),박중철(Jung Cheol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2 No.2

        태아 척수종말부의 척추 높이는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척수종말부의 개념이 학자에 따라 몇 가지로 상야하게 정의되고 있으며 , 인종에 따른 척수종말부 척추 높이의 차이를 각 기 준에 의거하여 정밀하게 비교, 분석한 보고가 없었기 때문에 이에 관한 정확한 연구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척수의 길이와 더불어 마지막 척수신경의 맨 아래쪽 잔뿌리가 나오는 지점( 이하 척수종말부 I 로 칭함 ) 과 척수원뿔이 급격히 가늘어지다 그 지름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시작하는 지정 ( 이하 척수종말부 Ⅱ 호 칭함 ) 의 척추 높이를 조사하여 한국인 태아에서 척수 발생시 일어나는 척수 상승에 대한 기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 였다. 그리고 이를 각 기준별로 다른 인종의 그것들과 비교함으로써 척수 발생의 측면에서 한국인의 척수종말 부가 체질인류학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로는 최종 정상 월경주기 개시일을 기준으로 대령 13 주에서 37 주 사이의 정상적인 태아 115예를 사용하였으며 태령 및 머리 둔부 길이에 따라 각각 7 문으로 분류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령이 증가함에 따라 척주 길이, 척수 길이 I,Ⅱ 및 척수경질악의 길이는 대체로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증가 양상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특히, 척수 길이는 태령 6 개월 (III 균 ) 에서 그 증가 폭이 약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두 척수종말부의 상송 길이 역시 III 문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하였고, 척주 길이에 대한 두 척수 길이의 비도 III 군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발생 4-8 개월 사아에서는 척수가 태영 6개월 (III 군 ) 에 척주의 성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느리게 성장 하고, 그 결과 이 시기에 가장 빠른 속도로 척수가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태령 8 개월 이후의 변 화는 조사 예 수가 적어 판단하기 곤란하였다. 2 척수종말부와 척수경질막종말부의 평균 척추 높이와 분포 범위는 태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다른 인종과 비교해 보았을 때 영국인, 북인도인 및 남인도인 보다는 높은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인과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3 길이와 척추 높이에 관한 모든 계측치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연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녹색 형광체 LaPO₄:Ce^(3+),Tb^(3+)의 발광 특성

        박중철 신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4 自然科學論文集 Vol.13 No.-

        LaPO_(4) : Ce^(3+), Tb^(3+) phosphor is most commonly used in three-band lamps as the green-emitting component. We have synthesized the alkali-metal doped LaPO_(4) : Ce^(3+), Tb^(3+) by a conventional solid-state reaction. This phosphor belongs to the monazite crystal group, as determined by X - ray analysis. We discuss luminescent properties of L_(a1-x)M_(x)PO_(4) : Ce^(3+) Tb^(3+) (M = Li, Na, and K) phosphor using X - Ray Defflaction (XRD), Scanning Electro Microscopy (SEM), and Photoluminescence (PL) spectrome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