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력부진학교 개선을 위한 미국 연방정부의 지원정책과 책무성 확보방안

        박주형(Park, Juh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학력부진학교 개선을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교육복지정책, 학력향상중점학교 정책 및 책무성 체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내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1965년에 제정되고 2002년에 개정되어 실시되고 있는 NCLB하의 Title I 규정을 분석하고 이 중 책무성 체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플로리다 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교육복지제도와 책무성 체제에 대한 법제화 그리고 이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다. 둘째, 저소득학생 밀집 학교 혹은 교육기반시설이 부족한 지역 학교에 대한 추가적이고 의미 있는 교육 정책이 필요하다. 이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교육복지정책의 범위를 확대하고 좀 더 나은 교육적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교육정책을 실시함으로 가능하다. 셋째, 교육복지정책 및 학력부진학교 지원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평가시스템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력부진학교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서는 외부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ederal government’s efforts to turnaround low-performing schools and to give suggestions for Korean educational polices including educational welfare policy, school improvement plan and developing accountability system. For this purpose, Titile I provisions in NCLB that reauthorize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f 1965 were analyzed. Then, as one example of accountability system described in Title I, the Florida State case was analyz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to Korea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ules for educational welfare and accountability system. Second, meaningful interventions for disadvantaged students and schools located in poor and rural area are needed for improving school performance. Third, program evaluation process should be developed to monitor and evaluate the effect of education welfare and school improving policy. Finally, for the success of school improvement plan, external agencies’ support is essential.

      • KCI등재

        동료교사 혁신성이 교사협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주형(Juhyoung Park),신혜숙(Hye Sook Shi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OECD TALIS 2018 조사의 초등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동료교사의 혁신성이 교사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때 다수의 교사가 동일 학교에 내재된 자료의 특성을 반영하고, 학교 내 다양한 환경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하여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사협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요인들을 통제변수로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종속변수인 교사협력 수준은 중간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분산 중 학교간 차이에 따른 분산은 약 10.3%로, 학교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층분석 결과 동료교사 혁신성이 교사협력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이었으며, 이러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동료교사의 혁신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교사일수록 교사협력정도가 높았다. 셋째, 독립변수 이외에도 교사성별, 교직준비정도, 교직선택동기, 교사효능감의 교사 수준 변수와 교사수, 학교 소재지 등의 학교 수준 변수가 교사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 양성 단계와 교직 선발과정에서 전문성과 교직선택동기를 적극 반영하고, 교사 직무환경에서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fellow teachers’ innovation on teacher cooperation using the 2018 TALIS results conducted by OECD. For this, a multilevel model was applied to reflect data structure that teachers are nested in schools and to control the influence of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schools. In addition, factors of teacher cooperation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as control variable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er cooperation (the 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be somewhat below the average, and the total variance across the schools was about 10.3%,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hools. Second, a multilevel analysi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the peer teacher innovation on teacher cooperation was positiv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other words, the level of cooperation increased in teachers who perceived that their peers are highly innovative. Third, among the covariates in the research model, gender, teacher preparation level, and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er cooperation. Also significant were teacher efficacy at the teacher level, as well as number of teachers and school location at the school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o actively reflect expertise and motivation when selecting a teaching profession during the teacher training stage and profession selection process.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in assisti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support policies to increase a sense of efficacy in teachers and in their job environment.

      • KCI등재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에 대한 분석: CAEP 체제를 중심으로

        박주형(Juhyoung Park)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교원양성기관 평가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오랜 기간 체계적으로 교원양성기관 프로그램 인증을 진행한 미국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분석틀(제도의 배경, 시행기관, 인증절차, 인증기준)을 설정하고 이 틀에 따라 CAEP(Council for the Accreditation of Educator Preparation) 인증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는 데이터기반 성과중심 교육개혁의 흐름을 따르고 있으며, CAEP는 인증기준을 외부기준과 연계하여 설정하고 외부기관과 협력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또한 인증기간을 7년으로 설정함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증대상기관의 프로그램 질 향상을 위한 제도를 운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에 졸업생의 성과를 지표에 포함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둘째, 전공영역별 질 평가를 위한 방법을 구체화한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이 역량진단에 대해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평가지표가 교원양성기관 프로그램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평가기간을 늘리고 평가지표를 일정기간(1년) 이전에 사전공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ere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systemically accredited,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 To this end, an evaluation system analysis framework (system background, enforcement agency, certification proces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was established,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of the Council for the Accreditation of Educator Preparation (CAEP) was analyzed based on this framework.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certification system for US teacher training programs follow the flow of data-based, performance- oriented education reform, and that CAEP established accreditation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external standards and in coopera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s. Moreover, by setting the accreditation period as 7 years, the education programs can be opera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program quality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Thus, the competency diagnosis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must include the performance of graduates in the indicators. The method for quality management must be materialized by a major field. Moreover, to ensure the predictability of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competency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pre-announce the diagnosis period and diagnostic indicators before a specific period (1 year).

      • KCI등재

        교사협력이 혁신적 교수활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 : TALIS 2018 초등 데이터를 활용하여

        박주형 ( Park Juhyoung ),신혜숙 ( Shin Hye So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교원관련 국제데이터인 TALIS 2018의 우리나라 초등교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사협력이 교사의 혁신적 교수활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때 교사가 학교에 내재된 자료의 특성을 반영하고, 동일학교에 재직하는 교사들의 학교환경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하여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혁신적 교수활동 실천은 학교 간 차이가 적은 편이었고 주로 학교 내 차이로 설명되었다. 둘째, 다른 요인의 영향을 고려한 이후에도 교사협력은 교사들의 혁신적 교수활동 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 이외에도 교사의 성별, 최종학력, 교직준비 수준, 교직선택동기, 교사학생관계, 교실 수업분위기, 학교별 저성취학생 비율이 혁신적 교수활동 실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행정당국과 학교장이 학교 내 교사협력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학교에 대한 적극적 지원도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eacher cooperation on the practice of innovative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by analyzing the elementary school data of TALIS 2018 in Korea, which is international data related to teachers, through a linear model (HL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very few differences between schools in the practice of innovative teaching activities, and most were explained by differences within schools. Second, teacher coopera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s' innovative teaching activities. Third, in addition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individual level variables such as gender, final education, teaching preparation level, teaching choice motivation (intrinsic), student relationship, classroom class atmosphere,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chool-level variable ratio of underachiever students are associated with innovative teaching practic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uthorities and the principals must provide various policy support to increase the level of teacher cooperation in schools. It also shows that there is an additional need for active support for schools with poor socio-economic status.

      • KCI등재

        미국 교육재정정책 관련 주요 판례의 의미와 영향력 분석

        박주형(Juhyoung Park) 대한교육법학회 2021 敎育 法學 硏究 Vol.33 No.3

        미국에서는 교육정책형성과정에서 사법부의 적극적 개입이 일어나고 있다. 교육재정정책 분야에서도 연방 및 주 대법원의 판결은 교육의 기회균등 및 공정성 제고를 위한 정책개선을 이끌어왔다. 연방 수정헌법 제14조의 평등보호 조항은 세라노 판결에서 빈곤한 학교구의 학생들의 1인당 교육비 불평등 문제를 개선하는 근거조항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로드리게즈 판결에서는 연방헌법 상 교육의 기본권성이 부정되었는데 이에 따라 이후 교육재정정책 관련 소송에서는 교육재정의 불평등성을 주장하는 원고측은 주 헌법의 교육관련 직접조항을 근거로 주 정부의 교육재정정책의 위헌성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소송에서 쟁점은 교육개정정책이 주 정부의 교육적 목적 실현에 어느정도 기여하고 있는지 여부였다. 점차적으로 교육재정정책 관련 소송에서는 공정성보다는 적정성 기준이 소송의 핵심 이슈가 되었다. 이는 교육제도가 학생들을 위한 기초적인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철저하고 효율적인 교육을 실현해야 한다는 주의 교육책무성을 근거로 교육재정의 불평등성을 다툴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소송의 결과 주 정부는 교육재정정책 개선을 위한 법률 제・개정 및 분배제도 개선 등의 후속활동을 진행하였다. In the United States, active intervention by the judiciary is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forming educational polic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fiscal policy, federal and state Supreme Court rulings have led to policy improvements to improve equal opportunities and fairness in education. The equal protection provisions of Article 14 of the Federal Amendment were used in the Serano ruling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problem of inequality in per capita education expenses for students in poor school districts. However, Rodriguez s ruling denied the basic rights of education under the federal constitution, and in subsequent lawsuits related to education finance, the plaintiffs, who argued for inequality in education finance, argued for the state s education finance policy. The issue in these lawsuits was to what extent the education revision policy contribu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state s educational purpose. Gradually, in lawsuits related to education and fiscal policy, adequacy standards rather than fairness have become a key issue in litigation. This allowed the education system to dispute inequality in education finances based on the state s educational responsibility to realize thorough and efficient education beyond providing basic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As a result of these lawsuits, the state government carried out follow-up activities such as legislation, revision, and distribution system improvement to improve education and fiscal policy.

      • KCI등재

        사회적 유용성에 기반한 교직선택동기가 초등교사의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혜숙(Shin, Hye Sook),박주형(Park, Juhyou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4

        본 연구는 사회적 유용성 관련 교직선택동기에 초점을 두고 TALIS 2018 조사의 초등교원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사회적 유용성 기반 교직선택동기는 교직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영향력의 크기가 다른 변수에 비하여 큰 편이었다. 즉, 사회적 유용성을 기준으로 교직을 선택한 정도가 높을수록 교직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둘째, 교직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다른 변수를 살펴보면, 교사배경 중 성별, 교사특성 중 외재적 교직선택동기, 교사효능감, 자율성, 행정업무, 학급특성 중 수업분위기와 교사학생관계, 그리고 학교특성 중 공동체 풍토와 학교위치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교직만족도를 보였으며, 자율성, 수업분위기, 교사학생관계, 학교의 공동체 풍토는 교직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행정업무 부담이 늘어날수록 교사의 교직만족도를 낮았으며 도시지역 학교근무 교사가 농어촌지역 교사보다 낮은 학교만족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직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교원지원정책을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a teaching profess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a teaching profession related to social usefulness, and analyzes its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data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2018.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ocial usefulness-based teaching choice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satisfaction, and the magnitude of this influence was relatively great among all variabl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degree to which the teaching profession was selected based on social usefulness, the greater was the satisfaction. Second, teacher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extrinsic motivation, teacher efficacy, autonomy, and administrative work class atmospher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community climate, and school location. That is, male teachers showed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for teaching jobs compared to their female counterparts, and extrinsic motivation, teacher efficacy, autonomy, atmosphere in the clas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school community climat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eaching jobs. However, as administrative burden increased, teachers satisfaction tended to be lower, and it was found that school teachers in urban areas had diminished satisfaction than teachers in rural area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various teacher support policies to enhance teacher satisfaction.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대책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 영국, 프랑스, 독일, 핀란드를 중심으로

        한유경(You-Kyung Han),박주형(Juhyoung Park),엄수정(Su Jung Um),곽예린(Ye-Lin Gwak)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에 관한 유럽 국가의 제도를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국, 프랑스, 독일, 핀란드를 대상 국가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을 위해 분석 틀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프랑스는 학교폭력에 대한 내용을 독립적으로 다룬 법을 제정 및 시행하고 있는 유일한 국가이며, 영국, 독일, 핀란드는 다양한 관련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학교폭력의 개념 정의와 관련하여 영국, 프랑스, 핀란드는 괴롭힘 행위에 국한하고 있는 반면, 독일은 청소년 범죄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었다. 영국은 학교폭력 문제를 학생들의 인권 차원에서, 프랑스와 핀란드는 학생들의 복지 차원에서, 독일은 학교폭력을 학생들의 인성 차원에서 보는 경향이 있었다. 대상 국가 모두 새로운 학교폭력 유형인 사이버 폭력, 차별에 기인한 폭력, 교사 대상폭력에 주목하고 있었다. 국가에 따라 학교폭력 정책 수립 및 시행 주체에 차이가 있었으나, 모든 국가들은 총체적 학교 접근, 학생 중심의 교육적 해결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대상 국가들은 모두 상담 중심의 가·피해학생을 위한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고, 관련 기관 간 협력을 강조하였다. 모든 국가에서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교직원 교육이 실시되고 있었으나 교직원 교육의 필수 여부, 시행 주체, 교육 유형, 교육내용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결론] 영국, 프랑스, 독일, 핀란드의 사례는 한국의 학교폭력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의 법률적 개념에 대한 재고, 교육적 해결 중심 정책으로의 전환, 인성교육을 인권교육으로의 확장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examined the school violence policies of four European countries, which are the U.K., France, Germany, and Finland. [Methods] For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and utilized. [Results] The four countries conceptualized school violence differently; the U. K., France, and Finland limited the notion to school bullying while Germany included juvenile crime. All target countries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new types of school violence, including cyber bullying, violence against teachers, and bullying of LGBTQ students. France was the only country that had launched a separate anti-bullying law. While France had developed the government-initiated policies, the U.K. offered individual schools greater autonomy to prevent and address school violence. The target countries worked towards student-initiated, reconciliation-based, and whole-school approaches. Collaboration among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was encouraged. Although they had various support systems for bullied students, counseling was the most common service provided to the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ed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school violence policies in South Korea.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revising the legal definition of school violence, moving towards a reconciliatory non-punitive paradigm, and reforming the national approach to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중학교 교사의 인권침해경험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수업효능감과 생활지도효능감을 중심으로

        신혜숙(Hye Sook Shin),박주형(Juhyoung Park)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교육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의 2021년 중학교 교사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의 인권침해경험의 실태와 관련요인을 탐색하고, 교사효능감(수업효능감, 생활지도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학교 교사의 과반수가 학생으로부터 인권침해를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교사성별, 교직경력, 학교풍토, 수업교사당 학생수, 주당평균시수 등이 이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 학생에 의한 인권침해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수업효능감과 생활지도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교사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의개념을 교육활동에서 교사의 기본적 인권으로 확장하여 수업이나 생활지도 침해 외에 교사의 인권침해까지 정책적 보호대상에 포함해야 한다. 둘째, 기존의 교권침해관련 자료가 전체 교사의 교권침해를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인권침해정도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교사를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수업 및 생활지도에 대한 자신감을 다시 가질 수 있도록 심리적 지원과 연수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Based on the data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2021 from the Gyeonggi School Education Survey, this study explored the actual situation and related factors of teachers' human rights violation experienc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efficacy (instructional efficacy and life guidance 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middle school teachers had experienced human rights violations by students, and that teacher gender, teaching experience, school climate, and the average number of hours per week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were related to this. When other factors were considered, it was found that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human rights violations by students had significantly lower teaching effectiveness and life guidance effectivenes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eacher policies in Korea. First, the concept of teaching right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e basic human rights of teachers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include violations of teachers' human rights in addition to violations of teaching and life guidance. Second, existing data on teacher rights violations do not adequately reflect the full range of teacher rights violation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Third, since the degree of human rights violation negatively affects teachers' sense of teacher effectivenes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tect teachers and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and training so that they can regain confidence in teaching and life guidance

      • KCI등재

        소수 학생 대상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해외사례 연구: 일본, 캐나다, 영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유경(You-Kyung Han),궁선혜(Sunhye Kung),박주형(Juhyoung Park),엄수정(Su Jung Um)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는 소수 학생 대상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에 관한 해외 사례를 비교ㆍ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본, 캐나다, 영국, 프랑스를 대상 국가로 선정하여 국가별 소수 학생 대상 학교폭력의 개념과 동향, 법률, 정책, 운영 실제 중심의 예방 및 대응 체계, 정책적 평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수 학생 대상 학교폭력은 국가별로 차이는 있지만, 인종, 종교, 문화, 장애 등을 배경으로 소수 집단이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차별, 편견, 증오 행위로 규정되었다. 관련 법률은 일본이 독립법을 제정하고 있는 반면, 캐나다, 영국, 프랑스는 민·형법, 평등법, 인권법, 교육법 등 기존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관련 법률을 적용하였다. 관련 정책의 시행 주체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처벌보다는 예방교육에 초점을 두는 정책을 지향하고, 피·가해학생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 및 교직원 교육을 마련하고 있었으며, 소수 학생 대상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 및 민간기관 간의 협력 관계를 강조하였다. 실제 시행되고 있는 우수 교육 프로그램 및 사례 역시 국가별로 다양하지만, 단위학교별로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소수 학생 대상 학교폭력에 대한 세분화되고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조기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시, 다양한 정부, 민간기관, 전문 연구자 등이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four countries, Japan, Canada, the UK, and France to compare their school violence policies for minority students. As a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d concepts of school violence associated with differentiation, laws, policies, and prevention programs. The notion of school violence associated with differentiation is generally conceptualized as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hatred against the group of people or individuals because of their race, ethnicity, religion, culture, age, disability, sex or gender, or sexual orientation. While Japan passed a separate law for LGBTQ students, Canada, the UK, and France applied existing laws, such as human rights laws, education laws, and equality acts, to school violence policies for minority students. All target countries had diverse services for bullied student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teachers and school staff, focusing on prevention, not punishment. Also, they encouraged collaboration among diverse governme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Many prevention programs had diverse activities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spect divers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systematic policies against school violence associated with differentiation, implementing practical and specific school prevention education at an early age, and building a collaborative platform for government agencies, professional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nd researchers.

      • KCI등재

        표고버섯 농가 부산물 폐배지 기반 바이오차의 이산화탄소 흡착 연구

        송규섭(Gyuseob Song),김진성(Jinseung Kim),박주형(Juhyoung Park),노영훈(Younghoon Noh),최영찬(Youngchan Choi),이영주(Youngjoo Lee),이규복(Kyubock Le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4 신재생에너지 Vol.20 No.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aste medium from a domestic shiitake mushroom farm, which was pyrolyzed to produce biochar. The yield rate of the biochar was compared after exposure to various pyrolysis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biochar were analyzed.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carbon dioxide (CO₂) adsorption capacity of the resulting biochar. The CO₂ adsorption capacity exhibited a correlation with the pyrolysis temperature of the biochar,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resulting in higher CO₂ adsorption capacities. Brunauer-Emmett-Teller (BET) analysis showed that the CO₂ adsorption capacity was related to the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of the biochar. Calcium is added to the process of producing mushroom medium.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₂ adsorption capacity of the biochar from the waste medium with the addition of calcium. In addition, CO₂ adsorp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fter the pyrolysis of kenaf biochar with the addition of calcium.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show that calcium affected the CO₂ adsorption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