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 숙의과정 평가

        박주형(Park, Juhyung),이윤정(Lee, Yun Jeo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2

        지난 6월 6일 77개국 1만여 명의 세계시민이 참여한 유엔기후변화협상에 관한 세계시민회의(World Wide Views)는 전 지구적 이슈인 기후변화 거버넌스를 위해 세계 일반시민들이 참가한 숙의형 의사결정과정의 실험이다. 기본 구조는 덴마크기술위원회(DBT)를 중심으로 한 코디네이터(이하 운영본부)가 전체 과정을 기획하고 세계 각국의 현지파트너가 각자의 지역에서 시민회의를 개최하는 것이다. 이후 운영본부에서 각국의 결과를 취합하여 보고서의 형태로 정책협상의 장인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COP21)에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과학기술영역에서 실험 되어온 시민 숙의라는 정책결정 기제가 추구하는 가치들(대표성, 투명성, 공평성, 숙의성, 영향력)이 글로벌 환경에서 프레이밍 되어져 한국에서 적용된 세계시민회의 사례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평가하고 한계와 가능성을 점검한다. World Wide Views (WWViews) on Climate and Energy was an experiment of public deliberation which was held in 77 countries with over 10,000 global citizens on June 6, 2015. The coordinator of this project (the Danish Board of Technology with Missions Publiques and the French National Commission for Public Debate) developed the overal procedure, and local partners implemented the actual events in each country on the same day. The coordinator gathered the results of the events from all local sites in order to submit them as global citizens" voice to the COP21 negotiations at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in Paris.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such new method of WWViews, standardized at global level to be implemented in different local contexts, achieves its quality of public deliberation (representativeness, transparency, impartial inclusion, deliberativeness, influence) by evaluating the Korean WWViews held in Seoul.

      • KCI우수등재

        사물인터넷 기반 재난복구자원 관리 및 실시간 행동인지 모듈 개발

        최상윤,박주형,한수민,박진우,장태우,윤혁진,Choe, Sangyun,Park, Juhyung,Han, Sumin,Park, Jinwoo,Chang, Tai-woo,Yun, Hyeokji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7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2 No.4

        세계적으로 자연재해의 빈도와 그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 몇 년 간 자연 재난 피해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도 그러한 피해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복구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자원 현황을 파악하고, 자원행동인지 모듈을 통하여 복구자원의 상태 및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실제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스마트폰 센서들을 이용한 자원행동인지 모듈을 개발하고 실험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대응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Globally, frequency and scale of natural disasters are growing, also the damage is increasing. In view of the damage by natural disasters for several years, it is true that Korea is not free from such da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cess to efficiently manage recovery resources in case of disaster damage. We utilize the IoT technology to detect the resource status in real time, and configure the process so that the state and movement of the recovery resource can be grasped in real time through the resource activity recognition module. In addition, we designed the database that is necessary to actualize it, and developed and experimented resource activity recognition module using smart-phone sensors. This will contribute to building a quick and efficient disaster response system.

      • KCI우수등재

        주요 제조업의 사물인터넷 활용성 분석

        황규선(Gyusun Hwang),박주형(Juhyung Park),이정철(Jeongcheol Lee),박진우(Jinwoo Park),장태우(Tai-Woo Chang),원중연(Joongyeon Wo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6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1 No.4

        사물인터넷이 국내외 다양한 산업에 정착되고 새로운 가치 창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한국 정부의 제조업 혁신 3.0 전략과 함께 스마트공장 개념으로 발전하여 경쟁력을 높이는데 사물인터넷이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의 사물인터넷의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새로운 분류 기준에 따라 산업연구원에서 정의한 10대 주력 산업을 6개의 세그먼트로 구분하였고, SWOT 분석을 수행하였다. SWOT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각 요소들은 상호 연관성 분석을 통해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으로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 결정 그리드 포지셔닝을 수행하여, 6가지 세그먼트들이 사물인터넷을 활용하는 데에 있어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 분석하였다. Internet of Things (IoT) has been established in various industries and IoT technology is highlighted as a new value creation technology. Especially,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Manufacturing Innovation 3.0 Strategy for developing Smart Factory concept to improve national and corporate’s competitivenes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new industry classification scheme considering 10 national key manufacturing industries. Based on the new scheme, 10 national main forces industries are categorized into 6 segments. We have conducted SWOT analysis to comprehend Korean IoT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we have positioned 6 segments at the strategic decision-making grid to analyze industries’ IoT practical usage.

      • 헬스케어 대화형 에이전트의 역할(role)과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가 전문성, 신뢰도,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민정(Minjung Kim),윤병훈(Byunghun Yun),박주형(Juhyung Park)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기술의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효과적으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및 관리할 수 있는 대화형 에이전트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형체를 가지고 있는 체화된 대화형 에이전트의 경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참여도와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특정 헬스케어 맥락에서 살펴본 연구가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앱)를 사용해야 하는 관리의 영역인 스트레스 관리를 헬스케어 맥락으로 선택한다. 해당 맥락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의 역할 (의료진/비의료진)과 사회적 지지 (정보적/정서적 지지)에 따라 전문성, 신뢰도, 친밀도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할과 사회적 지지를 다르게 설정한 4 개의 에이전트를 디자인하여 집단 간 설계 방식으로 163 명의 참여자를 네 그룹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의료진 역할의 에이전트는 비의료진 역할의 에이전트에 비해 전문성, 신뢰도, 친밀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지지에 대한 차이는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에서 관리 영역의 대화형 에이전트의 역할이 전문성, 신뢰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으로 밝혀냈다.

      • KCI등재

        신고리 원전 공론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술 시민권 탐색

        김지연(JiYeon Kim),김명심(Myungsim Kim),김규태(GyuTae Kim),김성희(SeongHee Kim),박주형(JuHyung Park) 한국환경사회학회 2018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2 No.2

        2017년 정부는 공론조사(시민참여형조사) 방식으로 신고리 5 · 6호 원전 건설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최종적으로 471명의 시민이 모든 숙의 과정을 완료했다. 이후 시민참여형조사 방식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고 사회적 의사결정의 주요 형식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관련 분석과 방법론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는 드물다. 조사를 수행한 측(정부)이나 조사 결과를 지지하는 측(건설재개)은 공론조사에 대해 추가적인 분석을 할 필요를 느끼지 않고, 환경운동 단체 등은 역시 조사 결과에 너무 실망한 나머지 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했다. 먼저 공론조사(deliberative polling) 방법론을 탐색했는데, 사실 공론조사 자체야말로 질적 접근과 양적 접근을 혼합한 모델이다. 질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기술 시민권(technological citizenship)” 개념을 채택했다. 공론화위원회가 공개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시민참여단의 의사결정 분화 양상을 분석할 것인데, 이 과정에서 우리는 자신의 기술적 견해를 표명하는 ‘기술 시민의 정체성’을 탐색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시민참여형조사 방법론에 대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시민참여형조사 방식은 이제 형성되어 가는 중이다. ‘기술의 정치’ 과정에서 이 방식은 상향식 민주주의로 진화할 수도 있고 단지 기능주의에 불과한 것으로 남겨질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In 2017, the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on Shin-Gori Nuclear Reactors No. 5 & 6 was set up to decide whether to build a nuclear power plant at Shin-gori through a deliberative polling method. Finally, 471 citizens completed the deliberative polling (participatory survey methodology) processes. Since then, this particular method has become widely known and has become a form of social decision-making. Nevertheless, actual discussions for the related analysis and its methodological development are rare. The group (government committee) that conducted the deliberative polling, and the entities that supported the “construction resumption” opinion did not feel the necessity of more analysis; meanwhile, environment movement groups were greatly disappointed with this case so that they also do not want to paying any specific attention for more analysis. This paper uses mixed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We first explored the deliberative polling methodology, which also is a mixtur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itself. We are here concerned with the “Technological citizenship” that is as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is study. Our purpose is to find ‘them’ within that polling data released by the committee. Next, our paper presents the differentiating patterns of citizen participation decision making by analyzing the raw data. In this process, it could expect to be able to meet a ‘the identity of technological citizen’ emerging over the analysis data. The study also raises some questions and offer few specific suggestions on deliberative polling methodology. That method is now being form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ould either evolve into a form of bottom-up democracy or just be a simple functional tool of the technological politic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