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광산지역에서의 땅밀림 사례 분석

        박재현,박성균 한국산림과학회 201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7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subsidence and land-creeping in four mining areas in Korea. Land creeping were occurred by large-scale sinkholes and tensile cracks in the mining areas. This ares showed the shape as large-scale landslides by the collapsed stone debr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rock type in the No. 4 survey area was sandstone and shale, whereas that of other three areas was limestone. The limestone was generally vulnerable to land creeping. The ground subsidence and land creeping in four mining areas were located near the ridge of the mountain. The land creeping by ground subsidence in the mining areas showed complex shapes due to the cavity of underground tunnel and the colluvial debris by gravity in the mountain area, whereas the land creeping in Korea are in the shape of landslide. The average slope of the mining area was ranged from 30.4° to 33.7°. The values were higher (1.5°~4.8°) than the average slopes for landslide areas.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4개 광산지역에서 발생된 지반침하로 인한 땅밀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땅밀림이 진행되 고 있는 광산지역은 대규모 함몰, 인장균열 등이 나타났고, 붕괴된 토석이 중력방향으로 밀려 내려와 대규모 산사태와 같 은 형상을 나타내었다. 주 구성암석은 4번 조사지역이 사암 및 셰일이었고, 나머지 3개 지역은 모두 석회암 지역으로 땅 밀림에 취약한 암석지역으로 나타났다. 4개의 광산지역에서 발생된 지반침하로 인한 땅밀림이 발생된 위치는 4/10~ 10/10부 능선 지역으로 모두 산지 정상부에 가까운 곳에서 발원하였다. 광산지역을 제외한 우리나라에서의 땅밀림은 모 두 사태형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 광산지역에서의 지반침하로 인한 땅밀림은 지하갱도의 공동으로 산지부의 중력에 의 한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된 함몰형과 땅밀림의 영향으로 사태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균산지경 사도는 30.4゜~33.7゜로 우리나라 땅밀림지의 평균경사도 약 28.9○보다 1.5゜~4.8゜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성인의 국어 말하기 능력 실태 조사 결과 분석 - 2018년 국민의 국어능력 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

        박재현,허모아,민병곤 한국화법학회 2020 화법연구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adults’ speaking 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and compare it with results from 2013,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2018 National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NAKLA),” to determine academic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speaking ability of 2,939 people aged 20 to 69 years, sampled by probabilities proportional to size. The level of speaking ability was analyzed based on variables such as age group, gender, district size, occupation, level of education, major, reading amount, and internet usage.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gender, age, occupation, and level of education, but not in district size. Furthermore, an analysis by background variabl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reading amount and internet usage, but not in major. The study was meaningful as 2,939 adults in Korea were selected using a “sampling with probabilities proportional to size” method to directly evaluate their speaking ability. The implementation of the assessment and grading can contribute to basic data at both educational and policy levels as a wide variety of group variables has been established on a national scale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 KCI등재

        양산시 어곡터널 상단부 땅밀림지 특성에 관한 연구

        박재현,이상현,탁경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터널 상단부 비탈면에서 발생한 땅밀림지의 지질, 지형,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땅밀림 피해방지를 위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지는 2020년 8월 말 태풍 ‘마이삭’과 9월 태풍 ‘하이선’으로 인한 집중호우로 인한 발생한 땅밀림지이며, 항공사진을 통해 확인한 결과 2001년 항공사진에는 작업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013년에는 땅밀림 발생지 주변으로 계곡 및 산지 침식의 발생으로 훼손지가 나타났다. 2015년에는 일부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되어 훼손면적은 줄었지만, 2020년 태풍으로 땅밀림이 발생하였다. 주 구성암석은 점질토가 다량 포함되고 풍화가 매우 깊이 진행된 퇴적암으로서, 붕적토 땅밀림으로 나타났으며, 땅밀림에 취약한 지질을 구성하고 있는 지역이다. 땅밀림으로 붕괴된 지역의 산지 상단부는 평평한 지형으로 강우 시 빗물의 집수가 용이한 凹형 지형을 이루고 있어서 산지 하단부에 지하수가 집수되어 땅밀림 붕괴를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추조사결과, 땅밀림이 발생한 풍화토, 붕적층과 풍화암층은 약 13.0∼24.5m 깊이의 범위로 땅밀림이 발생한 인장균열과 단차로부터 사면 하단부까지의 붕괴 높이와 유사하였다. 특히 풍화토는 암편과 점토질모래, 붕적층은 자갈 섞인 실트질점토, 풍화암은 암편과 점토질모래로 구성되어 땅밀림에 취약한 지질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 유동은 남서방향과 남쪽방향으로 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수의 유동방향과 땅밀림으로 붕괴된 방향과 일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landcreep damage by analyzing the geological, topograph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creep in Eogok-dong, Yangsan-si, Gyeongsangnam-do. The target site is landcreep caused by torrential rains caused by typhoon "Mysak" in late August 2020 and typhoon "High Line" in September, and aerial photographs in 2001 showed that work paths were formed, and in 2013, damaged areas were caused by erosion of valleys and mountains. In 2015, some vegetation was restored naturally and the damaged area was reduced, but the typhoon in 2020 caused landcreep. The main constituent rock is a sedimentary rock area that contains a large amount of clay soil and has progressed very deeply in weathering, and is an area that constitutes a geological property that is vulnerable to landcreep. It was found that the upper part of the mountain area collapsed by the landcreep is a flat topography, forming a 凹 shaped topography that facilitates the collection of rainwater during rainfall, and groundwater is collected at the lower part of the mountain, increasing the collapse of the landcreep. As a result of the drilling survey, the weathered soil, the collapse layer, and the weathered rock layer with landcreep were similar to the tensile crack with landcreep in the depth of about 13.0 to 24.5m, and the decay height from the step to the lower slope.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weatheredsoil consists of rock and clay sand, gravel-mixed silt clay for the crumbling layer, and rock and clay sand for weathering rocks, indicating a geological composition vulnerable to landcreep. The groundwater flow was found to be directed in the southwest and south directions, and wa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the groundwater flow and the direction of collapse due to the landcree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