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자(讀者) 지향적(指向的) 추고(推敲) 전략(戰略) 연구-대학생(大學生)의 글을 대상으로-

        박재연 ( Bak Jae-ye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1

        이 論文은 글쓰기 敎育에서 이용할 수 있는 두 가지 讀者 指向的 推敲 戰略을 제안하고 그 戰略이 大學 글쓰기 指導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筆者 指向的 글쓰기’와 ‘讀者 指向的 글쓰기’의 개념을 구별하였다. 본고에서 ‘校正’이라는 용어 대신 ‘推敲’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를 밝혔으며 특히 讀者 指向的 글쓰기에서 효과적인 퇴고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Grice(1975)의 對話 格率 중 ‘量의 格率’과 談話話用論의 前景과 背景 개념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두 가지의 讀者 指向的 퇴고 전략, 즉 “情報의 量을 조절하라”, “前景 情報와 背景 情報를 구별하고 前景 情報를 부각하라”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推敲 戰略이 大學 글쓰기 敎育에서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보이기 위해 大學生이 쓴 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수정한 예를 보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 some reader-oriented revising strategies and present how those strategies can be applied to the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 writing. First, I define the concepts of ‘writer-oriented writing' and ‘reader-oriented writing', and explain the reason why I use the term ‘revising' instead of ‘proofreading.' I suggest that effective revising strategies should be used especially in ‘reader-oriented writing'. Two suggested reader-oriented revising strategies are “to regulate the quantity of conveyed information,” and “to distinct and highlight foreground information from background information.” The theoretical basis of strategies lies in the conversational maxims (Grice, 1975) and the distinction of foreground/background in discourse pragmatics. I analyse some examples of students' compositions and elaborate them using two reader-oriented revising strategies suggested abov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어와 영어의 양태 표현에 대한 대조적 고찰: 부정과 관련한 문법 현상을 중심으로

        박재연 ( Bak Jae Yeon ) 이중언어학회 2003 이중언어학 Vol.22 No.-

        In this study, I examine the modal expressions of Korean and English, and contrast the grammatical properties of them found in negation. In Korean, the formal categories which express modal meanings are some endings and periphrastic constructions, whereas

      • KCI등재

        한국어의 인식론적 범주와 관련한 몇 문제

        박재연 ( Bak Jae-yeon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6 No.-

        이 논문은 ‘증거’ 및 ‘내면화’ 범주를 포함하는 한국어의 인식론적 범주와 관련한 문제를 다룬다. 첫째, 한국어의 ‘내면화’ 범주의 성격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어에서 ‘새로 앎’과 ‘이미 앎’의 구별은 해당 정보가 화자의 지식 체계에 얼마나 안정되게 자리 잡았는가를 따지는 것으로서 ‘의외성’의 문자적 의미와도 거리가 있고 문장 유형의 하위 부류로서의 ‘감탄’과도 구별된다. 둘째, 증거와 내면화 범주의 상관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어에서 ‘새로 앎’의 내면화 속성을 가지는 어미는 동시에 증거를 명세화하는데 이는 증거를 명세화하는 일은 주로 새로 알게 된 정보에서 요구되기 때문이다. 셋째, 과거 시제 형식이 ‘지각’이나 ‘새로 앎’의 속성을 가지는 어미와 결합될 때 나타나는 ‘흔적 지각’ 혹은 ‘뒤늦은 깨달음’의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과거 시제 형식이 ‘지각’ 혹은 ‘새로 앎’의 형식과 결합할 때 산출되는 무표적인 해석은 ‘흔적 지각’이며 ‘뒤늦은 깨달음’은 특수한 문맥에서 산출되는 화용론적 해석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 some problems on the semantics of epistemological categories in Korean. Firstly,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ssimilation’ or ‘mirativity’.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endings like ‘-deo-’, ‘-ne’ are not related to the literal meaning of ‘mirative’. They specify the degree of speaker's assimilation of information to his/her knowledge system. I insist that the meaning of ‘unassimilated information’ should also be discriminated from the exclamative that is subcategory of sentence type. Secondly, I discuss the correlation of evidentiality and assimilation. It is very often that the forms that express ‘unassimilated information’ simultaneously express evidential meanings. This is because specifying the kinds of evidences is unnecessary in case of assimilated information. Thirdly, I examine the meaning of ‘perception of trace’ or ‘deferred realization’. They are the meanings that can be produced in the combination of past tense and evidential or assimilation. ‘Perception of trace’ can be treated as the unmarked interpretation and ‘deferred realization’ can be treated the pragmatic interpretation in special contexts.

      • KCI등재

        한국어 연결어미 의미 확장에서의 환유와 은유

        박재연 ( Bak Jae-yeon ) 국어학회 2014 국어학 Vol.70 No.-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연결어미에서 발견되는 의미 확장을 환유적 확장과 은유적 확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행’의 의미를 가지는 ‘-어서, -다가’ 등이 ‘원인’ 혹은 ‘조건’의 의미로 발달하는 의미 확장은 문맥에서 발생한 함축이 의미 성분으로 관습화하는 의미 성분 추가 현상에 의한 것으로서 인접한 의미로의 전이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환유적 성격을 가진다. 반면 ‘목적’의 의미를 가지는 ‘-느라고, -답시고’가 ‘원인’의 의미로 발달하는 의미 확장은 기존의 의미 성분의 일부가 삭제되는 의미 성분 삭제 현상에 의한 것으로서 역시 인접한 의미로 전이되는 환유적 과정이다. 그러나 연결어미의 의미 확장에는 이와는 전혀 다른 성격의 은유적 확장이 존재한다. ‘대립’의 ‘-지만’, ‘조건’의 ‘-으면’, ‘원인’의 ‘-으니까, -어서’ 등은 일반적으로 ‘내용 영역에서의 대립, 조건, 원인’을 나타내지만 ‘인식 영역에서의 대립, 조건 원인’이나 ‘화행 영역에서의 대립, 조건, 원인’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는 서로 다른 영역을 넘나들며 발생하는 은유적 과정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fferentiate two kinds of semantic extensions in Korean connective endings: one is metonymic and the other is metaphoric. The semantic extension from ‘preceding’ to ‘cause’ or ‘condition’ found in ‘-eoseo, -daga’ is the metonymic process by adding a semantic component. The semantic extension from ‘goal’ to ‘cause’ found in ‘-neurago’ and ‘-dapsigo’ is also the metonymic process by deleting a semantic component. By contrast, the metaphorical semantic extension can be found in connective endings. The primary senses of ‘-jiman, -eumyeon, -eunikka, -eoseo’ are ‘contrast, condition, cause’ in content domain, but they can be used as ‘contrast, condition, cause’ in epistemic domain or speech act domain. This semantic extension is a kind of metaphoric process by cross-domain mapping in the different two domains.

      • KCI등재
      • KCI등재

        양태와 관습적 간접 화행의 환유적 연계 -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

        박재연 ( Bak Jae-yeon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3 No.-

        이 논문은 관습적 간접 화행에서 양태와 화행이 환유적 관계를 가진다고 보고 ‘요청(request)’의 관습적 간접 화행에서 양태 형식이 수행하는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청의 관습적 간접 화행에 ‘소망, 능력, 허가, 금지, 의무, 의도’ 등의 양태 요소가 사용되는 이유는 이러한 양태 의미가 요청 시나리오의 일부분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둘째, 요청의 관습적 간접 화행에서 어떤 문장 유형이 사용되는가는 간접 화행 환유의 매체로 선택되는 양태의 성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셋째, 요청 상황의 하위 유형에 따라 선호되는 양태 표현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요청 시나리오의 ‘이전 부문’과 관련되는 ‘소망, 능력, 허가, 금지’의양태 표현은 화자 수혜 요청에서 좀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요청 시나리오의 ‘결과 부문’과 관련되는 ‘의무’ 표현은 청자 수혜 요청에서 좀더 자연스럽다. ‘이후 부문’과 관련되는 ‘의도’ 표현은 두 유형의 요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넷째, 통사적 구성의 양태 표현보다는 문법화가 완료된 양태 어미가 요청의 관습적 간접 화행에서 선호된다. 이는 문법화가 진행됨에 따라 문법 형식이 화·청자 지향성을 띠면서 수행성을 가지게 된 것과 관련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odality and speech act in the conventional indirect speech act of ‘request’. Firstly, it is assumed that conventional indirect speech act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metonymic phenomenon in that modal meanings are metonymic vehicles for speech acts which are metonymic targets. In conventional indirect speech act of ‘request’, it is observed that several modal meanings such as ‘desire, ability, permission, prohibition, obligation, intention’ are used. This is because the speech act scenario of ‘request’ is closely related to modal meanings. Secondly, the sentence type which is used in the indirect speech act of ‘request’ has the close relationship to the modal expression used in the sentence. Thirdly, the sentences including ‘desire, ability, permission, prohibition’ express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BEFORE component’ of scenario are preferred in the “speaker-benefited request”, while the sentences including ‘oblig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RESULT component’ of scenario are preferred in the “hearer-benefited request”. The sentences including ‘intention’ are used generally in both types of request. Fourthly, more grammaticalized forms are preferred as metonymic vehicles for indirect speech act of request.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grammaticalized endings have the performative property, while periphrastic constructions are descriptive in principle.

      • KCI등재

        한국어 어미 결합에서 나타나는 비합성적 의미 해석

        박재연 ( Jae Yeon Bak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5 언어와 정보 사회 Vol.26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emantic non-compositionality found in some Korean ending-syntagms In general, the ending-syntagms are interpreted compositionally because the endings are syntactic elements in nature. However, the semantic interpretations of ‘-gessne, -deoguna, -deongayo, -gunyo, -gessseupnida, -eossdeonga’ are not always compositional. The mechanism of non-compositional interpretation in ‘-gessne, -deoguna’ can be ‘active components phenomenon’ which includes activating some semantic components and deleting other ones. ‘Filing a gap’ is supposed to be operated in case of ‘-deongayo, -gunyo, -gessseupnida.’ It is the mechanism that the meanings of the ending syntagms move to the lexical gaps in the semantic systems. ‘Finding a new position’ is the mechanism which is operated in the non-compositional interpretation of ‘-eossdeonga’. The meaning of ‘-eossdeonga’ has sought out the new meaning position which is more useful than its compositional meaning. ‘Active components phenomenon’, ‘filing a gap’ and ‘finding a new position’ are some kinds of metonymic procedures in the cognitive perspective.

      • KCI등재

        한국어 의도 관련 어미의 환유적 의미 확장

        박재연 ( Bak Jae-yeon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8 No.-

        본고는 몇몇 의도 관련 어미들이 보이는 다의성을 행위주 변동 현상의 결과로 기술하고 이러한 의미 확장을 환유적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먼저 ‘-을게’의 의미 확장 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약속’을 기본 의미로 하는 ‘-을게’는 의미 추상화 과정을 통해 2단계 의미 ‘청자를 고려한 화자의 의도’로 확장된다. 최근 등장한 ‘-을게’의 비규범적 용법은 3단계 의미로서, 2단계 의미에서 행위주 변동 현상이 발생한 결과인 ‘청자의 행위에 대한 화자의 의도’로 기술할 수 있다. 이는 의미적 인접성에 기반한 환유적 과정으로 이해된다. 다음으로 ‘-읍시다, -세, -자’ 등 청유형 어미의 의미 확장 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유형 어미가 화자 혹은 청자만을 행위주로 하는 용법을 보이는 것 역시 의도를 포함한 어미에서 행위주 변동 현상이 일어난 환유적 의미 확장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을까, -으련’ 등 의도를 포함하는 의문형 어미의 의미 확장 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들의 기본 의미는 모두 ‘화자의 행위에 대한 청자의 의도(의견)’를 묻는 것인데 문맥에 따라 ‘청자의 행위에 대한 청자의 의도’를 묻는 용법을 보이기도 한다. 이 역시 환유에 기반한 행위주 변동 현상의 결과로 간주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olysemy of some Korean endings including modal meaning ‘intention’. At first I give my attention to non-normative use of ‘-eulge’ which is found in comtemporary Korean. The primary sense of ‘-eulge’ is ‘commissive’ and the secondary sense is ‘speaker's intention on speaker's act(considering hearer)’ This meaning extension is a kind of semantic abstraction. The tertiary sense which is new and considered non-normative is ‘speaker's intention on hearer's act’. This is the result of agent-changing from the secondary sense. I regard this extension as a kind of metonymic procedure on the basis of semantic contiguity. The similar kind of agent-changing can be found in other Korean endings including ‘intention’. Hortative endings ‘-eupsida, -se, -ja.’ can be used as the secondary sense ‘roundabout imperative on hearer's act’ and the tertiary sense ‘roundabout asking hearer to help speaker's act’. This extension can also be understood as metonymic procedure. The similar agent-changing is found in Interrogative ending ‘-eulgga, -euryeon’. Their primary sense is ‘asking hearer's intention on speaker's act’. But in some context, they can express ‘asking hearer's intention on hearer's act’. I insist this polysemy could be explained in terms of metonymic extension.

      • KCI등재

        새로 발굴한 古時調集 『古今名作歌』 硏究

        구사회(Gu Sa-Hoe),박재연(Bak Jae-Yeon) 한국시조학회 2004 시조학논총 Vol.21 No.-

        최근에 발굴된 『古今名作歌』는 황색 고정지에 기록된 필사본 고시조집이다. 『고금명작가』는 조선 영조 17년인 1740년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 필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바, 시조사적으로도 초기시조집에 해당된다. 필자의 조사에 의하면 이 시조집에는 78수의 시조가 실려 있는데 그 중에서 9수는 아직 학계에 보고 되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들이다. 『고금명작가』에 실려 있는 시조 작품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조집에서는 다른 시조집에 비하여 한자를 피하고 국문위주의 표기법을 고수하고 있는데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기의 국어학적 특징을 보인다. 둘째, 이들 시조 작품들은 다른 시조집의 작품과 비교하여 이본적 가치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어휘와 어구가 바뀌거나 초장이나 종장 자체가 달라지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이다. 셋째, 새로 발굴한 시조 9수 중에서 2수는 중국 악부의 일종인 〈大風歌〉와 〈垓下歌〉를 시조로 바꾼 것이다. 그런데 한시가 아닌 樂府를 시조로 개작한 작품이 선정된 것은 시조집 편찬자가 시조와 악부가 지닌 노래와의 상관성을 놓치지 않고 헤아렸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들 9首 중에서〈9〉와 〈10〉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和答歌이다. Newly discovered 『Gogeummyeongjakga』 is a copy collection of the old poetry SI-JO, which is specified in the book of yellow Gojeongji. 『Gogeummyeongjakga』 is guessed to be copied before the 17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1740) and thus it's the early collectio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verse, Shijo.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re are 78poems in the collection and nine out of them hasn't been yet reported to the Korean Academy. The characteristics of Shijo in the book are followed. First, The collection is different from other books since the book was written in Korean instead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hows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late 17th and the early 18th century. Secondly, there are different versions of a poem in the collection, which is quite unusual in the other collections. There are different words or phrases used in different versions and even the whole verse is modified in some cases. Thirdly, two out of newly discovered nine short lyric songs is transformed from <Daepungga> and <Haehaga> that are kind of Chinese Ak-Bu. By the way, the compiler of 『Gogeummyeongjakga』 seemed to understand the co-relation between Ak-Bu and Ship, and that's why he chose transformed Ship from Ak-Bu not Chinese poetry. Among nine poems, <9> and <10> are newly discovered responding songs unknown up till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