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인천광역시 남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 연구

        박숙현,한봉호,최진우,최태영,Park, Suk-Hyeon,Han, Bong-Ho,Choi, Jin-Woo,Choi, Tae-Young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남구의 주민 생활과 밀접한 생활권 주변 지역과 커뮤니티 공간을 연계한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여 생활권 녹지의 확충 및 지역 커뮤니티 형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도시생태 특성으로 토지이용과 녹피율을 조사 분석하여 녹지 확보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거주지 주변 시설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남구를 생활권별로 구분하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을 설정하였고, 노선별 특성을 분석 및 유형화하여 유형별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는 시가지 87.7%,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가 12.3%이었고, 녹피율은 17.51%로 녹지가 매우 부족하였다. 녹지의 반 이상이 도시외곽에 분포한 면적이 넓은 산림으로서 도시 내 주민 생활권 주변의 녹지확보가 필요하였다. 남구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시설은 교육시설 7.7%, 공원시설 1.7%, 녹지시설이 1.9% 등으로 교육시설의 비율이 높았다. 남구의 생활권을 총 31개로 구분하였고, 생활권 내 커뮤니티 시설과 녹지를 연계할 수 있는 커뮤니형 그린웨이 20개 노선을 선정하였다. 노선별 특성은 토지이용 및 가로환경과 커뮤니티 시설 측면으로 종합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의 유형화는 그린웨이 계획의 기능과 목적, 주변 토지이용현황, 커뮤니티 시설 유형을 고려하여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별 조성방안은 그린웨이 기능과 목적에 따른 조성방향, 주거지역과 상업업무 지역으로 구분한 토지이용 유형별 조성방향, 근린생활형, 교육형, 종교형, 레크리에이션형 등 커뮤니티 시설 유형별 조성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그린웨이 녹화유형별 녹화구상에 적합한 녹화방법으로 벽면녹화, 옥상녹화, 베란다 녹화와 같은 건축물 차원과 공원, 학교, 공공기관, 도로, 주차장, 자투리공간과 같은 단지차원으로 구분하여 각 그린웨이 유형별 조성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suggested to enlarge the green area and to connect and improve the present green areas by deriving the lines of community greenway using living areas and community spaces close to the life of residence in Nam-g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 of establishing greenway for the formation of community in which the residence can grow the community spirit and love their living space much more. Land-use status, green coverage ratio, and impermeability paving ratio are investigated. The community facilities are classified. The highest is educational facility, which is 7.7%, the green facility is 1.9% and the total area of community facilities which is 21.4%. The total area of Nam-gu is divided into 31 zones in total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mail roads and reserved land of railroad and urban development. The total 20 lines of community greenway lines are chosen and the total length of lines is 18.2km.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reenway lines ar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reenway lines are overall estimated according to the land-use, the street environment and the community facilit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ommunity greenway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n the function and purpose of greenway, the present status of land-use and the type of community facility. Based on the field investigation, the 6 greenway types are suggested considering the interconnection. The method of establishment of community greenway is sugges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unction and purpose, the principle of land-use and the principle of use of the facilities. Furthermore, the planting methods suitable to each greenway type are suggested in the building planting case of wall planting, roof planting, veranda planting, etc., and in the complex planting of parks, schools, roads, parking lots and other small areas.

      • KCI등재
      • 제4분과 : 생태계 서비스 ; 인천광역시 남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 연구

        박숙현 ( Suk Hyeon Park ),한봉호 ( Bong Ho Han ),최진우 ( Jin Woo Choi ),최태영 ( Tae Young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현대 도시는 고밀도의 토지이용, 불투수 포장면의 증가, 자동차 사용의 증가, 각종 개발 등으로 인하여 녹지가 훼손되고, 파편화되었으며, 거주환경은 날로 악화되고 있다. 최근 시민들의 만족과 도시의 쾌적성을 높이고자 많은 양과질의 공원녹지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개별사업에 의한 독립적인 조성으로 녹지간 연계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현대인들은 경제적 풍요와 여가 시간의 증가 등으로 도시민의 건강, 도시 환경, 인간적 교류를 추구하는 커뮤니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녹지 공간과 지역 내 커뮤니티 시설을 연계한 그린웨이 조성으로 도시의 부족한 녹지 확보 및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대상지인 인천광역시 남구는 주민생활과 밀접한 시가지 내 녹피율이 10% 미만으로 생활권 주변 녹화를 통한녹지 확충 및 기존녹지와의 연결을 위한 그린웨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민 생활과 밀접한 생활권 주변 지역과 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한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을 도출함으로써 부족한 녹지공간 확충, 기존 녹지의 연결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장기적으로 지역 주민들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을 더욱 아끼고 사랑할 수 있는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의 도시생태계 및 커뮤니티시설 현황 파악을 위해 도시 연혁, 도시계획을 검토하였고, 토지이용, 물순환, 생물다양성 현황 등의 환경생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녹지 확보 및 연결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거주지 주변 커뮤니티시설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 선정은 남구를 생활권별로 구분하여 생활권 내 주민의 주 이용 노선과 커뮤니티 형성 가능 지역을 연계하는 노선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노선별 특성을 분석하였고 유형을 구분한 후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유형별 녹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는 시가지 87.7%,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가 12.3%로 녹지가 매우 부족하였다. 남구의 녹지 면적은 전체면적의 12.0%이었고, 녹피율은 17.51%이었다. 남구의 전체 녹지용적은 10,438,866㎥이었고, 1인당 녹지용적은 25.0㎥로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35.8㎥에 비하여 낮아 녹지 용적이 부족하였다. 물순환 특성에서 옥상녹화가 가능한 건물 면적은 8,132,566㎡로 남구 전체의 32.7%를 차지하였고, 불투수면적은 17,457,665㎡로 남구 전체의 70.2%를 차지하여 빗물이 땅으로 흡수될 수 있는 면적이 협소하였다. 생물다양성 특성으로 현존식생은 문학산, 수봉산, 승학산 등을 중심으로 한 산림지역에서 아까시나무림이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였고, 자생종 보다 외래종의 비율이 두 배이상 높아 생태적 식생관리가 필요하였다. 야생조류는 총49종 1,615개체가 산림지역을 중심으로 관찰되었고, 거점 녹지를 이동하는 딱따구리가 관찰되어 야생조류 이동 및 서식처 확대를 위한 녹지연결이 필요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시설은 총 12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남구 전체 면적의 21.4%를 차지하였다. 초·중·고·대학교 등 교육시설은 98개소가 분포하여 남구 전체의 7.7%의 면적을 차지하였고, 산림은 문학산, 수봉산, 승학산 3개소로 6.6%의 면적이었다. 녹지시설은 134개소로 1.9%의 면적이 분포하였고, 공원시설은 114개소로 1.7%이었다. 복지시설(5개소)과 광장(3개소), 철도역사(3개소) 등은 0.1% 이하의 작은 면적으로 소수가 분포하였다. 커뮤니티 시설은 주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적 성격의 공간으로 주민간의 교류 장소이며, 공적 녹지의 조성이 가능한 장소이었다. 인천광역시 남구의 생활권 구획은 행정동 차원과 주요 큰 간선도로 및 철도, 도시개발예정지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총 31개 블록으로 구분하였다. 생활권별 녹피율을 분석한결과 녹피율 5% 미만 생활권이 16개, 녹피율 5∼10% 생활권은 5개, 녹피율 10∼20% 생활권은 7개, 녹피율 20% 이상생활권은 3개로 평균 녹피율 5% 미만인 블록이 전체 생활권 블록의 51.6%이었다. 생활권 구획 결과 문학산, 수봉산, 승학산,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가 위치한 블록에 생활권 녹지가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 특히 승학산이 포함된 생활권 블록은 녹피율이 32.3%로 가장 높았다. 문학경기장을 포함한 생활권 블록은 문학정보고등학교, 인천여자신학교, 문학동 주민센터 등이 위치하여 녹피율이 23.5%로 높았다. 수봉산이 포함된 생활권 블록은 도화초등학교, 인천남중학교, 용정초등학교 등 많은 교육시설과 근린공원이 위치하여 녹피율이 20.6%이었다. 인천광역시 남구의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은 생활권구획 내 지역주민이 주로 이용하는 이면도로를 대상으로, 학교, 주민센터, 시장, 공원 등 지역주민의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는 가능 지역을 경유하도록 선정하여 커뮤니티 블록 단위에서 총 20개 노선, 18.2㎞를 선정하였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별 특성은 토지이용 및 가로환경과 커뮤니티 시설 측면으로 종합적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그린웨이 노선기능은 이동/교통, 여가, 생태/심미 목적으로 구분하였고, 토지이용으로 주거지역과 상업업무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커뮤니티 시설 유형은 이용목적별로 교육형, 근린 생활형, 종교형, 레크레이션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주민이 주로 이용하는 주민센터, 복지시설, 기타 공공기관 등은 근린생활형, 학교시설 등 교육시설은 교육형, 교회, 성당 등의 종교시설은 종교형, 공원 및 녹지, 운동시설 등은 레크리에이션형으로 구분하였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유형은 노선의 특징을 그린웨이 계획의 기능과 목적, 기존 토지이용현황, 커뮤니티 시설 유형에 따른 기준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실제 노선 조사를 바탕으로 상호연관성 정도를 파악하여 6가지의 그린웨이 유형을 제안하였으며, 다양한 목적과 기능들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복합적으로 계획하였다. Type 1은 이동/교통, 주거지역, 근린생활형의 유형으로 3개 노선이 해당되었고, Type 2는 이동/교통, 주거지역, 교육형과 종교형의 유형으로 2개 노선이 해당되었으며, Type 3은 이동/교통, 주거지역, 교육형과 레크리에이션형의 유형으로 3개 노선이 해당되었다. Type 4는 이동/교통, 상업지역, 종교형 유형으로 3개 노선이 해당되었고, Type 5는 여가, 주거지역, 교육형과 레크리에이션형 유형으로 3개 노선이 해당되었다. Type 6은 생태/심미, 주거지역, 레크리에이션형 유형으로 6개 노선이 해당되었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은 그린웨이 기능과 목적별, 토지이용 유형별, 커뮤니티 시설 유형별 조성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린웨이 기능과 목적별 조성방안으로 이동/교통 유형은 도로구조 개선 및 수목식재 등을 통한 보행자 위주의 숲길과 담장녹화, 벽면녹화, 골목길녹화 등 쾌적한 환경제공, 이동에 편리한 보행자전용도로 확보를 제시하였고, 여가 유형은 산책과 운동의 장소 제공과 휴게공간 확충, 거주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간에 여가, 체육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원, 쉼터 확충을 제시하였으며, 생태/심미 유형은 동식물의 이동통로 등 생태적 기능이 가능하도록 인접녹지와 연계하며 산림내 사람의 접근을 최대한 통제하여 숲과 나무들로 이루어진 자연환경을 접함으로써 정신적 건강도모를 제시하였다. 토지이용 유형별 조성방안으로 주거지역은 담장허물기 등을 통한 도로구조와 차량통행방식 개선으로 무질서한 주차공간을 정비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 전환하며, 화목류 위주의 식재로 사계절 볼거리를 제공하고, 아교목층과 관목층 등 다층식재로 주변 녹지와 연결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독 주거지를 중심으로 텃밭조성, 골목길 녹화, 대문 위 녹화 등 녹지확충을 통한 풍부한 녹음으로 주변 공동주택 단지와 연계되어야 하며 공동주택 단지 내 베란다녹화, 화분걸이, 계단녹화, 옹벽녹화, 휀스 녹화 등 자투리 공간 녹화와 상자 텃밭 활용을 제시하였다. 상업업무지역에는 상가 앞 포트를 활용한 거리 특화 및 주차공간 녹화, 상가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화목류나 단풍식재 등 품위 있고 아름다운 수종의 녹화로 건물의 외관을 살릴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가로 변화단 및 이벤트 화분 등으로 업무종사자의 출퇴근 및 이동에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며 도로구조 개선 및 수목식재 등을 통해 차량보다는 보행자 위주의 숲길 조성을 제시하였다. 시설 유형별 조성방안으로 근린생활형 유형은 관공서 및 공공시설, 마트 등에 옥상녹화, 벽면녹화, 담장허물기, 화분녹화, 소규모화단 조성 등 녹지와 주민 휴게공간을 조성하여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함으로써 공원으로 기능하도록 하였다. 교육형은 학교 담장을 허물고 녹지를 확충하여 주민들에게 개방하고 담장녹화, 옥상비오톱, 옥상텃밭 조성, 다양한 종류의 꽃과 나무 식재로 볼거리 제공 및 학습의 효과를 제공하도로 하였다. 종교형은 내부 녹지대개방, 담장허물기, 담장녹화, 벽면녹화 등을 통해 휴식처를 제공하고, 잔디주차장 녹화로 녹량을 증진하도록 하며, 레크리에이션형은 공원, 산림 등 주변 녹지와 연계되게 조성하여 생태통로 및 서식처로 기능하며, 유휴지나 공지 등에 공원 및 쉼터를 조성하여 휴식 및 만남과 화합을 위한 지역공동체 공간조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스테비아 잎 분말 첨가 오미자편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특성

        박숙현 ( Suk-hyun Park ),심기현 ( Ki Hyeon S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0 No.4

        This study added stevia leaf powder at ratios of 0.5, 1.0, 1.5, and 2.0 percent to Omija-pyun (Schisandra chinensis Jelly) as a natural low-calorie sweetener instead of sugar which is added to Omija-pyun in considerable amounts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the addition of sugar. Moisture content of Omija-pyun expanded by increasing the measurement of stevia leaf powder (p<0.001), pH (p<0.01) and sugar content (p<0.001) decreased. L-values and b-values revealed a tendency to increase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but a-value revealed a tendency to decrease (p<0.001). Hardness (p<0.001) and chewiness (p<0.05) decreased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Based on the consumer preference evaluation, Omija-pyun with the addition of 0.5 percent stevia leaf powder was the most preferable in terms of color and flavor (p<0.001). The control group and Omija-pyun with the addition of 0.5 percent stevia leaf powder was the most preferable in terms of taste and texture (p<0.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ganoleptic properties except hardness between the samples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The control group revealed the highest preference in terms of redness and transparency, and redness and transparency tended to decrease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p<0.001). Organoleptic properties on bitterness and sourness were enhanced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garding antioxidant properties, total phenol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of Omija-pyun increased by adding more stevia leaf powder, and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lso increased (p<0.001). Based on results, it is preferable to serve Omija-pyun with the addition of 1.0 percent stevia leaf powder instead of sugar within the context of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단호박 가루를 첨가한 호상요구르트의 품질 특성

        정현아 ( Hyeon A Jung ),김안나 ( An Na Kim ),안은미 ( Eun Mi Ahn ),김유정 ( You Jeong Kim ),박숙현 ( Suk Hyeon Park ),이재은 ( Jae Eun Lee ),이수미 ( Su Mi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5

        Sweet Pumpkin (Cucurbita maxima) is rich in minerals, vitamins, and dietary fibers and has less fat. It is thus effective for dieting and for preventing constipation. Sweet Pumpkin contains vitamin A, particularly beta-carotene, which is turned into retinol in the body and helps protect the vision. It is currently on the spotlight as a vision care, anticancer, and diet food, among others, but because it is hard to find yogurt made of Sweet Pumpkin, in this study, Sweet Pumpkin powder was added to yogurt for promotion as a new health food. Yogurt was made with 0, 0.5, 1, 2, and 3% Sweet Pumpkin powder, and the color properties (br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viscosity, pH, and acidity were measured through a sensory test (color, flavor, taste, overall acceptability). The storage stability at five-day intervals for one day, five days, ten days, 15 days, etc. was also experimented on. For the color properties, the greater the amount of Sweet Pumpkin powder added, the greater the decrease in the lightness (L) value, but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increased (p<0.001). For the viscosity, it was decreased for five days and then increased by 47-68% for ten days. Th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age stability period: one day (p<0.001), five days (p<0.01), and ten days (p<0.01) (except 15 days). Fur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and acidity [pH: for one day (p<0.001), five days (p<0.01), and ten days (p<0.01); acidity: one day (p<0.001), ten days (p<0.05), 15 days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was shown, however, for 15 days, and in acidity for five days.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are highly estimated in the order of 1%>2%.3%>0%>0.5%.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1% Sweet Pumpkin powder is most suitable for manufacturing Sweet Pumpkin yogurt.

      • KCI등재

        대추 추출물과 이를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의 항산화능

        김안나,박숙현,정현아,Kim, An-Na,Park, Suk-Hyeon,Jung, Hyeon-A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jujube hot-water extraction and antioxidant. After extraction of hot-water jujube,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and functional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showed 22.33% of moisture content, 0.71% of crude lipid, 5.21% of crude protein, and 3.87% of ash. From DPPH test results, in concentrations of $1,000{\mu}g/mL$ of jujube extracts,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shown with 68.24%. The SOD ability in concentrations of $1,000{\mu}g/mL$ was 13.12%.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jujube extracts was 11.79% at $1,000{\mu}g/mL$. The yogurt with 0, 1, 2, 3 and 4% of jujube extracts was made, and the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and the functional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of jujube yogurt, showed 74.71~76.56% of moisture contents, 1.31~3.38% of crude lipid, 2.13~3.40% of crude protein, and 1.18~1.28% of ash. The DPPH test results showed 46.33% for 1% added jujube extract, 53.78% for 2% added jujube extract, 90.87% for 3% added jujube extract, and 89.58% for 4% added jujube extract. The SOD ability showed 4.93% for 1% added jujube extract, 7.28% for 2% added jujube extract, 11.38% for 3% added jujube extract, and 11.50% for 4% added jujube extract.

      • KCI등재

        다시마를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 제조의 품질 특성

        정현아 ( Hyeon A Jung ),김안나 ( An Na Kim ),안은미 ( Eun Mi Ahn ),박숙현 ( Suk Hyeon Park ),김민지 ( Min Ji Kim ),우연정 ( Yun Jung Yoo ),이유림 ( You Rim Lee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ovel salad dressing composite recipe of natural seasoning containing the dried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that has a high preference.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is included in the vitamins and minerals, magnesium, calcium, iodine, iron content, such as high, and contained in Sea tangle alginate is not a small conference known as dietary fiber. To manufacture salad dressing with sea tangle, dressing with 0%, 3%, 6%, 9%, and 12% added sea tangle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quality. The pH tende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d sea tangle in addition but in contrast, acidity showed. The ``L`` color decreased with added sea tangle, whereas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Brix measurements increase with added sea tangle. The strength texture results, 0% was the highest, lowest 9%. Bitterness and chewiness texture results, 9% was the highest, lowest 0%. According to the sensory test results, in the topic overall quality 3% was by 3.76 point the highest. But, during total nine clause, in clause six, by 6% was the highest.

      • KCI등재

        생강을 이용한 샐러드드레싱 제조의 품질 특성

        정현아(Hyeon A Jung),박숙현(Suk Hyeon Park),김안나(An Na Kim) 한국조리학회 2013 한국조리학회지 Vol.19 No.2

        To manufacture salad dressing with ginger, dressing with 0%, 3%, 6%, 9%, and 12% ginger added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quality. The salad dressing products were evaluated for pH, acidity, chromaticity, salinity, sugar content, sensory test during storage up to 21 days at 4℃. The pH of the dressing increased with ginger added, whereas the acidity decreased(p<0.001). The L, a and b values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p<0.01). Brix measurements decreased with ginger added, whereas the salinity increased. Also, the salinity of the dressing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p<0.01). According to the sensory test results, dressing products with 9% and 12% ginger added were most preferred for the early storage days; however,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dressing with 6% ginger added was most preferred for seven test items according to storage period, indicating that the salad dressing added with 6% ginger was acceptable.

      • KCI등재

        단무지 제품의 보관온도 설정을 위한 저장 온도별 품질 특성

        정현아 ( Hyeon A Jung ),박찬성 ( Chan Sung Park ),박숙현 ( Suk Hyeon Park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6

        단무지는 단체급식 및 외식업체에서 소비되는 부식재료로 소비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운 여름철 상온에서 대량 소비처로 운반되는 단무지의 경우 미생물에 의한 부패와 효소작용에 의한 연화현상은 단무지 생산자들에게 해결해야할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소비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단무지에 대한 품질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포장된 단무지 제품의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변화와 특성을 비교하였다. 단무지의 저장 중 색도, 물성, 미생물 변화와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5℃와 25℃의 저장온도로 각각 나누어 3주간 조사 하였다. 단무지와 단무지 여액의 명도와 적색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지만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황색도의 경우 5℃와 25℃ 모두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단무지의 Hardness는 5℃의 경우 7일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고, 25℃의 경우는 14일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저장기간 중 단무지의 총 균수를 조사한 결과 저장기간 동안10(5) CFU/g로 거의 균수변화가 없었지만, 단무지 여액의 경우저장후기부터 균수가 늘어났다. 효모곰팡이 수는 단무지의 경우 5℃, 25℃ 모두 저장 7일까지는 증가하다가 단무지의 균수는 이후 변화가 없었고 단무지 여액의 균수는 계속증가 하였다. 단무지 저장별 관능적 특성은 맛의 전체적 기호도는 저장 14, 21일(5℃)에서 가장 높았으며, 향의 전체적 기호도는 저장 7일(5℃)에 보관한 단무지가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25℃에 보관한 단무지의 Texture, Color 기호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25℃에 보관한 단무지의 전체적 기호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전체적으로 5℃에 보관한 단무지의 기호도가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25℃에 보관한 단무지의 기호도보다 높게 나타나 단무지 제품의 보관온도는25℃보다는 5℃가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In this study, danmuji samples stored at 5 and 25℃ were examined for three weeks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color, property of matter, and microorganisms of danmuji, and its sensory properties, during its storage. The difference in the brightness and redness of danmuji and danmuji filtrate as their storage period became longer was not big but was significant, and their yellowness decreased following storage at both 5 and 25℃. The hardness of the danmuji sample stored at 5℃ showed the greatest value at day 7 while that of the danmuji sample stored at 25℃ showed the greatest value at day 14. It was found in the examination of the total cell number of the stored danmuji that the total cell number was 105CFU/g, with almost no change, but in the case of the danmuji filtrate, the cell number increased from the latter part of the storage. The number of yeast fungi increased until storage day 7 for both the danmuji sample stored at 5℃ and that stored at 25℃. The cell number of danmuji did not change since then while the cell number of the danmuji filtrate constantly increased. As for the sensory properties of each stored danmuji, the overall taste preference was highest at storage days 14 and 21 (5℃), and the overall scent preference was high for the danmuji that had been stored for 7 days (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exture and color of and the overall preference for the danmuji stored at 25℃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got longer. All in all, the preference for the danmuji stored at 5℃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danmuji stored at 2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us, it is thought that 5℃ is more appropriate than 25℃ as the storage temperature of danmuji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