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 사구체신염에서 육안적 혈뇨와 현미경적 혈뇨에 따른 임상양상의 비교

        박수화,정은수,심창은,김기혁,이종국,Park Su-Hwa,Chung Eun-Soo,Sim Chang-Eun,Kim Kee-Hyuck,Lee Chong-Guk 대한소아신장학회 2004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8 No.2

        목적: 본 연구는 지난 3여년간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 중 초기에 육안적 혈뇨를 보인 환아들의 임상양상을 관찰하고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인 환아들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경과 예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인제대학교부속 일산 백병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서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받은 환아 3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들의 평균 발병 연령은 8.85세 남녀 비는 1.1:1이었으며, 육안적 혈뇨를 보인 환아들(A군)은 17례,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인 환아들(B군)은 22례이었다. 두 군간의 부종, 핍뇨, 상기도 감염의 기왕력등의 빈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고혈압의 빈도는 A군 17례중 3례(17.6%), B군 22례중 11례(50.0%)로 B군에서 높았다. 검사 소견상 백혈구수, BUN, creatinine, ASO치는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보체치 C3와 C4는 B군에서 낮게 측정되었고 단백뇨의 정도를 나타내는 소변 내 단백/creatinine의 비와 24시간 소변내 단백량은 A군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질환에 의한 합병증의 발생이나 사망은 없었다. 결론: 초기에 육안적 혈뇨를 가진 환아들(A군)은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였던 환아들(B군)보다 고혈압의 빈도는 낮았으며, 단백뇨의 양은 많았다. 그러나 두 군간의 임상경과 및 예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대상 환아 전례에서 임상적인 호전을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 of acute poststreptocaccal glomerulonephritis (APSGN) between patients who had presented with gross hematuria and those with microscopic hematuria. Methods: Thirty-nine patients with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who were diagnosed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03 were enrolled. Results: The mean age was 8.85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1 Seventeen patients presented with gross hematuria at diagnosis(group A) and twenty-two patients had microscopic hematuria only(group B).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ncidence of edema, fever or history of respiratory infection and oliguria. But hypertension was more frequent in group B. Laboratory data showed decreased C3 and C4 level in group B. Spot urine protein/creatinine ratio and 24hr urine protein showed higher levels in group A. Conclusion; Patients with gross hematuria at diagnosis had lower incidence of hypertension and a higher rate of nephrotic range of proteinuna than patients with microscopic hematuria. However, no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admission or complication rate was observed. All patients had clinical improvement during follow-up. We conclude that gross hematuria is not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 KCI등재후보

        호흡곤란이 동반된 소아 비감염성 천음의 원인 및임상경과에 관한 분석

        박수화,고재연,박화영,안강모,손영익,이상일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5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5 No.1

        Purpos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stridor with respiratory distress and their clinical courses in children. Methods: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in Samsung Medical Center due to stridor with respiratory distress without infectious causes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 causes of stridor, sex, age at onset, symptoms, combined diseases, treatment, and clinical courses were investigated.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risk factors with the severity of post-intubation subglottic stenosis. Results:Of 75 cases, 15(20 percent) were congenital and 60(80 percent) were acquired. The prevalence in males was higher than in females. Common causes of congenital stridor were laryngomalacia, tracheomalacia, pulmonary artery sling and complete tracheal ring. Acquired stridor is usually due to subglottic stenosis secondary to endotracheal intubation. Risk factors such as frequency and duration of intubation, age at first intubation,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developement of post-intubation subglottic stenosis.(P>0.05) More complicated surgical treatment was requir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ubglottic stenosis. Conclusion:Congenital malformation of the airway requiring urgent surgical correc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in children with stridor and respiratory distress. Post-intubation subglottic stenosis accounts for most cases of acquired stridor. Evaluation of it's severity, and careful airway care, is required in children with subglottic stenosis. 목 적 : 소아에서의 비감염성 천음에는 선천성 원인과 후천성 원인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조기 진단 및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나 아직까지 원인이나 경과, 치료에 관한 국내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호흡곤란을 동반하면서 지속적인 천음을 보였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상기도 폐쇄의 원인을 확인하고 이들의 임상 증상, 치료, 경과 및 중증도에 따른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천음과 호흡곤란을 보여 강직성 또는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했던 환아 중 감염에 의한 경우를 제외한 7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천성 원인의 천음과 후천성 원인의 천음을 구분하였고, 각 대상 환아의 성별, 출생력, 발병시 나이, 첫 발현 증상, 원인, 합병된 질환 또는 동반기형, 치료방법, 경과를 병력지 및 기관지경 검사 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기도삽관 후 성문하 협착의 중증도에 따른 임상 경과를 조사하고,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결 과 : 75례 중 선천성 천음은 15례(20%), 후천성 천음은 60례(80%)이었다. 선천성 천음의 남녀비는 4 : 1로 남아에서 흔하였고, 증상 발현시부터 진단시까지 기간은 평균 8.1개월이었으며, 9례(60%)에서 합병 질환 또는 동반 기형을 보였다. 진단으로는 후두연화증이 4례로 가장 많았고, 폐동맥 슬링, 완전 기관 륜이 각각 2례, 폐동맥 슬링과 완전 기관 륜이 동반된 경우가 1례 있었으며, 기타 성문하 용종, 선천성 성문하 및 기관 협착, 성문하 용종, 낭포성 활액낭종 등이 발견되었다. 후천성 천음를 보인 환아의 남녀비는 1.6 : 1로 남아에 많았으며 52례(86.6%)는 기도삽관 후 성문하 협착이었고 5례(8.3%)는 기도내 이물 흡인이었다. 그 외 원인은 직접적인 기관 손상을 받아 발생한 성대마비, 이식 후 림프증식성 장애, 파상형 조직구 증식증이었다. 중증도에 따라 Grade I과 Grade II 이상의 두 군을 비교한 결과 기도삽관의 횟수, 기도삽관의 유지 기간, 출생시 체중, 첫 삽관시 나이, 재태기간 등의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기도삽관 후 성문하 협착을 보인 52례 중 18례(34.6%)는 레이저 광응고술, 18례(34.6%)는 기관조루술, 11례(21.2%)는 기관재건술, 5례(9.6%)는 기관성형술을 시행받았다.결 론:비감염성 천음을 보이는 소아에서 즉각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선천성 천음에 대한 감별 진단이 중요하다. 또한 후천성 천음의 경우 대부분이 기도삽관 후 성문하 협착이었으며 이들에 대한 치료 및 예후 결정을 위해 중증도에 대한 판정이 요구되며 세심한 수술후의 기도관리로 더 나은 치료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성문하 협착의 발생 및 중증도와 관련된 변수에 대한 평가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KCI등재

        특발성 간질성 폐렴 15례의 임상적 고찰

        박수화,안연화,한정호,김진국,안강모,이상일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7 No.3

        Purpose : Histologic classification plays a key role in the classification of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 (IIP) into clinically meaningful categories in terms of natural history, prognosis and treatment. The implications of histological diagnosis,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in children has not been describe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IIP in children. Methods : A total of 15 patients with IIP were recruited, who had a surgical lung biopsy. The age, sex, symptoms, initial oxygen saturation,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courses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Results : The median age at diagnosis was 3 years. Cough (93.3%), tachypnea (86.7%) and dyspnea (80%)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nonspecific.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n=6), chronic pneumonitis of infancy (n=4) 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 (n=3) were relatively common. All patients received corticosteroid therapy and the mortality rate was 26.7% (n=4). Conclusion : IIP has diverse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subtypes. Knowledge of the underlying histopathology will allow the prediction of more accurate prognosis, the decision of appropricate therapy, and the clinical investigation of novel therapeutic agents in patients with IIP. 목 적 : 특발성 간질성 폐렴은 간질성 폐질환의 하나로 특별한 원인 없이 폐 실질의 염증과 섬유화를 특징으로 하는 여러 다양한 질환군이다. 소아의 특발성 간질성 폐렴은 매우 드물어 조직학적 소견을 기초로 한 분류에 따른 임상경과에 대한 체계적인 보고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외과적 폐생검을 통하여 확진된 환아들의 발병시 나이, 임상-방사선-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임상경과, 예후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소아의 특발성 간질성 폐렴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7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에서 외과적 폐생검을 통해 확진된 특발성 간질성 폐렴 15례를 대상으로 발병시 나이, 임상증상, 방사선 검사소견, 폐기능 검사소견, 치료약제, 예후 등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환자 15례 중 여아 9례, 남아 6례 였고 평균연령은 5.1세, 중간연령은 3세였다. 호흡기 증상으로는 기침(93.3%)과 빈호흡(86.7%), 호흡곤란(80%)이 흔하였다. 혈액검사 소견은 비특이적이었고 초기 산소포화도 측정시 90% 미만인 경우는 66.7%였다. 흉부 방사선검사에서는 환아 모두에서 미만성 폐침윤이 관찰되었고 폐기능검사는 대상 환아 15례 중 4례에서 시행되었고 제한성 호흡기 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이었다. 확진을 위해 시행한 폐생검은 개흉폐생검 7례, 흉강내시경을 통한 폐생검 8례였다. 대상 환아 모두에게 진단 직후 스테로이드를 투약하였고 이중 5례에서는 고용량 methylprednisolone 치료를 시행하였다. 폐생검으로 확진된 특발성 간질성 폐렴 중 AIP가 6례(40%)로 가장 많았고 CPI 4례, NSIP 3례, IPF 1례, LIP 1례였다. AIP 환아들은 대개 1개월 이내에 시작된 갑작스러운 기침, 호흡곤란을 호소하였고 급격히 악화되어 중환자 집중 치료에도 불구하고 3례는 사망하였다. CPI로 진단받은 환아의 증상 시작시기는 생후 1개월에서 16개월 사이였고 2례는 호전되었고 1례는 사망하였다. NSIP 3례중 2례는 스테로이드에 좋은 반응을 보여 호전된 상태이다. 결 론 : 소아의 특발성 간질성 폐렴은 드물고 폐생검을 통한 병리학적 진단이 어렵다. 그러나 성인과 달리 질환군의 범위가 넓고 임상양상이 다양하며, 각 진단분류에 따라 현저히 다른 임상경과와 예후를 보이므로 이를 예측하는데 필수적이다. 또한 소아의 특발성 간질성 폐렴의 치료방침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수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는 장기간의 다기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