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공간에 나타난 재생디자인 공간적 특성 연구 -서울시 박물관·미술관을 중심으로-

        박세희 ( Park¸ Sehee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는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을 목표로 시민의 행복한 삶과 삶을 위한 문화발전이라는 방향성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은 크게 개인, 공동체, 지역, 도시라는 범주로 나누어, 문화 주권, 문화 공생, 문화재생, 문화 창조를 목표로 한다. 특히 여러 정책의 추진과제 중 문화사업은 문화재생의 범위 안에 속해 문화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재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문화예술 사업으로 진행했다. 이 중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은 서울시 곳곳에 방치된 유휴공간을 재생하여 문화공간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는 해당 문화공간을 파악하여, 각각의 사례들이 재생디자인의 범주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보존되며, 특성은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문화예술 및 관련 유사 공간의 공간재생 및 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서울특별시에서 ’17년~’23년까지 진행하는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 프로젝트의 14개 문화시설 개관 사업 중 재생디자인에 해당하는 문화공간을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서울시가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사업은 연구자 본인이 직접 방문 또는 사업부서 문의를 통해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서울시 도시재생사업 중 문화공간 개관 사업의 특성을 분석하여 서울시 문화공간에 나타난 재생사업 체계적 유형을 도시 생활·문화 재생형, 콘텐츠 개발 및 특화형, 역사 보존형, 문화·예술 영유형 이렇게 네 가지로 분류하여 각 사례에 나타난 재생디자인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재생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면, 모두 유휴지에 새로운 용도를 부여하는 부활형 공간 활용을 하고 있으며, 되도록 원형보존을 목표로 하나, 안전도나 사업의 특성에 따라 구조적으로 원형보존 및 부분 개조하였다. 사업 규모에 따라 신관을 증축하여 신구건물을 연결한 사례도 있었으나, 대부분 건축물은 증축하지 않았다. 재생디자인의 특성은 보존성, 활용성이 기본으로 나타나되, 앞으로의 공간 활용성이나, 사업특징에 따라 역사성, 예술성, 사회·문화성, 장소성, 참여성, 연계성, 경관성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론) 이미 개관한 건축물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관을 앞둔 건물 역시 서울시가 추구하는 도시재생의 목표에 따라 진행하되, 공간과 콘텐츠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향성을 추구하여 지속 가능한 문화 재생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promoting a cultural development project for citizens’ lives and happiness levels under the "Vision 2030, Cultural Citizen City Seoul." This project is largely divided into categories of individuals, communities, regions, and cities, and aims to achieve cultural sovereignty, cultural symbiosis,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creation. In particular, this cultural and artistic project focused on regenerating culture, rather than creating a new culture within the context of the city’s cultural heritage. Among the project’s initiatives, "Museum, Art Museum City, Seoul" aimed to regenerate abandoned places across Seoul by transforming them into cultural spaces. This study identifies such cultural spaces and examines how each case is preserved under the banner of regenerative design. (Method)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on the regeneration and design of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with a focus on the 14 cultural facility openings that happened in Seoul. The project was condu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involved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through inquiries from the relevant departmen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ystematic types of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cultural space of Seoul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urban life and culture regeneration; content development and specialization; historical preservation; and culture and art. Following thi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on design were analyzed for each case. All of them utilized resurrection-type spaces that gave new use to abandoned areas, while still preserving their original form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y were structurally preserved and partial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afety level 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In some cases, new and old buildings were connected by expanding new building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ject. However, most of the buildings were not expanded. The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ve design are based on conservation and usability, but historical, artistic, social and cultural, place, participation, connection, and landscape appea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uture space utilization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Conclusions)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urban regeneration pursu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is research considered not only buildings that have already been opened, but also buildings that are about to be opened. In addition, this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as a sustainable cultural reproduction space by harmonizing both the space itself and its content.

      • KCI등재

        박물관 건립에 나타난 문화정책 프로세스 특성 연구 -서울시 박물관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박세희 ( Park Sehee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기술의 발달 및 최근 코로나 19(COVID-19)로 빚어진 팬데믹으로 물리적 공간을 중심으로 하던 기존 박물관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역할과 기능을 개선할 시대에 직면했다. 최근 몇 년간 개관한 박물관들은 개관 이후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따라서 문화정책 및 박물관 정책의 방향성이 달라지는 추세이며, 이러한 정책 변화가 박물관 건립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정책과 국내 박물관 정책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서울시 박물관 건립정책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며, 박물관 문화정책 프로세스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가 최근 '16년부터 개관을 목표로 했던 14개의 기관 중 개관을 완료한 박물관인 우리소리박물관, 서울생활사 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우선,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문화정책의 개념 및 박물관 건립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서울시 내부 문서 및 연구 및 발표 자료 등을 토대로 서울시 문화정책에 따른 박물관 건립에 나타난 정책 프로세스의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본 연구는 서울시 문화정책과 박물관 정책의 정책 범주 및 체계를 분석하여 서울시의 최근 박물관 건립 사례를 토대로 박물관 건립에 나타난 문화정책 프로세스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역’과 ‘도시’,‘공동체’, ‘개인’의 범주가 지역의 특성이나 박물관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높거나 중간의 비율로 나타났고, 행정 범주는 모두 낮게 나타났다. 미래상인 ‘문화재생’, ‘문화창조’, ‘문화주권’, ‘문화공생’이 모든 사례에서 나타났으며, 박물관 건립과정을 단계별 세부 추진 업무나 사업 규모에 따라 확대·축소되나, 분석 결과 크게 기획단계, 구성 및 설계단계, 시공단계, 개관 및 평가단계라는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결론) 모든 단계를 거쳐 박물관이 개관하게 되면 다 끝난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다. 문화정책과 박물관 정책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이를 직·간접적으로 적용·반영하며 상호작용하는 박물관 건립정책을 미루어 보면, 그 미래는 긍정적이다. 국공립 기관들이 내세우는 정책이 탁상공론에 그치지 않고 시민들 개개인을 우선시하고, 공동체성을 가지며, 지역과 도시를 고려할 뿐 아니라, 구시대적 행정절차를 고수하는 것이 아닌, 협치를 추구한다면, 앞으로 더욱 시대성에 맞는 보편타당한 박물관 문화정책이 완성될 것이다. 더불어 콘텐츠 성격이나 지역성 등 도시적 맥락에 맞는 다양한 박물관이 자리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cent COVID-19 pandemic, existing museums, which focused on the physical space, are improving roles and functions, in line with the changes. The museums that have been opened in recent years have often aimed at continuous operation. Therefore, the direction of cultural policy and museum policy is changing, whic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useum construction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he condition of museum construction policies in Seoul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ultural policy and domestic museum policy, an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cultural policy proces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Seoul Museum of Korean Folk Music, the Seoul Urban Life Museum, and the Seoul Museum of Craft Art, which were recently opened, as part of the 14 institutions tha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d aimed to open since 2016. First, research on the concept of cultural policy and the construction of a museum is conduct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process that appear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accord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cultural policy by referring to internal documents, research, and presentation materials.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categories and the systems of Seoul's cultural policy and the museum policy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policy process that appear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based on the recent case of museum construction in Seoul. The categories of region, city, community, and individual were high or medium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or museum content, and all administrative categories were low. Four visions: "Culture Regeneration," "Culture Creation," "Cultural Sovereignty," and "Cultural Symbiosis" were apparent in all cases, and the museum construction process has expanded and reduced according to detailed projects or project size, although the analysis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four stages. (Conclusions) If the policies put forth by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not only inform, but also prioritize individual citizens, take care of regions and cities, pursue cooperation without being bound by outdated administrative procedures, the museum's cultural policy is expected to be comple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various museums suitable for the urban context such a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are expected to be locate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미술관의 작가참여 교육프로그램 실태와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세희(Park Sehee) 한국예술경영학회 2006 예술경영연구 Vol.10 No.-

        As more people want cultural lif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quality of life, humanity education is now taking up significant part of human life. Given this, education is required to foster humanity and emotion for emotional exchange and to display creativity through firsthand experience. Currently, many museums and art galleries offer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o meet such demands. Although more education activities at an art museum can be seen in recent years, they are lacking in consistency without qualified manpower or staff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today’s growing demands for art education,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vitaliz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with artists, and that is three-folds: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like entertainment industry and involving community, integrating art museum education divided into art theory and practical skill, and offering the public more opportunities to appreciate modern art works more frequently. By concentrating on the programs involving artists,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suggestion to expand the education programs. It will lend a helping hand so that an art museum can serve as a window to stimulate exchange with community by bringing new marketing promotion effect, artists can promote their works and reap economic profits, and audience can understand complicated modern arts easily with a help from artists and cultivate creativity.

      • KCI등재

        에지 센서티브 이미지 보간

        박세희(Sehee Park),김용하(YongHa Kim),이상훈(SangHo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에지 성분의 추출을 보다 섬세하게 처리함으로써 이미지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고전적인 보간을 응용한 ESII(Edge Sensitive Image Interpolation)으로 보간 커널 식에서 고정된 매개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주변 화소 값으로 부터 적절한 정보를 얻어내서 매 화소마다 매개변수를 변화시킨다. LSE(Least Square Error)를 이용하여 CME(Camera Modelling Error)를 최소화 하도록 보간 할 화소 값을 결정함으로써 이미지를 복원하며, 기존 방법에 비교하여 객관적, 주관적 화질이 우수함을 실험, 제시하였으며 또한 영상을 1차원 정보로 분리하여 고려한 결과 계산상의 복잡도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proposes the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mage through the edge extraction more delicately. Our method is named ESII (Edge Sensitive Image Interpolation) and doesn't use the fixed parameter of the interpolation kernel. However, it changes the parameter of pixel which is interpolated to the high definition image using the proper information from the surrounding pixels. It reconstructs the image by using the LSE(Least Square Error) and determining the pixel values to make the CME(Camera Modelling Error) minimiz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suggested method shows the higher quality of subjective and objective image definition and lesson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by separating the image into 1-D data.

      • KCI등재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탐색

        박세희 ( Sehee Park ),고연주 ( Yeonjoo Ko ),이현주 ( Hyun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을 적용한 SSI 교육프로그램(이하 DST-SSI 수업)을 개발하고, 학생들이 수업의 각 단계에서 인식하는 교육적 효과를 탐색해보았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제작하고 전달하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동시에 학습의 결과를 공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입장에 대한 이해와 타인과의 의견 조율이 요구되는 SSI 교육에 접목되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DST-SSI 수업은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연계되는 네 가지 주제를 선정한 후 각각의 SSI 주제에 적합한 DST 활동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는 수업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학생 중 24명이 참여하였다. 4명씩 그룹을 지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내용은 모두 전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각각의 SSI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검색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탐색 및 토의 과정에서 그동안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사회·윤리적 측면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주제를 둘러싼 입장이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수용하게 되었다. DST를 사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모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이야기를 전개하고자 다양한 관점을 조율했으며, 실생활에서 살펴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상황을 주제로 하는 등 시청자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감성적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법을 고민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실제 DST를 제작하면서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운드트랙이나 시각효과, 화면 구성 등의 요소를 고려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웹을 통한 디지털 스토리의 공유와 피드백 단계에서는 제작과정에서는 미처 깨닫지 못했던 내용을 확인하는 동시에, 해당 문제와 관련하여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것을 찾아 행동으로 옮겨보는 노력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SSI program using Digital Storytelling (DST) approaches. Since DST provides students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own opinions in the form of stories and to share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web,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SSI program by adopting the concept of DST in order to produce synergistic effects on student learning. Twenty-four 9th graders who enthusiastically engaged in the DST-based SSI progr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responded to focus group interviews after the instruction, and all interview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became aware of socio-ethical perspectives of each SSI topic while searching and collecting data by themselves. They also felt the necessity to consider multiple perspectives around the issues by having discussions with group members. Second, pre-producing DST allowed students to negotiate to settle on a group discussion, and to use emotional contents that can lead viewers to have sympathy. In addition, while producing DST, students considered various factors such as design, soundtrack, visual effects, and screen composition in order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convey their messages more effectively. In the stage of sharing DST outcomes and receiving feedback, they realized new perspectives that they did not perceive in the previous production process, and to move them into an action for re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SSI. This study showed the potentials of DST-based SSI instruction as a good strategy to support students` SSI eng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