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부모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박봉수(Park, Bongsu),김영순(Kim, Youngsoon),최승은(Choi, Seung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들과 그들의 부모를 심층 인터뷰하여 공통으로 드러난 의미를 중심으로 부모들이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예컨대 중도입국청소년들이 입국 초기에 새로운 가족구성원으로서 재사회화를 경험할 때 그 부모들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지, 그리고 그 경험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부모가 수행한 역할과 실제 자녀가 기대하는 부모의 역할 수행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부모들은 자녀가 한국으로 이주하기 전 본국에서의 물질적 지원자 역할, 통제자의 역할, 방관자의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녀가 한국으로 이주한 후에는 자녀를 한국사회에 적응시키기 위해 문화의 전수자 역할, 문지기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등 조정자 역할, 물질적 지원군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뿐만 아니라 정보제공자 역할 및 감시자 역할이라는 의미로 구성되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역할 수행에 따라 자녀의 적응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에 있어서 부모 역할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The study explores the parents’ role for their children’s social adaptation in the Korean society. The children visited Korea in order to live with their mother from China. For the purpose, an in-depth interview has been conducted with five parents with mid-entry immigrant youths living in Incheon. Queries were focused on how the parents acted during the socialization process and the communication of their children with new family members in various relationships, what aspects of such experience were evident, and if there looks any variance between the roles played by the parents and the expectation that the children ha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suggest that before immigrating to Korea, the parent’s role were diverse as a breadwinner, as a caretaker, and as a controller. And, after the teenagers moved to Korea, for the sake of their children’s social adaptation the parent’s roles were found to be changed to a cultural operative and as a custodian. Over the time, their roles turned out to be not only as conflict manager and the wage earner but also as informants and monitor for their children. As a result,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degree of child’s adaptation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parent’s role. From this perspective, a systematic training and consulting programs for the parent’s role appears to be necessary to facilitate the social adaptation of mid-entry immigrant youths in Korea.

      • KCI등재

        일반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작문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실태 및 지도 방향

        박봉수 ( Bongsu Park ),박덕유 ( Deokyu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작문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를 분석하고,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 조사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에게 띄어쓰기 교육의 지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8개국 81명이 쓴 작문을 통해 띄어쓰기 오류를 분석하였으며, 학습자 3명과 한국어 교사 3명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띄어쓰기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띄어쓰기 오류는 총 304건으로 붙여 쓴 오류가 248건(81.6%)로 띄어 쓴 오류 56건(18.4%)보다 매우 높은 수치를 보였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명사와 명사를 붙여 쓰거나 의존 명사를 관형어에 붙여 썼으며 조사를 띄어 쓴 경우가 많았다. 이에 문법 지도 방향으로 단어에 초점을 둔 의미 중심 접근법과 조사, 어미, 접사 등 형식형태소에 초점을 둔 형태 중심 접근법, 그리고 관형어와 결합하는 명사류에 초점을 둔 형태·의미의 상호보완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 educational guide for teaching the proper word spacing to the immigrant women through analyzing the types of errors that appear in word spacing in texts written by immigrant women and through awareness investigation among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For the awareness investigation, we reviewed 81 written texts by 81 women from eight different countries and conducted an interview/several interviews with three students and three teachers. The result showed that majority of the errors occurred from combining separate words - of the total of 304 different errors, 248 errors (81.6%) happened by combining separate words and 56 errors (18.4%) happened by placing a space within a compound word. Most students conjoined a noun with a noun or a dependent noun with an adnominal phrase or placing a space within a postposition. Thus we applied three guidelines - a meaning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vocabulary, a form focused approach that centers on formal morpheme such as propositions, word endings and affixes and a mutual form·meaning approach that underlines nouns that combines with adnominal phrase.

      • 실업계고(전문계고)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지원의 성과와 과제

        하봉운(Ha Bongoun),박봉수(park Bongsu) 경기연구원 2007 경기논단 Vol.9 No.4

        In a knowledge information based socie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veloping growth potentiality and industrial core competence. Since 2003, Gyeonggi Province, the local government, has developed and supported the educational-supporting program with a cooperation with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the local education authority. In this study, this educational-supporting program, especially for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is reviewed in term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progress, accomplishment and then the proposition for its promotion is suggested as well. This study proposes, first of all, that the education autonomy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and work together with the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by adopting educational coordinator system. Secondly, an ordinance to stabilize the educational-supporting program should include budget, distribution, the regulations. Thirdly, any level of the local government, or residents should have the process and procedures to take par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s a way of dealing with regional factors.

      • KCI등재

        일반논문 : 학교 밖 중도입국청소년의 인권에 관한 사례 연구

        손영화 ( Younghoa Son ),박봉수 ( Bongsu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에 거주하는 중도입국청소년 4명을 심층 인터뷰하여 공통으로 드러난 의미를 중심으로 중도입국청소년들의 경험에 내재하여 있는 의미와 본질을 밝혀 그 결과를 토대로 인권 개선 방안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 생활문화적 현실에서 생기는 인권문제와 제도적 현실에서 생기는 인권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문화적 현실에 존재하는 인권문제에는 상호작용 부재에서 오는 문제, 상호문화 불이해로 인한 문제, 경제적 결핍으로 인한 문제, 사회적 차별과 편견으로 인한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됨이 도출되었다. 또한 제도적 현실에서 생기는 인권문제에는 학제 차이에 의한 인권문제, 체류 신분 상에 의한 인권문제, 부모와 분리에 의한 인권문제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중도입국청소년에 대한 인권 개선방안을 제한하였다. 첫째,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상호 문화를 이해하고 상대방을 배려할 수 있도록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원을 의무조항으로 하여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중도입국청소년이 처한 실태를 보다 심층적이고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법적, 사회적 문제점 등을 진단하여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넷째, 현행 개별적인 차별 금지 법률에는 강제력이 없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법 조항에 명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이 오히려 이들을 부각시키는 한편 뭔가 다른 특별한 집단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교육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는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인권이 다양한 문화적 상황 속에서 실제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상황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is to suggest possible measures for improving immigrated teenager`s right after researching not only on what kinds of experience the immigrated teenagers has gone through in various relationship with such as their family, community members and civic organization but on what sort of matters exist concerning human right. From the study, it has been proven that there is problems concerning human right, which is generated from cultural world and institutional world. Also, the problems of human rights gets serious, as time goes by concerning language, culture difference, poverty and social discrimination. Another proven fact is that institutional problem includes problems caused by school system, status and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measures for improving immigrated teenager`s right has been suggested as follows. First, forming local social networking is necessary to support them.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elp them understand other`s culture and consider others, should be made obligatory so that it can be taken into practice. Thirdly the situation where immigrate teenagers are in should not only be analyzed more profoundly and deeply but also legal and social problems should be recognized so that they can show road map. Due to being not written in law present, law doesn`t have power on i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legislate to tackle this problem. Last but not least, education for multicutual children should be a program that can natually learned through their daily lives otherwise it can mistakenly give impressions that they are in a special group. To realize human right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 distinct situation should be put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초국적 유대관계에 나타난 정체성 협상의 커뮤니케이션

        김영순(Youngsoon Kim),임지혜(Jihye Lim),정경희(Kyunghee Jung),박봉수(Bongsu Park)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3

        결혼이주는 모국으로의 귀환이 약속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주여성들은 고향을 떠나 다른 사회에 동화되는 고통스러운 과정에 직면하는 사람들이라고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동화주의적 관점의 일방향적인 가정은 결혼이주여성들이 새로운 사회에 정착하는 동안에도 여전히 모국이나 이주 공동체들과 긴밀한 연결성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은 이주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모국’과 ‘정주국’ 사이를 가로지르는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사하며 자신의 사회적 위치와 정체성을 재구축하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맥락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모국과 유대관계를 맺고 있는 방식과 이주의 배경을 자원화하는 실천에 관심을 두었다. 특히 결혼이주여성들의 초국적 유대관계와 그 속에서 사회적 위치와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구사하는 협상의 커뮤니케이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10명의 결혼이주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그들이 맺는 초국적 유대관계에 나타난 정체성 협상의 커뮤니케이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드러난 결혼이주여성들의 초국적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정체성 협상 경험은 총 3개의 주제묶음과 15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그 세 가지 주제묶음은 ‘가족 경계의 재설정, 초국적 여성의 딜레마’, ‘경계에 선 사람들의 모임, 초국적 공동체의 의미’, ‘미디어 매개 공간과 초국적 관계망의 확장’이었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은 ‘모국’과 ‘정주국’의 사이에 위치한 경계인으로서 많은 어려움과 한계에 부딪히지만, 자신의 이주 배경을 다양한 초국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트랜스로컬한 방식으로 정체성을 재구성하며 스스로 주체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gration through marriage has been described in framework of immigration in that the return is not guaranteed. So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 has been considered as people facing a painful process of leaving their hometown and being integrated to different society. Such a assimilation model of one-way conclusive family has overlooked the fact that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 are still sustaining their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home countries or communities while they settled in new society. While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 is continuously forming their tie over their ‘home country’ and ‘new country’, they are going through rebuilding their social position and identity using various communication strategies. This study focuses on practice that make good use of their way of making tie and their background and try to investigate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s transnational tie and communication aspect of negotiations that are for building their social position and identity. To accomplish those tasks, this study did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10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 in Incheon and explored meaning and essential of identity negotiation communication experience appeared in transnational tie they are having. Identity negotiation experience is categorized in three and there are 15 sub categories through in-depth interview of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s transnational communication. The three categories are ‘Reset the boundaries of family, transnational women’s dilemma’, ‘a group of people who line the border, transnational meaning of community’, ‘Media Network on parameter space and the transnational expansion’. As a result, married immigrated women face many difficulties and boundaries as a liminality located between home country and new country, they rebuild their identity and in translocal way having ownership use their migration background and various transitional resources. Based on this results, this thesis suggested practic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to make good use of Immigrant women’ opportunities and resources by developing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