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미리 ( Mi Ri Park ) 한국연극학회 2009 한국연극학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y of dramatherapy for establishing relations between characters and dramatic plot and also to find a way of dramatherapeutic practices in use of the plays. For this, the study analyzed with Role model Theory of Robert J. Landy, characters of a drama, <The Funeral of a Fish>, written by Mi-Ri Yoo. Landy categorized 84 role types of characters in Western dramatic literature based on six domains named Somatic, Cognitive, Affective, Social, Spiritual and Aesthetic. By applying this categorization, the role types of two characters in <The Funeral of a Fish> can be described as follows. Sadako: Wife, Mother, Victim, Seducer, Adulterer, Parasite and Zombie Huyuo: Victim, Rebel, Dreamer, Hothead, Avenger, Tyrant, Worker, Killer and Suicide In the drama, the `Zombie` role of Sadako and Huyuo`s `Rebel Son and the Tyrant` role have effects on each other. These two roles, `Rebel` and `Zombie`, drove two characters, as time went by, to both extremes resulted in Huyuo`s suicide. Thus, Huyuo, who killed himself, could be an abnormal and antisocial character. Huyuo`s dramatic change from `Victim` to `Tyrant and Killer` wa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he didn`t have a `guide` and he did not know the benefits of balance from coexistence of roles. Landy`s role model theory not only provides new viewpoints for analyzing characters in a drama but also enables drama therapy to be a practical remedy based on a drama. For the dramatherapy, we distinguished social role from dramatic role in relation to the actor: the latter on the fictitious stage, the former in a real world. The very important thing is the fact that the actor plays many social roles by means of aesthetic distance. And this also applies to the process of dramatherapy; the client not only acknowledges his roles in the society by playing various roles on a stage, but also he can acquire the ability of maintaining balance between himself with his own eyes and himself with others` view. In order to develope dramatherapy, one of various fields derived from drama,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drama itself as well as to apply other tools, such as sociology and psychology, for relating drama, fictious stage and society, real world.
박미리,김유신,최상현,Park, Mi Ri,Kim, Yu Sin,Choi, Sang Hyu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5
Rapid social and economic growth has brought positive results. At the same time, due to the increase in crime, crime prevention is important. There are many papers that analyze crime trends and crime type. Based on this, there are studies to ensure the safety of people. The study calculated the risk for the crime. it is necessary to exert a great effect on crime prevention alternatives. This paper uses crime data provided from San Francisco and victims data provided from FBI. And, it proposes the crime risk calculation. By analyzing the type of user, risk degree is given different weights according to the user, and assess the risk of crime.
박미리(Park, Mi Ri)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9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1
이 연구는 사이코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작업이 주인공으로 하여금 어떻게 자신을 인식하도록 돕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9년 1학기 Y대학원 연극치료학과에서 진행한 수업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18명의 대학원생 가운데 유사한 꿈을 계속 꾸는 참여자, 데이트폭력 피해자, 여자 친구와 갈등을 겪는 참여자, 별 문제 없는 비자발적인 참여자, 자기노출이 두려운 참여자 등 총 5명의 주인공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사이코드라마 기법 가운데 잉여현실과 분신 그리고 역할교대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분석하기 위한 구조 체계로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 이론 방법을 차용한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사한 꿈을 계속 꾸는 참여자는 잉여현실을 통해 과거 장면을 재현함으로써 카타르시스를 경험하였고, 이때 미끄럼틀 구조물이 촉발 기능으로 작용하였다. 데이트폭력 피해자인 주인공은 거울기법으로 자신의 모습과 만날 수 있었다. 여자 친구와 갈등을 겪는 참여자는 마술가게를 웜 업으로 경험하여 긴장을 풀고, 빈 의자 기법을 통해 역할 교대함으로써 여자 친구를 이해하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었다. 비자발적인 참여자는 미래투사기법으로 자신의 대인관계 문제를 인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노출이 두려운 참여자는 등 뒤 기법과 체화를 거쳐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용기를 얻었다. 자기인식과 성찰은 스스로 성장하고 변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일 뿐만 아니라 좋은 치료사가 되는 데 필수적인 조건이 된다. 결국 치료사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치료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how the workshops using psychodramatic techniques might help the protagonist to recognise her/himself. The analysis focused on the postgraduate courses in dramatherapy at Y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Among 18 students, 5 participants were extensively examined: a participant who had the similar dreams(Participant 1), a participant who experienced dating violence (Participant 2), a participant who had relationship issues with his girl friend (Participant 3), a involuntary participant who did not have any particular issue (Participant 4), a participant who was afraid of self-exposure(Participant 5). Among psychodramatic techniques, surplus reality, double and role reversal and all the rest of it were employed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participants. Also, a method borrowed from the grounded theory of Stauss and Corbin was employed as a analysis schem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articipant 1 experienced catharsis by reproducing past scenes through surplus reality. A structure of slide functioned as a trigger in this case. The participant 2 was able to face herself through the mirror technique. By employing the magic shop technique as a warm-up and the empty chair technique as role reversal, the participant 3 was able to better understand his girlfriend and resolved the relationship problem. The participant 4 was able to acknowledge his interpersonal difficulties by using the future projection technique. Lastly, the participant 5 gained courage to reveal her true self after through techniques and embodiment. Self-recognition and reflection are fundamental to self-development and improvement. More importantly, they are essential for therapists as the process of therapy is inevitably based on the reflection of therapists’ own experiences.
박미리 ( Park Mi-r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1 No.-
이 글의 목적은 자기 이야기를 활용한 연극치료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야기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를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만들었고, 연극치료에 은유 기법을 활용할 때 치료로 기능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극치료사들을 위한 자기 이야기 활용 프로그램 사례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 언급하였고, 결론적으로 유추에 의한 은유가 참여자로 하여금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자기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이야기 분석평가지표를 만들기 위해 정운채의 서사이론의 방법을 차용하여 순응, 선택, 지속, 양육의 구조를 그대로 가져왔다. 가르기서사, 밀치기서사, 되찾기서사, 감싸기서사는 보다 단순화하여 거부, 수용, 책임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근거로 진단과 작업 방향을 지표화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은유의 치료적 속성으로 유사성과 차별성, 보편성과 상상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근거로 즉흥으로 만든 자기 이야기와 극 행위를 번갈아 경험하며 자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 연극치료사들을 위한 실제 작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 연극치료에서 자기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자기`에 초점을 맞추어 일관된 관점으로 경험하도록 한다. 2. 그와 동시에 이야기와 극 행위를 서로 교차하는 가운데 순간순간 다양한 은유 기법으로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도 모르는 사이 상상력과 연상 작용에 의해 선택과 집중, 확장과 병치 등을 온 몸과 마음으로 경험하도록 한다. 그 결과 자기 이야기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자기 인식 또한 확장되고 변화되었음을 알게 된다. 3. 평범한 자기 이야기로 출발한 연극치료 작업은 극 행위로 옮겨가면서 투사와 동일시의 경험으로 전이된다. 이는 유추에 의한 은유의 세 방식 즉 대체 관계, 행위와 특질의 관계, 부적절한 것으로 지칭하면서 그 고유의 어떤 특징을 제거하는 방식이 체화를 통해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 한다. 위의 작업 분석을 통해 우리는 연극치료에서 이 세 가지 방식 가운데 행위와 특질의 관계에 대한 경험이 특히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dramatheraputic method using the writing by oneself. We pose a chart of the assessment to analyse the writing based upon the theory of narrative, and examine how the method of metaphor functions as clinical method in dramatherapy. Then we explain the actual program of the dramatherapy using the writing by oneself for dramatherapist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methods. We can see in conclusion how the method of metaphor by analogy helps the clients to do self-recognition. First, we make a chart of the assessment by aid of the narrative theory of Professor Jeong Un-Chae ; accommodation, choice, continuance and nurse, on one hand. On the other hand, refusal, reception, and responsibility, that simplify four forms of narratives-division, thrust, recovery and protection. We can pose the assessment and the therapeutic direction within the chart. Next, we examine the therapeutic qualities of metaphor - similarity and distinction, imagination and universality. Finally, we analise the workshop of dramatherapy for the dramatherapists using alternately the general writings by oneself and the dramat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Using the writing by oneself in dramatherapy can permit the clients to do experience focused on `self`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2. The power of imagination and of association in different methods of metaphor by going through the writing and the performance alternately can help the clients to do experience in body and mind not only through the choice and engagement but also by extension and juxtaposition. As a result, they see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text and of the self-recognition. 3. The practice of dramatherapy with the general writings by oneself transfer to the experience of projection and of identification in dramatic performance. It means that the three methods by analogy by Aristotle-the relation of substitute, of the act and the characteristics, the way to eliminate the particular traits by naming it as inappropriatechange the recognition by embodiment. We can see after all the relation of the act and the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among the three relations.
불안장애 증상완화에 관한 연극치료 고찰 : 성인 개인 작업 사례 중심으로
박미리(Park, Mi Ri)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4
이 연구는 연극치료 임상 작업의 진행 과정과 결과에 객관성과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는 구조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불안장애 성인의 증상 완화를 위한 연극치료 사례를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불안장애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연극치료 개인 작업은 어떤 외적 환경이 적절할 것인가? 둘째, 불안장애 증상은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 셋째, 불안장애 증상의 완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연극치료 개입이 효과적인가? 연극치료 작업의 외적 환경은 치료환경과 생활환경의 긴밀한 관계맺음과 소통, 참여자와 유사한 증상을 경험한 보조치료사와의 협업이 이상적임을 알았다. 또한 불안장애의 일반적인 증상과 연극치료 작업에서 드러나는 행동은 표면적으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지만, 연극치료에서 다양한 역할 연기를 경험하는 가운데 일상과는 다른 내면의 모습들이 그대로 드러남을 알았다. 또한 인지행동치료에서 핵심문제로 다루는 부정적인 자기상, 정서 부조화, 감정표현 불능증 등은 연극치료의 체현투사역할의 단계를 경험하고 자기연민의 감정을 회복함으로써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structure which presents objectivity and validity to the progress and result of drama therapy. To achieve this main aim, it examines qualitative analysis of drama therapy cases for alleviating symptoms in adult with anxiety disorders. Following questions are discussed: which external environment would be appropriate in individual drama therapy cases for alleviating anxiety disorder symptoms; how anxiety disorder symptoms are presented during drama therapy sessions; which drama therapeutic intervention would be effective to alleviate anxiety disorder symptoms. Findings suggest that an ideal external environment for drama therapy involves a close link and communication between clinical and living conditions. It was also essential to cooperate with assistant therapists who had similar experiences with clients to produce more effective results. General anxiety disorder symptoms showed similar patterns in drama therapy sessions. However, some distinctive inner self-images of clients were also found during various role-playing experience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negative self-images, cognitive and emotional dissonance, and Alexithymia, widely discussed in cognitive behaviour therapy, could be benefited by experiencing embodiment-projection-role in drama therapy and recovering self-pity.
박미리(Park Mi Ri)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8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9
본 연구는 연극치료에서 몸 중심 접근법에 대해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수 제닝스의 체현(embodiment)과 데이비드 리드 존슨의 발달변형(Developmental Transformation)개념을 통해 몸이 어떻게 연극치료 작업에서 자기인식(self-awareness)에 기여하는지 간략하게 살펴본 다음, 필 존스가 말하는 ‘연극적 몸’의 개념을 바탕으로 그것이 수행하는 기능적 측면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극적 몸’은 연극치료 작업에서 다음과 같은 세가지 기능-감각느낌과 알아차림, 역할입기와 상상, 자기초월과 변형-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감각하는 몸’은 메를로-퐁티가 말한 현상학적인 몸 즉, 고유한 몸 개념과 일치하며, 현전적 미적 경험에 해당된다는것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상상하는 몸’은 지각을 불러일으키고, 지각은 변형을 이끌어내어 내가 아닌 다른 존재로 변신하도록 할 수 있었다. 이는 역할입기에 해당하는 작업이므로, 세 가지 몸 중 가장 ‘연극적인 몸’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변화하는 몸’은 일상을 넘어선 초월적 현상과도 같아서 가장 근원적인 실체와의 만남이라고 할 수 있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body-centred approaches in dramatherapy. First of all, the study will briefly discuss how the body can contribute to self-awareness in dramatherapy process, based on the concepts of ‘embodiment’ by Sue Jennings and ‘Developmental Tranformation’ by David Read Johnson. Then, the study will further elaborate on functional aspect of the body by using the notion of ‘the dramatic body’ by Phil Jones. During the dramatherapy process, the dramatic body functioned as following roles: feeling senses and awareness; role playing and imagination; and self-transcendence and transformation. First, the ‘sensing body’ corresponded to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body’- the original definition of the body- by Merleau-Ponty and could be understood as presentative aesthetical experiences. Second, the ‘imagining body’ brought about awareness and this enabled transforming the persona into the other one. Among three different bodies, this would be the most ‘dramatic body’ as this can be viewed as role playing. Lastly, the ‘transforming body’ would be referred to as meeting the most fundamental substance as it is similar to transcendental phenomenon beyond the reality.
음악과 문학의 상호매체성 -한 예로서 푸가형식과 체란의 시(죽음의 푸가)
박미리 ( Mi Ri Park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2 독일어문학 Vol.56 No.-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ein theoretisches Modell fur die Intermedialitat von Musik und Literatur anzubieten und sodann als ein Beispiel dafur zu analysieren, wie die Form der Fuge im Gedicht Celans Todesfuge funktioniert. Im Kapitel vom medialen Vergleich zwischen Musik und Sprache werden die folgenden Punkte erortert: 1) Der Musik wohnt keine Zeichenfunktion, keine Referenzfunktion, wie sic die Sprache hat, inne. Was man unter der Aussage von Musik versteht, ist Konnotation. 2) Musik ist in der klanglichen Beschreibung viel differenzierter und fixierter als Sprache, in der eine klangliche Differenzierung nur insofern notig ist, WIC es der Bedeutungsunterscheidung dient. 3) Das Prinzip der Wiederholung hat fur die Musik eine grundlegende und zentrale Bedeutung: Erst die Wiederholung von bestimmten Tonen bildet Tonalitat aus, also die grundlegende Kategorie der Harmonie. Literatur greift, will sic sich der Musik annahern, vornehmlich auf Wiederholungen zuruck, Dazu dienen die Mittel wie Binnen-und Endreime, Assonanzen, Alliterationen, Echoeffekt, Wiederholungen. 4) Trotz der Zeitabhangigkeit von Musik und Literatur zeigt sich auch in der Syntax der Lautkunste ein prinzipieller Unterschied: Wahrend in der Musik sowohl eine horizontale Anordnung (Melodik) als auch eine vertikale Anordnung (Harmonik und Kontrapunkt) der Tone moglich ist, kennt die Sprache, die auf den monophonen Charakter beruht, keine Moglichkeit einer gleichzeitigen Anordnung, einer vertikalen Harmonik. Unter Kontrapunktik versieht man in der Musik das Verfahren, mehrere selbststandige Stimmlinien zu einer ubergeordneten Einheit zu binden. Sic besteht essenziell aus der Gleichzeitigkeit der Polyphonie. Die reifste polyphone Form in der Musik isi die Fuge. Im Gedicht Celans 「Todesfuge」realisiert sich nicht nur der horizontale aubere Aufbau der Fuge (Exposition, Durchfuihrung, Zwischenspiel, Durchhihrung, Zwischenspiel, Durchfuhrung und Koda). Auch die literarische Imitation der Gleichzeitigkeit der Polyphonie vollzieht sich, indem beide Stimmen immer mehr ineinander flie6en und der schnelle Wechsel zwischen ihnen mitunter auf sehr engem Raum stattfindet. Die komplexe Anordnung der Kontrapunktik erfordert zudem eine deutliche Einbeziehung der Signifikat-Ebene.
박미리 ( Park Mi-r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8 No.-
이 글은 바리공주를 이상적인 치료사의 원형으로 보고 이를 통하여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바리공주 이야기의 구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라 바리공주가 보이는 치료사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야기는 공간이 이승과 저승 그리고 다시 이승으로 이동하면서 바리공주 탄생 이전 부모에 관한 이야기와 공주의 버려짐과 구해짐, 그리고 공주의 양육과 원 가족과의 재회, 그 다음으로 길 떠난 공주가 약수를 구해 돌아와서 부모를 살리고 새로운 지위를 얻는 것으로 구성되었음을 알았다. 이러한 이야기의 구성에서 공주는 버려진 자 - 양육된 자 - 선택된 자 - 선택한 자 - 도움 받는 자 - 일하는 자 - 견디는 자 - 얻은 자 - 도움 주는 자 - 구원자 - 저승 길 인도하는 신으로 그 역할이 변화되었고, 이는 다시 버려진 자 - 희생자 - 행동하는 자 - 책임지는 자 - 주는 자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할들은 치료사가 상담자를 대하면서 항상 접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것이 갖는 의미를 천착할 필요가 있다. 바리공주는 자신의 역할을 인간적 차원의 정서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의 세계를 뛰어넘는 신적 존재의 그것으로 승화시켰다. 즉 존재의 깊은 수치심과 상실감 - 보호와 사랑 받음 - 건강함과 자존감의 회복 - 주고받는 사랑 - 존재로서의 충만함 - 헌신과 희생의 존재로 그 역할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변화시켰던 것이다. 앞의 두 단계가 인간 세계에서 나타나는 정서라면 뒤의 두 단계는 신의 세계를 표상하는 것이다. 중간의 두 단계는 신의 세계로 이동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도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에서 바리공주가 보여준 모습은 결국 공감과 공명, 관조와 개입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현대의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 ‘버려짐’과 ‘보호자의 구원’이라는 양극단의 경험은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 위한 내적 경험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장 낮은 곳으로의 전락이라는 경험을 통하여 바리공주는 공감과 공명을 획득할 수 있었고, 따라서 치료사는 이러한 과정을 내면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일하고 견디는 과정’을 통하여 바리공주는 자신에게 핍박을 가한 부모까지도 제대로 관찰할 수 있었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적시(適時)에 줄 수 있는 관조와 개입의 능력을 확인하였다. 좋은 치료사는 이처럼 오랜 시간 직접 몸의 체험을 통하여 많은 경험을 가졌을 때 이루어진다는 점, 그리고 그러한 과정의 바탕에는 항상 건강함과 사랑받음의 회복이 존재해야 한다는 점을 바리공주의 일생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therapist by considering Princess Bari as an ideal model. First, the structure of the story of Princess Bari i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role of therapists and its implications. The story illustrates the episodes of Princess Bari’s parents before her birth―how she was abandoned, saved, and raised―and the reunion of the family by moving the settings from this world to afterlife and again to this world. Finally, the story ends with her journey back to the world of the living by obtaining the sacred water to save her parents, thereby acquiring a new position. The roles are transformed as follows: the abandoned one - the nurtured one - the chosen one - the chooser - the working one - the enduring one - the gainer - the helper - the savior - and the God who leads to the next world. Moreover,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as the abandoned - the victim - the doer - the responsible person - and the giver. She sublimated her role in the higher power as a Goddess for human sympathy. Based on her experiences, Princess Bari undergoes different stages of emotional change: deep shame and feeling lost; feeling healthy and recovering self-esteem; mutual love; feeling fulfilled. At the final stage, she turns into a sacred symbol of dedication and sacrifice. The first two stages correspond to the human emotion; the two middle stages are the necessary transitive stages to the divine world; and the final stage presents the divine image. Princess Bari’s story highlights various characteristics necessary for a good therapist, such as empathy, resonance, witnessing, and intervention. Her experience of being abandoned and her position as a princess provides her a wide spectrum of understanding of people. In addition, she developed her skills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witnessing and intervention from her experience of “working and enduring.” Most importantly, her story suggests that feeling mentally stable and the recovery of feeling loved based on her physical experience reinforces her strength as a therapist.
L ' Echange의 극적 구조 : 그 현실적 시간과 공간의 의미
박미리 ( Mi Ri Park ) 한국불어불문학회 1995 불어불문학연구 Vol.31 No.1
L`Echange est la seule des pie`ces claude´liennes qui obe´it a` la re`gle des trois unite´s : Le lieu reste le me^me, l`action est contenue dans le titre et, pre´pare´e avant le lever du rideau, attend seulement le dernier coup de la fatalite´. Enfin elle ne dure que le temps de la journe´e. Ce n`est pas seulement pour essayer une nouvelle dramaturgie, mais aussi pour repre´senter la situation ferme´e a` cause de laquelle se forme la structure plus dramatique dans cette pie`ce. Les quatre personnages sont emprisonne´s dans ce temps artificiel que constitue l`unite´ classique. Ils ne peuvent pas e´viter d`e^tre ensemble pendant une seule journe´e et sur la sce`ne unique. L`espace sce`nique est ferme´ dans un seul lieu. Mais il devient de plus en plus approfondi sous l`influence de l`espace dramatique qui est sugge´re´ dans le dialogue des personnages. Chaque personnage repre´sente les espaces particuliers : Marthe-l`ancien continent, Thomas-le nouveau continent. Louis-le monde irre´el, et Lechy-celui de fantastique. Au de´nouement, l`espace se trouve transforme´ en forme de l`univers e´toile´ de Minuit. Ce processus s`identifie aux trois e´tapes suivantes : le re´el-l`illusion sce`nique-l`allusion a` la pre´sence divine. Tel est l`ide´al du the´a^tre qu`a travers L`Echange re´alise Clau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