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박남진,최은주,Park Nam-Jin,Choi Eun-Ju 한국문헌정보학회 200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는 수강생의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보활용교육의 교육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정보활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정보활용교육 수강 전후의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관련지식. 도서관이용빈도 및 정보활용능력의 평균값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보활용교육 수강생의 사전교육경험과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이용지식 및 자료이용빈도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수강생의 수업만족도와 수강 후 견해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of students and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aimed at presenting plans for the enhanc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hereafter. The differences in the mean value of computer operating skill, library related knowledge, frequency of library use and information literacy prior to and after taking the course i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were compared.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on the effects of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 computer operating skill, knowledge of library use and frequency of information use have on information literac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satisfaction and opinion after taking the lecture were all adopted.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d that more systematic and concret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rogram is urgently needed.

      • 설계툴을 사용한 저전력 SoC 설계 동향

        박남진,주유상,나중찬,Park, Nam Jin,Joo, Yu Sang,Na, Jung-Cha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0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5 No.2

        Small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laptops currently display a trend of high power consumption owing to their characteristics of high speed and multifunctionality. Low-power SoC desig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to increase portable time at limited battery capacities. Popular low power SoC design techniques include clock gating, multi-threshold voltage, power gating, and multi-voltage design. With a decreasing semiconductor process technology size, leakage power can surpass dynamic power in total power consumption; therefore, appropriate low-power SoC design techniques must be combin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o meet the power specifications. This study examines several low-power SoC design trends that reduce semiconductor SoC dynamic and static power using EDA tools. Low-power SoC design technology can be a competitive advantage, especially in the IoT and AI edge environments, where power usage is typically limited.

      • 가상전시디자인의 유형별 분류와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박남진 ( Park Nam-j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07 전시디자인연구 Vol.4 No.2

        The study identified the virtual museum exhibition as three different formats and explored how it functions and what it contains. The study began with the literature review which is: 1) the past, presence and future of virtual museum exhibit, 2) comparing virtual exhibit with physical exhibit, 3)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is topic. Then, the study employed case study as research methodology. Four virtual museum exhibit were purposively selected for the study. Two were from Korean museum website, while other two from US and Netherlands. Data were firstly described and categorized by three types of formats, then the study analyzed how they functioned. When all data were collected, the study tabulated and categorized by elements of well-constructed virtual museum exhibit. The result of study suggested virtual museum exhibit as effective way of communication medium which will be continuously created in the future.

      • 전시공간과 공연공간의 시·공간 특성비교와 융합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남진 ( Nam Jin Park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4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3 No.-

        예술적 경험 장소로서 전시공간과 공연공간의 역할과 기능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전통적으로, 전시 공간에서는 작품은 정지되어 있고 관람자가 스토리라인에 의한 동선을 따라 움직이며 예술 혹은 교육적 체험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공연공간은 관람자는 정지해 있고 무대 위의 움직임과 스토리전개를 따라 예술적 체험 및 공감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전시공간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 와 같이 시간이 존재하는 작품의 등장으로 작품과 관람자가 분리되거나 관람자의 움직임이나 체온에 반응하는 예술적 체험이 가능해졌으며, 혹은 시각적인 요소 뿐 만 아니라 청각적 요소를 반영하는 작품을 비롯하여 함께 작품을 만들어가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장르, 즉 연극, 무용, 미디어 퍼포먼스 등의 도입 등으로 다양한 미적 경험이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공연예술에 있어서 장소-특정적(site specific) 극과 같이 관람객의 참여나 이동을 유도하여, 정지되어 있던 관람객이 주체가 되어 관람하는 등 극적 경험을 새롭게 하거나 퍼포먼스 인스톨레이션(Installation) 형태 혹은 시각적 특성이 강한 조형적 요소를 도입하여 시각적 추상성을 더한 작품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관람객을 수동적·강제적 객체로 보기보다 능동적·선택적 동선이 가능한 주체로 되는 현상과 함께 전시공간과 공연공간의 시간적·공간적 특성의 고정관념이 무너지고 융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는 두 개의 예술 소통 공간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각각 알아보고, 변화하는 두 공간의 추이를 알아보기 위해 내용분석방법(Contents analysis)을 채택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예술 실험적 장이자 시민의 문화예술 일환으로 개최되는 수원화성국제연극제와 광주비엔날레를 목적적 선택방법으로 선정하여 시간성과 공간성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조사한다. 또한 융합 가능성으로써 소설적 공간, 크로노토프의 개념과 공간적 적용방법을 조사하여 두 공간에 융합적 적용가능성을 모색한다. 이 연구를 통해 예술 소통 공간으로서 두 공간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한다. There are tremendous changes in both exhibition and performance spaces. Typically, a exhibit space is where visitors roam around the space in planned way to get the specific contents and its purpose. On the other hands, performance space divided into two areas, which``s performance and audience sides. However, there are many changes recently. The research focused on changes in those spaces in relation to Time & Space and investigate what affect their typical functions and visitor``s changing role. The research employed contents analysis and two samples were selected which is Suwon HwaSeong Fortress Theatre Festival and Gwangju biennale. After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 reviewed chronotope in order to come up with an idea of converging between those areas. Th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wo areas converging model as new communication platform.

      • KCI등재후보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유형별 특성 연구 - 근대 이 후 판매 디스플레이와 전시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특성 중심으로 -

        박남진 ( Park Nam-j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2 전시디자인연구 Vol.9 No.2

        초기부터 근대, 현대에 이르기까지 판매와 전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는 당시 시대상과 기술을 반영하면서 목적과 기능을 뚜렷이 하며 꾸준히 발전하여 왔다. 판매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수준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세분화, 전문화, 복합화와 같은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며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다변화는 판매 환경 간의 독자성과 차별성을 갖게 하는 디스플레이 전략을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 전시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이 주 5일제 근무와 토요현장학습 등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해 늘어난 여가시간을 유익하게 보내기 위해 전시관을 찾게 되며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기법에 있어서도 전시물을 단순 나열식에서 벗어나 관람객 중심의 전시 성격이 부각되었고, 비상설·상설전시의 형태를 갖추고 교육, 정보, 체험, 경험 중심의 전시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영리목적의 판매 디스플레이와 비 영리목적의 전시디스플레이는 모두 ‘펼쳐서 보여주는 목적이 있는 진열’이라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하여 살펴보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리목적의 판매 디스플레이와 비 영리목적의 전시환경 디스플레이의 근대 이후 변천과정을 각각 살펴보고 그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두 분야 간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어떠한 독자성이 있었는지 혹은 어떠한 유사성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향 후 상호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Display design fields. Socio-cultural and technological influences affect the characters of display design throughout the decades. The research investigate the changes in display design fields both for commercial display and exhibit display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Display design. Also, this study understands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wo display design fields based on Display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employ case study. The study selected 4 cases purposively and they all recently opened. They analyze by codes using tabl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he possibilities of future Display design as profession.

      • KCI등재후보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특성 연구 - 창덕궁 연경당과 소쇄원을 중심으로 -

        박남진 ( Park¸ Nam-j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2

        바이오필리아와 디자인의 결합어인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은 인간과 자연의 연결성과 상호작용이 인간에게 안정감과 평온함을 주고,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때문에 자연이 도입된 디자인 공간을 선호한다는 것에 기반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연구는 1986년 미국을 시작으로 2000년대부터 활발히 연구되었으며 국내에는 2010년 전 후로 도입되어 치유공간, 교육공간, 그리고 업무공간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생명 사랑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개념은 한국 옛 선조들의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고 생명 존중이 건강과 풍요를 이끈다는 사상과 많은 일치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표현특성을 이해하고,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 특성을 구별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조사를 채택하였다. 한국 전통성이 잘 구현되어 있는 전통 공간을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스티븐 켈러트(Stephen Kellert)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 특성을 도구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와 서양에서 유입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 특성을 비교하여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도출하였다. Biophilic Design, the word that combines biophilia and design, is based on preferring a design space in which nature is introduced, because the conne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give humans a sense of stability and tranquility and optimal comfort. The biophilic design have been actively studied since the 2000s after using the ‘Biophilia’ in 1986 by Edward O. Wilson. Then it was introduced at 2010’s in Korea, and the studies related to healing and work spaces were actively being conducted.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biophilic design has many consensus with the idea that harmony with nature and respect for life of the Korean ancestors that leads to health and abun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in traditional Korean spaces as the uniqu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present them as design elements of modern Korean design as a biophilic design. A case study was selected for research methodology. Korean traditional spaces that expresses Korean identity were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ophilic design by Stephen Kellert were used as a analysis tool. The result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that appeared in Korean design.

      • KCI등재후보

        전시공간디자인의 세노그라피개념 적용 가능성연구

        박남진 ( Park Nam-j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08 전시디자인연구 Vol.5 No.2

        The world of arts and design has undergone radical change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ies. We have found these changes in theater, dance, movies, music, visual art, and design field.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of exhibition design, theater design and scenography. The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f these areas and previous study. Case study was employed for research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analyzed by codes in order to investigate an exploration of exhibition design in relation to scenography. The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changes of these fields and to see how they evolved and influenced each other.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 new education model for exhibition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