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쿠오바디스, 차용미술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 The Andy Warhol Foundation for the Visual Arts, Inc. v. Goldsmith 사건을 중심으로 -

        민경재 한국저작권위원회 2023 계간 저작권 Vol.36 No.2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Andy Warhol v. Goldsmi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ndy Warhol case”) was made on May 18, 2023. The Supreme Court agreed with the ruling of the Second Circuit Court of Appeals and ruled that Andy Warhol’s “Orange Prince” and “Prince Series” were copyright infringement, not fair use, because they could not be regarded as transformative use. This case will be the most important case in the art world as a ruling on fair use in the past 20 years or so. And the outcome of this ruling could have a tremendous impact on the future of appropriation art, so-called pop art. In the Andy Warhol case, the rulings of the first trial and the appeal trial were sharply divided. The first trial judged that Andy Warhol’s use could not be regarded as fair use for each factor of judgment, but as a result, it was fair use. However, the appeals court ruled in favor of Goldsmith, judging that the first trial court made a mistake in reviewing the fair use factors and that it was not fair use in all of the fair use judgment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rulings in each court. In addition, the concept of appropriation art in Korea and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related to the current parody were reviewed, and what judgments would be made if the Andy Warhol ruling was applied to Korea in the future. Finally, in Korea, it was concluded that it is desirable to actively interpret fair use doctrine as much as possible so that freedom of creation can be guaranteed if fair use is a problem in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 KCI등재

        서양에서의 저작권법 성립 역사에 관한 연구

        민경재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33 No.2

        A contemporary copyright law system affect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digital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s brought tremendous changes. In these timefor the answers to problem occurred from these changes we had better focus on“the nature of copyright law” through copyright history, which makes us find goodsolutions. In general, whenever we think about copyright history, we are used toregarding “the history of copyright law” as “the history of Western copyright law”. By the way, is this thought really true? There is a similar question, that is, what isthe first copyright law in the world? Scholars must have had the answer for it, butthose answers must have been divided. Perhaps this circumstance may prove thatthere are not definite criteria to determine what are needed to meet basicrequirements of establishment of copyright system. Therefore, this paper exams the past copyright system to use the existing fivekinds of requirements by myself, that is, ① the kinds of works protected, ② theduration of protection, ③ the rights recognized, ④ the restrictions on the exerciseof these rights, and ⑤ the formalities required for protection. On based my research, I conclude and propose that the first copyright law inthe world is “Venetian Decree on Author-Printer Relations, Venice (1545)” asknown “1545 Venice Law” because that law does secures author’s right firstly. In conclusion, I hope to that this basic research on the history of copyrightsystem would make an aid to understand the present copyright law as well as predict the future copyright system. 디지털과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전통적인 저작권법의 영역을 급속도로 변경·확장시키고 있다. 수시로 새로운 창작물과 유통매체가 출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물을 매개로 한 권리보유자의 유형이 다양화 및 확대되고 있으며, 권리의 태양 역시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결국 이는 저작권법에서 상정하는 각각의 이해당사자모두에게 법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대상은 무엇이며, 그들 각자가 가지는 권리 보호범위 및 의무·책임 등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일찍이 역사학자들은 현재를 그리고 미래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가 살아왔던 과거를 되돌아 봐야 한다고 이야기했던 것 같다. 그런 측면에서 저작권법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데, 본고에서는 그 연구의 방향을 일차적으로 서양의 역사로 삼았고, 저작권법사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양의 저작권 관련 사건들을 단순히 나열하기 보다는 근대 저작권법의 주요특징을 바탕으로 저작권법 제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기위한 요건 5가지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① 보호받는 저작물 종류의 명시, ② 권리보호기간의 명시, ③ 저작자 및 인접권자에 대한 권리인정, ④ 이들 권리의 실시에 대한 제한, ⑤ 권리보호를 위해 요구되는 형식 등 5가지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시대별,그리고 국가별로 구분하여 저작권법의 성립 역사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고는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세계 최초의 저작권법이 잉글랜드의 앤여왕법이라는 통설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 대안으로 “베니스 1545년 법”을 제시하였다. 그에 대한 논거는 앤 여왕법이 최초의 저작권법으로 인정받는 저작권법의 요건들을 중세시대에 상업이 가장 발달하였던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이미 그 이전에 그러한요건들을 충족해 나갔다는 역사적 사실과 ‘1545년 법’ 자체가 제공하는 권리의 성격이다. ‘1545년 법’ 이전의 특권제도 하에서는 출판업자들이 저자의 동의를 얻지 않고서도 그리고 저자의 유언에 反하여서도 책들을 출판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베니스1545년 법”에 따르면 이탈리아 파두아 대학의 Rifformatori에 저자나 저자의 대리인에의한 동의가 서면으로 증빙되지 않으면 어떠한 저작권도 발효되지 않도록 하였다. 결국 “베니스 1545년 법”은 저작물에 대하여 그에 대한 권리 모두가 출판업자가 아니라오롯이 “저작자”에게 귀속됨을 최초로 밝히고 있고, 앞서 저작권제도로 인정받을 수있는 요건들이 충분히 차근차근 성립되어 왔었기 때문에 완결된 상태로서 “최초의 저작권법”의 지위를 누릴 수 있다고 평가한다.

      • KCI등재후보

        混合法系(Mixed Legal System)와 남아공법(South African Law)의 발전

        민경재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논총 Vol.29 No.1

        We are not familiar with and are biased against the South Africa and the African continent. Nowadays South Africa, however, has been introduced as mixed legal systems or mixed jurisdictions which generally means that two major legal systems, civil law and English Common law, were converged on a jurisdiction. But there have been still few papers dealing with mixed legal systems and South African law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paper defines some characters of mixed legal systems briefly and next deals with various of discussion about Vernon Parmer‘s criteria in Chapter Ⅱ. Next in two chapters, I introduce the South African law by using the legal historical methodology. The history of South African law before an interim constitution is reviewed first an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Roman-Dutch law is looked at in perspective. The concept of “Roman-Dutch law” has many meanings which include, among others, the law of the province of Holland from roughly seven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According to some writers it is this law of the province of Holland which, as the law of the original colonial settlers, has formed the basis of contemporary South African law. Other writers, however, claim that it is the law of the whole of the Netherlands or even a European ius commune based on Roman law which was exported to South Africa. In my opinion, of the two approaches described above, broader view seems the more correct. That the course of Roman-Dutch law in South Africa is considered as well as the extent of the influence of English law which developed in the courts in England is also known as “common law (that is to say Common law)”. English Common law in this sense, however, refers neither to Roman-Dutch common law in South Africa nor to the historical ius commune of Western Europe. And the fact that South African common law is not English Common law means that South African law was not influenced by English law, in fact it is actually remarkable that English law did not replace Roman-Dutch law entirely as the common law of South Africa after the last British occupation of the Cape (in 1806) and the expansion of Britain’s colonial power in South Africa. Next this paper deals with Apartheid laws which functioned as a social engineering method. Racial discrimination has existed in many other societies but in the past, it was expressly written into the laws and supported by the government of South Africa. At that time, politically South Africa limited self-governing territories known as homelands. The blacks enjoyed no representation in the Central Parliament, nor in the provincial Councils which had limited legislative powers over the provinces. After post-Apartheid the reconstruction of the South African law through a new synthesis with both indigenous law and positive law is explained. Important changes have taken place since Nelson Mandela was released from prison. That is, Apartheid legislation was abolished and a new South African Constitution with a bill of rights was enacted, an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has been officially recognized in South Africa. This has brought about far-reaching changes to South African legal system. In conclusion, the above shows that South African law is a good example of mixed jurisdictions and then mixed jurisdictions could seem surprising in the light of the efforts underway to create a new European ius commune. In addition to, South African law suggests where the Korean law and the Asian law should go further in the future that every country’s law in Asia is going to have to be integrated for economic or cultural unity.

      • KCI등재

        “구름빵 사건”이 쏘아올린 창작자-출판사의 공생이라는 희망

        민경재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41 No.4

        구름빵 사건은 지난 2017년 그림책 ‘구름빵’의 창작자인 백희나 작가가 한솔교육 등 관련 회사들을 상대로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다며 소제기를 함으로 시작한 사건이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최초에 체결한 계약이 일종의 “매절” 계약으로, 이것이 법적으로 적법한가였고 법원의 판단은 적법하다였다. 그러나 이 사건은 어찌되었든 관행적으로 이루어진 출판계의 “매절” 계약에 문제를 제기하였고, 계약 문화의 개선이라는 보다 발전적 방향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켜, 창작자의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입법부는 “추가보상청구권” 입법안을, 그리고 행정부는 출판 관련 “표준계약서”를 만들도록 이끌었다. 그리고 이에 발맞추어 출판계도 스스로 “표준계약서”를 제시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다. 따라서 본 고는 위 노력의 결과물들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추후보상청구권”의 입법안에 대하여는 운영상의 어려움 때문에 찬반양론이 존재하지만, 당위적, 경고적, 그리고 선언적 측면에서 그 입법안이 타당하고 필요하다고 보았다. 사실 이 입법안은 출판계에서 걱정하는 것처럼 크게 출판사들에게 불리한 규정이 아니다. 왜냐하면 구름빵 사건 같은 경우는 아주 특이한 경우이기도 하며, 장기적으로 정부안의 표준계약서가 통용된다면 출판계에서 불공정 계약 관행은 거의 근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입법안의 존재 필요성은 여전히 우리나라의 다양한 영역의 문화계에 존재하는 불공정한 계약관계를 조정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표준계약서”와 관련하여서 정부와 출판계 안(案)은 모두 예전보다 진일보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출판계 표준계약서의 경우에는 예전에는 권리내용을 특약으로 정한다고만 되어 있던 2차적저작물작성권을 부차권과 함께 상세하게 담아 작가가 계약 체결 당시 관련 내용에 대하여 숙지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몇 가지 중요한 문제점도 있는데, 출판권(배타적발행권)의 최초계약시 존속기간이 10년이라는 긴 기간, 그리고 쉽게 2차적저작물작성권을 출판사에게 위임되도록 설계하였다는 등의 창작자에게 불리한 조항이 존재한다. 반면에 정부의 표준계약서는 2차적저작물작성권을 창작자에게 유보하고, 제3자의 계약 요구시 창작자에게 통지해야 하는 의무를 두는 등 권리자 보호 측면에서 바람직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정부의 표준계약서는 그동안 출판계에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졌던 “매절 계약”이 근절될 수 있도록, 해석의 모호함이 제거될 수 있는 선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계약서 유형을 마련하였다. 특히 저작권 양도 계약에 있어서는 포괄 양도보다는 세분화된 권리 양도의 방식으로 계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출판권 및 배타적발행권 설정계약서도 창작자의 권리 보호를 충분히 도모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실제로 가장 중요한 일은 실천이다. 제도, 시스템이 만들어졌으면 그것을 잘 운용하고 사용해야 한다. 작가와 출판사 모두에게 저작권 및 계약서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정부 및 관련 협회는 출판사에 표준계약서의 사용을 독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출판사는 출판의 성격에 맞는 표준계약서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것들은 결과적으로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장기적으로 출판사와 창작자의 권리 모두를 보호하고 신뢰관 ... The Cloud Bread incident began in 2017 when Baek Hee-na, the creator of the picture book Cloud Bread, filed a complaint against related companies, including Hansol Education, claiming that she had copyrights. The main issue in this case was that the contract initially concluded was a kind of "comprehensive sales contract", which was legally legitimate and the court's judgment was legitimate. However, apart from the incident, false information (the creation of 440 billion won in value was initially expanded and reproduced with 440 billion won in sales) caused a lot of controversy, 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shers and writers a typical unequal "boss-subordinate relationships" and recognized in society. However, this case raised the issue of the conventional publishing industry's "comprehensive sales contract", triggering discussions on the more advanced direction of improving the contract culture, leading the legislature to creat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legislation and the administration to create a "standard contract" related to publishing. In line with this, the publishing community also made efforts such as presenting a "standard contract" on its own.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efforts. First, the pros and cons of the legislation of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exist due to operational difficulties, but the legislation was considered valid and necessary in terms of justification, warning, and declaration. In fact, this legislation is not as unfavorable to publishers as the publishing industry is concerned about. This is because the Cloud Bread case is also a very unusual case, and if the government's standard contract is used in the long run, unfair contract practices in the publishing industry can be almost eradicated. In other words, the necessity of the existence of this legislation is still necessary to coordinate unfair contractual relations that exist in Korea's various fields of culture. In relation to the "standard contract", both the government and the publishing industry have progressed more than bef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tandard contracts in the publishing industry, the right to create secondary works, which was previously only set as a special agreement, was included in detail along with the sub-right so that the artist could be familiar with the related contents at the time of signing the contract. However, there are also some important problems, such as a long period of 10 years at the time of the initial contract of the publishing right (exclusive publishing right), and an easy design to delegate the right to create secondary works to publisher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s standard contract contains desirable contents in terms of protecting the right holder, such as withholding the right to create secondary works to the creator and placing an obligation to notify the creator when a third party requests a third party. In addition, the government's standard contract has prepared a variety of optional types of contracts that can eliminate ambiguity in interpretation so that "comprehensive sales contract" that have been customary in the publishing industry can be eradicated. In particular, in "copyright transfer contracts", contracts are designed to be made in a subdivided way rather than a comprehensive transfer, and contracts for establishing publishing rights and exclusive issuance rights are also designed to sufficiently protect creators' rights. If so, the most important thing is practice. Once a system has been created, it should be operated and used well. Education on copyrights and contracts should be provided to both writers and publishers, and the government and related associations should encourage publishers to use standard contracts. In addition, publishers must select and use standard contracts suitable for the nature of publication. These are not consequently making someone uncomfortable. In the long ru...

      • KCI등재

        한·미 FTA 이행을 위한 개정 저작권법 고찰 -일시적 복제와 공정이용 규정을 중심으로-

        민경재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2 No.3

        Both the amendment of Copyright Law for implementing pledges agreed in the Korea -U.S FTA(Free Trade agreement) and Korea-EU FTA made important changes such as coding of OSP(Online Service Provider)’s responsibility,temporary reproduction, and introduction of fair use doctrine in the Korean Copyright Law. Especially, the new amendment Copyright Law has a distinctive provision which is introduction of fair use doctrine focusing on general User’s rights, and it makes a big difference between new amendment and existing ones. Because existing amendments of Copyright law is generally for owner or neighboring rights holders. So this article gives attention to and reviews both coding of temporary reproduction and fair use provision among many changes in the new amendment Copyright Law and proposes some suggestions for revising the amendment again. Basically, in my opinion, the definition of Reproduction including temporary reproduction and introduction of fair use doctrine are proper, however, I think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detail. First, new amendment intends to apply for mainly temporary storage and copy in using computer, but this intended range is too narrow to reflect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exception provision of temporary reproduction should be applicable on a wide scale using the term “the device for dealing information” instead of “computer”. Second, in relation to fair use provision, which is made by jointing three step tests in TRIPs and fair use provision in U.S. and the logical structure of coding of fair use doctrine is convinced on the whole in spite of some little matters. By the way, I’m afraid that we don’t prepare thoroughly how the fair use doctrine apply for hard case and conclude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of fair use is an affirmative defense or user’s rights. Therefore if fair use doctrine is applied correctly, our court should clear and accurate the character of fair use provision as soon as possible. In conclusion, my opinion is that fair use provision should be interpreted user’s rights and be used for expanding of user’s rights and that will be a good way for seeking balance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 한미 FTA 이행을 위한 개정 저작권법(2012.12.2. 공포)은 불과 5개월 전 입법된 한·EU FTA 이행을 위한 개정 저작권법(2012.6.30. 공포)과 함께 기존 저작권법의 내용에 일대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법률개정 작업이다. 특히 한미 FTA 이행을 위한 개정 저작권법은 지금까지의 저작권법 개정방향이 주로 저작권자 및 저작인접권자의 권리강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면, 이용자 측면의 권리강화를 대변할 수 있는 중요한 입법이 이루어졌다는 특징이 있다. 그것이 바로 ‘공정이용 규정’의 입법이다. 이는 기존의 우리 저작권법이 대륙법계식의 열거식 권리제한 규정을 두고 있던 상황에서 우리 법률에 친하지 않은 Anglo-American 법계의 포괄적 일반규정인 ‘공정이용 규정’을 도입한 것으로써 도입 전에도 많은 논쟁이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또 하나의 주요한 내용으로는 일시적 저장을 복제의 범위에 명시하고 이에 대한 예외규정을 도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개정 저작권법에서 중요 내용으로 판단한 “일시적 저장”과 “공정이용 규정”을 중심으로 개정 저작권법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해보았다. 먼저 일시적 저장과 관련하여 이법 개정법은 일시적 저장에 대한 면책규정을 마련함과 동시에 복제권의 범주에 포섭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일시적 저장이 복제에 포섭되는지’와 관련한 여러 논쟁들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었다. 다만, 일시적 저장에 대한 포괄적 예외규정이었던 제35조의2 규정에 있어서, 이 조문이 상정하고 있는 일시적 저장의 태양이 ‘컴퓨터에서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로 한정됨으로써 이 규정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가 너무나 협소해지고 말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시적 저장에 대한 포괄적 예외규정이라면 위 문구를 삭제하거나 좀 더 포괄적인 단어를 선택했어야만 한다고 본다. 그래서 필자는 본고에서 컴퓨터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와 네트워크를 포섭할 수 있는 “정보처리시스템”이라는 용어를 ‘컴퓨터’라는 용어의 대체어로 제안하였다. 아울러 제35조의2 규정 후단의 단서 규정은 우리 저작권법의 권리부여와 제한이라는 구조상 이미 제35조의2 전단부분과 제35조의3(공정이용 규정)에 의해서 불필요함을 논증하였다. 포괄적 일반규정과 관련하여 개정 저작권법은 TRIPs 3단계 테스트 형태가 가미된 미국식 공정이용 규정을 도입하였다. 이는 기존 저작권제한 개별규정을 그대로 두고 일반규정을 추가한 것으로서, 기존의 중요한 열거방식의 권리제한 규정의 지위를 유지하면서 예외적인 경우를 위해서만 일반규정이 존재한다고 하는 사실상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Anglo-American 법계의 공정이용 법리의 치명적 단점이었던 법적 안정성의 결여를 어느 정도 보완한 훌륭한 해법이었다고 평가한다. 그런데 실무적으로는 많은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이 규정에 어떤 성격을 부여해야 하는지 그리고 사안에 어떻게 적용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준비가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韓‧中‧日에서 근대 저작권법 입법 이전의 저작권법 및 저작권문화의 존재여부에 관한 연구

        민경재 한국저작권위원회 2012 계간 저작권 Vol.25 No.3

        In general, it has been understood and thought that intellectual property such as copyright originated from western culture and that there was no concept of copyright and copyright law in eastern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and Korea because of a number of reasons. Historically, Asians have not viewed intellectual discoveries or scientific inventions as the private property. New ideas or technologies were 'public goods' for everybody to share freely. First, especially in Korea, even though the art of printing had been invented earlier,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printed material were strictly under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and were monopolized by a privileged group of people during the Yi Dynasty from the late 14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Second, the market economy had not been developed and the educated classes thus regarded learning not as commercial but as invaluable and elegant because of the Confucian tradition. Third, people who produced art were looked down upon by reason of above. Based on the study of history related to books and publishing, however, this paper reaches to some conclusions to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the concept of moral rights was already recognized and that there were full-time writers in eastern countries earlier than western countries. Moreover, writers in eastern countries were respected and they acquired a distinct position. In addition, there were effective and detailed contracts which refl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s and publisher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a writer's authority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rights under the contract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history of Korean copyright among Asian countries had some tradition of limitation of copyright such as information sharing and the assistance of the handicapped. Therefore, if we make reference to our copyright tradition in regard to a contemporary copyright system, I believe, our copyright system will be better. 본 논문은 저작권법의 역사에 있어서 서양을 제외한 기타 국가들이 주변국에 머물거나 아예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현실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출판문화가 일찍 발전한 동양 3국의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의 통설적 견해, 즉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에서는 근대 이전에 저작권법이 존재하지 않았고 심지어는 저작권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필자의 견해로는 동양에서의 저작권에 대한 관념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한 주된 근거가 서양학자들에 의하여 제기되었고, 이에 대하여 동양의 법학계 및 유사관련 학계의 관심부족과 연구부족으로 인하여 서양의 주장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일반화되면서, 그것이 다시 서양에 알려지는 일종의 순환논법과 같은 형태로 일반화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기존의 통설적 견해에 대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동양 3국의 문화에서는 창조적 표현에 대한 지적재산이라는 개념이 친숙하지 않은 이국적인 것으로써, 개별적인 표현 행위는 선조들의 기여 속에 뿌리를 둔 것으로 여겨지며, 그것을 표현하는 사람은 단순히 공기 중에 있는 것을 표현하는 것, 즉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표현이고 사회의 문화적 전통을 전달하고 확장하는 과정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하는 관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우리나라에서의 저작권에 대한 관념의 부존재에 대한 논거 역시 이와 유사한데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인쇄술이 일찍 발전하였으나 국가가 책자발간을 관장하였기 때문에 사적 재산으로써 저작권에 대한 관념이 형성되지 못하였다는 주장, 둘째는, 시장경제가 발달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문과 예술을 담당하는 지식층이 유교사상에 의한 선비정신을 고귀한 것으로 생각하여 이를 경제적·금전적 대상으로 관념화하지 않아 저작권제도가 발전하지 않았다는 주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또 다른 측면에서 미술, 음악 등의 전문인적 예술분야는 잡기라는 이유로 천시된 탓에 문화, 예술적 창작에 대한 권리부여 및 보호에 대한 개념이 발달하지 못하였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본고는 서지학계, 국어학계, 역사학계 등의 논문 및 조선왕조실록을 포함한 각종 문헌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동양은 서양보다 먼저 광범위한 독자층과 전업작가층이 형성되었고, 특히 전업작가들은 서양보다 먼저 재정적 자립을 확보하였으며 사회적인 인식 측면에서 우월한 지위를 차지하였다. 둘째, 우리의 경우, 작가들은 일찍이 표절과 인용문제에 천착하였으며, 작가와 출판관계자들간의 출판계약을 통하여 검토할 때, 효율적이며 명확한 작가와 출판업자들간의 권리관계가 형성되었다. 이를 근거로 우리의 역사에는 저작인격권, 즉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존재하였다. 셋째,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 3국에서는 官에 의해 인쇄가 이루어지는 관판본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사가본을 위시한 상업용 목적으로 만든 책인 방각본 등이 다양하게 존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만들어진 책들이 서점 및 세책가, 그리고 책쾌를 통하여 왕성하게 교류되었다. 이것은 결국 출판문화의 활성화를 가져왔고, 학문과 예술이 관념화되지 않고, 결국 재산권의 대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기저를 이루었으며, 시장경제의 한 축을 담당할 ...

      • KCI등재

        접착 방식에 의한 그리드 타입 CFRP 인장보강재 개발 및 이를 적용한 슬래브 휨거동 평가

        민경재,김경민,송범근,박성우 한국콘크리트학회 2023 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35 No.2

        철근을 대신하여 콘크리트 인장보강재로 적용하기 위한 인장강도 2,100 MPa 및 탄성계수 150 GPa의 탄소그리드 K-Carbon 개발을 목표로 설계 및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또한, 탄소그리드 K-Carbon의 콘크리트용 인장보강재로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K-Carbon 포함 탄소그리드 2종 및 철근으로 인장보강된 일방향 축소 슬래브 실험체를 제작, 3점 재하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탄소그리드 적용 실험체는 실험체 중앙부에서 양단부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중앙부 단면 압축단 콘크리트의 압괴 및 탈락으로 최종 파괴되었으며, 철근 적용 실험체 대비 잔류 변형이 크지 않으나, 더 넓은 구간에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탄소그리드 K-Carbon 적용 실험체는 균열 발생 이후 스트랜드의 낮은 탄성계수와 작은 단면적으로 철근 적용 실험체와 비교하여 깅강성이 크게 저하하여 동일 하중에서도 큰 처짐이 발생하였으며, 최대 하중 도달 시의 처짐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대 하중 이후 철근 적용 실험체와 유사한 연성 거동을 나타냈으며, 이는 얇은 평판 형태의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K-Carbon의 유연한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