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체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 분석

        문혜린,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06

        목적: 동체시력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동체시력과 정지시력, 순간시력, 안구움직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20-30대 일반인 40명을 대상으로 동체시력, 고대비 및 저대비 정지시력, 순간시력, 주시 및 홱보기 안구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동체시력은 상하좌우 방향이 임의로 선택된 snellen E 시표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는 최고 각속도로 지정하였다. 정지시력은 4 m 거리 에서 고대비(100%) 및 저대비(10%) logMAR 시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순간시력은 다섯 자리 숫자를 정확히 식별한 횟수를 노출 시간(14 ms, 7 ms)에 따라 점수화하여 평가하였다. NYSOA King-Devick 검사의 하위 세 가지 시표를 읽는 동안 고정형 안구 추적 장치 를 이용하여 주시 및 홱보기 안구움직임을 측정하였다. 결과: 동체시력은 고대비 정지시력(r=-0.43, p=0.01), 저대비 정지시력(r=-0.4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순간시력은 동체시력과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시표 식별 시 개입되는 시기억능력(visual memory)의 영향을 축소시켰을 때 상관관계가 없었다. 동체시력과 주시 및 홱보기 안구움직임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중회귀분 석에서 고대비 정지시력이 동체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β=-0.43, p=0.01). 결론: 정지시력, 순간시력, 안구움직임 중 동체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은 고대비 정지시력이었으며, 순간시력이나 안구움직임이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 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재혼을 앞둔 중년 남성의 섹스리스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역동에 관한 사례연구

        문혜린,박태영,서민순,현일송,김형범,김경욱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가족복지학 Vol.7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mily dynamics that caused the sexless problem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lovers by examining the early experiences and attachment formation process of middle-aged men with sexless problems who are about to remarry after divorc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occurrence of sexless problem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for this purpose, thematic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using a network.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mily dynamics of the client’s father and mother formed the family dynamics such as attachment and internal working model of the client. And the family dynamics of client formed the dynamics between couples, resulting in sex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first, this study analyzed men who avoid sex. Seco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ntroduces a family-systemic perspective on the issue of couples’ sexles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pose a new framework to interpret the sexless problem based on attachment theory. 본 연구는 이혼 후 재혼을 앞두고 있는 섹스리스 문제를 가진 중년 남성의 생애 초기 경험과 애착 형성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연인과의 관계에서 경험하고 있는 섹스리스 문제를 발생시킨 가족 역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섹스리스 문제의 발생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였고, 분석 결과는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의 부와 모의 가족역동이 내담자의 애착관계와 내적작동 모델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와 같은 애착관계와 내적작동모델이 다시 커플 간의 역동에 영향을 미쳐 섹스리스를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커플의 섹스리스 문제를 가족체계적 관점과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불안장애의 발생과정과 가족 내 역동에 관한 연구: - 공황장애와 범불안장애를 가진 두 자매의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

        문혜린 ( Moon Hye-rin ),박태영 ( Park Tai-yo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가족복지학 Vol.63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 가족 내에서 자매가 각각 범불안장애와 공황장애를 경험한 사례를 중심으로, 불안장애가 발생하는 과정단계와 가족 내 역동을 탐색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복잡한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사례연구방법을 선택하였고 분석 결과를 매트릭스와 네트워크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불안장애의 발생 과정은 잠재적 불안단계, 불안의 시작단계, 불안의 증폭단계, 불안의 확산단계, 증상의 발현 단계로 나타났다. 한편, 단계에서 나타난 하위 요소들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불안장애를 가족체계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였고, 불안장애의 발생과정을 탐색하였으며, 불안장애의 발생에서의 두 자매의 공통적인 특징을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tion process of anxiety disorder and dynamics of family through the two family therapy cases for sisters with panic disorder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study used case study method, which can analyze the complex phenomenon in depth, and suggested the results of the findings by utilizing matrix and network. The generation process of anxiety disorder revealed the latent stage of anxiety, the beginning stage of anxiety, the amplifying stage of anxiety, the spreading stage of anxiety, and the revealing stage of symptom.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e sub factors of each stage interacted and influenced to each o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had many meanings in that the study approached family systematic viewpoint, and explored the generational process of anxiety disorder depending on life developmental cycles, and foun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wo sisters in the generational process of anxiety disorder.

      • KCI등재

        공황장애 발생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 내담자의 가족 역동과 심리적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문혜린(Hyerin Moon),박태영(Tai-Young Park),김경욱(Kyeongwook Kim),현일송(Ilsong Hyun),서민순(Minsoon Seo)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3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공황장애 발병을 경험한 내담자의 가족치료 사례에 나타난 내담자의 경험을 분석하여 공황장애의 발생 단계에서 나타난 내담자의 경험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방법과 자료 분석을 위하여 주제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황장애의 발생 단계로서 첫째, 유기불안의 형성 단계, 둘째, 감정의 억압 단계, 셋째, 상실에 대한 두려움 단계, 넷째, 유기불안의 재경험 단계가 나타났다. 공황장애 발생 단계로서 네 단계에서는 단계에 따라 위기 상황에 대한 가족의 역동, 그로 인한 내담자 개인의 핵심 정서가 증상의 발현을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공황장애를 발병시킨 맥락을 단계별로 제시하였으며, 단계별로 위기상황과 가족 역동, 핵심 정서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a family therapy case of an adolescent with panic disorder(PD). We examined experiences of client and her family in the stage of panic disorder.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used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o analyze implicit and explicit ideas from the counseling transcript and counseling log. Also, the researchers utilized the network to display the results of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D was as follows: First, fear of abandonment, second, oppressed emotion, third, fear of loss, fourth, re-experiencing of abandonment. We identified four stages of the psychological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PD and examined external situations, family dynamics, core affect at each s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context in which panic disorder developed step by step,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isis situations, family dynamics, and core affect in each step.

      • KCI등재

        개인발달단계에 따른 공황장애 발생과정에서 나타난 가족 역동에 관한 연구

        문혜린 ( Hyerin Moon ),최춘화 ( Chun Hua Cui ),배영윤 ( Yeong Yun Bae ),박태영 ( Tai-young Park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황장애를 가진 대학생의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내담자의 개인발달단계에 따른 공황장애의 발생과정과 가족 내 역동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으로 복잡한 현상과 맥락을 파악하는 데 있어 유용한 사례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자는 분석방법으로는 상담 자료로부터 확인하고 묘사하고,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아이디어를 분석하는 주제분석 방법과 매트릭스와 개념적으로 군집화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인발달단계에 따라 가족 내에서 경험한 사건들과 이를 통해 모델링한 내담자의 전략 간의 역동이 공황장애를 발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임신 전기에서, 내담자 부모의 미해결된 감정과 부모의 스트레스가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에 언니에 대한 부모의 폭력적 태도와 내담자에 대한 편애, 그리고 마스코트 역할의 모델링이 나타났다. 셋째, 학령기에는 내담자 언니의 불안발작과 가족불안의 표면화, 찬밥 신세, 감정억제의 모델링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기에는 압박감의 강화, 내담자의 불안 증폭, 그리고 병리 동화의 모델링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공황장애를 발생시킨 과정을 가족체계론적인 관점에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가족 내의 체계적 속성의 중요성을 보여주었고, 모델링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가족적인 접근에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Using a family therapy case study,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a college student's panic disorder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family dynamics. Method: We employed a case study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useful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complex phenomena. Using thematic analysis to analyze the transcripts and counseling memos, the findings were displayed in a matrix and conceptually clustered network. Results: The client's panic disorder appeared to develop through the process of modeling family members and experiences during the client's developmental stages. First, during pre-pregnancy, the client's parents experienced unresolved emotional stress. Second, during childhood, violent parenting towards the client's sister, preference towards the client, and modeling of keeping parents happy were found. Third, during early school years, the client’s older sister’s anxiety-based convulsions and the externalization of family anxiety, being on the short end of the stick, and the modeling of suppression of emotions were found. Lastly, during adolescence, the client's modeling presented increased oppression, increased anxiety, and pathology accommodation. Conclu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anic disorder based on the family system approach. This research also presented the importance of family systemic attribution in regard to occurrence of panic disorder and introduced modeling as a new concept of familial approa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