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세행정의 협력적 거버넌스와 세무대리

        문진주,홍기용,김갑순 한국조세연구포럼 2022 조세연구 Vol.22 No.1

        [Purpose]In this study, the role of the tax agent for the success of cooperative governance in tax administrati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to manage cooperation, and the process of cooperative governance in tax administration are presented. We looked at ways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with tax agents. [Methodology]This study used a literature study method. First, the role of the government as a tax agent and manager of cooperation is considered, and policies and prior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of tax administration are examined. [Findings]For the cooperative governance of tax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with the tax agent. In addition, as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a plan to introduce or expand the sincerity report verification system, tax payment cooperation tax credit, and tax attorney was suggested. [Implications]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roached through literature study to suggest each role and plan for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tax agents and the government,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from the viewpoint of cooperative governance of tax administr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search by listening to and analyzing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future.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조세행정 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을 위한 세무대리인의 역할과 협력을 관리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 그리고 조세행정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과정을 제시하고, 세무대리인과 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한 세무대리인과의 관계 강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문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세무대리인과 협력의 관리자로서의 정부의 역할에 대하여 고찰하고, 조세행정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 및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조세행정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해 세무대리인과의 관계강화를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세무대리인과 일상적인 유용한 관계를 발전시키고, 적극적인 연대전략을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성실신고확인제도, 납세협력세액공제, 세무변호사 등에 대한 도입 혹은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세무대리인과 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한 각각의 역할과 방안 제시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조세행정의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추후 협력적 거버넌스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청취 및 분석을 통해 연구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국가역량체계(NQF) 구축을 위한전문대학 세무회계분야 교과과정 연구-산업체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문진주,강승모,김지영 한국세무회계학회 2018 세무회계연구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SQF in the field of taxation accounting o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NQF) b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tax accounting field and the needs analysis of the industry. To do this, we analyzed the content and level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Frame (NQF) and conducted curriculum analysis and industry needs analysis for professional universities and World Class College (WCC) universities with employment rates of 6th or lower in 2015.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nalysis and FGI for industry exper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the NCS level 3 and 4 of the college taxation curriculum are being utilized, and the 4th level (2-year level) of the college degree offered by the National Qualification Frame (NQF) And the curriculum is linked to the curriculum. Second, in the industrial sector,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ability of the college graduates is important. Also, the shortage of the new employees from the college colleges was found to be the major practical ability and the certification was also highly demanded. Third, industry awareness of NQF was significantly lower, and it was also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and replacement possibility of the same level of education, qualification, and field experience offered by the NQF. However, it appears that the introduction of NQF has a positive effect on recruitmen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the government to improve this awareness and increase its utilization in industr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QF by analyzing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tax accounting and surveying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the industry in order to build the National Qualification Frame(NQF). However, in-depth research on SQF in the field of tax accounting for the NQF construction has not been conducted yet. Therefore, the study of the needs analysis of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is expanded by expanding the analysis of industry needs. 본 연구는 전문대학 세무회계 분야의 교과과정 실태와 산업체의 요구분석을 통하여 국가역량체계(NQF)의 세무회계분야 SQF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역량체계(NQF)의 내용 및 수준별 학위를 확인하고, 2015년 취업률 6위 이내의 전문대학 중 WCC (World Class College)선정 대학을 대상으로 교과과정 분석과 산업체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산업체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분석 및 FGI를 통해 도출된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NCS 기반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전문대학 세무회계분야 교과과정에는 NCS능력단위 3,4수준이 활용되고 있어, 국가역량체계(NQF)에서 제시하는 전문대학 학위수준(2년제)인 4수준과 연계되는 교과과정이 이루어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업체에서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인력채용시 전공실무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출신 신입사원의 부족한 항목도 전공실무능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격증에 대한 요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업체의 NQF에 대한 인지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NQF에서 제시하는 학력, 자격, 현장경력에 대한 동일수준에 대한 이해와 대체가능성에 대해서도 부정적인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NQF의 도입이 직원채용에는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의 개선과 산업체에서의 활용도를 높일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가역량체계(NQF) 구축을 위해 세무회계분야의 교과과정에 대한 분석과 산업체의 요구 및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NQF 구축방안 마련에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아직 NQF 구축을 위한 세무회계분야의 산업별 역량체계(SQF)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어 본 연구의 산업체요구분석을 좀 더 확장하고, 학생과 교수자의 요구분석 등을 통합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바이오산업에서의 조세지원과 기술혁

        문진주,홍기용 한국세무회계학회 2019 세무회계연구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ax support system in science-based industry such as bio-industry. In other word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science-based industry such as bio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ax support system in science-based industry such as bio industry. This study utilizes Pavitt (1984)’s industry classification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patterns according to industries. For the research, 2016 technology innovation survey data was us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tax support system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cience-based industries such as the bio industr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ax support syst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comparison of these effects by industr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ly in science-based industries such as the bio-industr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Supplier-Dominated Industry, Scale-Intensive Industry, and Specialized Supplier Industry. Through this study, it is verified that the use of tax support system is very high in science-based industries such as bio industry. In addition, there i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the tax support system requires a policy that considers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industries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ndustries.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산업과 같은 과학기반산업(Science-Based Industry)에서의 조세지원제도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바이오산업과 같은 과학기반산업과 여타 산업과의 차이를 분석하여본 연구에서는 산업에 따른 기술혁신 패턴의 차이를 설명하는 Pavitt(1984)의 산업 분류를 활용하여 산업의 특성에 따라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16기술혁신조사 data를 사용하였으며, 조세지원제도가 바이오산업과 같은 과학기반산업의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조세지원제도는 기술혁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을 산업별로 비교한 결과 바이오산업과 같은 과학기반 산업에서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공급자 주도형 산업(Supplier-Dominated Industry), 규모 집약적 산업(Scale-Intensive Industry), 전문 공급자 산업(Specialized Supplier Industry)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바이오산업과 같은 과학기반산업의 경우 조세지원제도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조세지원제도 산업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산업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산업특성에 따른 ESG와 조세부담

        문진주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2 지역산업연구 Vol.45 No.1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effect of ESG on corporate tax burden differs according to industry characteristics through empirical analysi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contradictory results, such as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f ESG on corporate tax burden. These contradictory results are because a company's tax burden can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ESG.T (integr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ax burden, and ESG.E (environmental)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has been shown to affect In the retail industry, ESG.T (integr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tax burden, and ESG.E (environment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nly ESG.E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tax burden, and in the service industry, ESG.T (integration) and ESG.S (socie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Influence and ESG.E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ndustries in how ESG affects the tax burden, and it is judged that these differences are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Therefore, in setting ESG index standards,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dustr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industries in ESG indicator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corporate tax burden depending on industry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ESG가 기업의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ESG가 기업의 조세부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등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기업의 조세부담은 산업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증분석 결과 제조업은 ESG.T(통합)은 조세부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SG.E(환경)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은 ESG·T(통합)가 조세부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SG·E(환경)는 부(-)의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은 ESG·E(환경)만 조세부담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업은 ESG. T(통합), ESG·S(사회)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과 ESG·E(환경)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ESG가 조세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산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각 산업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ESG 지표기준을 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실증 분석하여 ESG 지표에 대한 산업간 차이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세부담의 대용치(proxy)가 가지는 한계점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구분한 산업분류 이외에 좀 더 다양한 산업특성을 고려한 분류를 통해 산업에 대한 차이를좀 더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동료효과가 연구개발(R&D) 조세지원제도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

        문진주,홍기용 한국조세연구포럼 2023 조세연구 Vol.23 No.1

        [Purpose]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peer effect in the use of the R&D tax support system among corporate decision-making.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a company’s use of the tax support system is due to the decision of fellow companies to use the tax support system. [Methodology]For analysis, data from 3,993 companies in the 2017-2019 Technological Innovation Survey were used, and peer effects were measured by classifying groups by region and industry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use of the tax support system. [Findings]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tax support system by fellow companies. This relevance was noticeable in the case of large companies. In addition, companies with a large corporate size and a high proportion of research personnel used the tax support system in terms of corporate characteristics. [Implications]Through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peer companies in the use of the tax support system can be considered and used in the government’s policymaking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eneficiaries. In providing tax support for R&D, it is necessary not only to consider expansion, but also to consider peer effects through corporate size, industry, and region in order to establish a R&D tax support system.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의사결정 중 연구개발 조세지원제도의 활용에 있어서 동료효과가 존재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조세지원제도 활용이 동료기업의 조세지원제도 활용여부 결정에 기인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분석을 위해 2017-2019년 기술혁신조사의 3,993개 기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지역-산업별로 집단을 구분하여 동료효과를 측정하여 조세지원제도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세지원제도 활용에 동료기업의 조세지원제도 활용이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련성은 대기업의 경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기업특성에 있어서 기업규모가 크고, 연구전담인력 비율이 높은 기업이 조세지원제도를 활용했다. 또한, 내부 및 외부 연구개발(R&D) 투자비율이 높고 자금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기업이 조세지원제도의 활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이러한 결과를 통해 조세지원제도의 활용에 동료기업 효과를 감안하고 수혜자의 특성을 참고하여 정부의 정책입안에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구개발에 대한 조세지원을 함에 있어서 단순히 확대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연구개발 조세지원제 정착되기 위해서는 기업규모, 산업, 지역 등을 통한 동료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근로장려세제의 지급기준 변경과 자녀장려세제의 도입 현황 및 정책효과

        문진주,이병화 한국세무회계학회 2017 세무회계연구 Vol.0 No.54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by using th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2016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olicy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incentive for work incentive and child incentive tax and to draw out policy alternatives accordingly. First, the awareness of work incentive tax and child incentive tax was very low. Children’s incentive tax is a big problem in the realization of the policy that the system that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2015, or the person who needs the subsidy due to lack of publicity for the system cannot apply because he does not know the system. Therefore, it seems urgent to increase awareness through publicity of the system. Second, it seems that 87.92% of the respondents do not meet the requirements for receiving the work incentive tax and the child incentive tax. Also, I think that there may be a problem of the requirement of the children about the reason why the income level is lower than the standard of payment of the work incentive tax and the child incentive tax. I think it is necessary to raise it recently considering the university entrance rate and unemployment rate. Third, 65.19%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ve increased motivation to work, and 82.81% of women responded that they had a 35.24% p higher than 47.57% of me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s payment standards are changed to household standards. In addition, due to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the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may affect the fertility rat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policy effect of the change of the payment standard of the work incentive tax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hild incentive tax, and the previous research which solely studied the existing work incentive tax or the child incentive tax, And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policy alternative considering both systems. However, since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survey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it has limitations that cannot be analyzed based on data on actual incentives and child incentives. 본 연구는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의 현황 분석을 통해 정책의 효과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국복지패널의 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에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장려세제는 2015년 처음 시행된 제도이나, 제도에 대한 홍보의 부족으로 장려금이 필요한 대상이 제도를 알지 못해서 신청할 수 없는 것은 정책실현에 있어서 상당히 큰문제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제도에 대한 홍보 등을 통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방안이 시급해보인다. 둘째,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의 수급요건 충족여부에 대해서도 응답자의87.92%가 수급요건에 충족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급요건 인지부족과 수급자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소득수준이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의 지급기준보다 낮음에도 장려금 신청을 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자녀요건의 문제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최근 대학진학율이나 실업율 등을 고려하여 상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근로장려세제와 자녀장려세제가 근로의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65.19%가 근로의욕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여성의 경우 82.81% 로 남성 47.57%보다 35.24%p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급기준이 가구기준으로변경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러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로 인하여 가구내 소득의 증가는 출산율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장려세제의 지급기준 변경과 자녀장려세제의 도입에 따른 현황과 정책효과를 함께 고려하여 연구한 논문으로서 기존의 근로장려세제나 자녀장려세제만을 단독으로 연구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라 할 수 있으며, 두 제도를 함께 고려한 정책적 대안을제시함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를 기초로 분석하였으므로, 실제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지급 발생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후보

        비영리조직의 지배구조와 회계투명성간 관계-사회복지법인을 중심으로-

        문진주,홍기용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4 No.3

        This study to be a problem in the social accounting transparency, confidence in the transparency to the three won a non-profit organization (non-profit, public corporation) is. In this study, the governance of non-profit organizations (Performer relevant directors, country municipalities appeared nonprofit corporation, the ratio of outside directors) to analyze how it affects the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 accordance with the form of. In this paper, we took advantage of the Internal Revenue Service, which operates in the “public interest entity, such as the closing statements disclosure system” of fiscal transparency is a non-profit organization, was measured by the degree of Accounts such as financial statements three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directors and performers associ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portion of fiscal transparence.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fiscal transparency can be degraded or the possession of the private interests seeking to arbitrariness in the administra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cluding many performers are involved. Second, the relevance of the positive (+) were between the non-profit corporation own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fiscal transparency. We believe this high because of the high financial transparency than other non-profit organization, the strength of the containment and control of operational monitoring and control by the government and various non-profit corporation own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of these results. Third, a higher proportion of outside directors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wer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iscal transparencies. It can be interpreted that may enhance fiscal transparency and disclosure by management to faithfully due to the appreciation of the role of outside directors is a non-profit organization is a high proportion of outside directors. 비영리조직(비영리법인, 공익법인)의 회계투명성 내지 세원투명성에 대한 신뢰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조직의 지배구조(출연자 관련이사비율, 국가․지방자치단체 출연 비영리법인, 사외이사비율)의 형태에 따라 회계투명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비영리조직의 회계투명성은 국세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익법인의 결산서류 등 공시시스템”을 이용했고, 재무제표 등 계정과목의 세분정도를 기준으로 측정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출연자와 관련한 이사비율이 높을수록 회계투명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출연자가 비영리조직의 운영에서 사익추구 혹은 자의성이 개입될 소지가 많은 등 회계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비영리법인과 회계투명성 간에는 정(+)의 관련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소유의 비영리법인은 정부로부터 각종 감시나 통제 등 운영상의 견제와 통제의 강도가 다른 비영리조직들에 비해 높기 때문에 회계투명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비영리조직의 사외이사비율이 높을수록 회계투명성 간에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사외이사의 비율이 높은 비영리조직은 사외이사의 감사역할로 인하여 경영자의 공시를 충실히 하도록 함으로써 회계투명성이 제고될 수 있다고 해석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비영리조직의 회계투명성을 지배구조와 연결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둘째, 과세당국 등에서는 비영리조직의 재무제표 등에서 계정과목 등을 더욱 구체적으로 충분하게 공시될 수 있도록 제도보완이 필요하며, 셋째, 비영리조직에서는 지배구조가 회계투명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과세당국과 이용자 등 이해관계자들은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부동산 조세 연구 동향: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문진주 한국세무회계학회 2023 세무회계연구 Vol.- No.77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동산 조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분석을 위해 “부동산 조세”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수집된 논문의 주제어(keyword)를 대상으로 키워드 분석과 LDA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 결과, ‘부동산’,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취득세’, ‘양도소득세’, ‘보유세’, ‘조세정책’, ‘명의신탁’, ‘과세표준’ 등이 핵심 키워드로 도출되었으며, LDA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5개의 토픽이 산출되었다. 토픽1은 부동산 조세정책의 현황과 영향, 토픽2는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토픽3은 부동산 조세와 지방재정, 토픽4는 부동산 조세에 관한 법률적 검토, 토픽5는 부동산 조세의 과세합리화 방안으로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토픽이 독립적으로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부동산 조세에 관한 연구 동향을 양적 분석을 통해 연구 주제를 찾고자 하는 최초의 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지금까지 부동산 정책의 변화에 따라 연구의 흐름도 바뀌어 왔기에 이러한 연구 동향을 검토하여 부동산 조세 분야의 현재 연구 현황과 미래 동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real estate tax. [Methodology] For analysis, keyword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for the keywords of the collected papers by searching for “real estate tax” as a keyword. [Finding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key keywords include ‘real estat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property tax’, ‘acquisition tax’, ‘capital gains tax’, ‘holding tax’, ‘tax policy’, ‘title trust’, and ‘tax base’. As a result of LDA topic modeling, 5 topics were calculated. Topic 1 is the current status and impact of real estate tax policy, Topic 2 i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Topic 3 is real estate tax and local finance, Topic 4 is legal review of real estate tax, and Topic 5 is real estate tax. It was derived as a tax rationalization plan, and it was confirmed that each topic was being studied independently. [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 first study to find research topic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real estate tax. Since the flow of research has also changed with changes in real estate policy, we reviewed these research trends to improve the field of real estate tax.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research status and future trends.

      • KCI등재

        조세와 비조세요인이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

        문진주 한국세무회계학회 2022 세무회계연구 Vol.- No.74

        [연구목적]본 연구는 조세요인(소득공제, 세액공제, 자녀장려세제, 근로장려세제)과 비조세요인(재정지원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방법]분석을 위해 재정패널의 6차-13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출산결정을 종속변수로 하고, 조세요인과 비조세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패널 로짓 분석(Panel logit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실증분석 결과, 첫째, 조세요인에 있어서 세액공제가 출산결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자녀와 셋째 자녀 출산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비조세요인에서 재정지원은 양육지원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출산순위별 분석에서도 모든 순위에서 동일하게 유의한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출산지원은 유의한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출산순위별 분석에서 둘째 자녀 출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조세요인 중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있어서 모(母)의 연령과 경제활동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요인은 주택점유유형에 있어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그동안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개별적인 요인들만 분석한 연구를 확장하여 조세요인과 비조세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마련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