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유형 개편을 위한 쟁점 및 향후 정책 방향 연구

        이병화,이송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7 장애와 고용 Vol.27 No.2

        목적: 본 연구는 장애 특성이 반영된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유형 개편 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변화 및 현황을 살펴보고, 경기도 장애인 직업재활시설(보호작업장)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시설 유형 개편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 문제점 및 주요 쟁점사항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을 통합형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훈련과 임금 및 고용 서비스 통합형)과 분리형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훈련, 임금 및 고용 서비스 분리형)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확대 및 유형 변화에 따른 명확한 운영지침 및 법률적 근거 마련, 시설유형에 적합한 인력 및 운영예산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제언으로는 전환기 기관으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활용 및 신설, 궁극적으로 훈련과 임금 및 고용서비스를 통합된 기관에서 제공되어야 하겠다.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for reorganizing types of consumer-center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Method: The changes and current sta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in Korea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The survey for reorganizing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as conducted targeting Gyeonggi-do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analyze current problems and main issues. Based on this, ‘plan for the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derived. Results: The propos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mode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tegrated mod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parated mod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gal basis and clear operational guidelin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ypes and the expans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support labor force and operating budget appropriate for the type of facility. Thus,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nd utiliz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transitional institute, and ultimately provide training services and wage and employment services at an integrated institute.

      • KCI등재

        서울과 경기도의 장애인 콜택시 이용현황 빅데이터 분석 연구

        이병화,양희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improvement of the center and to prepare an alternative for the establishment of a late - By analyzing the operation data of a metropolitan transport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eoul and the current status data of Gyeonggi-do. For this purpos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big data of Seoul mobility support center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the mobility support center data and user data of Gyeonggi-do. service area, purpose of use, characteristics of user, time required for boarding, and delay time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moving in the city, alternative means of transportation(In other words, developing a quasi-bus route to diversify starting and destination) should be provided besides special transport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use of STS and to operate them flexibly. Third, diversify bus type (general taxi, etc.) which can be used depending on wheelchair use. Fourth, reduce the delay time of allocation of bus. 본 연구는 장애인 콜택시 광역이동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운영 자료와 경기도의 현 실태 자료 분석을 통해 센터 개선사항을 점검하고 후발 광역이동지원센터 설립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이하 서울) 장애인 콜택시 운행 빅데이타와 경기도 장애인 콜택시 운행 및 이용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출발지역과 목적지역 등의 운행지역, 이용목적, 장애유형 등 이용자 특성, 탑승 소요시간과 배차지연 시간과 이유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와 그에 따른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내 이동의 경우, 특별교통수단 외에 대안적인 교통수단이 개발 즉, 준버스노선(저상버스) 등을 개발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를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현재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장애인 콜택시의 이용목적의 확대와 탄력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휠체어 이용여부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 콜택시 유형(일반 택시 등)의 다변화. 넷째, 배차 지연시간 단축 방안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고령장애인의 우울과 분노가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 쉼터 이용 만족도의 조절효과

        이병화,김준범 한국보건복지학회 2022 보건과 복지 Vol.24 No.4

        This study hypothesized suicide attempts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may be associated with high risk depression and anger, while moderated by the satisfaction with use of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SUF). We used 202 data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surveys on SUF conducted by Korea Associa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2021.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with high risk depression accounted for 22.8% (n=46), which implied that one out of five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may be classified into clinical at-risk depressive symptoms. Second, high risk depression increased the risk of suicide attempts by 1.46 times, and anger by 2.95 times. Third, the three-way interaction term of depression, anger, and SUF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icide attempts. This means that the higher SUF, the lower the risk of suicide attempts, even in the great depression and anger circumstances. Based on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 such as expansion of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investing in gatekeeper training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장애인의 우울과 분노가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장애인 쉼터 이용에 따른 기관이용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여 자살위험 완화를 위한 개입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에서 고령장애인 쉼터 이용자 대상 실태조사에 응한 총 202명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장애인 우울 고위험군은 전체의 22.8%(n=46)로서 고령장애인 다섯 명 중 한 명꼴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장애인의 고위험 우울은 자살시도 위험을 1.46배 높였고, 분노 정서는 2.95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령장애인의 우울과 분노, 그리고 기관이용 만족도의 삼원 상호작용항은 자살위험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고령장애인의 우울과 분노가 자살위험을 높이는 가운데 기관이용 만족도는 이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