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문은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5

        본 연구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한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집단상담 프로그램 관련 개별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2년 2월까지 국내에서 실시된 성인 대상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 중에서 분석기준에 부합하는 논문 24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논문들에서 산출된 72개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355로 높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참여자 특성, 프로그램 운영방식 및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참여자 특성으로는 산후우울경향 산모, 참여인원수는 6∼8명, 총 회기수는 13회기 이상, 주당 회기수는 주2회, 운영기간은 9주 이상, 1회기 시간은 60분 이하, 종속변인은 회복탄력성 증진을위하여 실시할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연구결과를 종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적인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있다.

      • KCI등재

        스트레스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문은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스트레스 대처 집단상담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에서 실시된 스트레스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성과연구 62편을 선정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논문들에서 산출된 122개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514로 중간정도의 크기로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참여자 특성(연령), 프로그램 운영방식 및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구성내용에서는 독서치료를 이용한스트레스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인원수는 11~20명, 총 회기 수는 9~10회기, 운영기간은 9주 이상, 종속변인은 자아존중감 향상으로 실시할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적인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tress coping group counseling programs in Korea by using meta-analysis. A total of 62 studies published from 1990 to 2017 were se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22 studies’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was 0.514, indicating a medium effect size. Second, effect sizes were compared in regard to moderator variables including program content, participant characteristics, various parameters of group oper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s programs were most effective when Bibliotherapy stress group counseling was used with the group members ranging from 11 to 20 persons for 9 to 10 sessions over 9 weeks period, focusing on self-esteem impro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implement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Pre-service teachers' English in the TEE classroom: Error analysis and perceived ideal ratio of L1/L2 use

        문은주 현대영미어문학회 2010 현대영미어문학 Vol.28 No.1

        The present study aims to (1) analyze the pre-service teachers’ classroom English errors in TEE classrooms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sis of lesson plans, and (2) explore the ideal ratio of L1 to L2 use in the L2 classroom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demonstrations. The erro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ome typical grammatical, lexico-semantic, and phonological errors. The pre-service teachers made grammatical errors most frequently. Such errors were most common in the following areas: articles, nouns, verbs, auxiliary verbs, and prepositions. In contrast, there were relatively fewer lexico-semantic and phonological errors than grammatical ones. Some serious errors were made while pre-service teachers gave instructions on how to do activities or play games. Additional errors occurred when they tried to explain vocabulary and grammar. In such cases, judicious use of L1 may play a significant role. The participants' perceived ideal percentage of L2/L1 use in TEE classroom was approximately 81% (English) to 19% (Korean) on average.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to reduce and prevent classroom English errors are suggested.

      • KCI등재

        고등학생용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문은주 ( Eun Ju Mo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에 대한 타당하고 체계적인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예비실험을 통한 수정작업을 거쳐 고등학생용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가장 적합한 비교프로그램인 비행 여고생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P시 (인구 50만)에 위치한 P고등학교 1, 2학년 39명이었으며, 고등학생용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비행여고생 분노조절 프로그램 (문은주, 2002) 총 12회기를 매회기 90분씩 한 번에 1~2회기씩 4주에 걸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분노척도 (문은주,김성희, 2008)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1피험자 간 (집단유형: 실험집단/비교집단/통제집단)-1피험자 내(측정시기: 사전/사후/추후) 이요인 혼합설계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비교프로그램인 비행여고생 분노조절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노 전체 및 분노의 하위요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 행동적 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ger reduce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those who have high levels of anger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Literature and prepare experiment has fixed Anger-Control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to effective analysis was selected the most comparative group(Anger Control program group for delinquent women`s high school students). The 39 students who were P high school 1,2 grade in Kyungpook P city, Each student of the treat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2~4 sessions per week, a total of 12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Anger control in this investigation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s on the three domains of the anger scale(Moon & Kim, 2008). To verify the effect of programs, Multivariate repeated-measure analysis was conducted.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5.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 of overall anger and in subareas such as Perception, emotion, behavior factor. In conclusion, it showed that the Anger Control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properly.

      • KCI등재

        COVID-19 시대 재가노인의 삶의 의미와 늙어감에 대한 행복감의 관계에서 건강행위의 매개효과

        문은주,박진화 한국노인간호학회 2022 노인간호학회지 Vol.2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behavior between meaning in life and happiness related to aging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during the COVID-19.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0 older adult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1 to August 23 in 2020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IBM SPSS 25.0 program. Data were analyzed via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following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Sobel test for identifying mediating effect. Results: Happiness related to ag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ing in life (r=.33, p<.001) and health behavior (r=.50, p<.001).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health behavio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happiness related to aging among older adults (Z=4.17, p<.0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health behavior to improve the happiness related to aging of older adults, especially during COVID-19.

      • KCI등재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문은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encouragement counseling programs in Korea by using meta-analysis. A total of 49 studies published from 2005 to 2018 were se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90 studies’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was 0.869, indicating a medium effect size. Second, effect sizes were compared in regard to moderator variables including program content, participant characteristics, various parameters of group oper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s programs were most effective when mindfulness-based encouragement group counseling was used with the group members ranging from 9 to 14 persons for 11 to 16 sessions 3times a week over 10 weeks period, each session of 41-90 minutes, focusing on social interes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implement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서 실시된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성과연구 49편을 선정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논문들에서 산출된 90개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869로 높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참여자 특성(연령), 프로그램 운영방식 및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구성내용에서는 마음챙김을 이용한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인원수는 9∼14명, 총 회기 수는 11∼16회기, 주당 회기 수는 주3회, 운영기간은 10주 이상, 1회기 시간은 41분∼90분, 종속변인은 사회적 관심, 대인관계를 위하여 실시할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적인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주장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문은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7 청소년상담연구 Vol.25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ssertiveness group counseling programs in Korea by using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157 studies published from 1986 through 2015 were se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73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was 0.901,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Secondly, effect sizes were compared in regard to moderator variables including participant characteristics, various parameters of group oper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most of group was the child, the most of group members ranges were 10~14 persons, the most of term was 9 weeks over, the most of time for one session was from 106 to 135 minutes. the most of dependent variables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implement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1986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주장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성과연구 15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는 첫 째, 분석대상 논문들에서 산출된 273개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901로 상당히 크게 나 타났다. 둘째, 연령별로는 유아, 중학생, 성인, 초등학생, 고등학생, 환자 순으로 나타났 으며, 환자를 제외하고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인원수별로는 10~14명, 15~19명, 20명 이상, 5~9명 순으로, 전체적으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넷째, 총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운영기간별로는 9주 이상일 때, 6~8주, 5주 이하, 집중적 순으로 전체적으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여섯째, 1회기 시 간별로는 106분~135분, 76분~105분, 40분~75분, 136분 순으로 나타났으며, 136분을 제외 하고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일곱째, 주당 회기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여덟째, 종속변인별로는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주장행동, 학교생활적응, 정서 순 으로 나타났으며, 정서를 제외하고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장훈련 집단상 담 프로그램 효과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적인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감사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문은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is meta-analys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gratitude counseling programs. A total of 30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hrough 2015 were se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00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was 0.949,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Secondly, effect sizes were compared in regard to moderator variables including program content, participant characteristics, various parameters of group oper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most of content was the gratitude meditation, the most of group was the child, the most of group members range was 15-19, the most term of group counseling was intensively, the most of time for one session was less 30 minutes, the most of frequency a week was 2-3 tim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implement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감사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실시된 연구 가운데 총 30편을 선정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0편의 논문에서 산출한 100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한 결과, 감사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평균효과크기는 0.949로 효과크기 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참여자 특성(연령), 프로그램 운영방식 및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구성내용에서는 감사명상을 이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유아를 대상으로, 집단참여수는 15~19명, 집단 운영기간은 집중적으로, 한 회기당 운영시간은 30분 미만, 주당 실시 횟수는 주 2∼3회 실시하는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사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Learner Perceptions on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ubtitles and Explanation Methods in the EFL Classroom Using Films

        문은주,윤지여 영상영어교육학회 2014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1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learners’ perceptions on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ubtitles (captions) and explanation methods in English classes using film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over which types of subtitles and explanation methods the students prefer and perceive to be helpful for their understanding L2 (English) films and language development in the Korean EFL context. A total of 112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lanatory survey chosen from two versions of a questionnaire in the pilot study.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learners preferred watching L2 films with captions and believed captioning to be more effective for their language learning than no captioning. Specifically,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L1 (Korean) subtitles to L2 (English) subtitles and no subtitles. However, they believed that L2 subtitles were significantly more helpful and effective than the other two types of subtitles for language learning. In regards to explanation methods, although the learners seem to prefer watching the video clips before listening to the teacher’s explanation, the results of t tests for preference and perceived effectivenes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2 subtitles can facilitate language learning in the EFL classroom using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