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명전옥,Myeong, Jeon-Ok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달과 행성 운동의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문제 해결 실패 요인을 파악하고 달과 행성의 운동에 대한 효과적 교수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초등 예비 교사 40명과 중등 예비 교사 20명이었으며 이들은 지구과학의 천문 분야를 한 학기 수강하였다. 검사도구는 지필 검사와 면담이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문제 해결 정도는 낮았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문제 해결 정도는 중등 과학 예비교사에 비하여 더 낮았다. 문제 해결 실패 요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행 지식의 부족 (2) 해결 원리에 의한 문제표상 실패 (3) 배운 지식의 다른 상황(행성)에의 일반화 실패 (4) 일상과 문제 해결 상황의 관점에 대한 변별 부족 (5) 인과적 이해 대신 사실적 지식 암기 학습. 이상의 달과 행성의 운동 문제 해결 실패 요인은 일반적 문제 해결 실패자가 가진 특징과 달과 행성의 운동 과제가 갖는 특징의 결합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달과 행성의 운동 과제의 특징을 고려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교수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reasons for the unsuccessful problem solving of pre-service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0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xpected to teach earth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40) and secondary school (20). The participants had taken a course in astronomy before they took part in the present study. The instruments for the study were a paper-and-pencil test and interview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to solve problems were low. The pre-service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 were inferior to those of the secondary school i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causes for the unsuccessful problem solving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lack of prerequisite knowledge to understand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2) failure to represent problems based on solution principles, (3) failure to apply the knowledge acquired in one setting to another, different setting, (4) frames of reference the frameworks for everyday life situation and for earth science problem situation, and (5) rote-memorization of facts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The above causes for unsuccessful problem solving seemed to b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novice problem solvers in general and of the tasks about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Suggestions are made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abiliti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 KCI등재

        제 3 차 수학 , 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의 지구과학 성취도 분석

        명전옥(Jeon Ok Myeong),홍미영(Mi Young Hong)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tudents` achievement of `Earth Science` in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TIMSS-R), which was performed in 1999 with 38 nations participating. Korean 8th grade students` achievement of `Earth Science` wa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and other content areas in science. Average percent correct of items in each subcategory was also analysed. Most of the `Earth Science` topics were included in the intended curricula of Korea; they were taught to most of the students in science classes. Korean students ` average scale score of `Earth Sc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ternational average, but in comparison with other science content areas, achievement of `Earth Science` was relatively low. The teachers` confidence in teaching earth science was lower than their confidence in teaching other science areas. The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item analysi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태도 연구의 개선방안 : LISREL 을 활용한 연구 방법 Proposing LISREL for Statistical Analyses

        명전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1996 초등과학교육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problems in attitud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and to propose some ways to improve attitude research. Attitud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until the 1980s was rather unsuccessful in establishing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science behavior. The failure of the attitude research can be attributed to several factors, such as (1) vague definitions of the terms, (2) lack of a sound theoretical framework, (3) failure in the treatment of latent variables, and (4) improper treatment of multivariates. The present paper addresses each of these factors and suggests some solution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latent variables and multivariates, a ststistical analysis using LISREL is introduced and explained with an examplary case. The paper suggests that LISREL be adopted for the improvement of attitud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학생과학탐구 올림픽 행사를 통해 본 혁신 지향 교사의 특징

        명전옥,박승재,서정아 한국과학교육학회 199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제 1회 학생과학탐구올림픽에 참여한 과학 교사의 혁신 지향적인 특성을 비참여 교사와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세 집단의 교사였는데, (1) 탐구 올림픽에 참가한 학생의 지도 교사 집단, (2) 탐구 올림픽을 관람한 교사 집단, (3) 다단계 유층 군집 표집에 의해 추출된 비참여 교사 집단이었다. 연구도구는 설문지였는데 우편으로 우송되었고, 236명으로부터 회수되었고, 총 회수율은 45%였다. 대체적으로 탐구 올림픽에 참여한 교사들(학생 지도 교사 및 관람 교사)은 비참여 교사들에 비해 다음 4가지 범주에서 다른 특성을 보였다. 첫째, 탐구 올림픽 참여 교사는 비참여 교사보다 자아 실현, 즉 과학교육에 대한 관심, 변화 시도 욕구, 내적 성취동기가 더 높았다. 둘째, 탐구 올림픽 참여 교사는 과거 과학행사 참여 정도와 진급 욕구가 비참여 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탐구 올림픽 참여 교사는 비참여 교사에 비해 의사소통 행태면에서 더 높은 여론 선도력, 변화 주체측과의 더 많은 접촉, 자신이 속한 사회를 좀 더 근대적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탐구올림픽 참여 교사들은 비참여 교사보다 사회적 지위가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교사의 혁신성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이는 혁신 초기에 보다 효과적인 혁신 대상, 보급 시기와 설득 전략을 파악하여 혁신 추진력을 중대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d the innovativ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Student Science Inquiry Olympic and those of science teach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event. The subjects were science teachers in three groups: (1) the active participants in the Inquiry Olympic who supervised the students contestants, (2) the observers of the Inquiry Olympic who came to see the event, and (3) the ordinary teachers who did not come to the Inquiry Olympic and were sampled through stratified cluster sampling. The study instrument was a questionnaire; all the subjects received the survey questionnaire by mail. The return rate was 45%. In general, the Inquiry Olympic participants(both the student supervisors and the observers) demonstrat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nonparticipants in four categories. Firstly, the Inquiry Olympic participants showed higher level of self actualization, for example, interest in science education, higher inner motivation, stronger desire to innovate than did the nonparticipants. Secondly,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more involvement in professional activities and greater degree of upward social mobility than the nonparticipants. Thirdly, the participants had communication behaviors different from nonparticipants, e. g., greater leadership of public opinions, more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change agent, greater tendency to regard their school society as modern, Lastly, the participants had higher social status than the nonparticipan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utilization of the innovation-oriented science teachers to implement of innov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구과학 수업에서 노래의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반응과 평가

        명전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1999 초등과학교육 Vol.18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rvice teacher trainees' reactions to and evaluations about the earth science teaching method that utilizes song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1 university student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or prim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earcher used songs which the subjects judged to be reflecting some of the natural phenomena related to the earth science. The teacher trainees were taught some of the earth science concepts with the help of the selected songs. Discussions about the possibilities of the songs as an aid to science teaching were also encouraged. The teacher trainees demonstrated positive reactions to the teaching method, and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use songs in their future teaching. The method also inspired the trainees to be inquisitive in their everyday life and seek other effective teaching methods.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Science Track Choi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명전옥 한국과학교육학회 198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6 No.2

        과학교육은 학생들이 장차 과학 · 기술분야의 직업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을 그 중요한 결실의 하나로 잡고 있다. 현재 한국은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교육의 주요목표의 하나로 삼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보다 많은 영재를 과학 · 기술분야로 유치하려고 여러가지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도 결국은 학생이 과학 ·기술분야로 모여들지 않으면 그 효과가 없게 된다. 그런 점에서 학생들이 어떤 이유로 과학 · 기술분야를 선택하는지 흑은 기피하는지 그 원인을 아는 것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학 및 기습분야의 직업을 갖게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고교생의 문 · 이과반 선택에 있어 그 진로 결정에 영향을 주는 제 요인들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시내의 남 ·녀 고교 1학년생 109명(문과 56명, 이과53명)이었으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는 학생들의 문 · 이과반 선택에는 장래직업, 대학전공, 적성, 학과목에 대한 능력, 흥미 선호도,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이 주요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중 문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신의 적성, 이과과목에 대한 능력부족 인식, 내신 및 학력고사에서 의 성적취득용이성 등 주로 자신의 내적 동기와 관련된 요인들을 들고 있는 데 비해, 이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밝은 직업전망,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 외적인 동기도 큰 작용을 하고 있음을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또 문과를 지원한 학생은 이과가 공부하기가 어렵고 성적을 올리기도 힘들어 이과를 기피한 경향을 보이는데 반해 이과 지원자는 문과를 기피하여 이과로 왔다는 응답은 별로 없는 점이 대조를 보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가 던져주는 시사점과 과학교육의 개선책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고 있다.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김효남,명전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This study is about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teachers which affects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classrooms. 64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Form B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in April 2008. The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strument was developed by Kim, Chung and Jeong (1998)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used for data collection during the same period. Chronbach alpha coefficien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84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94. Science teaching efficacy scor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3.77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score is 3.68 on Likert's scale of five choices. Science teaching efficacy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tracks such as science and non-science,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science-related and non-science-related tracks in univers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affective characteristics is .64, which indicates a strong correl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하위 범주에 따라 상관관계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교사 양성기관에서 초등 과학교수법 강의를 수강하는 예비 초등 교사 64명이었다. 검사 도구는 과학교수효능감 검사지 STEBI-B형(Enochs & Riggs, 1990)과 과학 정의적 특성 검사지(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이다. 두 검사 도구의 문항은 모두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검사는 2008년 4월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평균이 3.77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개인 효능은 3.92, 결과기대는 3.62이었다. 과학 정의적 특성 은 3.68이었으며, 하위 범주인 인식은 4.10, 흥미는 3.41, 태도는 3.54이었다. 둘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은 성별과 대학 심화과정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예비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과학 정의적 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상관계수는 .64이었다. 개인 효능과 결과 기대는 서로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는데, 개인 효능은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지만, 결과 기대는 과학 정의적 특성의 하위 범주 중 인식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